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제어 강의의 성과 평가 및 내실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국제어 강의의 성과 평가 및 내실화 방안"

Copied!
19
0
0

Teks penuh

(1)

국제어 강의의 성과 평가 및 내실화 방안

연구책임자 :김미숙(경희대학교)

공동연구원 :Jennifer Lee(경희대학교) Neal Williams(경희대학교)

1-1

(2)
(3)

1. 서론

현재 국내 대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EMI에 대한 경쟁적인 도입으로 인하여 정보 전달량의 부족, 설명식・주입식・읽기식 강의, 대화 단절, 창의력과 사고력 배제, 자기 주도적 학습 방해 등 수업의 질을 저하시키는 많은 문제점이 발견된다.

교과 내용이 중심이고 영어는 매개어로서 기능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영어에 대한 이해 중 심의 강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지표 상승에 현혹되어 무리하게 영어전용강좌, English Medium Instruction(EMI)를 확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대학 정책적 측면이 아닌 교육적 측면 에서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학생들의 영어실력이 원서로 된 전공서적을 읽고 100% 영 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듣기에 충분한가? 교수들의 영어실력은 EMI를 담당하기에 적절한가?

그리고 무엇보다 학생들과 교수들의 EMI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야말로, EMI가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첫 걸음이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대학 및 국내대학 10개를 표본으로 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토대로 교수들과 학생들의 EMI에 대한 인식과 현행 EMI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에 참여한 집단은 대학생 및 교수로 이루어진 두 집단으로 대학생 집단의 경우 K 대학교 학생 838명과 10개의 타 대학교 학생 323명이 참여하였고, 교수 집단의 경우 K 대학 교 교수 10명과 10개의 타 대학교 교수 10명이 참여하였다. 그리고 총 106개의 다양한 전공 및 다양한 학년의 학생이 참여하였는데, 학습자의 남녀 비율을 보면 남학생은 487명, 여학생

은 674명이 참여하였다. 교수의 남녀 비율을 보면 남성이 15명, 여성이 5명이며 정치외교, 사

학, 철학, 약학, 영어교육, 등 20개의 다양한 전공분야의 교수들이 참여 하였다.

2.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학생 설문, 교수 설문, 학생 인터뷰, 그리고 교수 인터뷰와 같은 네 가지의 도구가 사용되었다. 설문지 및 인터뷰 질문은 연구자에 의해서 개발된 문항이다. 학생 설문지

(4)

의 경우 총2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수 설문지는 총2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 인터뷰의 질문은 6문항으로 구성 되었으며 교수 인터뷰는 1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문지 및 인터뷰 문항을 본 연구에 사용하기 전에 한 연구자의 강좌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2.3 연구절차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결과이다. 설문조사 시행에 앞서,

K대학에 개설된 EMI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들에게 이메일로 먼저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

구 참여에 협조를 구하였다. 회신을 통해 협조 의사를 표명한 교수들에게 방문 일시에 대한 사전 양해를 구하여 강의실로 방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및 취지, 설문문항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가능한 연구원이 직접 방문하였으며, 설문작성 시간은 약 15분이 소요되었다. 현재까

지 EMI를 수강한 경험이 없거나, 설문조사에 응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학생들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인터뷰 참여 의사를 밝힌 학생들과 일정을 조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각 15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교수설문지는 사전 예약을 해서 교수강의실로 방문해서 설문지 작성을 한 후 인터뷰를 실 시하였다. 인터뷰는 20분에서 40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인터뷰는 동의를 구한 후 녹음 을 하였다.

타대학 역시 K대학과 같은 방법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3. 연구 결과

3.1 설문지

3.1.1 연구문제 1

- 영어 강의에 참여한 학습자 및 교수의 경우, 영어 강의가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 이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5)

학생

<표 1> 수업 내용의 이해 정도

단위: 명(%)

문항 a b c d e

3. 영어전용강좌의 수업 내용을 얼마나 이해 했습니까?

173 309 323 234 122

(14.9) (26.6) (27.8) (20.2) (10.5) a: 90-100%, b: 80-90%, c: 70-80%, d: 60-70%, e: 50% 이하

<표 2>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단위: 명(%)

문항 1 2 3 4 5 6

11. 수업교재는 이해하기 쉽다. 79 187 257 316 248 74 (6.8) (16.1) (22.1) (27.2) (21.4) (6.4) 15. 수업을 통해 교과목 관련 지식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

39 69 147 430 365 111

(3.4) (5.9) (12.7) (37.0) (31.4) (9.5)

1: 매우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약간 그렇지 않다, 4: 약간 그렇다, 5: 그렇다, 6: 매우 그렇다.

