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광주지역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광주지역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 -"

Copied!
34
0
0

Teks penuh

(1)

2 0 1 1

2

광주지역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 -

[UCI]I804:24011-200000241212

(2)

광주지역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 -

(3)

광주지역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 -

(4)

년 월 2010 12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5)

- ii -

(6)

- iii -

(7)

- iv -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8)

- v -

(9)

- 1 -

(10)

- 2 -

(11)

- 3 -

(12)

- 4 -

(13)

- 5 -

(14)

- 6 -

(15)

- 7 -

(16)

- 8 -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남자 (N = 944)

여자 (N = 1004)

연령 20~29 62(7%) 49(4%)

30~39 176(19%) 152(15%)

40~49 252(27%) 255(25%)

50~59 256(28%) 313(31%)

60~69 198(21%) 253(25%)

키 (cm) 171 ± 6.0 158 ± 5.6

몸무게 (kg) 69.3 ± 9.3 57.0 ± 7.7

허리둘레 (cm) 89.1 ± 7.5 86.5 ± 8.5

수축기혈압 (mmHg) 125.1 ± 13 122.3 ± 15.7 이완기혈압 (mmHg) 75.3 ± 10.3 73.2 ± 10.8 중성지방 (mg/dL) 143 ± 110 109.2 ± 81

콜레스테롤

HDL (mg/dL) 49.3 ± 12.4 56.2 ± 12.8 공복혈당 (mg/dL) 96 ± 30.7 89.3 ± 18.3 Data are means ± SD.

(17)

- 9 - 표 2.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연령 남자

(N = 944)

여자 (N = 1004) 정상

n(%)

대사증후군 n(%)

정상 n(%)

대사증후군 n(%) 20~29 53(85.5%) 9(14.5%) 47(95.9%) 2(4.1%) 30~39 144(81.8%) 32(18.2%) 138(90.8%) 14(9.2%) 40~49 183(72.6%) 69(27.4%) 226(88.6%) 29(11.4%) 50~59 177(69.1%) 79(30.9%) 207(66.1%) 106(33.9%) 60~69 127(64.1%) 71(35.9%) 141(60.0%) 94(40%) 전체 684(72.5%) 260(27.5%) 759(75.6%) 245(24.4%)

(18)

- 10 - 표 3. 대사증후군 구성인자의 개수별 유병률

남자 (N = 944)

여자

(N = 1004) P 값

0 182(19.3%) 207(20.6%) 0.251

1 251(26.6%) 304(30.3%)

2 251(26.6%) 248(24.7%)

3 181(19.2%) 164(16.3%)

4 67(7.1%) 64(6.4%)

5 12(1.3%) 17(1.7%)

(19)

- 11 - 표 4. 대사증후군 구성인자별 유병률(n(%))

남자 (N = 944)

여자

(N = 1004) P 값 허리둘레

남자 여자

90 cm( ), 80 cm( )

≥ ≥ 458(48.5%) 595(59.3%) 0.000

수축기 혈압 ≥ 13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 ≥ 85 mmHg 388(41.1%) 341(34%) 0.001

중성지방 ≥ 150 mg/dL 339(35.9%) 198(19.7%) 0.000 콜레스테롤

HDL

남자

< 40 mg/dL( ), 여자

< 50 mg/dL( )

219(23.3%) 345(34.4%) 0.000

공복혈당 ≥ 100 mg/dL 220(23.3%) 154(15.3%) 0.000

(20)

- 12 -

표 5 전체 대상자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인자간의 상관관계. HDL

콜레스테롤 감소

중성지방 상승

공복혈당 상승

허리둘레 상승

수축기혈압 상승

이완기혈압 상승 HDL

콜레스테롤 감소

1

중성지방

상승 -0.393* 1 공복혈당

상승 -0.109* 0.157* 1 허리둘레

상승 -0.257* 0.209* 0.118* 1 수축기혈압

상승 -0.057* 0.140* 0.156* 0.273* 1 이완기혈압

상승 -0.054* 0.171* 0.128* 0.236* 0.791* 1

*P < 0.05. HDL 콜레스테롤 감소, HDL 콜레스테롤 < 40 mg/dL(남자), < 50

여자 중성지방 상승 중성지방 공복혈당 상승 공복혈

mg/dL( ); , ≥ 150 mg/dL; ,

당 ≥ 100 mg/dL; 허리둘레 상승 허리둘레, ≥ 90 cm(남자), ≥ 80 cm(여자);

수축기혈압 상승 수축기혈압, ≥ 130 mmHg; 이완기혈압 상승 이완기혈압, ≥ 85 mmHg

(21)

- 13 - 표 6 남자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인자간의 상관관계.

