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2013년 2월 석사학위논문
뮤지컬 「닥터 지바고」
공연예술의상 제작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전공
김규리
[UCI]I804:24011-200000263657
뮤지컬 「닥터 지바고」
공연예술의상 제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formance Art Costume Production of Musical <Dr. Zhivago>
2013년 2월 24일
조선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전공
김규리
뮤지컬 「닥터 지바고」
공연예술의상 제작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박 순 천
이 논문을 패션디자인 학 석사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12월
조선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전공
김규리
김규리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한 선 주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손 영 미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순 천 (인)
2012년 11월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목차
국문초록
··· Ⅷ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 2Ⅱ. 이론적 배경
··· 4
1. 뮤지컬과 공연예술의상
··· 4
1) 뮤지컬의 개념 및 구성요소
··· 4(1) 뮤지컬의 개념과 종류··· 4
(2) 뮤지컬의 구성요소··· 9
2) 뮤지컬의 역사
··· 19(1) 외국 뮤지컬 역사··· 19
(2) 국내 뮤지컬 역사··· 21
3) 공연예술의상의 정의 및 요소
··· 23(1) 공연예술의상의 정의··· 23
(2) 공연예술의상의 요소··· 24
(3) 공연예술의상의 작업과정···29
2. 「닥터 지바고」 작품분석
··· 31
1)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작가분석
··· 31(1)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생애··· 31
(2)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작품세계··· 33
2) 「닥터 지바고」 원작 분석
··· 37(1) 「닥터 지바고」 줄거리··· 37
(2) 「닥터 지바고」 주요 등장인물의 성격분석··· 39
3) 「닥터 지바고」 작품분석
··· 40(1) 뮤지컬··· 40
(2) 영화··· 46
(3) TV··· 48
Ⅲ. 「닥터 지바고」 의상 분석
··· 49
1. 뮤지컬 의상 분석
··· 49
2. 영화 의상 분석
··· 53
3. TV 의상 분석
··· 61
4. 20세기 초(제1차 세계대전 전·후) 복식
··· 66
1) 벨 에포크 시대의 복식(1907~1914)
··· 662) 제2차 세계대전 전·후의 복식(1914~1930)
··· 693) 1930년대의 복식(1931~1940)
··· 71
5. 2012 F/W 패션트렌드 분석·
··· 72
1) 스타일
··· 742) 컬러
··· 753) 소재
··· 76Ⅳ. 뮤지컬 「닥터 지바고」 공연예술의상 디자인 및 작품제작
··· 78
1.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78
2. 작품 및 해설 ·
··· 81
1) ‘유리 지바고’ 의상 디자인
··· 81
2) ‘라라’ 의상 디자인
··· 88
3) ‘파샤’ 의상 디자인
··· 93
4) ‘토냐’ 의상 디자인
··· 100Ⅴ. 결론
··· 106참고문헌··· 109
Abstract··· 112
표 목차
<표 1> 뮤지컬의 종류(양식별)··· 6
<표 2> 뮤지컬의 종류(내용별)··· 7
<표 3> 뮤지컬의 플레이 종류··· 8
<표 4> 뮤지컬 음악의 구조··· 14
<표 5> 뮤지컬의 노래 종류··· 17
<표 6> 뮤지컬의 안무 종류··· 18
<표 7> 우리나라의 색채 연상표··· 26
<표 8> 미국인의 색채 연상표··· 27
<표 9> 뮤지컬 의상의 작업과정별 주요 업무··· 29
<표 10>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32
<표 11>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연보··· 32
<표 12>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작품 리스트··· 35
<표 13>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주요 작품··· 36
<표 14> 「닥터지바고」 등장인물 성격··· 40
<표 15> 뮤지컬 「닥터지바고」 작품개요··· 41
<표 16> 뮤지컬 「닥터지바고」 뮤지컬넘버··· 45
<표 17> 영화 「닥터지바고」 작품개요··· 46
<표 18> TV 시리즈 「닥터지바고」 작품개요··· 48
