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식당(Korean restaurant)

(간장, 후추, 소금 등), 양초, 꽃병, 재떨이 등을 들 수가 있다.

△ △

는 여러 종류의 민물고기가 서식하고 있다. 수렵도 매우 활발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차차 가축 을 길러 농경에 사역하였을 뿐 아니라 그 고기를 식용하였고, 나아가서는 돼지, 닭 등도 길러 육찬(肉饌)의 재료로 썼는데, 그 조리를 매우 잘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채식으로 쓰는 재료는 주로 산야에 자생하는 각종 나물이었으며, 밭에서 재배하는 채소도 종류가 많았다.

이와 같이 곡식, 육식, 채식의 재료가 다양하고 풍부한 동시에 이를 조미하는 간장, 된장, 고 추장 등의 양조법도 매우 발달하였다. 주재료와 부재료를 배합하고 맛을 보완하는 고추, 후추, 생강, 파, 마늘, 부추, 산초와 같은 향신료를 쓸 줄 알았다. 또 음식을 만드는 원리가 경험을 통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전수되어 왔으며, 이를 토대로 한 여인들의 음식 솜씨가 다양하고 훌륭 하였다. 한국음식의 구성은 곡류음식을 중심으로 하고 여러 가지 조리법으로 만든 반찬을 조화 있게 배치하여 한 상의 음식을 계획하게 된다.

한국음식의 상차리기는 한 상에 차리는 음식 이름의 가짓수를 뜻하기도 하고, 그 음식을 놓 는 자리를 정확히 하여 설찬(設饌)을 뜻하기도 한다. 상의 종류는 먹는 사람의 수를 가리켜 외 상(單)차리기․겸상(複)차리기, 2사람 이상이 한 상에 둘러앉아 먹을 때는 두리반상 또는 교자상 차리기라 한다.

또 먹는 시각에 따라 새벽에 차려 내는 상은 초조반상(初朝飯床), 다음은 조반상 또는 아침 상, 다음은 점심(點心)상, 다음은 저녁상, 밤이 깊어서 차려내는 상은 밤참 또는 야찬(夜饌)이라 한다. 끼니 때 외에 먹도록 차려 내는 상을 곁두리, 샛밥, 새참이라 한다.

상에 차리는 음식의 내용은 대체로 초조반은 궁중에서는 응이(율무가루나 녹말가루로 쑨 묽 은 죽) 또는 무리죽(쌀을 아주 갈아서 홀홀하게 쑤는 죽)을 기본으로 하고, 국물 있는 김치(동 치미, 나박김치, 열무김치 등)와 맑은 찌개나 젓국찌개, 마른반찬․소금․꿀 등을 조반이나 저녁은 밥을 중심으로 하고 반찬을 곁들이는 격식인데, 찬의 그릇 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반상 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9첩이 최고이고, 궁중에서는 12첩으로 수라상을 설찬하였다. 평상시의 점심은 그 글자가 뜻하는 대로 마음에 점을 찍을 정도로 가볍게 먹는다는 뜻인 것 같다.

그 외에도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훌륭한 요리들이 많으며, 맛과 향, 모양 등에 있어 서도 반도의 지리적 특징을 살린 음식들로 다채롭다. 그 중에서도 궁중 요리들은 우리나라 음 식의 대표성을 지켜왔는데 맛과 영양 및 조리법 등에서도 과학적 연구 가치를 지니고 있을 만 큼 훌륭하게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대표적인 음식으로 불고기, 신선로 및 전골 요리 등을 들 수 있으며, 쌀 음식, 산채 나물 요리, 발효식의 김치 및 된장 음식 등과 함께 매운 맛을 즐기는 것이 우리나라 식탁의 특징이라 할 수가 있다. 이처럼 음식이나 조리법에서는 훌륭하게 발전․

보전되어 왔으나 표준식단 개발이 미흡하고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세계적 식당으로의 인정이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조리법, 표준식단 및 서비스 방식에서 과도기 적이라고 여겨졌던 86아 시안 게임과 88서울 올림픽을 치르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기도 전에 일찍이 표준화되고 간소화 된 기업형의 외식 체인점 진출에 밀려 우리 고유

의 전통음식 발전에 아쉬움을 갖게 하고 있다.

