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의 실패 다음으로 발견한 수학 학습동기의 부진 요인은 ‘학습을 방해하는 분위기’였다. 시끌반의 연구 참여자들은 수학 공부가 하고 싶어 지는 순간과 하기 싫어지는 순간에 관한 면담에서 학급의 분위기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 효진이는 “안 하는 애들 쪽의 분위기”에 휩쓸려서 집중이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 그런 부분이 아쉽고, 또 화가 난다고 했 다. 또 다봄이와 서진이는 수업 시간에 몇몇 아이들이 시끄럽게 “떠드 는” 것이 짜증이 난다고 했다. 특히 서진이는 시끄러운 것이 교사의 “목 소리를 묻히게” 하고 그래서 “아무래도 집중이 덜 되어서” 싫다고 했다.
이효진 : 안 하는 애들도 있다 보니까 약간 그쪽 분위기에 휩쓸리는 것 같아요. 그때마다 저는 분명히 ‘이걸 해야겠다.’라고 생각이 드 는데, 끊임없이 그게 집중이 안 되는 거예요, 그 순간. 그래서 그 부분이 조금 아쉬워요. 그때는 그냥 뭐, 내가 집중하고 싶 은데 안 되니까 그냥 화가 나더라고요. 딱 마음 잡고 공부하 려고 하면 또 애들끼리 무슨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다 보면 저 도 당연히 그쪽으로 관심이 쏠리고, 그러다 보니까 그 시간이 저는 좀 싫은 것 같아요.
강다봄 : 네. 근데 진짜 떠드는 건 맞는 것 같아요, 떠드는 건. 좀 짜증 나요. (중략) 그리고 옆에서 떠드니까 '어, 나도 그냥 안 하고 떠들까?' 이런 생각도 들기도 들어요.
김서진 : 아, 그…시끄럽잖아요? 근데 이제 시끄러운 것까지는 상관이 없는데, 그 시끄러운 게 제 귀에 들리니까, 산만하니까 선생님 목소리가 좀 묻히잖아요. 그게 좀 짜증나요. 그러니까 선생님 목소리가 묻히면은 아무래도 집중이 덜 되기 때문에 그것 때 문에 싫어지고.
시끌반의 수업을 시끄럽게 만드는 주동자들을 나는 보통 “오총사”로 불렀다. 그 오총사가 다른 아이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부진하게 만들 수 있으리라는 것은 면담하기 전에 이미 나 스스로 느끼고 있었다. 이런 생 각은 면담 전의 수업일지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 다섯 아이는 거의 모든 수업 시간에 아이들에게 방해가 되도록 떠들곤 한다. 가까이 있든, 멀리 떨어져 있든 상관없이 그렇다. 시 간이 갈수록 점점 수업에 방해가 되도록 떠드는 정도와 빈도가 줄 어들긴 하지만 여전히 수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꽤 있다. 수업에 방해가 된다기보다는 아이들의 학습에 방해가 된다고 보는 것이 더 맞을지도 모르겠다.
시끌반의 오총사는 수학을 잘 배워봐야겠다는 생각을 거의 하지 않는 것 같았다. 즉, 자기 자신의 학습에 대한 염려를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또 자신들이 떠들어서 교사의 목소리가 묻히고 친구들이 집중하 기 힘들어한다는 것을 개의치 않는 것 같았다. 즉, 오총사의 행동에서 친 구의 학습에 대한 배려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자기 자신의 학습에 대한 염려와 친구의 학습에 대한 배려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오총사가 만드는 분위기를 학습을 방해하는 분위기로 판단했다. 그리고 오총사가 주동자가 되어 만들어낸 학습을 방해하는 분위기가 시끌반의 연구 참여 자들에게 수학 학습동기 부진의 주된 요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조용반의 현지는 친구들 때문에 공부하게 된다고 이야기했 다. 공부하는 친구들을 보면 공부를 “너무 안 하는” 자신을 성찰하게 되 고 공부해야겠다는 마음이 든다는 것이다.
연구자 :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은 왜 한 거야?
박현지 : 너무 안 해서. 친구들 보면 그런 생각이 들어서요.
그리고 공부가 하고 싶어지는 것 같다고 느껴지는 순간을 물으니 “친 구들이 있으면 그래도 옆에서 ‘이거 해라, 저거 해라.’ 그런 말을 할 수 있으니까 친구들이랑 같이 하는 게 더 좋은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누 군가 봐줄 사람이 없으면”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덜 드는데 친구와 함께 공부하면 친구들이 공부하도록 독려를 해줄 수 있고 그럴 때 공부 가 하고 싶어진다는 것이다.
현지와의 면담을 통해 현지의 친구들은 현지의 수학 학습을 방해하는 분위기가 아니라 수학 학습을 지지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의 학습에 대해 염려하여 스스로 공부를 열심히 하고, 소 란스럽게 하지 않고 친구가 공부하도록 독려하는 등 친구의 학습에 대해 배려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말이다.
