班 婕妤 圖像
( )
高 惠 蓮 東義大
. 머리말
Ⅰ
중국 北宋의 사학자 鄭樵(1104-1162)는 저서인 「通志, 圖譜略」에서 학문방법론으로 ‘ ’圖 와 ‘ ’書 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다 그는. 「圖譜略」 의 역할과 기능을 언급하면서 책( )書 은 학문하는 사람에게 꼭 필요하 며 圖譜는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불가결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학문에서 그림과 문헌을 함께 중요시하는 정초의 이론은 파노프스키1)
의 이론인 “圖像學” 과도 연관되어 생각할 수 있다. 圖像學은 圖에 표 현된 알레고리(allegorie)2)를 해석하기 위해서 문헌적 지식이 필요한
1)Erwin Panofsky 1892는 년 독일 하노버에서 출생했으며1935년부터1962년까 지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를 역임했고 1968년 프린스턴에서 사망했다 주요 연. 구 분야는 르네상스미술과 15. 16세기 독일과 네덜란드 회화 일반미술이론과, 상징이론 그리고 도상해석학이론을 연구하였다 이 논문에서 그의 도상학이론. . 은IKonograpie & Ikonologie, (DuMont 2006)을 참고하였다.
2)알레고리(allegory,우의[寓意])는 어떤 한 주제A를 말하기 위하여 다른 주제 를 사용하여 그 유사성을 적절히 암시하면서 주제를 나타내는 수사법으로 은 B
. 머리말
Ⅰ
. <女史箴圖>의班 故事
Ⅱ 婕妤
.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의班
Ⅲ 婕妤
故事
. <三綱行實圖. 辭輦>의
Ⅳ 婕妤
班婕妤故事 . 맺음말
Ⅴ
연구방법으로 작품주제 에 의해 미술작품을 연구 분류하는 방법이다‘ ’ . 작품주제는 책( )書 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으로 파악하게 되며 작품에 내재되어있는 상징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징은 특정주제. 혹은 개념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며 이것도 역시 문헌( )書 을 통해서 전 달되는 지식을 기본으로 한다 이와 같은 문헌을 통하여 작품의 주제. 를 파악하는 연구방법은 작품주제를 분석할 때 일정한 기본원칙과 구 성 요소를 정립하게 되어 도상의미“ (Ikonographische Bedeutung)”3)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창출된 특정. 圖像은 상징적 의미를 가지게 되 며 시대와 장르를 막론하고 작품 분석에 도움을 주게 된다 다음은 이. 러한 필자의 생각을傳顧凱之( 345- 406) <약 약 女史箴圖>에서 도상의“ 미 를 형성한” 班婕妤4) 故事을 살펴보고 또 다른 예와 함께 논증해 보 고자 한다.
유와 유사한 표현 기교라고 할 수 있다 은유가 하나의 단어나 하나의 문장과. 같은 작은 단위에서 구사되는 표현 기교인 반면 알레고리는 이야기 전체가 하, 나의 총체적인 은유로 관철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알레고리는 일반적으로. 수사학의 형식으로 간주되지만 항상 언어를 통해 표현되지는 않는다 사실적인. 회화나 조각에서 눈짓과 손짓으로 가리키는 말일 수도 있고 예술 작품의 구성 요소로 이야기 전체를 파악할 수도 있다.
3) Erwin Panofsky, IKonograpie & Ikonologie (DuMont, 2006), p.39.
4)시카고 대학의 무홍 교수는 반첩여를 "The Story of Ban Zhao班昭"라고 하 며 「漢書」를 지은 반고의 동생 班昭(A.D.48-117) 라고 해석하고 있다. (Richard Barnhart 外, Three Thousand Years of Chinese Painting, Yale University Press 1997, p.48).