<표 19> 「닥터 지바고」의상 정리· 분석··· 64
<표 20> 2012 F/W 패션 트렌드 분석··· 76
<표 21> 뮤지컬 등장인물들의 공연예술의상 디자인 계획표··· 78
그림 목차
<그림 1>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주요작품 책 표지··· 37
<그림 2> 뮤지컬「닥터 지바고」- 지바고&토냐 ··· 49
<그림 3> 뮤지컬「닥터 지바고」- 파샤 ··· 49
<그림 4> 뮤지컬「닥터 지바고」- 파샤&라라 ··· 50
<그림 5> 뮤지컬「닥터 지바고」- 지바고 ··· 50
<그림 6> 뮤지컬「닥터 지바고」- 라라&지바고 ··· 51
<그림 7> 뮤지컬「닥터 지바고」- 지바고&라라··· 51
<그림 8> 뮤지컬「닥터 지바고」- 라라··· 51
<그림 9> 뮤지컬「닥터 지바고」- 파샤··· 51
<그림 10> 뮤지컬「닥터 지바고」- 토냐&라라··· 52
<그림 11> 뮤지컬「닥터 지바고」- 지바고&라라··· 52
<그림 12> 영화「닥터 지바고」- 토냐··· 54
<그림 13>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 ··· 54
<그림 14>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54
<그림 15> 영화「닥터 지바고」- 파샤··· 54
<그림 16>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55
<그림 17>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55
<그림 18>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 55
<그림 19>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라라··· 55
<그림 20>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56
<그림 21>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지바고··· 56
<그림 22>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토냐··· 56
<그림 23>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56
<그림 24>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토냐··· 57
<그림 25> 영화「닥터 지바고」- 토냐··· 57
<그림 26>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지바고··· 57
<그림 27>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지바고··· 57
<그림 28>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58
<그림 29> 영화「닥터 지바고」- 파샤··· 58
<그림 30>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 58
<그림 31>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지바고··· 58
<그림 32>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라라··· 59
<그림 33>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59
<그림 34> 영화「닥터 지바고」- 지바고··· 60
<그림 35>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60
<그림 36> 영화「닥터 지바고」- 라라··· 60
<그림 37> TV「닥터 지바고」- 토냐··· 61
<그림 38> TV「닥터 지바고」- 라라··· 61
<그림 39> TV「닥터 지바고」- 파샤&라라··· 61
<그림 40> TV「닥터 지바고」- 라라&파샤··· 61
<그림 41> TV「닥터 지바고」- 지바고&토냐··· 62
<그림 42> TV「닥터 지바고」- 라라&파샤··· 62
<그림 43> TV「닥터 지바고」- 토냐··· 63
<그림 44> TV「닥터 지바고」- 지바고&라라··· 63
<그림 45> TV「닥터 지바고」- 라라&지바고··· 63
<그림 46> TV「닥터 지바고」- 지바고··· 63
<그림 47> 튜닉 스타일··· 68
<그림 48> 미나레 튜닉 스타일··· 68
<그림 49> 호블 스타일··· 68
<그림 50> 하렘 팬츠 스타일··· 68
<그림 51> 스트레이트 박스 스타일··· 70
<그림 52> 아워글라스 스타일··· 71
<그림 53> 가르손느 스타일··· 71
<그림 54> 엘자 스키아파렐리의 초현실주의 드레스··· 72
<그림 55> 2012 F/W 패션 트렌드··· 73
<그림 56> 2012 F/W Ralph Laurenf··· 77
<그림 57> 2012 F/W Ferragamo··· 77
<그림 58> 2012 F/W Tory Burch··· 77
<그림 59> 2012F/W Color Trends··· 77
<그림 60> 2012 F/W Costume National··· 77
<그림 61> 2012 F/W Versace··· 77