결국, 친구가 수학 학습동기를 촉진하는 요인이 될 것인가, 부진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것인가의 문제는 명수의 이야기 “분위기가 되게 중요 한 것 같아요.”처럼 그들이 만들어내는 분위기에 달려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수학 학습동기의 문제는 단순히 심리, 정서, 인지적 문제 가 아니라 분위기에 달린 문제, 즉 관계의 문제이자 몸틀의 문제라는 것, 다르게 이야기하면 존재론적이고 실존적인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을 지지하는 분위기가 수학 학습동기를 촉진할 수 있으리라 판단했다. 그리고 아이들이 자신의 학습에 대해 염
박현지 : 혼자 하는 거보다는 친구들이랑 같이 하는 게 더 좋은 것 같 아요.
(중략)
연구자 : 아까 그런 이야기도 했네? 친구들이랑 같이 할 때 좋다. 친구 들이랑 같이 하면 왜 더 공부가 잘되는 거 같아?
박현지 : 혼자 할 때는 누군가 봐줄 사람이 없으니까, 약간 그런 ‘공부 를 해야겠다.’ 생각도 좀 덜 들고. 친구들이 있으면 그래도 옆 에서 ‘이거 해라, 저거 해라.’ 그런 말을 할 수는 있으니까.
려하여 스스로 공부를 열심히 하면서, 친구의 학습을 배려하여 소란스럽 지 않게 하고 친구가 공부하도록 독려해주는 것이 학습을 지지하는 분위 기를 만들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수학 학습동기를 촉진 하기 위해 학습을 지지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을 계획하고 실행하기로 했다.
제 4 장 참여적인 실행과 성찰
3장에서는 내가 교사로서 현장을 체험하며 수학 학습동기의 부진이라 는 문제상황을 만나고, 그런 문제상황이 왜 벌어지는지 이해하기 위해 겪은 시행착오에 관해 설명했다. 또한, 그런 시행착오를 통해 ‘성취의 실 패’와 ‘학습을 방해하는 분위기’가 수학 학습동기 부진의 핵심적인 요인 임을 발견하였음을 설명했다.
문제는 ‘문제의식’의 산물이다(조용환, 2021). 나와 연구 참여자는 아이 들의 수학 학습동기가 부진한 상황을 문제상황이라고 느꼈다. 연구하거 나 논의하여 해결할 사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는 그 상황을 개 선하고 싶다고 오래도록 생각해왔고, 연구 참여자들은 그 상황을 개선하 는 데 참여하겠다고 한 아이들이었다.
그렇기에 수학 학습동기 부진의 요인을 파악한 후 나와 연구 참여자 가 할 일은 수학 학습동기를 촉진하는 수업을 만들 방안을 마련하여 실 행하는 것이었다. 앞서 발견한 수학 학습동기 부진의 요인은 이러한 방 안을 마련하는 기반이 되었다. ‘성취의 실패’라는 요인을 고려하여 ‘성취 기회 만들기’라는 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하게 되었고, ‘학습을 방해하는 분위기’라는 요인을 고려하여 ‘학습 지지 분위기 만들기’라는 방안을 마 련하여 실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실행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과 그 주 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한편, 이 연구는 ‘참여적’ 실행연구이다. 즉, 연구 과정 전반에서 연구 참여자가 마땅히 주체가 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그래서 연구 참여자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촉진하기 위한 실행 역시 연구 참여자가 주체가 되어 참여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연구 참여자들이, 수학 학습동기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 수학 학습동기의 촉진을 위한 실행의 주체이기도 하다는 점 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행과 그에 따른 변화가 구분되지 않는 경
우가 종종 있었다. 그럴 때는 실행과 그에 따른 변화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수학 학습동기의 촉진을 위해 실행을 하고 그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후에는, 그 변화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실행을 성찰 하고 두 가지의 대안적 실행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아이들이 성취 를 경험하는 데 필요한 도움을 내가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의 어려움을 표현하고 포착하는 대안적 실행’을 방향으로 설정했다. 둘째, 수학 학습 을 할 때 누군가 함께 있다는 느낌을 받고서 수학 학습동기가 촉진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함께 있음을 느끼게 하는 대안적 실행’을 방향으 로 설정했다.
이번 장에서는 앞서 이야기한 실행, 그에 따른 변화의 관찰, 변화에 대한 분석과 해석의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즉, ‘질적 실행연구의 과정’
중 ‘참여적이고 대안적인 실행’과 ‘그에 따른 현장의 변화 분석 및 해석’
중 일부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아내고자 한다. 1절에서는 ‘성취 기회 만들 기’와 ‘학습 지지 분위기 만들기’를 실행하는 데 나와 연구 참여자가 어 떻게 참여하고, 그 실행으로 인해 연구 참여자와 그 주변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2절에서는 관찰된 변화를 통해 실행을 성찰하며 대안적 실행에 관해 고민한 과정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제 1 절 수학 학습동기의 촉진을 위한 실행과 변화
이번 절에서는 파악한 수학 학습동기 부진의 요인을 기반으로 하여 수학 학습동기의 촉진을 위해 계획하고 실행한 과정, 그리고 그 실행으 로 인해 생긴 현장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1항, 2항에서 각각 ‘성취 기회 만들기’, ‘학습 지지 분위기 만들기’에 나와 연구 참여자가 어떻게 참여했으며 그로 인해 현장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설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