무홍교수의 오류는 한성제(B.C.51-7)와 반소(48-117)의 생존연대를 비교하면 곧 알 수 있다 반소는 반고가 죽은 후에 화제. (和帝)의 명을 받고 그 일을 계 승하여 「漢書」 중의 8편 〈 〉表 와 〈天文志〉를 완성함으로써 「漢書」 편찬을 완결하였다 그녀는 한서를 마무리 지을 정도로 학문이 뛰어났고. 曹世叔에 출 가하여 <여계 를 지었다> . <여계 는> <여사서 의 한권으로 여자가 출생하고>
자라서 出嫁하여 시부모를 섬기고 남편을 섬기고 시가와의 화목을 위해 女子 로서 해야 할 일체의 몸가짐 등을 서술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반씨 일가의 유교. 적 도덕관을 서술한 반소의 저작활동은 황제의 청에도 불구하고 법도에 어긋, 난다고 하며 황제와 동승하기를 거부한 조고인 반첩여의 영향이 컸을 것이다.
. < 女史箴圖 > 의 班 故 事
Ⅱ 婕妤
의 작품으로 불리는 < (그림1)>는 궁중궁녀들의 문란
顧愷之 女史箴圖
한 행동을 교훈적으로 풍자하며 여성의 도덕성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의 에 근거하여 그린 것이다
(265-317) (232-300) .
西晉 張華 「女史箴」 5)
여사잠도 는 폭에 길이의 권축화이며 역사적 인물
< > 24.8cm 348.2cm
을 유연하고 자연스러운 동작과 함께 표현하고 있다 그림전개는 각.
부분의 題記를 중심으로 주제별로 나눌 수 있으며 제기의 내용에서는 에 대한 고개지의 주관적 사상과 해석을 엿볼 수 있다 고개.
「女史箴」
5) <여사잠도 는> 1900년경 의화단사건 때 영국군이 가져가 현재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그림 끝부분에‘顧凱之畵’라고 쓰여져 있다 원래는. 12 장면인데 현재는 앞의 세 장면이 없어지고 아홉 장면만이 남아있다 고개지의 원작이 아. 니고唐末模本이라 추정한다.
<그림1> 여사잠도
지는 회화는 구체적인 실물의‘ 形態로써 精神을 표현해야 하고 이것은 작품의 내용과 형식 양식 이 결합되어야만 완성할 수 있다 고 하였다( ) ’ . 또한 인물표현에 대한 그의 생각은 개체가 지니고 있는 生命 또는 精
의 표현을 중시하였는데 神
, , , , . ,
凡畵 人最難 次山水 次狗馬 臺榭一定器耳 難成而易好 不待遷想妙得
. ,
也 此以巧歷 不能着其品也
무릇 그림은 사람이 가장 어렵고 그 다음이 山水이며 그 다음이 개 와 말이다 정자와 누각은 일정한 기물이어서 완성하기는 어렵지만 보고 그. 리기는 쉬어서 遷想妙得을 기대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교를 계속 쌓으면 그. 수준에 못 오를 수도 있다.6)
고 말하며 조형예술의 특징을 이용하여 詩와 言語로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을 形象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그의 회화미학 중심개념은. 이 전해져 그림으로 표현 되는 와 형상으로써 정신의 경
‘精神 ’ 傳神寫照 ‘
지를 표현 하는’ 以形寫神이라고 하였다 즉 화가의 주관적인 사상과 감. 정이 그림에 스며들어 표출된다는 것이다 화가는. 傳神寫照를 위하여 인물의 내면세계와 환경에 대하여 깊이 관찰해야 하고 화가의 경험을 결합시켜 표출해내야 하는데 고개지는, 傳神寫照를 통하여 생각을 옮‘ 겨 深美에 이르는’ 遷想妙得에 이르러야 좋은 그림이 될 수 있다고 하 였다.7) 고개지의 ‘傳神寫照 以形寫神’ 이론을 따른다면 당시 사대부들 이 詩 書 畵. . 작품을 감상하고 스스로 그림을 그릴 때 가슴속에 수천수‘ 만의 문장’8) 이 정신적으로 내재되어 詩 書, 와 함께 형상으로써 정신의‘ 경지를 표현하는 것 이 라고 생각할 수 있다’ .