우리 음식문화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는 요소들을 보면 끼니마다 기본 찬수가 너무 많아 식 탁이 복잡하고, 조리시간이 길며, 비위생적인 부분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으며, 음식 폐기물이 많이 배출되고, 종업원 의존도가 높은 것 등이다.

4.1 한식 메뉴

전통적으로는 안방이나 마루에서 좌식으로 식사(floor seated dining)하는 관습을 따르고 있 으나 오늘날에는 주택구조의 개량화와 생활양식의 변화 및 서구식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테이블에서의 식사(table seated dining) 또한 많이 이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음식차림(상차 림)에 있어서는 매우 독특한 관습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상차림이란 여러 가지 음 식을 한 상에 차려 넣는 것을 말하는데, 평상시의 생활에서 차려지는 일상식의 상차림과 통과 의례 및 특별 행사시에 차려지는 의례식 상차림으로 구분된다. 일상식의 상차림으로는 아침과 저녁에 밥을 주 메뉴로 하는 반상과 점심(點心)이나 간단한 손님맞이 상으로 차리는 장국상 및 죽상, 약주를 대접하기 위한 안주상 및 다과상 등으로 구분한다.

의례식의 상차림은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에 기념이 되는 날을 기리기 위하여 차리는 상이다.

의례식의 상차림으로는 출생 때의 삼진상에서 부터 백일상, 돌상, 혼례상, 결혼 기념3)의 잔치 상, 회갑 등의 수연상4)과 돌아가신 조상에게 차리는 제사상 및 차례상 등이 있다.5)

3) 결혼기념일의 종류: 1주년: 지혼식(紙婚式), 2주년: 고혼식(藁婚式), 3주년: 당과혼식(糖菓婚式), 4주년: 혁혼식(革婚 式), 5주년: 목혼식(木婚式), 7주년: 화혼식(花婚式), 10주년: 주석혼식(朱錫婚式), 12주년: 아마혼식/수정혼식(亞麻婚 式/水晶婚式), 15주년: 동혼식(銅婚式), 20주년: 도기혼식(陶器婚式), 25주년: 은혼식(銀婚式), 30주년: 상아혼식/진주 혼식(象牙婚式/眞珠婚式), 35주년: 산호혼식/비취혼식(珊瑚婚式/翡翠婚式), 40주년: 모직혼식/녹옥혼식(毛織婚式/綠 玉婚式), 45주년: 명주혼식/홍옥혼식(明紬婚式/紅玉婚式), 50주년: 금혼식(金婚式), 60주년: 회혼식(回婚式), 75주년:

금강혼식(金剛婚式).

4) 수연 안내: 수연(壽宴)이란 인간의 5복 중에서도 으뜸으로 치는 장수를 누린데 대한 경하(慶賀)의 의식으로써 회 갑연(回甲宴) 혹은 환갑연(還甲宴), 진갑연(進甲宴), 고희연(古稀宴, 칠순잔치), 희수연(喜壽宴, 77세 잔치), 산수연 (傘壽宴, 팔순잔치), 미수연(米壽宴, 88세 잔치), 졸수연(卒壽宴, 구순잔치), 백수연(白壽宴, 99세 잔치) 등이 있다.

한 상에 차리는 음식의 내용을 적은 것을 음식발기(飮食發記), 건기(件記) 혹은 찬품단자(饌品 單子)라고 하는 데, 요즘은 흔히 식단(食單)이라고 하여 서양식의 메뉴와 유사한 개념으로 쓰여 지고 경우가 있으나, 이는 한 상에 차려지거나 혹은 한 끼의 식사에 나오는 음식을 적은 것으 로 따블르 도뜨 메뉴와 같은 개념이라 할 수가 있다.