교수

<표 3> 학생들의 강의 내용 이해 정도

단위: 명(%)

문항 a b c d e

8. 학생들이 영어전용강좌의 내용을 얼마나 이해했다고 생각하십니까?

0 3 8 8 1

(0.0) (15.0) (40.0) (40.0) (5.0)

a: 90-100%, b: 80-90%, c: 70-80%, d: 60-70%, e: 50% 이하

<표 4>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담당 교수의 이해 정도

단위: 명(%)

문항 1 2 3 4 5 6

15. 수업교재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웠다. 1 4 3 8 4 0 (5.0) (20.0) (15.0) (40.0) (20.0) (0.0) 12. 강좌를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에 대

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1 1 5 5 7 1

(5.0) (5.0) (25.0) (25.0) (35.0) (5.0) 1: 매우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약간 그렇지 않다, 4: 약간 그렇다, 5: 그렇다, 6: 매우 그렇다.

(6)

학생과 교수 비교

<표 5> EMI에 대한 평가 비교

학생용 설문지 교수용 설문지

11 수업교재는 이해하기 쉽다. 15 수업교재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웠다.

15 수업을 통해 교과목 관련 지식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 12 강좌를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표 6> EMI 평가 비교에 대한 유의 확률 결과

단위: 명(%)

문항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 p

수업교재는 (학생들이) 이 해하기 쉬웠다

교수 20 3.50 1.192

.276 .783

학습자 1161 3.58 1.340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교수 20 3.95 1.234

.727 .468

학습자 1161 4.14 1.172

3.1.2 연구문제 2

- EMI강좌가 영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학생

<표 7> 학습자의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평가

단위: 명(%)

문항 1 2 3 4 5 6

4. 나의 영어실력은 수업을 이해하기 에 부족함이 없다.

69 165 205 295 333 94

(5.9) (14.2) (17.7) (25.4) (28.7) (8.1) 6. 강좌를 통해 영어 말하기/듣기 실

력이 향상되었다.

109 220 260 364 163 45

(9.4) (18.9) (22.4) (31.4) (14.0) (3.9) 7. 강좌를 통해 영어 읽기/쓰기의 능

력이 향상되었다.

97 206 256 388 169 45

(8.4) (17.7) (22.0) (33.4) (14.6) (3.9) 1: 매우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약간 그렇지 않다, 4: 약간 그렇다, 5: 그렇다, 6: 매우 그렇다.

(7)

교수

<표 8> 담당 교수의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평가

단위: 명(%)

문항 1 2 3 4 5 6

9. 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이 강좌를 수강하기 에 부족함이 없었다.

0 4 8 5 2 1

(0.0) (20.0) (40.0) (25.0) (10.0) (5.0) 10. 강좌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말하기/듣기의

능력이 향상되었다.

1 3 2 7 7 0

(5.0) (15.0) (10.0) (35.0) (35.0) (0.0) 11. 강좌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읽기/쓰기의

능력이 향상되었다.

1 2 1 11 5 0

(5.0) (10.0) (5.0) (55.0) (25.0) (0.0) 1: 매우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약간 그렇지 않다, 4: 약간 그렇다, 5: 그렇다, 6: 매우 그렇다.

학생과 교수 비교

<표 9> 영어 실력 향상에 대한 의견 비교

학생용 설문지 교수용 설문지

4 나의 영어실력은 수업을 이해하기에 부

족함이 없다. 9 학생 대다수의 영어실력이 이 강좌를 수 강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6 강좌를 통해 영어 말하기/듣기 실력이

향상되었다. 10 강좌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듣기

실력이 향상되었다.

7 강좌를 통해 영어 읽기/쓰기 실력이 향

상되었다. 11 강좌를 통해 학생들의 읽기/쓰기 실력이

향상되었다.

<표 10> 영어 실력 향상에 대한 유의 확률 결과

문항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 p

(학생들의) 영어실력은 수업을

이해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교수 20 3.40 1.095

1.317 .188

학습자 1161 3.80 1.365

강좌를 통해 영어 말하기/듣 기 실력이 향상되었다.