그림 는 거울을 들여다보며 자신의 얼굴을 단장하는 한 여인의
< 2>
뒷모습과 題記, 시녀에게 머리를 만지게 하는 또 다른 여인이 표현
6)顧愷之 「論畵」.
7)지순임,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미학」 ( 미술문화, 2005), pp.136-144.
8)정초는 ‘圖를 떠나서 책에만 의존하면 학문을 하기도 어렵고 가슴속에 수천수 만의 문장과 서적이 현실에서 지향할 곳을 모른다 고 개탄하였는데 필자의 생’ 각으로는 정초는, 圖의有用性만 생각한 것이다.
되었다 그녀 앞에는 몸치장에 필요한 여러 가지 화장용구를 나열하여. 그림의 밑 부분을 장식하고 있다 그림을 도상학적으로 분석하면 화가. , 의 의도를 배제하고 표현된 사실만을 인지하게 되는 일차적 사실의 미9) 파악 단계에서는 화장과 몸단장을 하는 여인들 이라는 표면적‘ ’ 주제까지만 접근한다.
이차적 관습적인 의미단계10) 는 문헌을 통해 전달되는 지식 으로‘ ’ 그림분석의 연결고리인 알레고리 (Allegorie) 을 파악할 수 있다. 9) Erwin Panofsky, p.57, “Vor-ikonographische Beschreibung: Primaeres oder
natuerliches Sujet.”
10) Erwin Panofsky, p.57, “Sekundaeres oder Konventionales Sujet.”
<그림2> 여사잠도 부분
그림 를 살펴보면
( 3) ,
題記
人咸知脩其容
사람들은 자신의 얼굴을 치장할 줄만 안 다.
莫知飾其性 之不飾
자신의 인격을 치장할 줄 아는 이는 아 무도 없다.
或德禮心 斧之藻之 克念作聖
도끼로 고치고 다듬어 덕과 예를 아는 신성한 품성을 만들도록 노력하라.
그림 를 제기 내용과 비교하면
< 2> ,
도끼로 고치고 다듬어 덕과 예를 갖춘
‘
신성한 품성을 만들라 (或德禮心 斧之 의 절구는 표현되어 )’
藻之 克念作聖
있지 않다 고개지의 의도는 거울을 보. 고 있는 두인물의 형상과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통해 내면을 수양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자 하였다 고 볼 수 있다. 題記는 이와 같이 문헌적인 지식을 제공하여 일차적 사실의미단계에서 한낱 궁중여인네들의 몸치장을 표현한 것으로 인지 되는 표면적인 그림주제를 거울에 비친 얼굴이 알레고리를 형성하게, 되고 거울을 통하여 내면의 모습 즉 德과 禮를 갖춘 신성한 품성을 비 추어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1)
다음은 위와 같은 도상학적인 관점으로 <여사잠도 의> 班婕妤 故事
11) 정초는 이러한 파노프스키의 이차적 의미단계를 「圖譜略」 에서 “圖를 보고 책을 보지 않으면 그 사람만 보고 그 말을 듣지 않은 것 이라 하였고” , “책을 보고 圖를 보지 않으면 그 소리를 듣고 形象을 보지 않은 것과 같다고 하며, 는 대단히 요약된 것이고 책은 대단히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서, 는 쉬운
圖 圖
것을 추구하고 책은 어려운 것을 밝히는 것 이라고 하였다 즉 정초는 책과” . 圖 의 分役을 밝히며 학문에서는 반드시 圖譜와 文章을 같이 중시해야만 정확한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通志 二十略, 」, p.1825).