HDL 콜레스테롤

감소

중성지방 상승

공복혈당 상승

허리둘레 상승

수축기혈압 상승

이완기혈압 상승

HDL 콜레스테롤 감소

1

중성지방

상승 -0.344* 1

공복혈당

상승 -0.018 0.097* 1 허리둘레

상승 -0.281* 0.178* 0.064 1 수축기혈압

상승 0.018 0.096* 0.104* 0.214* 1 이완기혈압

상승 0.020 0.168* 0.084* 0.219* 0.754* 1

*P < 0.05. HDL 콜레스테롤 감소, HDL 콜레스테롤 < 40 mg/dL; 중성지방 상 승 중성지방, ≥ 150 mg/dL; 공복혈당 상승 공복혈당, ≥ 100 mg/dL; 허리둘레 상승 허리둘레, ≥ 90 cm; 수축기혈압 상승 수축기혈압, ≥ 130 mmHg; 이완기 혈압 상승 이완기혈압, ≥ 85 mmHg

(22)

- 14 - 표 7 여자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인자간의 상관관계.

HDL 콜레스테롤

감소

중성지방 상승

공복혈당 상승

허리둘레 상승

수축기혈압 상승

이완기혈압 상승

HDL 콜레스테롤 감소

1

중성지방

상승 -0.404* 1

공복혈당

상승 -0.175* 0.227* 1 허리둘레

상승 -0.181* 0.204* 0.159* 1 수축기혈압

상승 -0.071* 0.164* 0.219* 0.295* 1 이완기혈압

상승 -0.036 0.149* 0.176* 0.229* 0.818* 1

*P < 0.05. HDL 콜레스테롤 감소, HDL 콜레스테롤 < 50 mg/dL; 중성지방 상승, 중성지방 ≥ 150 mg/dL; 공복혈당 상승 공복혈당, ≥ 100 mg/dL; 허리둘레 상승, 허리둘레 ≥ 80 cm; 수축기혈압 상승 수축기혈압, ≥ 130 mmHg; 이완기혈압 상 승 이완기혈압, ≥ 85 mmHg

(23)

- 15 -

표 8 대사증후군 구성인자와 구성인자 개수간의 상관관계.

전체 남자 여자

r P 값 r 값 P 값 r 값 P 값

HDL 콜레스테롤 감소

-0.486 0.000 -0.450 0.000 -0.533 0.000

중성지방

상승 0.511 0.000 0.485 0.000 0.561 0.000 공복혈당

상승 0.345 0.000 0.299 0.000 0.441 0.000 허리둘레

상승 0.552 0.000 0.563 0.000 0.548 0.000 수축기혈압

상승 0.477 0.000 0.442 0.000 0.506 0.000 이완기혈압

상승 0.440 0.000 0.453 0.000 0.427 0.000

콜레스테롤 감소 콜레스테롤 남자 여자

HDL , HDL < 40 mg/dL( ), < 50 mg/dL( );

중성지방 상승, 중성지방 ≥ 150 mg/dL; 공복혈당 상승, 공복혈당 ≥ 100

허리둘레 상승 허리둘레 남자 여자 수축기혈압

mg/dL; , ≥ 90 cm( ), ≥ 80 cm( );

상승 수축기혈압, ≥ 130 mmHg; 이완기혈압 상승 이완기혈압, ≥ 85 mmHg

(24)

- 16 -

(25)

- 17 -

(26)

- 18 -

(27)

- 19 -

(28)

- 20 -

(29)

- 21 -

(30)

- 22 -

(31)

- 23 -

(32)

- 24 -

(33)

- 25 -

(34)

- 26 -

Gambar

표 5 전체 대상자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인자간의 상관관계 . HDL
표 8 대사증후군 구성인자와 구성인자 개수간의 상관관계 .

Referensi

Dokumen terkait

Post Graduate School, Bogor Agricultural University, Bogor, Indonesia; Biology Department, Faculty of Life Science and Mathematics, University of North Sumatra, Medan,

Editors Yuji Kuge Central Institute of Isotope Science Hokkaido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grated Molecular Imaging Graduate School of Medicine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Kebogile Mokwena Department of Social and Behavioural Health Sciences National School of Public Health Medical University of Southern Africa 0204 Knowledge of personal

2 INSTITUTION: Indiana University – Purdue University, Indianapolis IUPUI SCHOOL: University Graduate School/Science, IUPUI DEPARTMENT: Chemistry and Chemical Biology DEGREE

Hosseini3 1 Department of Medical Entomology and Vector Control, School of Public Health and Institute of Public Health Research,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ehran, Iran 2

Nateghl 1 Department of Virology, School of Public Health,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ehran, Iran 2 Department of Pathology, School of Medicine, Tehran University of

Badami Department of Pathobiology, School of Public Health and Institute of Public Health Research,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ehran, Iran Abstract: Females abortion is

Faculty of Nursing School of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celand Reykjavík Iceland Marit Kirkevold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Institute of Health and Society University of Os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