교수 20 3.80 1.240

-1.646 .100

학습자 1161 3.32 1.300

강좌를 통해 영어 읽기/쓰기 실력이 향상되었다.

교수 20 3.85 1.089

-1.901 .072

학습자 1161 3.38 1.278

(8)

3.1.3 연구문제 3

- 내용 지식 습득과 영어 실력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있어서 현재의 EMI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학생

<표 11>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단위: 명(%)

문항 1 2 3 4 5 6

16. 나는 영어전용강좌에 만족한다. 63 98 181 355 321 143 (5.4) (8.4) (15.6) (30.6) (27.6) (12.3) 1: 매우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약간 그렇지 않다, 4: 약간 그렇다, 5: 그렇다, 6: 매우 그렇다.

<표 12> 학습자가 생각하는 영어전용강좌의 어려운 점

단위: 명(%) 20-1. 본 좌를 수강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아래의 보기 중 4가지를 고르십시오. 선택

1) 같은 수업 듣는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다. 137

(11.8)

2) 같이 수업 듣는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높다. 394

(33.9)

3) 나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다. 695

(59.9)

<표 13> 학습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단위: 명(%) 20-2. 위에서 선택한 4가지 항목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선택

1) 같은 수업 듣는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다. 23

(2.0)

2) 같이 수업 듣는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높다. 27

(2.3)

3) 나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다. 411

(35.4)

(9)

교수

<표 14>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담당 교수의 만족도

단위: 명(%)

문항 1 2 3 4 5 6

21. 나는 영어전용강좌에 만족한다. 1 2 3 7 4 3

(5.0) (10.0) (15.0) (35.0) (20.0) (15.0) 1: 매우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약간 그렇지 않다, 4: 약간 그렇다, 5: 그렇다, 6: 매우 그렇다.

<표 15> 담당 교수가 생각하는 영어전용강좌의 어려운 점

단위: 명(%) 24-1. 수업을 하시는 데 있어 어려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아래의 보기 중

4가지를 고르십시오. 선택

1)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았다. 17

(85.0)

2)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높았다. 1

(5.0)

3) 나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았다. 8

(40.0)

<표 16> 담당 교수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단위: 명(%) 24-2. 위에서 선택한 4가지 항목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

니까? 선택

1)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았다. 8

(40.0)

2)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너무 높았다. 0

(0.0)

3) 나의 영어 수준이 너무 낮았다. 3

(15.0)

학생과 교수 비교

<표 17>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만족도 비교

학생용 설문지 교수용 설문지

4 나는 영어전용강좌에 만족한다. 9 나는 영어전용강좌에 만족한다.

(10)

<표 18> 영어전용강좌에 대한 만족도 유의 확률 결과

문항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 p

나는 영어전용강좌에 만족 한다.

교수 20 4.03 1.376

.101 .920

학습자 1161 4.00 1.327

3.1.4 연구문제 4

- EMI의 질적 향상을 위한 어떤 방안이 필요한가?

학생

<표 19> 영어전용강좌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자 의견

단위: 명(%) 21-1. 본교의 영어전용강좌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아래의 보기 중 3가지를 고르십시오. 선택

1) 담당 교수의 영어 실력 향상 245

(21.1)

2) 본인의 영어 실력 향상 936

(80.6)

3) 담당 교수가 영어로 수업하는 방식 개선 467

(40.2)

<표 20> 영어전용강좌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학습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부분

단위: 명(%) 21-2. 위에서 선택한 3가지 항목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

니까? 선택

1) 담당 교수의 영어 실력 향상 75

(6.5)

2) 본인의 영어 실력 향상 444

(38.2)

3) 담당 교수가 영어로 수업하는 방식 개선 130

(11.2)

(11)

교수

<표 21> 영어전용강좌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담당 교수 의견

단위: 명(%) 25-1. 본교의 영어전용강좌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아래의 보기 중 3가지를 고르십시오. 선택

1) 학생들의 영어 실력 향상 13

(65.0) 2) 영어전용강좌 수강 이전에 영어강좌 (읽기, 말하기 등)를 선수 과목으로 수강

하도록 함

11 (55.0)

3) 담당 교수의 영어 실력 향상 14

(70.0)

<표 22> 영어전용강좌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담당 교수가 가장 중요시하는 부분

단위: 명(%) 25-2. 위에서 선택한 3가지 항목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