그림 그림
< 3 > < 2> 題記
그림 를 살펴보겠다 반첩여는
( 4) . 班況12)의 딸이며 「後漢書」를 지은 班
(32-92)의
固 고모할머니이다. <그림4>
는 가마위에 황제가 앉아있으며 6명의 가 마꾼이 힘겹게 가마를 어깨에 메고 앞으 로 나아가는 모습이다 가마 옆에는 옷깃. 을 날리며 한 여인이 걸어가고 있다 여. 인의 시선은 가마 위의 황제를 향하고 있 고 사선으로 그려진 가마는 공간적 표현 을 보여주고 있지만 가마꾼들의 우왕좌왕 하는 발걸음은 거의 일렬로 배치되어 불 안정한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듯하다.
그림 를 보면
( 5)
題記
班 有辭割歡同輦 夫豈不懷防微慮遠婕
반첩여13)는 한성제와 함께 가마에 오르는 기쁨을 사양하고 있으니 작은 기쁨을 멀리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깊은 생각을 어찌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 12) 前漢 成帝(B.C.32-7) 때 월기교위(越騎校尉)를 지냈다
13) 반첩은 반첩여가 생략된 단어이다.‘婕妤’는昭儀아래의 궁중女官의 명칭,漢 의 제도이며 位는上卿, 爵은列侯와 비등하다.
그림 여사잠도 부분
< 4> < > 班婕妤 故事
그림 그림
< 5> < 4> 題記
가.
그림에서 옷깃을 날리며 황제의 행차를 따르는 평범한 한 궁녀는 를 통하여 (reg. B.C.33-7)의 후궁 (B.C.48-6)이란 것
題記 漢成帝 班婕妤
을 알 수 있다 그녀는 황제의 청에도 불구하고 가마에 동승하지 않았. 으며 이러한 행동은 타의 모범이 될 만하다고 고개지가 칭송하고 있 다. 班婕妤 故事를 주제로 쓴 題記는 전한서 외척열전 혹은 삼강행「 . 」 「 실도 첩여사연 등의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한성제는 여러 궁. 」 , 녀들 중에서 유교적인 예의범절이 뛰어난 반첩여를 매우 사랑하여 첩 여 직위를 내렸다 어느 날 한성제가 궁중 뒤뜰에서 한가한 시간을 보. 내면서 첩여에게 같이 가마에 오르기를 원하자 첩여가 사양하면서,
옛날의 은 모두 이름난 신하가 곁에 있고
“ 聖君 夏, 殷, 周
의 마지막 임금들은 여자를 곁에 두고 있으니 제가 지 (B.C.1046-771)
금 함께 가마에 오르면 그와 비슷하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황제가. 그 말을 듣고 옳게 여겼다.14)
이와 같이 그림배경이 되는 班婕妤 故事를 이해하고 한성제의 모습 과 반첩여의 동작을 형상으로 정신을 표현 하는“ ” 傳神寫照 以形寫神 관점으로 다시 살펴보면 우왕좌왕하는 가마꾼들의 불안정한 발걸음은, 사랑하는 여인을 가마에 오르게 하려는 황제의 내적 갈등을 상징적으 로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고 그와는 반대로 그를, 聖君으로 이끌려는 반첩여의 유교적 도덕관과 지혜로운 행동은 題記의 작은 기쁨보다는‘ 미래를 생각하는 신중함 의’ 絶句와 함께 곧은 자세로 황제를 태운 가 마를 뒤 따르는 그녀의 절개 있는 태도를 통하여 엿볼 수가 있다.
다음은<여사잠도 와> <사마금룡묘 칠화병풍 의 반첩여 고사표현을>
비교하며 도상의미 인‘ ’ “班婕妤 圖像”의 성립을 살펴보겠다.
14) 25 ,「 史 前漢書」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 1994) 97卷 「外戚列傳」, p.369.
