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관찰기록지(.docx)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관찰기록지(.docx)"

Copied!
3
0
0

Teks penuh

(1)

[시스템 현장방문 연구 관찰기록지]

일 시: 2011 년 3 월 24 일 방문대상 고객: 이연승

팀 장: 곽지은 관찰자: 이현진

목적 및 목표

각 현장방문 전에, 프로젝트의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한다.

목적

현장방문의 목적은 잠재적인 사용자, 그들의 작업흐름, i-Googl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준비하기 위 한 사용자들의 태스크들에 대해 이해하는데 있다.

세부목적

- i-Google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파악한다.

- i-Google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작업 흐름 및 절차를 파악한다.

- i-Google 시스템의 작업 이해도를 파악한다.

- i-Google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목표

프로젝트의 우선적인 목표는 시스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 질문 문항

1 i-Google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은?

2 i-Google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도는?

3 사용자가 i-Google의 주로 이용하는 메뉴는?

4 i-Google 화면 구성하는데 필요한 작업 절차는?

태스크를 수행하려 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찰 프로젝트: i-Google

관찰번호 #: 1.

관찰자: 이현진 일시: 2011.03.28

사용자의 목적 추론/질문

사이트에 접속하여 i-Google 서비스를 이용한다 사용자 어떤 작업 흐름을 가지고 i-Google 서비스를 이용할 지 살펴본다.

사용자의 태스크 추론/질문

테마 선택 가젯 설정 레이아웃 설정

각 단계별 어떤 순서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각 단계별 접근 횟수를 살펴본다.

(2)

사용자에 대한 기록 추론/질문 30세 직장인

컴퓨터와 덜 친숙함

사용자는 i-Google을 아예 모르는 사용자로 서비스 이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환경에 대한 기록 추론/질문

컴퓨터가 있는 공간 컴퓨터만 있다면 어디든 이용 가능하다.

출발점에서의 상황 추론/질문

일반 컴퓨터 앞에서 시작함 i-Google을 처음 사용함

태스크 시작 시간: (오후) 1 : 00

관찰사항 추론/질문

1. 테마 선택

- 테마 변경은 바로 함

- 폰트나 배경 바꾸는 것은 쉽게 함

- 전체 색상이 한 번에 변경하여 편리하다고 함

- 테마 변경에 대한 이해도는 있다고 판단 - 테마 변경 창을 닫지 않음

2. 가젯

- 가젯 위치 변경을 헤매는 모습을 보임 - 탭 추가를 통한 원하는 가젯을 추가함

- 기본 홈에서 가젯을 추가하는 방법은 이해하지 못함

- 가젯을 삭제하는데는 어려움이 없음

- 날짜 가젯의 설정을 바꾸는데 큰 어려움이 없음

- 가젯 추가에 대한 피드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 가젯의 확대 및 축소는 무리없이 진행함

- 가젯을 추가하기 위한 콘텐츠 추가를 인식하지 못함

3. 레이아웃

- 3열을 2열로 변경하는데 일일이 드래그하여 변 경함

- 공간 활용이 아쉽다.

- 설정에서 하는 방법을 알아차리지 못함 - 좀 더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면 좋겠음

태스크 중단 시간: (오후) 2 : 00

태스크 종료 상황 추론/질문

(3)

사이트를 닫음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가리켜 주는 종료지점 추론/질문 사이트를 닫음

(4)

Referensi

Dokumen terkait

After that I used Google Forms and WhatsApp groups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and many responded, after using Google Forms and Wa then I used this Quizizz application because I saw

2 음성 메시지 전송 인터페이스를 생성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사용하여, 시니어층이 전송하려고 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말하면, 음성이 텍스 트로 화면에 보여주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설계 변경 사용자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작업에서 인터페이스를 변경한 부분은 다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