<그림 62> 2012 F/W Alexander Mcqueen··· 77
<그림 63>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82
<그림 64>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상세 1)··· 83
<그림 65>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상세 2)··· 83
<그림 66>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상세 3)··· 83
<그림 67>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상세 4)··· 83
<그림 68>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상세 5)··· 83
<그림 69>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코트)··· 84
<그림 70>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셔츠)··· 85
<그림 71>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베스트)··· 86
<그림 72> 지바고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팬츠)··· 87
<그림 73> 라라의 의상 디자인··· 89
<그림 74> 라라의 의상 디자인 (상세 1)··· 90
<그림 75> 라라의 의상 디자인 (상세 2)··· 90
<그림 76> 라라의 의상 디자인 (상세 3)··· 90
<그림 77> 라라의 의상 디자인 (상세 4)··· 90
<그림 78> 라라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코트)··· 91
<그림 79> 라라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원피스)··· 92
<그림 80> 파샤의 의상 디자인··· 94
<그림 81> 파샤의 의상 디자인 (상세 1)··· 95
<그림 82> 파샤의 의상 디자인 (상세 2)··· 95
<그림 83> 파샤의 의상 디자인 (상세 3)··· 95
<그림 84> 파샤의 의상 디자인 (상세 4)··· 95
<그림 85> 파샤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패딩)··· 96
<그림 86> 파샤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셔츠)··· 97
<그림 87> 파샤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베스트)··· 98
<그림 88> 파샤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팬츠)··· 99
<그림 89> 토냐의 의상 디자인··· 101
<그림 90> 토냐의 의상 디자인 (상세 1)··· 102
<그림 91> 토냐의 의상 디자인 (상세 2)··· 102
<그림 92> 토냐의 의상 디자인 (상세 3)··· 102
<그림 93> 토냐의 의상 디자인 (상세 4)··· 102
<그림 94> 토냐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코트)··· 103
<그림 95> 토냐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케이프)··· 104
<그림 96> 토냐의 의상 디자인 도식화 (원피스)··· 105
국 문 초 록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 콘텐츠 산업이 발달하고 공연예술문화의 세계화 가 이루어지면서 문화수준이 향상되었다. 문화 콘텐츠 사업에서 가장 선두적 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공연사업인데, 공연사업은 공연 콘텐 츠의 기획, 제작, 유통, 공연과 관련된 공연 콘텐츠의 모든 산업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공연예술에 수익성과 효율성 등 산업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 다. 최근 들어 몇 년간 우리나라 공연예술문화 분야에서 뮤지컬의 비중은 과 거와 현격히 차이가 날 정도로 예전에 비해 훨씬 높아졌고 각광을 받고 있는 데, 뮤지컬은 현대인의 문화적 욕구를 가장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예술형태 로서 감성을 자극하는 판타지적 스토리, 화려한 율동감과 무대장치, 빠르게 감응되는 음악이 조화되어 있는 공연예술로서 대중성과 오락성을 갖춘 종합 적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뮤지컬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연예술의상은 작품이 표현하고자 하는 메 시지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도록 형상화하는 무대예술이다. 