. < 司馬 金龍墓 漆畵屛風 . > 의 班 故事
Ⅲ 婕妤
는 산서성 대동 班婕妤 故事
문물 관리위원회 소장의 <司馬 에서 발견되어 년
> 484
金龍墓
이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 에서도 살펴볼
( 6)
漆畵屛風
수 있다. <사마금룡묘 는 남북>
조15) 혼란기인 北魏의 重臣 사 마금룡과 부인 姬辰의 합장묘이 고 1965년 山西省 大同市 石家
남서쪽에서 발견되었다. 寨村
은 길이80 , 폭 20
漆畵木板 ㎝
이고 석주 초석에 세워졌던
㎝
칸막이 屛風으로 보인다. 墓主 인 사마금룡은 西晉의 왕족인 일문인데 북위를 섬겨 司馬氏
으로서는 최고직위인
漢族 吏部
에까지 오르고 대장
尙書 死後
군· 사마공· 冀州刺史를 증직 받았다. 墓葬의 형식과 부장품 은 漢族의 전통문화가 짙게 반 영되어 있으며 孝文帝의 漢化政
15)위진시기 이후에 강남으로 이동한東晉(317-502)과 뒤를 이은劉宋(420-479), 의 민족 왕조를 라고 하고 화북 (479-502), (502-557), (557-589)
南齊 梁 陳 漢 南朝
에서는 4세기를 통해 이민족인 匈奴 羌, , 鮮卑 등의 소국이 흥망을 거듭한 五 시대를 거쳐 선비족의, 이 세운 (386-535)가 화북 전역을 지
胡十六國 拓跋 北魏
배하게 된다 이들 화북의 이민족 왕조인 북조와 강남의 한인 왕조를 일괄하여. 남북조시대라고 일컫는다.
<그림6>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策16) 시기와 연관되어 주목할 만한 북위 묘이다.
를 표현한 넷째 단 그림 의( 7) 는 ‘ ’ 이 班婕妤 故事 題記 漢成帝 班婕妤 다 황제가 앉아있는 가마는 사선으로 처리되어 공간을 구성하고 있고.
명의 가마꾼이 경직된 모습으로 가마를 오른쪽 어깨에 메고 앞을 향 4
하고 있다 황제의 시선은 상반신을 비스듬히 돌려 가마 뒤를 따르고. 있는 한 여인을 주시하고 있다 옷깃을 날리며 가마를 따르고 있는 여. 인은 황제와 함께 가마꾼보다 크게 그려져 있어 높은 신분을 암시하고
의 중심인물인 것을 알 수 있다. 故事
를 살펴보면, 表題
班婕妤者 班彪姑也 成帝初卽位 選入後宮 始爲少使 蛾而大幸 爲婕妤 居 增成舍 再就館有男數月失之成帝遊於後庭 嘗欲與婕妤同輦載 婕妤辭曰觀古圖 畵 賢聖之君 皆有名臣在側 三代末主 迺有嬖女今欲同輦 得無近似之乎上善其
...
言而止
16)孝文帝(reg.471-499)가 선비족의 복장과 언어를 금지하고 황실의 성을, 元氏 로 고치고, 九品官人法을 부분 채용하여 남조를 모방한 북조 귀족제도을 만들 고 선비족과 한족과의 통혼을 장려하면서漢族 文化와 同化하는 정책이다.
<그림7>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한성제와 班婕妤 故事 부분
반첩여는 황제가 즉위 초에 후궁으로 선택되어 매우 사랑하여 첩여로 삼았다 중략.( ) 아들을 낳았으나 몇 달 만에 잃었다 성제가 뒤뜰에서 노. 닐며 일찍이 첩여와 함께 가마에 오르고자 하니 첩여가 사양하여 가로,
되, "옛날의 그림을 보면 어질고 성스러운 임금은 모두 이름난 신하가 곁에
있고 삼대( . . (1046-771 BC))夏 殷 周 의 마지막 임금들은 이에 여자를 두고 있으니 지금 함께 가마에 오르고자 한다면 그에 비슷하지 않겠습니까?" 하 였다 황제가 그 말을 옳게 여겨 그만두었다. .17)
표제는 <여사잠도 에서 보여준 시적인 표현과는 달리> 班婕妤 故事 를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반첩여는 한성제에게 군왕의 도리를 일 깨우며 하 은 주 마지막 임금의 실정을 예로 들고 있다. .