니까? 선택

1) 학생들의 영어 실력 향상 7

(35.0)

2) 영어전용강좌 수강 이전에 영어강좌 (읽기, 말하기 등)를 선수과목으로 수강

하도록 함

0 (0.0)

3) 담당 교수의 영어 실력 향상 3

(15.0)

학생과 교수 비교

학습자와 교수가 EMI 질적 향상에 대한 비슷한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시했다. 학습자의 경 우 본인의 영어실력 및 교수의 영어실력 향상이 질적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한 반면, 교수집단은 학습자 영어 실력향상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해서 두 집단 간의 서로 다른 의견이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영어실력향상이 질적 향상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12)

3.2 인터뷰

3.2.1 학생인터뷰

1. 학습장의 영어 실력 및 영어수준 차이

설문조사에서 많은 학습자들은 본인의 영어실력이 중급 수준이라고 답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나의 영어실력은 수업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다’라는 문항에서는 겨우 36.7%의 학

습자만이 ‘그렇다’라고 대답했다.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학습자의 영어실력과 수업 만 족도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뷰에서도 나타났다.

2. 교수 영어 실력 및 강의 진행 방식

설문결과에서 32%의 학습자들은 교수영어실력에 대한 불만족을 표시했지만 이에 대한 구체 적인 측면을 설문조사만으로는 알 수 없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인터뷰를 통해 어떤 측면에서 그런 견해를 갖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서 설문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은 강의 진행 방식에 대한 불만족도 알 수 있었다.

3. 교과목 이해도, 분량 및 질의 저하

‘영어전용강좌의 수업 내용을 얼마나 이해했습니까?’라는 설문 문항에서 약 70%의 학습자가

70%의 강의 내용을 이해한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뷰에 응한 학습자들의 의견은

지식의 깊이는 그다지 깊지 않으며 지식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고 이해력도 떨어진다고 답했다.

4. 영어전용강좌 정책

대학에서 영어전용강좌가 개설되고 몇 년이 지났다. 대학의 국제화, 대학 평가 등 다양한 이유로 영어전용강좌가 실행되고 있지만 정작 영어전용강좌의 필요성 및 개설 이유에 대해서 는 학습자들에게는 알려 진 바가 없다는 것을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5.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자의 역할

학생들이 EMI 질적 향상을 위해서 예습을 철저히 하는 것과 본인의 영어실력 향상 및 영어 전용강좌를 대하는 자세를 바꾸어야 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6. 질적 향상을 위한 교수의 역할

EMI 질적 향상을 위해 학생들이 생각하는 강의자(교수) 역할로는 강의 내용을 한국어로 보 충 설명, 강의 방식 전환을 해서 좀 더 효과적인 강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바람을 나

(13)

타냈다. 또한 학생들이 예습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예습과제를 제시해서 강의에 임할 수 있도 록 하는 방법도 제안됐었다. 그리고 EMI의 경우 강의자(교수)들이 강의 준비를 철저히 하고 영어실력을 향상 시켜 100%의 영어 강의를 하는 것도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 일 수

3.2.2 교수인터뷰 1. 학습 분위기

교수들이 EMI에서 느끼는 학습 분위기는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며 학생들의 참여도 또한 저 조하다고 답했다. 지식전달이 중요한 전공과목에서 학생들의 낮은 영어수준으로 인해 어려움 이 발생하고 강의자(교수) 본인 역시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지식전달을 하는데 있어 한계를 느낀다고 밝혔다.

2. EMI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생들의 역할

강의자(교수)가 EMI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습자들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로 강의 예 습을 꼽았다.

3. EMI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수들의 역할

강의자(교수)는 EMI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습자들이 예습을 통해 강의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하고, 좀 더 원활한 수업을 위해 영어로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쉽 게 설명하는 방법을 고안하며, 본인의 영어 실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 등 학습자의 강의 이해 도를 높이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4. EMI에 필요한 영어자격요건

강의자(교수)설문분석 결과에서는 EMI에 대한 불만족으로 학습자의 영어실력을 하나의 요인 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뷰에서는 대다수의 강의자(교수)들은 EMI를 원하는 학습자들에게 별도의 영어자격요건이 필요하지 않다는 모순적인 주장을 펼쳤다.

