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단원 : 수열의 극한 (진위판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단원 : 수열의 극한 (진위판정)"

Copied!
7
0
0

Teks penuh

(1)

1.

1) 두 수열 ,  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4점][2004년 3월]

〈 보 기 〉 ㄱ.

  

  

 이 수렴하면

  

도 수렴한다.

ㄴ.   

  

이 수렴하면 →∞

lim

 이다.

ㄷ.   

이 수렴하고,

lim

→∞≠ 이면

lim

→∞ 

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무한등비수열

에 대하여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2)

[3점][2005학년도 수능]

[ 보 기 ] ㄱ. 무한등비급수

  

이 수렴하면

  

도 수렴한다.

ㄴ. 무한등비급수   

이 발산하면   

도 발산한다.

ㄷ. 무한등비급수   

이 수렴하면   

 

도 수렴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3.

두 무한수열

,

에 대하여 옳은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 는 실수이고, 은 자연수이다.) 3)

[4점][2005년 7월]

〈 보 기 〉 ㄱ. >이고

lim

 → ∞

 ,

lim

 → ∞

 이면   이다.

ㄴ. >이고   

 ,   

 이면 이다.

ㄷ.  

 ,   

 이고 이면

lim

 → ∞

lim

 → ∞

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4.

세 수열

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3점][2006년 3월]

< 보 기 >

ㄱ. 두 수열

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수렴한다.

ㄴ.

lim

 → ∞

     이고

lim

 → ∞  이면,

lim

 → ∞  이다.

ㄷ.   이고

lim

 → ∞

   이면, 수열

은 수렴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단원 : 수열의 극한 (진위판정)

(2)

2

5.

두 무한수열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5)

[3점][2006년 5월]

<보 기>

ㄱ. 수열

이 수렴하고

lim

→∞

 

 이면

lim

→∞

lim

→∞

ㄴ.

  

 ,

  

 이고   이면

lim

→∞

lim

→∞

ㄷ. 수열

이 수렴하면

lim

→∞

은 수렴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두 무한등비수열 an, bn에 대하여 <보기>에서 항상 옳 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

[4점][2006년 6월]

<보 기>

ㄱ. 두 무한등비급수   

,   

이 수렴하면

  

은 수렴한다.

ㄴ. 두 무한등비급수   

,   

이 발산하면

lim

→∞

  ≠ 이다.

ㄷ. 두 무한등비급수   

,   

이 수렴하면

  

 은 수렴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7.

두 무한급수   

   

 이 모두 수렴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7)

[3점][2007년 3월]

< 보 기 >

ㄱ.

lim

→∞

 

ㄴ.   

은 발산한다.

ㄷ.   

 은 수렴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8.

무한수열의 극한값과 무한급수의 성질이다. <보기>에서 항상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8)

[점][2007년 7월]

<보 기>

ㄱ.

  

 ,

lim

 →∞

 이면

lim

 →∞

 이다.

(단,   는 상수) ㄴ.

  

 

  

 

이 수렴하면

  

  

이 수렴한다.

ㄷ.

lim

 →∞

 이면

lim

 →∞

또는

lim

 →∞

이 수렴한다.

(단, 는 상수)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3)

9.

무한수열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 은? 9)

[4점][2008년 4월]

보 기 ㄱ.

lim

 → ∞

이 수렴하면

lim

 → ∞

도 수렴한다.

ㄴ.

lim

 → ∞

이 수렴하면

lim

 → ∞



lim

 → ∞

  이다.

ㄷ. 무한급수   

이 수렴하면   

 도 수렴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

두 수열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일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0) [4점][2009년 3월]

<보 기>

ㄱ.

lim

 → ∞

   

ㄴ. 수열

이 수렴하면 수열

도 수렴한다.

ㄷ.   

이 수렴하면   

도 수렴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1.

첫째항과 공차가 같은 등차수열

에 대하여   

할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11)

[3점][2009년 9월]

ㄱ. 수열

이 수렴한다.

ㄴ. 무한급수   

이 수렴한다.

ㄷ.

lim

 → ∞

 

  

이 존재한다.

[ 보 기 ]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2.