과 여사잠도 의 를 비교분석하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 > 班婕妤 故事
면 황제 가마 가마꾼 그리고 여인 이라는 그림을 구성하는 요소와, , 가마 위의 황제와 한 여인 의 대화라는 일정한 기본원칙으로 주제를
‘ ’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도상학적으로 한성제와 반첩여 라는 역사적. ‘ ’ 사실에서 화화로 표현 되어 圖像意味를 만들고 “班婕妤 圖像” 을 성립 시킨다 이같은 특정도상은 상징적 의미를 가지게 되어. <여사잠도 와>
와 같이 가 있어 그림주제와 표현인물이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題記
용이하게 파악되는 작품뿐만 아니라 제기 없이 가마위의 황제와 한, ‘ 여인과의 대화 라는 표면적 주제와 표현 구성요소만 갖춘 작품에도 알’ 레고리를 형성하게 되어 반첩여 도상 과 연관된 작품으로 해석할 수“ ” 있는 것이다.
. < 三綱行實圖 . 辭輦 > 의 班 故事
Ⅳ 婕妤 婕妤
반첩여 고사는 朝鮮 세종13 (1431)년 에 간행된 「三綱行實圖. 婕妤辭 그림 에서도 찾아볼 수가 있다
( 8) .
輦 」 18) 「삼강행실도 는 유교의 윤리」 17) 25 ,「 史 前漢書」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 1994) 97卷 「外戚列傳」, p.369.
18) 김원용 해제 이신 번역; 「삼강행실도 열녀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
덕목 중에 임금과 신 하(君爲臣綱), 부모와 자식(父爲子綱), 남편 과 아내(夫爲婦綱) 사 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로 三綱의 모 범이 될 만한 충신, 효자 열녀를 각각, 35 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 과 글로 엮은 판본이 다. <婕妤辭輦>처럼 각 사실에 그림을 붙 이고 한문으로 설명한 다음 七言絶句 2수의
에 의
詠歌 四言一句 贊 을 붙였고 그림 위에, 는 한문과 같은 뜻의 한글을 달았다. 「삼강 행실도」 판본의 특징 은 여러 시간대에 벌 어진 사건의 연속을 한 화면에 서술적으로 엮고 각 장면은 언덕의 일부 구름 집과 담 곡선 등에 의하여 구획, , , , 한 서술적 구성방식이다.19)
첩여사연 의 그림을 살펴보면 가마꾼과 가마 안에 타고 있는 황
< > ,
제 그리고 가마 옆의 여인으로 “班婕妤 圖像”의 주제표현으로 갖추어 첩여사연 첩여가 연을 사양하다
1982), p.37, - .
19)정병모,「「삼강행실도 판화에 대한 고찰」 」 ( 진단학보 85), p.192.
<그림8> <삼강행실도> 첩여사연
야 할 구성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 구름문양. 20)으로 그림을 두 부분 으로 나눠 아랫부분에는 한성제에게 古禮를 본받으라고 疏를 올리는 첩여의 모습이 보이고 있는데,21) 이 표현은 자신의 결백을 호소하는 모습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성제는 기원전. 18년에 자 신의 황후를 폐하고 조비연을 황후로 삼았다 반첩여는 한성제의 총애. 를 받다가 조비연 자매가 간사한 마음을 품고 저주한다“ .” 고 모함을 할 때 天命을 논하며 결백을 주장하자 성제가 첩여의 바른 성정을 믿 고 황금 1백 근을 주어 위로하였다 첩여는 폐위된 황후와 함께. 長信 에서 은둔하며 가을이 되면 쓸모없게 되는 부채인, 과 자신의
宮 秋扇
처지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어 <怨歌行> 을 지어 임금의 총애를 잃 은 자신을 한탄하고 있다.