(14)

4. 내실화 방안

현재 많은 대학에서 EMI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기 때문에 학습자 및 강의자(교수)들의 강 의 만족감이 향상되지 않는 한 대학에서 추구하는 심도 깊은 강의 역시 제공되지 못할 것이 다. 앞에서 조사한 설문 및 인터뷰를 근거로 할 때 현(現) 시점에서 100% 영어로 진행되는

EMI는 아직까지는 시기상조이며 질보다 양을 추구하게 되면 학습자는 물론 수업을 진행하는

강의자(교수)의 만족감과 보람을 이끌어 낼 수 없다. EMI의 목표를 극대화를 위해 위에서 전 술한 설문 및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가자 주제 대책 주장/이유

대학

강좌개설 EMI를 순차적으로 개설한다.

*전공개론 등 전공 기초는 한국어로 개 설하고 세부 전공과목은 영어로 개설한다.

학습자들이 EMI를 선택하기 전에 사전 지식을 쌓도록 도움 을 제공한다.

영어레벨 EMI 수강 전 각 학과에서 학생의 영어 레벨을 측정한다.

전공 및 과 특성에 따라 영어 레벨은 학생과 각 학과에서 결 정하는 게 적합하다.

EMI 교수 지원

대학교에서 EMI 지원센터를 열어EMI 교 수가 필요로 하는 영어(English Academic

Purpose)에 적합한 도움을 제공한다. EMI 지원센터는 교수/학습자가

EMI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EMI 학습자 도와줌.

지원 대학교에서 EMI 지원센터를 열어EMI 필 요한 학습자에게 개인지도를 해 준다.

강의평가 EMI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도구를 개

발한다. 자가평가와 모니터링은 EMI

개선에 도움이 된다.

EMI 교수

EMI 학습자 지원

강의 전에 학습자의 예습을 도울 수 있

는 과제를 제공한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한국어 로 강의내용의 도움을 준다.

한국어로 강의요약을 제공한다.

학습자에게 수업에서 영어로 말하기 기 회를 많이 부여한다(발표, 토론 등).

학습자가 productive skills (말 하기, 쓰기)를 연습 및 향상시 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자기개발 EMI 지원센터를 사용함으로 자신의 영 어실력 및 교수법을 향상시킬 수 있도 록 한다.

교수가 필요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한다.

EMI 학습자

조건 선수과목은 한국어로 강의를 듣고 전공

에 대한 개념을 이해한다. 세부 전공에서 필요한 지식을 선수과목에서 배운다.

영어레벨 EMI를 선택할 수 있을 정도의 영어 실

력을 갖춘다.

EMI를 택하기 위해서는 기본 영어 실력(threshold level)을 갖춘다.

EMI 학습자

지원 EMI 지원센터의 개인지도서비스를 활용

한다.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한다.

(15)

현재까지는 많은 국내 대학들이 EMI의 문제를 학생과 강의자(교수)만의 문제로 치부해 왔

다. 하지만 EMI의 효과극대화를 위해서는 강의자(교수)와 학생뿐만 아니라 교육을 제공하는

기반인 대학교의 역할도 중요하다.

먼저 위에서 제시한 방안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교, 학습자, 강의자(교수)의 역할 분담이 인식되어야 한다.

먼저 대학교는 커리큘럼 디자인, 영어능력테스트 실시, EMI관련 교수학습지원, EMI관련 학 생학습지원 등 평가의 역할을 구축, 실시해야 한다.

현재 많은 EMI는 영어를 구사 할 수 있는 교수에게만 초점이 맞춰 전담되어 있는 것이 현 실이다. EMI가 커리큘럼에 맞게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커리큘럼 디자인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모국어로 전공에 관한 배경지식을 어느 정도 습득한 후 EMI를 제공하는 것이 지 식습득에 도움이 되므로 마구잡이식의 EMI의 개설이 아닌 전공에 따른 순차적 개설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또한 전공 기초과목을 한국어 수강한 후 EMI을 수강할 수 있도록 필수적인 장 치를 마련한다. 또한 학습자의 기본영어능력이 EMI의 성공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므 로 기본영어실력(threshold level)를 평가하여 EMI 수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단, 필요영어 능력실력은 전공 및 과 특성상 편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전공교수 및 학생들의 협의로 정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EMI을 강의 하는 강의자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강의를 할 수 있도 록, 지식습득 및 강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언어학습지원을 마련한다. 현재 많은 대학에서 는 단순히 무료 영어회화 수업을 지원을 하고 있지만 교과목 특성에 맞는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영어학습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EMI은 100% 영어로 진행되는 수업인 만큼 학습자들의 학습 부담이 크면 이해전달력이 한국

