•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플로우에 관한 선행연구

컴퓨터 매개환경에서 플로우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더 많은 지식을 획 득할 수 있고, 지각된 통제감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탐색적 행동을 하게 되고 긍정적인 감정이 생겨날 수 있다(Hoffman and Novak, 1996).

Hoffman and Novak(1996)의 개념적인 플로우 모델에서의 태도는 행동 에 대하여 개인이 갖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평가나 감정을 의미하며 (Ajzen, 1991; Attia, Aziz, and Friedman, 2012), 행동의도는 미래의 행 동을 계획하고 수정하려는 개인의 주관적인 의지나 신념이다(이정실, 박 명주, 2005). 탐색적 행동은 인터넷을 검색하고, 호기심으로 새로운 링크 를 클릭하며,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Korzaan, 2003).

<표 2-12> 국외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선행변수

개인 특성 변수 웹사이트 특성 변수

① ○

○ ○ ○ ○ ○

○ ○

④ ○ ○ ○ ○ ○ ○

○ ○

○ ○

○ ○ ○

○ ○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Ghani and Deshpande(1994) ②Hoffman and Novak(1996)

③Agarwal and Karahanna(2000) ④Novak et al.(2000) ⑤Koufaris(2002)

⑥Huang(2003) ⑦Hsu and Lu(2004) ⑧Skadberg and Kimmel(2004)

⑨Wu and Chang(2005) ⑩Zhou et al.(2010)

⑪Zhou(2013) ⑫Gao et al.(2014)

<표 2-13> 국내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선행변수

개인 특성 변수 웹사이트 특성 변수

① ○ ○ ○

○ ○

○ ○

○ ○

○ ○ ○ ○

○ ○ ○ ○

○ ○

○ ○

○ ○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김명소(1999) ②한상린, 박천교(2000) ③김소영, 주영혁(2001) ④이명수 외(2001)

⑤김도일 외(2003) ⑥두정완(2003) ⑦박종원 외(2003) ⑧장정무 외(2004)

⑨박성계 외(2011) ⑩권귀영, 이동건(2013) ⑪김영채, 정승렬(2013) ⑫김정이(2013)

⑬조동석, 이해영(2014)

플로우 경험은 온라인 구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Korzaan, 2003; 김명소, 1999; 김도일 외, 2003; 강재원, 조창환, 2006), 인터넷 사용 과 웹 사이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kadberg and Kimmel, 2004; 두정완, 2003). 행동의도는 재방문의도 (Siekpe, 2005; Koufaris, 2012), 구매의도(Siekpe, 2005; 이명수 외, 2001;

박종원 외, 2003; 조동석, 이해영, 2014), 이용의도 및 사용의도(Agarwal and Karahanna, 2000; Sanchez-Franco, 2006; 장정무 외, 2004; 박성계 외, 2011; 권귀영, 이동건, 2013)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플로우 경험은 컴 퓨터 작업환경과 인터넷 환경에서 탐색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Ghani

<표 2-15> 국내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결과변수

연구자

개인 영향 변수 웹사이트 영향 변수

탐색적 행동

행동

의도 관여도 지각된 유용성

탐색적

행동 충성도 긍정적 인태도

이용 기대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김명소(1999) ②한상린, 박천교(2000) ③김소영, 주영혁 (2001) ④이명수 외(2001)

⑤김도일 외(2003) ⑥두정완(2003) ⑦박종원 외(2003) ⑧장정무 외(2004)

⑨강재원, 조창환(2006) ⑩박성계 외(2011) ⑪권귀영, 이동건(2013)

and Deshpande, 1994; 김명소, 1999), 인터넷 구매환경에서의 탐색적 행 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Korzaan, 2003). 아래

<표 2-14>와 <표 2-15>은 국내외의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결과 변수들을 정리한 것이다.

<표 2-14> 국외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결과변수 연구자

개인 영향 변수 웹사이트 영향 변수

탐색적

행동 학습 지각된

통제감

행동 의도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긍정적

인태도 충성도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Ghani and Deshpande(1994) ②Hoffman and Novak(1996)

③Agarwal and Karahanna(2000) ④Novak et al.(2000) ⑤Koufaris(2002)

⑥Huang(2003) ⑦Korzaan(2003) ⑧Hsu and Lu(2004) ⑨Skadberg and Kimmel(2004)

⑩Siekpe(2005) ⑪ Wu and Chang(2005) ⑫Zhou et al.(2010)

제8절 2차 발신자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