두 무한수열

,

에 대하여

lim

 →∞

 일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는 이 아닌 실수이다.)12 )

[3점][2010년 3월]

<보 기>

ㄱ.

lim

 →∞

 이면

lim

 →∞

 이다.

ㄴ.   이면

lim

 →∞

 

 이다.

ㄷ.

lim

 →∞

 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4

13.

두 무한수열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13)

[4점][2010년 3월]

<보 기>

ㄱ.

  

 ,

  

 이면

lim

→∞

lim

→∞

이다.

ㄴ. 두 무한급수

  

 

,

  

 

이 모두 수렴 하면 두 수열

,

도 모두 수렴한다.

ㄷ. 두 수열

 

 

 

,

 

 

 

이 모두 수렴하면 두 수열

,

도 모두 수렴한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4.

두 수열

,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14)

[3점][2010년 4월]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

두 무한수열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5)

[4점][2011년 4월]

보 기 ㄱ. 수열

에서    

 일 때,

  

은 발산한다.

ㄴ. 두 수열

,

이 각각 수렴하면,

  

  

  

이다.

ㄷ. 수열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 

  

 

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

두 무한수열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16)

[3점][2011년 10월]

< 보 기 >

ㄱ. 수열

,

 

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수렴한다.

ㄴ. 수열

,

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도 수렴 한다.

ㄷ.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이고 수열

수렴하면 수열

도 수렴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ㄱ.

lim

→∞

 이면

lim

→∞

 이다.

ㄴ.

lim

→∞

   이면

lim

→∞

 이다.

ㄷ. 수열

이 수렴하면 수열

은 각각 수렴한다.

[ 보 기 ]

(5)

1) ②

[출제의도] 무한급수의 성질을 이해할 수 있다.

ㄱ.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수렴) ∴ 참 ㄴ.   

이 수렴하므로  → ∞

lim

 ,

  

이 수렴하므로  → ∞

lim

 

lim

 → ∞

  ∴ 참

ㄷ. 반례: 수열

         … 수열

        … 이면   

 (수렴)이지만

lim

 → ∞

≠ ,

lim

 → ∞

≠ 이다. ∴ 거짓 2) ③

무한등비수열

의 공비를 라고 하자.

ㄱ. <참> 무한등비급수   

이 수렴하면      이다.

무한등비수열



의 공비는 이고  ≤  이므로

  

도 수렴한다.

ㄴ. <참> 무한등비급수

  

이 발산하면

  

도 발산한다.

ㄷ. <거짓> 무한등비급수   

이 수렴하면   

 

도 수렴한다.

3) ②

ㄱ. (반례)  

 ,   

 이면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이지만

lim

→∞

lim

→∞

  ㄴ.    

  

  

  

 

lim

 → ∞  

 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참)

ㄴ.

lim

 → ∞

lim

 → ∞

   

lim

 → ∞

   

lim

 → ∞

      (참) ㄷ. (반례)   

      

이라 하면

  이고,

lim

 → ∞

  

lim

 → ∞

 이지만 수열

은 발산한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5) ①

ㄱ. 두 수열

,

이 수렴하고

lim

→∞

  이므로

lim

→∞

lim

→∞

  (참)

ㄴ. 수렴하는 무한급수의 일반항 에 대하여

lim

→∞

lim

→∞

  (거짓)

ㄷ. (반례)  

,  이라하면

lim

→∞

 ,

lim

→∞ 

․   이지만

lim

→∞

이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거짓) 옳은 것은 ㄱ 6) ④

무한등비수열

의 첫째항을 , 공비를 , 무한등비수열

첫째항을 , 공비를 라 하면

   ,    

ㄱ.   

,   

이 수렴하므로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수렴) (참)

ㄴ. (반례)   ,     이라 하면

lim

→∞

≠ ,

lim

→∞

≠  이므로   

,   

은 발산하지만

        

lim

→∞

    (거짓)

ㄷ.   

,   

이 수렴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 수렴하고,

  

    

  

이므로

(6)

6 ㄴ.   

 이 수렴하므로

lim

→∞   

lim

→∞

 

따라서   

은 발산한다. (참)

ㄷ.   

