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매개환경에서 플로우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더 많은 지식을 획 득할 수 있고, 지각된 통제감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탐색적 행동을 하게 되고 긍정적인 감정이 생겨날 수 있다(Hoffman and Novak, 1996).
Hoffman and Novak(1996)의 개념적인 플로우 모델에서의 태도는 행동 에 대하여 개인이 갖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평가나 감정을 의미하며 (Ajzen, 1991; Attia, Aziz, and Friedman, 2012), 행동의도는 미래의 행 동을 계획하고 수정하려는 개인의 주관적인 의지나 신념이다(이정실, 박 명주, 2005). 탐색적 행동은 인터넷을 검색하고, 호기심으로 새로운 링크 를 클릭하며,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Korzaan, 2003).
<표 2-12> 국외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선행변수
연 구 자
개인 특성 변수 웹사이트 특성 변수
환 경 특 성 변 수
통 제 감
주 의 집 중
즐 거 움
개 인 의 혁 신 성
각 성
관 여 도
시 간 왜 곡
도 전 감
숙 련 도
상 호 저 용 성
생 생 함
원 격 실 재 감
신 기 성
용 이 성
정 보 품 질
시 스 템 품 질
서 비 스 품 질
신 뢰 도
매 력 성
검 색 기 법
① ○ ○
② ○ ○ ○ ○ ○ ○ ○
③ ○ ○
④ ○ ○ ○ ○ ○ ○ ○ ○
⑤ ○ ○ ○ ○
⑥ ○ ○
⑦ ○
⑧ ○ ○ ○ ○
⑨ ○ ○
⑩ ○ ○ ○
⑪ ○ ○ ○
⑫ ○ ○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Ghani and Deshpande(1994) ②Hoffman and Novak(1996)
③Agarwal and Karahanna(2000) ④Novak et al.(2000) ⑤Koufaris(2002)
⑥Huang(2003) ⑦Hsu and Lu(2004) ⑧Skadberg and Kimmel(2004)
⑨Wu and Chang(2005) ⑩Zhou et al.(2010)
⑪Zhou(2013) ⑫Gao et al.(2014)
<표 2-13> 국내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선행변수
연 구 자
개인 특성 변수 웹사이트 특성 변수
통 제 감
주 의 집 중
각 성
경 험
주 관 적 규 범
관 여 도
최 적 자 극 수 준
도 전 감
숙 련 도
상 호 작 용 성
생 생 함
원 격 실 재 감
정 보 품 질
시 스 템 품 질
가 시 성
이 미 지
① ○ ○ ○ ○
② ○ ○
③ ○
④ ○ ○
⑤ ○
⑥ ○ ○ ○
⑦ ○
⑧ ○ ○
⑨ ○ ○ ○ ○
⑩ ○ ○ ○ ○
⑪ ○ ○
⑫ ○ ○ ○ ○
⑬ ○ ○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김명소(1999) ②한상린, 박천교(2000) ③김소영, 주영혁(2001) ④이명수 외(2001)
⑤김도일 외(2003) ⑥두정완(2003) ⑦박종원 외(2003) ⑧장정무 외(2004)
⑨박성계 외(2011) ⑩권귀영, 이동건(2013) ⑪김영채, 정승렬(2013) ⑫김정이(2013)
⑬조동석, 이해영(2014)
플로우 경험은 온라인 구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Korzaan, 2003; 김명소, 1999; 김도일 외, 2003; 강재원, 조창환, 2006), 인터넷 사용 과 웹 사이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kadberg and Kimmel, 2004; 두정완, 2003). 행동의도는 재방문의도 (Siekpe, 2005; Koufaris, 2012), 구매의도(Siekpe, 2005; 이명수 외, 2001;
박종원 외, 2003; 조동석, 이해영, 2014), 이용의도 및 사용의도(Agarwal and Karahanna, 2000; Sanchez-Franco, 2006; 장정무 외, 2004; 박성계 외, 2011; 권귀영, 이동건, 2013)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플로우 경험은 컴 퓨터 작업환경과 인터넷 환경에서 탐색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Ghani
<표 2-15> 국내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결과변수
연구자
개인 영향 변수 웹사이트 영향 변수
탐색적 행동
행동
의도 관여도 지각된 유용성
탐색적
행동 충성도 긍정적 인태도
이용 기대
① ○ ○ ○
② ○
③ ○
④ ○
⑤ ○
⑥ ○ ○
⑦ ○
⑧ ○ ○
⑨ ○
⑩ ○ ○
⑪ ○ ○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김명소(1999) ②한상린, 박천교(2000) ③김소영, 주영혁 (2001) ④이명수 외(2001)
⑤김도일 외(2003) ⑥두정완(2003) ⑦박종원 외(2003) ⑧장정무 외(2004)
⑨강재원, 조창환(2006) ⑩박성계 외(2011) ⑪권귀영, 이동건(2013)
and Deshpande, 1994; 김명소, 1999), 인터넷 구매환경에서의 탐색적 행 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Korzaan, 2003). 아래
<표 2-14>와 <표 2-15>은 국내외의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결과 변수들을 정리한 것이다.
<표 2-14> 국외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플로우 관련 결과변수 연구자
개인 영향 변수 웹사이트 영향 변수
탐색적
행동 학습 지각된
통제감
행동 의도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긍정적
인태도 충성도
① ○
② ○ ○ ○ ○
③ ○ ○ ○
④ ○
⑤ ○
⑥ ○ ○
⑦ ○ ○
⑧ ○
⑨ ○ ○ ○
⑩ ○
⑪ ○
⑫ ○
자료: 선행연구 바탕으로 연구자 정리.
①Ghani and Deshpande(1994) ②Hoffman and Novak(1996)
③Agarwal and Karahanna(2000) ④Novak et al.(2000) ⑤Koufaris(2002)
⑥Huang(2003) ⑦Korzaan(2003) ⑧Hsu and Lu(2004) ⑨Skadberg and Kimmel(2004)
⑩Siekpe(2005) ⑪ Wu and Chang(2005) ⑫Zhou et al.(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