첩여사연 은 명의 가마꾼이 가마를 내려놓고 황제 앞에 머리를
< > 2
조아리고 있는 모습으로 <여사잠도 와>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과는 달리 動的이기보다는 靜的인 표현으로 마치 대화가 들릴 듯이 조용하 고 안정된 느낌이다 가마모양도 앞의 그림들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어. 가 표현 된 판화의 특성을 엿볼 수 있으며 첩여의
中國故事 朝鮮時代
위치도 앞의 그림들과는 달리 가마 앞에 앉아서 황제에게 告하는 형태 이다.22) 황제의 모습은<여사잠도 와>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반첩여에 대한 황제의 애틋한 마음이 표현되기 보다는 위용 있는 모습으로 가마에 곧게 앉아 황제의 권위를 나타내고 있다. 는 가마에 동승하기를 거부하는 연유를 하고 있는 첩여의 말
漢成帝 告
20) 「삼강행실도 에서 구름은 하늘을 표현하는 요소로 표현하지만 공간을 구획」 짓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구름은 화면 가운데 자유로운 곡선으로 흐르듯이 표. 현되어 딱딱한 선으로 이루어진 위아래 두 장면을 부드럽게 순화하는 역할로 담당하고 있다 정병모( , p.199).
21) 정병모는 구름으로 구획되어 화면 아래의 장면을 임금이 첩여를 고문하고“ 있다 고 하였다 정병모” ( , p.199).
22) 「삼강행실도 인물의 복식 표현은 국적이나 시대를 불문하고 제작당시의 양식」 으로 표현되었다 당시 민간에서 알기 쉽고 친숙한 모습으로 교화의 효과를 높. 이기 위한 방책이며 특히 세종 조에는 중국의 문화를 조선 화하여 수용한 에 가 많다 정병모( , p.210).
을 경청하며 사색하고 있는 듯하다. <첩여사연 의 경직된 인물표현은>
그림에 첨가된 문장과 함께 조선시대 유교사회의 엄격한 일면을 잘 반영하고 있다 또한. 三綱의 모범이 될 만한 행적을 모은 <삼강행실 도, 1431>의 특성과 함께漢의 궁녀 반첩여 고사를 七言絶句와 詠歌로 기록하고 있어 <첩여사연 의 성격을 알 수 있다> .
V. 맺음말
의 부분을 연구하며 필자는 19세기말과 20 宋代 鄭樵 「圖譜略」 圖譜
세기에 걸쳐 유럽과 미국의 미술사학계에 많은 영향을 끼친 Erwin 의 관점과 흡사한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Panofsky 圖像學的 .
로써 동양화 분석에서도 파노프스키의 “도상 의미 (Ikono 第一步
가 형성될 수 있다는 가설을 하며
-graphische Bedeutung)” 論 鄭樵
와의 비교 연구는 후일을 기약한다
(1104-1162) .
의 와 의
(317-502) < > (386-535) <
東晉 女史箴圖 北魏 司馬金龍墓 漆畵
조선시대 첩여사연 에 표현된 와
>, < (1431). >
屛風 三綱行實圖 漢成帝 班
는 회화 칠화 목판 인쇄본 등의 표현 양식 차이에도 불구하, , 婕妤 故事
고 가마위의 황제와 한 여인 의 대화라는‘ ’ “班婕妤 圖像”을 형성한다. 는 적으로 분석할 때 주제의 표현 구성요소인 황제, 班婕妤 故事 圖像學
가마 여인이라는 일정한 원칙을 가지고 표현되어, 圖像意味를 형성하 게 된다 이러한 특정도상은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되고 알레고리를 형. 성하게 되어 題記가 없는 회화 혹은 벽화에서도 가마위의 황제와 여‘ 인 의 대화 장면은 도상학적으로 한성제와 반첩여 라는 도상의미로’ ‘ ' 해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반첩여 도상 은. “ ” 班婕妤 故事를 상징화 하여 일정한 구성 원칙과 함께 작품들을 분석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 라 반첩여 라는 여인의 행동이 유교적 도덕관을 고취시키는 열녀의 상 징으로 고착시킨다.