어에 비해 떨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강의자(교수)는 학습자가 강의 내용을 미리 영어로 예 습을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강의 부담을 덜어 주는 것은 물론 강의의 이해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생들의 지식습득 향상을 위해 강의자(교수)는 한국어 요점정리 시간을 마련하여 강의의 효과를 극대화시켜야 한다. EMI은 지식습득 뿐만 아니라 영어실력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의 방식에서 학습자들이 영어를 사용하고 향상 시킬 수 있게 발표 및 프레젠테이션 등을 도입하여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강의자(교수)는 본인의 강의를 영어로 원 할 하게 할 수 있도록 학교학습지원시스템을 이용하고 능력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EMI에 필요한 선수과목을 영어 또는 모국어로 수강한 후 커리큘럼

에 따라 EMI을 선택한다. 또한 지식습득향상을 위해서 요구되는 예습과제를 충실히 이행하고

강의부담을 최소화하여 학습에 임한다. 또한 EMI가 요구하는 기본영어실력을 학교 학습지원 센터의 도움을 받아 향상시킨다.

(16)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 및 강의자(교수)를 대상으로 EMI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설문 과 인터뷰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에서 학습자 및 강의자(교수)는 학습자의 영어실력 이 중급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또한 과반수이상의 학습자들은 본인의 영어실력이 EMI의 강좌 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없다는 의견을 제시한 반면 강의자(교수) 집단은 학습자의 영어실력 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더 두드러져 두 집단 간의 견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많은 학습자 및 강의자(교수)는 EMI에서 지식의 향상이 이루어졌다고 응답하였으나 인 터뷰의 분석 결과를 보면 학습자들은 EMI에서 전공 수업을 깊이 있게 다루지는 않는다고 응 답을 하였다. 영어실력 향상에 있어서 50%의 학습자들은 EMI를 통해 영어 기술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한편, 또 다른 절반의 학습자들은 향상되지 않았다 는 의견을 나타내었다. 강의자(교수) 또한 본인의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의 영어실력이 EMI를 통해서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와 강의자(교수) 간에 견해의 차이 가 있는 항목도 발견되었다. 학습자의 62%가 본인의 실력이 수업을 이해하기에 부족함이 없 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수의 60%는 본인의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강좌를 수강 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두 집단의 견해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많은 학습자들은 EMI에서 느끼는 가장 큰 장애는 본인의 영어실력을 꼽았으며 강의자(교수) 또한 강의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학습자의 영어실력 및 본인의 영어실력이라고 응답하였다.

EMI는 영어라는 언어 도구를 사용하여 전공 내용을 전달을 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는 영어

실력이 바탕이 되어야 학습이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지식 습득도 가능하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나라에서 EMI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치 및 노력이 필요하다. 본 설문 조사 및 인 터뷰 분석 결과에 의하면, 먼저 학생의 영어 실력이 바탕이 되어야만 학습자들은 강의내용 이 해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강좌에 대한 만족감이 생긴다. 또한 강의자(교수)의 영어 실력이 기본이 되어야 충실한 강의 내용의 전달이 가능하고 만족감 및 보람을 느낄 수 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많은 학습자 및 강의자(교수)의 EMI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았다. 학 습자의 경우 만족도가 겨우 40% 정도였으며 강의자(교수)의 경우에는 35%에 그쳤다. EMI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 및 강의자(교수) 모두는 학습자의 영어 실력 향상을 제일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영어 실력이 제한적이므로 강의 이해력과 지식 습득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 대다수가 한국어로 정리된 요점자료가 질적인 향상에 도움이 될 것 이라고 제안하였다. 또한 학습자 및 강의자(교수) 두 집단 모두 ‘예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것이 또 다른 EMI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이는 강의 전 주제에 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미리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강의 내용을 한층 더 쉽게 이해하고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강의자(교수)는 예습을 위한 장치를 철저히 준비해서 학습자의 이해에 도움을 주어야 하고 예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일깨워줘야 하겠다.

