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및 일터혁신과 숙련개발: 사례연구
김미란·최영섭·유진영·박라인·노용진·권현지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 방법과 사례연구 틀
제2장 자동화기술과 일터혁신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자동화의 기술적 특성과 요구되는 과업들 제3절 자동화기술 근로자들의 숙련요건과 그 영향요인 제4절 자동화기술과 일터혁신
제3장 협동로봇 활용에 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협동로봇의 특징과 산업적 전망 제2절 협동로봇의 가능성이 제기하는 이론적 문제 제3절 작업장 내 인간-로봇의 협동 증진:‘사회기술체계론’의 접근 제4장 기술·일터혁신과 숙련개발의 주요 현황
제1절 기술혁신과 자동화기술의 활용 현황 제2절 일터혁신 현황과 과제
제3절 숙련개발에 대한 투자와 기술적 다능공 현황 제5장 단조공정의 자동화기술과 일터혁신 사례연구
자동화(automation) 기술과 숙련개발의 상호작용에 대해 기계부품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사례연구함. 연구결과 소위 ‘기능적 통합’을 위해서 중소규모의 이 산업계 내부적으로 테크니션(technicians)급의 숙련인력을 육성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인공지능이나 로보틱스 등의 미래기술 활용에서는 ‘작업장 내 사회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게 요청되었음.
·주제어: 자동화기술, 숙련개발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기업의 일반 현황
제3절 단조공정의 기술적 특성과 작업조직 현황 제4절 숙련개발과 인적자원관리
제5절 소결
제6장 금형공정의 제조기술과 숙련개발 사례연구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세일금형 제3절 I-메탈 제4절 소결
제7장 협동로봇 도입 사례연구: 일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사례연구의 주안점
제2절 수제화 제작 공방의 협동로봇 활용 사례 제3절 부품 제조·가공에서 협동로봇 도입·적용 사례: 신S사 제4절 소결
제8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논의
제2절 직업교육과 훈련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Ⅰ. 배경 및 목적
Ⅱ. 주요 내용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 목적: 작업장 수준에서 자동화기술이 ‘일터혁신 그리고 숙련개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사례연구하고 이를 통해 숙련개발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제시하고자 함.
□ 배경: 기술진보의 산업적 응용에서 그 성공여부는 기업의 수용능력에 의존하며, 이 수용능력은 근로자들의 직업능력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 기술의 활용은 작업방식 및 작업자의 숙련과 상호교호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근로자 참여에 기반한 일터혁신을 통해서 근로자들의 직무 역할과 숙련을 향상시킴으로써 신기술 도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또 최적 상태로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고 봄.
연구내용
□ 연구 내용 구성: 이론적 논의로 자동화기술 도입에서 숙련개발과 관련된 주요 문제를 파악함.
일터혁신과 숙련개발 현황의 개관함. 단조공정과 금형제조공정에 대해 자동화기술 도입의 영향과정, 그리고 협동로봇의 (시범)도입과 활용이 숙련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례조사함.
□ 사례연구 틀: 기술과 숙련개발의 상호작용과정에 대해 자동화기술의 도입-과업내용의 변화-숙련요건 변화라는 영향 과정으로 설정하고 작업조직 수준에서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고자 함.
□ 사례연구 대상: 금속기계부품 가공·조립업체 3곳과 협동로봇을 (시범)도입한 부품제조업체 2곳과 수제화 제조 공방 2곳. 기계부품업은 단조공정과 금형공정을 중심으로 생산관리팀장, CTO, 기능장 등을 면담하고, 협동로봇은 관련 SI업체, 로봇협회도 면담함.
□ 자동화기술의 도입과 적용과정에서 현장 작업자와 엔지니어 간의 소통과 협력이 중요한데, 기업 조직차원에서 수직·경직적 운영과 개방적 혁신 부족 등이 문제로 나타남. 특히 현장기능직과 전문기술직 간에 직무의 기능적 통합이 중요하지만 중소기업들 내부적으로 숙련인력의 육성체계이나 훈련 여건, 그리고 HRM이 취약한 상황임.
□ ‘자동화기술의 세팅과업’을 담당하는 ‘테크니션(technician)’급 인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이들 인력의 수요 증가와 함께 이들의 ‘지적 숙련(知的 熟練)’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정책측면에서는 중소기업에서 ‘테크니션(technician)급’ 인력의 조달·육성과 숙련개발, 그리고 처우에 대해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아울러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의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에서 이론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상황 가운데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프로젝트형 수업방식이 더욱 확산될 필요가 있음.
연관부처: 교육부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