한식 정찬 메뉴의 예

KOREAN FORMAL FULL COURSE MENU 한식 정찬 메뉴 1

FIVE KINDS OF BASIC DISHES 5색 기본찬

***

FISH ROE, GINGKONUT AND CHESTNUT 밤, 은행, 젓갈

***

PINENUT PORRIDGE 잣죽

***

FRESH GINSENG WITH HONEY 인삼꿀

***

3 KINDS OF RAW FISH WITH HOT PEPPER SAUCE 3색 생선회 초장

***

JELLY FISH WITH MUSTARD SAUCE 해파리 겨자채

***

PANFRIED SHRIMP 새우전

***

BEEF AND VEGETABLE BROCHETTE 쇠고기 채 산적

***

LARGE STEAMED CRAB 큰게찜***

BRAISED ABALONE 전복찜

***

BROILED DUDUK ROOT 더덕 구이

***

BROILED SHORT RIB OF BEEF 쇠갈비구이

***

AMBROSIAL SET 신선로

***

RICE AND SOUP 밥과 국

***

FRESH FRUIT 신선한 과일

***

FRUIT PUNCH 과일화채

***

*

₩100,000++

A 10% SERVICE CHARGE & A 10% VAT WILL BE ADDED.

5) 황혜성, 전게서, p. 21.

4.2 한식 조찬 정식(Korean breakfast)

우리나라는 지형적으로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로 평야와 산이 있으며,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에서 생산되는 농․수․축산물의 재료가 풍부하고 다양하며, 고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대륙의 영향을 받아 우리에 맞는 조리법이 더욱 다양하게 발달 되어 왔다. 고려시대에는 권농정책으로 농업이 성행하였으며, 숭불정책으로 불교가 더욱 융성 해지면서 육식의 습관은 쇠퇴하였으나 조선시대에 들어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는 가 운데 음식이 가장 다양하게 발달하여 한국 음식의 완성기라고 볼 수 있다. 서양인들의 미식 혹 은 대륙식 조찬이나 일식조찬의 한 가지 식단에 비해 한식은 조찬 식단에서도 다양하게 꾸며 진다.

한식 조찬 정식의 예

KOREAN BREAKFAST 한식(전복죽 정식) 조찬 메뉴 1 CABBAGE KIMCHI 배추김치

***

WATER KIMCHI 물김치

***

NAMUL 나물

***

ABALONE PORRIDGE 전복죽

***

FRESH FRUIT 신선한 과일

₩13,000++

KOREAN BREAKFAST 한식(해장국 정식) 조찬 메뉴 2 TURNIP KIMCHI 깍두기

***

CABBAGE KIMCHI 배추김치

***

NAMUL 나물

***

OX BLOOD SOUP 해장국

***

RICE 쌀밥

***

FRESH FRUIT 신선한 과일

₩13,000++

KOREAN BREAKFAST 한식(생선구이 정식) 조찬 메뉴 3 CABBAGE KIMCHI 배추김치

***

WATER KIMCHI 물김치

***

NAMUL 나물

***

SEA LAVER 구운 김

***

BROILED FISH 생선구이

***

STEAMED EGG 계란찜

***

RICE AND SOUP 쌀밥과 국

***

FRESH FRUIT 신선한 과일

₩15,000++

A 10% SERVICE CHARGE & A 10% VAT WILL BE ADDED.

나. 차시별 강의 세부 계획서

주차 14 주제 우리 예술에서 배우는 양(養)

학 습 목 표

1. 강의 목표 및 강의 내용, 평가 방식 등에 대해 소개한다.

2. 공연 예술을 감상하는 방법을 익히고 공연예술의 한국적 창의성을 기른다.

강 의 자 료

- 유인물 - ppt

단계 학습

내용

교수 ― 학생 활동

교수 학습

방식 학생 과제

1교시 도입

(10분) l 교수 소개 및 학습자 상호 인사

강의 경청하면서 필기한다.

강의 (40분)

① 강의 목표 및 강의 개요, 강의 진행을 설명한다.

② 한국의 공연예술의 현실과 발전 가능성 에 대하여 소개한다.

2교시 도입 (10분)

① 이전 시간 내용을 요약한다.

② 난타의 성공사례를 설명한다. 강의 경청하면서 필기한다.

강의 (40분)

① 난타의 성공사례를 나라별로 설명한다.

② 난타 성공의 현대적 의미를 상호 토론 한다.

강의 질의 응답

경청하면서 교수의 질문에 답한다.

기타

[생각해보기]

난타가 해외에 진출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인가?

[우리 주변에서 찾아보기]

우리주변의 일상 속에서 난타처럼 공연화 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있는지 찾아보자.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