작품에 쓰여 진 題記를 통하여 작품의 성격을 비교하면, <司馬金龍 과 첩여사연 은 반첩여라는 인물에 대한 사료적 기능
> < >
墓 漆畵屛風
과 기록회화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반면에 <여사잠도 는 고개지의> 思 과 감정이입이 된 언어로 쓰여 있어 먼저 문헌적인 지식을 통
想 詩的
해 반첩여의 유교적 배경을 이해해야 하며 班婕妤 故事를 알고 있어야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고 그림을 분석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여사잠도 에서는 가마꾼들의 우왕좌왕하는 발걸음으로 사랑하는 여
< >
인에 대한 황제의 인간적인 마음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精神을 形象化하는 고개지의 繪畵美學을 이해해야 그림해석이 가능한 반면에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 <과 삼강행실도 첩여사연 은. >
제기를 통하여 황제의 뜻을 알게 되는 즉 읽어서 인식하는 기록회화, 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Abstract)
Iconography of Ban Jieyu( 班 婕妤 )
Koh, Hey Ryun
The Palace Lady Ban Jieyu was daughter of Ban Kuang (班況), and a grandfather's sister of Ban Gu (班固 32-92), who wrote "The Book of Late Han (後漢書)". She has the episode with emperor Cheng (漢成帝, reg. B.C. 32-7), in which once emperor Cheng stayed in a sedan chair which was carried by four bearer. Emperor let Lady Ban Jieyu be riding together on the sedan chair. After she mentioned about the last emperor of Xia( ), Yin( ), Zhu( ,夏 殷 周 B.C. 1046-771), who took theirs concubine instead of faithful retainer in it, excused. And she asked him how could it be thought about them in history, if she is getting together him on the sedan chair.
In this article, I make an attempt the Panofsky's iconographic theory to apply for analysis of the Eastern Painting. Three works of which are emerged the abovementioned episode of Ban Jieyu as I found - Admonitions of the Court Instructress to Palace Ladies 女
,
史箴圖 The Story of Ban Jieyu in Sima Jinlong tomb 司馬金龍墓 and the episode of Jieyu refused to sit in the same sedan chair (with the emperor Cheng) 婕妤辭輦 in the Painting about the three basic principles in human relations 三綱行實圖. They consist of one emperor in the sedan chair and one palace lady, which are accordingly getting out a general rule to depict of this motif in each painting. Furthermore, it makes iconographic meaning
"Emperor Cheng and Ban Jieyu" which will be made "Iconography of Ban Jieyu". Also it will be made the allegory of Ban Jieyu, with that can be eas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another artworks in same motif.
주제어 도상학 반첩여 도상 반첩여 한성제 여사잠도 사마금룡묘 칠화병풍: , , , , , , 삼강행실도 첩여사연,
: , , , , , .
關鍵詞 圖像學 班婕妤圖像 班婕妤 漢成帝 女史箴圖 司馬金龍墓 漆畵屛風 ,
三綱行實圖 婕妤辭輦
Keywords: Iconography, Episode of Ban Jieyu, Emperor Cheng and Ban Jieyu, Admonitions of the Court Instructress to Palace Ladies, Sima Jinlong tomb, Painting about the three basic principles in human relations
원고접수 년 월 일 심사완료 월 일 수정원고접수 월 일
( : 2009 3 13 , : 4 19 , : 4 24 ,
게재확정: 4 25 )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