    

 이 모두 수렴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은 수렴한다. (참)

8) ④

ㄱ.

  

이 수렴이므로

lim

 →∞

 이고,

lim

 →∞

  (상수)이므로

lim

 →∞

lim

 →∞

×

lim

 →∞

  ×    (참) ㄴ.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참)

ㄷ. (반례)      

lim

 →∞

 이지만

lim

 →∞

lim

 →∞

은 모두 수렴하지 않는다. (거짓) 9) ②

ㄱ. (반례) 수열       ⋯에서

lim

→∞

 으로 수렴하지만

lim

→∞

은 발산한다. (거짓) ㄴ.

lim

→∞

이 수렴하면

lim

→∞

lim

→∞

  이므로

lim

→∞



lim

→∞

   (참) ㄷ. (반례) 수열     

 

  

 

 ⋯에서

  

 으로 수렴하지만   

 ∞이므로 발산한다. (거짓) 10) ②

ㄱ.

lim

 →∞

 

lim

 →∞

  

  이다. (참)

ㄴ.

lim

 →∞

 라고 하면    

 에서

lim

 →∞

lim

 →∞

  

 

   이다. (참)

ㄷ.

  

이 수렴하면

lim

 → ∞

 이므로 ㄴ에 의해

lim

 → ∞

 이다.

따라서   

은 발산한다. (거짓)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11) ⑤

 (단, 는 첫째항이고 양수)

  

 ×   

ㄱ. 수열

lim

 →∞

 ∞ 이므로 거짓

ㄴ. 무한급수   



  





  

 이므로

lim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수렴하므로 참.

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꼴이므로 분모 분자를 최고차항 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주어진 식은

lim

 → ∞

  



이므로 존재한다. 따라서 참.

12) ③ ㄱ.

lim

→∞

lim

→∞

․

  (참)

ㄴ. (반례)   ,  이면   이지만

lim

 →∞

   이다. (거짓)

ㄷ. 

 으로 놓으면  

lim

→∞

lim

→∞

lim

→∞

 

 (참)

13) ①

ㄱ. 두 무한급수

  

,

  

이 모두 수렴하므로

lim

→∞

lim

→∞

 이다. (거짓)

ㄴ. 두 무한급수   

 ,   

 이 모두 수렴하므로

lim

→∞

  

lim

→∞

   이다.

lim

→∞

 

lim

→∞

     

 

lim

→∞

lim

→∞

   

 

따라서 두 수열

은 모두 수렴한다. (참) ㄷ. (반례)   ,     이면

 

 ,

 

 이므로

두 수열



 



,

 

 



이 모두 수렴하지만 수열

은 수렴하지 않는다. (거짓)

(7)

ㄱ.    ≤ ≤  에서

lim

→∞

   

lim

→∞

   이므로

lim

→∞

 이다. (참)

ㄴ.    라 하면

lim

→∞

 이고   

이므로

lim

→∞



lim

→∞  



lim

→∞  

 

 

×   이다. (참)

ㄷ. (반례)      에 대하여

lim

→∞

 (수렴)이지만, 수열  은 각각 발산한다. (거짓) 15) ③

ㄱ.

  

   

lim

→∞

     ∞

  

은 발산 (참)

ㄴ. (반례)  

   (거짓)

ㄷ.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16) ①

[출제의도] 무한수열의 성질을 이해하고 있는가를 묻는 문제이다.

ㄱ.

lim

→∞

 

lim

→∞

    이라 하면

  

lim

→∞

lim

→∞

  

lim

→∞

lim

→∞

    (참) ㄴ. (반례) 

  이면

lim

→∞

 

lim

→∞

 이지만

lim

→∞

lim

→∞

 ∞으로 발산한다. (거짓) ㄷ. (반례)      이면,

Referensi

Dokumen terkait

컴퓨터 전자공학의 발전  찰즈 샌더스 파이어스Charles Sanders Peirce는 부울Boole의 작업을 확장 전자 스위치를 불리언 대수의 참/거짓 조건으로 사용 벤자민 버랙Benjamin Burack이 1936년의 논리 기계에서 이러한 개념들을 구현  존 어태너소프John Atanasoff와 클립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