또한 공연을 관람 하는 관객들은 배우의 공연예술의상을 통해 극의 시대와 인물의 성격과 사회 적 지위, 역할 등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뮤지컬 「닥터 지바고」는 2005년 미국에서의 시험 공연을 시작으로 2011 년 호주에서 초연되었고, 2012년 한국에서도 공연되었다. 현재까지 공연되어 진 뮤지컬 「닥터 지바고」의 의상은 단조롭고 모호할 뿐, 2013년 영국 런던 과 2014년 미국 뉴욕에서 예정된 공연의 의상에는 아직 체계화 되어있는 새 로운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과 공연예술의상의 개념정리 및 이론적 배 경을 통해 공연예술의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뮤지컬 「닥터 지바고」의 시대 적 배경인 1900년대의 이미지를 찾아내어 현대적 트렌드와 결합해서 현대인 의 감성 코드를 표현 할 수 있는 의상으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극 에서의 인물의 사고와 행동, 즉 인물의 성격을 반영한 디자인의 개발방안을 모색하여 극대본과 음악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으로는 뮤지컬과 공연예술의상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역사와 같 은 이론적 배경을 국내외 도서자료와 선행 연구논문을 통해 조사하였고,「닥 터 지바고」의 작품분석은 2011~2012년 국내외에서 공연된 뮤지컬 「닥터 지 바고」를 중심으로 각종 문헌자료 및 보도자료, 시각화 자료, 웹 사이트 자 료 등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현대 패션트렌드와 20세기 초기 의 복식은 문헌자료와 신문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각 등장인물의 공연예술의상 디자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바고의 의상은 2012F/W의 트렌드 색상과, 딱 떨어지는 스트레이트 라인으로 지식인의 세련됨을 풀어내었다. 의사라는 직업과 사랑에 우유부단 한 남자임을 나타낼 수 있는 울트라 마린색과 웜 그레이, 차콜 그레이색이 각각의 직업과 성격을 나타내었고, 먼 관객석에서도 또렷이 알아볼 수 있는 오버스러운 실루엣의 코트, 가슴부분의 회색 십자가 모양 포인트, 의료진의 깔끔함을 느끼게 해주는 심플하고 베이직한 화이트 셔츠, 지식인의 지혜로움 을 나타내기 위해서 허리선에 라인이 들어간 클래식한 디자인의 울 베스트와 스트레이트 실루엣의 팬츠를 함께 구성하였다.
둘째, 라라의 의상은 팜므파탈의 섹시함과 내면의 어두움을 나타내는 데에 중점을 두고 디자인 하였다. 라라의 신비스럽고 치명적인 매력은 블루 바이 올렛의 밀리터리룩의 코트로, 과거의 상처는 망간 바이올렛과 비규칙적인 무 늬를 사용한 A라인의 플레어 스커트 투톤 원피스로 극의 시대적 복식과 현재 의 트렌드를 적절히 매치시켰다.
셋째, 파샤의 의상은 냉정하고 남성스러운 성격을 잘 표현할 수 있는 강하 고 견고해 보이는 느낌의 블랙 레더와 같은 색의 여러 가지 소재들을 사용하 여 패딩, 셔츠, 베스트, 팬츠를 구성하였다. 패딩과 팬츠의 원단을 그대로 사용하여 통일성을 보여주었으며, 파격적인 성격을 표현하기위해 패딩의 옆 라인 부분에 스트랩을 달고 팬츠의 앞뒤판에 조각의 패치워크로 디자인 하였 다.
넷째, 토냐는 밝고 사랑스러운 부잣집의 고명딸로 세련되고 여성스러운 패 션스타일을 보여준다. 그녀의 의상은 2012F/W 트렌드 색상 중에서 가장 화려 한 색인 마젠타색의 고급스러운 울 캐시미어와 퍼를 사용하여 이번 시즌 런
웨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호리병라인 스타일의 페미닌한 코트와 케이프 를 만들었으며, 가정주부라는 캐릭터에 맞춰 포근하고 따뜻한 울소재의 캐시 미어 스커트와 하얀 쉬폰으로 칼라와 소매가 마무리 된 맥시원피스를 함께 디자인하고 코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뮤지컬의 개념과 닥터지바고의 작품분석의 특징 등에 관한 이 론적 고찰을 비롯하여 닥터지바고의 공연예술의상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컨셉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공연예술 의상디자인 작품제작의 전개과정을 살 펴보았다. 그러므로 뮤지컬 공연예술 의상디자인은 극의 분위기를 좌우할 뿐 아니라 배우들과 관람자들에게도 너무나도 중요한 표현도구로서 공연예술의 요소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문화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뮤지컬 공연예술의상의 위상은 독 립된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때에 뮤지컬 공연예술의상 제작에 관한 연구를 하므로서 외국의 오리지널 작품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현 실을 파악하고 새로운 뮤지컬 공연예술의상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일조하길 기 대한다.
