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01
현물 원유가격 추이
[일간 원유가격 변동] [주간 원유가격 변동]
자료: Reuters, 한국석유공사
1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OPEC+의 감산 합의 및 사우디의 자발적 추가 감산 약속, 중동 지역의 긴장 고조, 미국 원유재고 감소 등으로 상승함.
∙ 감산 참여국들인 OPEC+는 4일(월) 시작한 회의를 5일(화)까지 연장하면서 2~3월 감산 규모를 최종 결정했고, 사우디는 예상 밖으로 자발적인 추가 감산을 약속함(EI, 1.5; Reuters, 1.6).
- OPEC+는 1월 감산 규모를 2~3월에도 그대로 유지하기로 합의했지만, 예외적으로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양국에 대해서는 2월 7.5만b/d와 3월 7.5만b/d의 증산을 허용함.
※ 회의에서 증산을 주장한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에 대해서 겨울철 감산의 기술적 어려움을 명분으로 각각 6.5만b/d와 1.0만b/d의 감산 축소(증산)를 허용한 것임.
- 사우디는 자국 경제와 석유시장 안정을 위해 2~3월에 1백만b/d 규모의 추가 감산을 약속함.
- OPEC+의 감산 규모는 1월 720만b/d에서 2월 812.5만b/d, 3월 805만b/d로 확대됨.
※ 지난해 12월 3일 회의에서는 감산량을 매월 50만b/d 내에서 총 200만b/d까지 축소하기로 합의하고 1월 감산 규모를 2020년 8~12월의 770만b/d에서 720만b/d로 축소한 바 있음.
∙ 이란 언론 매체들이 4일(월) 이란혁명수비대가 한국 국적의 한국케미(Hankuk Chemi)호를 나포했다고 발표함에 따라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됨(Reuters, 1.4; EI, 1.4).
- 석유화학 탱커인 한국케미호는 에탄올 7,200톤을 싣고 사우디 Jubail 항구를 출발해 UAE의 Fujairah 항구로 향하던 중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서 나포됨.
- 이란혁명수비대는 나포 이유로 ‘해양 환경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탱커 운영선사인 DM Shipping은 그러한 주장을 부인함.
1. 현물 유가
2021. 1. 1. ~ 2021. 1. 8.
822
에너지경제연구원 02 ∙ 미 의회는 대선 투표 결과를 확정하고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를 공식적으로 선언함(Reuters, 1.7).
- 투표 결과 확정을 위한 회의 도중 트럼프 지지 시위대가 의사당에 난입하는 사태로 회의가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함(EI, 1.6, 1.7).
∙ 유로화 대비 달러 환율은 1월 8일 기준 $1.2218/€로 전주(1월 1일)의 $1.2212/€에 비해 0.1% 상승(가치 하락)함.
∙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이 전주와 동일하고 원유시추기 수가 전주보다 증가함.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1월 1일 기준)이 전주(12월 25일)와 동일한 1,100만b/d를 기록했다고 발표함.
- 베이커 휴즈(Baker Hughes)에 따르면, 미국의 원유시추기 수는 1월 8일 기준으로 전주(12월 31일)보다 8기 증가한 275기를 기록함.
∙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가 전주보다 감소하고 휘발유 및 중간유분은 전주보다 증가함.
- 상업용 총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8.0백만 배럴 감소한 485.5백만 배럴을 기록했고, WTI 선물 인도지점인 쿠싱 지역 원유재고는 전주보다 0.8백만 배럴 증가한 59.2백만 배럴을 기록함.
- 미국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 4.5백만 배럴 증가한 241.1백만 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 재고는 전주 대비 6.4백만 배럴 증가한 158.4백만 배럴을 기록함.
Nymex-WTI 선물 가격 및 비상업순매수 추이
[Nymex 비상업순매수 및 유가] [WTI 월물별 선물 가격]
자료: Reuters, CFTC, Nymex
1월 5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12월 29일) 대비 $1.93/배럴(4.0%) 상승한
$49.93/배럴을 기록함.
∙ 1월 5일 기준으로 NYMEX-WTI 선물가격 원월물(‘21.10월)과 최근월물(‘21.2월)과의 스프레드는
$(-)0.81/배럴로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 확대됨.
- ICE-Brent 선물가격의 원월물(‘21.11월)과 최근원물(‘21.3월) 간 스프레드는 $(-)1.51/배럴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1월 5일 기준 NYMEX의 투기성 자금에 의한 원유(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보다 6.9백만 배럴 증가한 518.6백만 배럴을 기록함.
∙ 헤지펀드 등 투기성 자금의 매수 포지션은 28.4백만 배럴 증가했고 매도 포지션은 21.5백만 배럴 증가함.
2. 선물 유가
에너지경제연구원 03 1) 석유재고(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12/11 12/18 12/25 1/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500.1 499.5 493.5 485.5 -8.0 -1.6%
휘발유 238.9 237.8 236.6 241.1 +4.5 +1.9%
중간유분(난방유 등) 151.3 148.9 152.0 158.4 +6.4 +4.2%
중 유 31.5 31.9 30.7 30.2 -0.5 -1.6%
자료: EIA/DOE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12/11 12/18 12/25 1/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4.18 14.01 14.29 14.38 +0.09 +0.6%
가동률(%) 79.1 78.0 79.4 80.7 +1.3 +1.6%
자료: EIA/DOE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12/11 12/18 12/25 1/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7.98 8.02 8.13 7.44 -0.69 -8.5%
중간유분(난방유 등) 4.00 4.17 3.59 2.94 -0.65 -18.1%
중 유 0.29 0.13 0.28 0.20 -0.08 -28.6%
총석유제품 19.34 19.09 19.32 17.05 -2.27 -11.7%
자료: EIA/DOE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12/18 12/25 1/1 전주대비
12/18 12/25 1/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5.56 5.33 5.37 +0.04 +0.8% 11.00 11.00 11.00 0.00 0.0%
휘발유 0.57 0.60 0.45 -0.15 -25.0% 8.83 9.19 8.01 -1.18 -12.8%
중간유분 0.44 0.62 0.30 -0.32 -51.6% 4.59 4.64 4.79 +0.15 +3.2%
중유 0.08 0.03 0.07 +0.04 +133.3% 0.15 0.15 0.18 +0.03 +20.0%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