(17)

지금까지 많은 EMI 관련 연구는 한 대학을 표본 집단으로 하는 조사에 편중되어 왔는데 본 연구는 국내 11개의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총1,161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다. 그 중에서 40명의 학생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11개의 대학에 재직 하고 있는 강의자(교수) 20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하여 수 집한 자료들을 분석하면서 학생 및 강의자(교수)의 EMI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EMI의 내실화 방안 연구로 EMI의 궁극적인 목표인 지식습득 및 영어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설문지 및 인터뷰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러나 추후 연구를 통 해서 보완해야 할 점들이 남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설문의 경우 리커트 척도(Richter Scale

1-6)를 사용하였는데, 한 문항에서 학생들이 중립적인 의견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해석의 어

려움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해야 할 것이다. 또한 EMI의 효과를 좀 더 정확하게 검증하고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 검증된 도구를 사용하여 영어 실력을 측정을 하고 좀 더 객관적인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 표본 집단의 크기에 비해 교수 표본 집단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았다. 따라 서 두 집단의 비교 분석을 위해서는 집단의 수를 동일하게 통제하는 것도 추후 연구에서 고 려해야 할 사항이다.

(18)

<참고문헌>

김도식. (2006). 대학에서의 영어 강의가 과연 바람직한가? 철학과 현실, 33, 73-79.

김영섭. (2011). 대학 영어강의 개선 방안.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1) 에 수록

심영숙. (2012). 영여매개강의가 대학생 영어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대영어교육, 13:1, 149-166.

송영수. (2008). 대학 영어전용강좌 (EMI)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IPP 평가 모 형을 바탕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61-84.

유경애 정현숙. (2009). 영어 전용강의 (EMI)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선호도 조사 연구. 영 어학연구, 28, 67-89.

황종배 (2011). 대학 영어 전용 강의의 효과. 국어정책 연속토론회 (2011) 에수록

Chang, Y.-Y. (2010). English-medium instruction for subject courses in tertiary education:

Reactions from Taiwanese undergraduate students. Taiwan International ESP Journal 2(1), 55-84.

Choe, H. (2005). Negotiation of status of Korean nonnative-English-speaking teachers.

(Unpublished Ed.D.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IN.

Dyer, G. (2012, May 31). Triumph of English. Korea Times. Retrieved July 20, 2012 from http://www.koreatimes.co.kr/www/news/opinon/2012/07/160_112096.html

Janzen, J. (December 2008). Teach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the content area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4), 1010-1038.

Kang, S.-w. (2010, January 13). English royal road to Pukyong U.’s globalization. Korea Times. Retrieved November 28, 2010 from

http://www.koreatimes.co.kr/www/news/special/2012/01/181_58967.html

Kang, S. and Park, H. (June 2005). English as the medium of instruction in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21(1), 155-173.

Kim, E.-j. (December 2002). Voices of learners from English-medium Lectures. Journal of the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18(1), 145-163.

Kim, Myokyung. (2008). A study of effectiveness of content-based instruction for Korean college-level learner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Lee, H. (Autumn, 2006). A case study of university-level immersion: One class for two goals.

English Teaching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61(3), 145-168.

Liu, L. (2007). Acquiring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Challenges ESL students experience in an English-speaking Canadian university. (Unpublished M.Ed. thesis). The University of Regina, Regina, Saskatchewan, Canada.

(19)

Moon, C.-i. (2012, June 5). [Viewpoint] The truth about teaching in English. JoongAng Daily.

Retrieved July 20, 2012 from

http://koreajoongangdaily.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53906

Oh, K.-A. (2011). Instructors’ and students’perceptions on English-medium instruction:

Focusing on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conomics in Korean universities.(Unpublished Ph.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Park, H. (2007) English medium instruction and content learning.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English Linguistics Society of Korea] 23, 257-274.

Seo, J. S. (2008). English-medium teaching at Korean universities: Teach knowledge, not English. Journal of Social Sciences, 27(2), 47-64.

Trent, J. (2007). Second language learners’ investment in classroom discourse: Developing a multilevel conceptual framework.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Yu, Y. (2010). Attitud es of learners toward English: A case of Chinese college stud ent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

Referensi

Dokumen terkait

[r]

제2조 예산편성의 기본방향은 대학, 산업체, 연구소, 정부·지자체 간의 연계와 산학협력을 바탕으로 지식·기술의 혁신과 발전하는 과학기술에 대응하는 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본으로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등신기술 개발과 교육혁신에 부합한 신산학협력체제로의 개편 등을 통한 대학 경쟁력을 제고하여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제3조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