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아시 넙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기아시 넙치"

Copied!
47
0
0

Teks penuh

(1)
(2)

기아시 넙치

조직학적 변화

(3)

ii

(4)

··· ⅰ

··· ⅱ

··· ⅲ

··· ⅳ

··· ⅴ

··· ⅵ

···

···

Ⅰ ···

Ⅱ ···

Ⅲ ···

Ⅳ ···

Ⅴ ···

Ⅵ ···

···

···

(5)

iv

···

···

···

(6)

···

···

···

···

□ ●

···

···

(7)

vi

(8)
(9)

1

(10)

ü

(11)

3

(12)

ⅠⅠ

ⅡⅡ

(13)

5

(14)

± °

ⅢⅢ

°

·

µ

(15)

7

(16)

×

ⅣⅣ

µ

ⅤⅤ

°

°

(17)

9

ⅥⅥⅥ

(18)

±

±

± ±

±

± µ ± µ

± µ ± µ

(19)

11

60 70 80 90 100

1 21 41 61 81

Rearing period (days)

Survival (%)

Fed Starved

10 20 30 40 50 60 70 80 60

70 80 90 100

1 21 41 61 81

Rearing period (days)

Survival (%)

Fed Starved

10 20 30 40 50 60 70 80

10 20 30 40 50 60 70 80

Rearing period (days) 100

90

80

70

60

Survival (%)

Fed Starved

(20)

± ± ± ±

± ± ± ±

± ± ± ±

± ± ± ±

±

(21)

13

a

0 10 20 30 40 50 60 70

Hepatocyte nuclear area (2)

Frequency (%)

Starved for 12 weeks X : 4.61 SD:0.503

n =5

Initial X : 7.86 SD:0.896

n =5

Fed for 12 weeks

X : 11.0 SD:0.998

n =5

3 4 5 6 7 8 9 10 11 12 13

3 4 5 6 7 8

Nuclear height of midgut epithelium ()

Frequency (%)

Initial X :7.14 SD:0.134

n =5 Starved for

12 weeks X :4.34 SD:0.207

n =5

Fed for 12 weeks

X :7.68 SD:0.130

n =5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b

a a

0 10 20 30 40 50 60 70

Hepatocyte nuclear area (2)

Frequency (%)

Starved for 12 weeks X : 4.61 SD:0.503

n =5

Initial X : 7.86 SD:0.896

n =5

Fed for 12 weeks

X : 11.0 SD:0.998

n =5

3 4 5 6 7 8 9 10 11 12 13

3 4 5 6 7 8

Nuclear height of midgut epithelium ()

Frequency (%)

Initial X :7.14 SD:0.134

n =5 Starved for

12 weeks X :4.34 SD:0.207

n =5

Fed for 12 weeks

X :7.68 SD:0.130

n =5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b a

㎛ ㎛

(22)

a a a

b b

c a a a a

b b

c

a

b

c

a a a a a

b b

c a a

b b

c c a a a a a a a

b b

c a a

b b

c c

a

b

c

(23)

15

± ± ±

± ±

±

± ± ±

±

(24)

a

b

c a

b

c c

b a a

b

c a

b

c c

b a

(25)

17

*

*

0 0.3 0.6 0.9 1.2 1.5

0 4 8 12

Rearing period (Weeks)

Degree of MM deposition (%)

Control Fed Starved

□ ●

(26)

a b c

a b c

×

(27)

19

(28)

a

c

b

d a

c

b

d

× ×

(29)

21

(30)

ü

(31)

23

(32)
(33)

25

(34)
(35)

27

(36)

국문요약 이

이 이학 학 학석 석 석사 사 사 학 학 학위 위 위논 논 논문 문 문

기아시 넙치

의 조직학적 변화

조 조 진 진 진 희 희 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양생명환경학과 지도교수 수산학박사 박 인 석

년 월

기아가 넙치 의 간세포 중

장 상피세포 및 신장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과 간세포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주간 기아군은 먹이를 주지 않은 반면 포식군은 인공사료 를 공급하였다 실험 시작시 대조군 포식군 및 기아군에서 각 마리를 표본하 였다 대조군 포식군 및 기아군에서 실험 시작시 부터 주 간격으로 회 표본하

(37)

29

를 보이며 신장에서 무작위로 분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에서의 색소 형성의 주된 요인은 이화작용 중인 조직의 붕괴라고 사료된다

실험 시작시의 대조군 및 실험기간 동안 포식군의 간세포 미세구조에 비해 넙치에서의 주간 기아는 간세포 미세구조의 현저한 변화를 야기하 였다 기아군 간세포의 현저한 특징은 뚜렷한 인의 소실 염색질의 응축 저장 글리코겐의 소실 소포체의 감소 철분을 다량 함유하는

에서의 증가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크기의 증가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간세포를 비롯한 중장 상피세포 및 신장의 조직학 적 변화 간세포 미세구조적인 현저한 차이 그리고 신장에서의 축적 정도 차이는 본 종의 야생집단과 양식집단에서의 기아 평가 기준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38)
(39)

31

(40)

&&

&&

&&&

(41)

33

&&&

&&&

ö ö ö

ɤ

&&&

(42)

&&

&&&

(43)

35 ä

ü ü é é

é ééé

Ӯ

ä ü

&&&

(44)

&&

&&&

(45)

37

&&&

&&&

(46)

äää

(47)

39 ü

üü

&&&

Referensi

Dokumen terkait

연구 문제 빌 게이츠의 생애에 나타난 성격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 및 가족 정서체계 연구 를 통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빌 게이츠의 가족 정서체계는

다음의 장소를 봐 주십시오 지난 개월 동안 아래의 장소에서 주된 일을 얼마나 자주 했습니까... 귀하의 업무 중에 아래 문항보다 짧게 반복되는 작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