Ⅰ. 서론
1. 연구목적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 콘텐츠 산업이 발달하고 공연예술문화의 세계화 가 이루어지면서 문화수준이 향상되었다. 문화 콘텐츠 사업에서 가장 선두적 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공연사업인데,1) 공연사업은 공연 콘 텐츠의 기획, 제작, 유통, 공연과 관련된 공연 콘텐츠의 모든 산업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공연예술에 수익성과 효율성 등 산업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 다. 최근 들어 몇 년간 우리나라 공연예술문화 분야에서 뮤지컬의 비중은 과 거와 현격히 차이가 날 정도로 예전에 비해 훨씬 높아졌고 각광을 받고 있는 데, 뮤지컬은 현대인의 문화적 욕구를 가장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예술형태 로서 감성을 자극하는 판타지적 스토리, 화려한 율동감과 무대장치, 빠르게 감응되는 음악이 조화되어 있는 공연예술로서 대중성과 오락성을 갖춘 종합 적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뮤지컬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연예술의상은 작품이 표현하고자 하는 메 시지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도록 형상화하는 무대예술이다. 또한 공연을 관람 하는 관객들은 배우의 공연예술의상을 통해 극의 시대와 인물의 성격과 사회 적 지위, 역할 등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뮤지컬 「닥터 지바고」는 2005년 미국에서의 시험 공연을 시작으로 2011 년 호주에서 초연되었고, 2012년 한국에서도 공연되었다. 이들 공연에서의 공연예술의상은 20세기 초기 러시아풍의 코삭 캡과 모피가 장식된 맥시 코 트, 테일러드 재킷과 트렌치 코트, 셔츠 웨이스트 블라우스와 고어드 스커트 가 착용되었다. 현재까지 공연되어진 뮤지컬 「닥터 지바고」의 의상은 단조 롭고 모호할 뿐, 2013년 영국 런던과 2014년 미국 뉴욕에서 예정된 공연의 의상에는 아직 체계화 되어있는 새로운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과 공연예술의상의 개념정리 및 이론적 배 1) 서지성(2005). 「뮤지컬 ‘불의 검’ 공연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p.1.
경을 통해 공연예술의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뮤지컬 「닥터 지바고」의 시대 적 배경인 1900년대의 이미지를 찾아내어 현대적 트렌드와 결합해서 현대인 의 감성 코드를 표현 할 수 있는 의상으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 불어 극에서의 인물의 사고와 행동, 즉 인물의 성격을 반영한 디자인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여 극대본과 음악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Boris Pasternak)의 대표작 「닥터 지바 고(Doktor Zhivago)」를 뮤지컬로 만들어 2011~2012년 국내외에서 공연된 뮤 지컬 「닥터 지바고」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 제작을 위한 공연예술의상 디자인의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뮤지컬과 공연예술의상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역사와 같 은 이론적 배경을 국내외 도서자료와 선행 연구논문을 통해 조사하였고,「닥 터 지바고」의 작품분석은 각종 문헌자료 및 보도자료, 시각화 자료, 웹 사 이트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현대 패션트렌드와 20세 기 초기의 복식은 문헌자료와 신문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공연의상과 무대장치와의 조화, 조명효과, 분장과의 일치성 등 무대장치 및 분장에 관한 효과는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2)하였으며 이 연구의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원작과 뮤지컬에서의 시대적 배경과 시대의 복식을 조사하 여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하였으며, 그에 따른 중심인물의 의상을 디자인하 고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뮤지컬의 역사를 살펴보 았다.
둘째, 공연예술의상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공연예술의상 디자인의 요소 를 알아보았다.
2) 범서희·이인성(2010).「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에 나타난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한국복식학회 지 제4호. 통권143호, 2010년 5월. p.46.
셋째,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살펴본 뒤「닥터 지바 고」의 원작 줄거리를 첨가하고, 주요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넷째,「닥터 지바고」의 뮤지컬, 영화, TV시리즈를 작품개요를 조사하고 의상 분석하였다.
다섯째, 극의 시대적 배경과 복식, 현대의 패션트렌드, 기존의「닥터 지바 고」의상들을 분석하여 고찰해온 내용을 바탕으로 컨셉에 맞는 의상을 디자 인하고 제작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뮤지컬과 공연예술의상
1) 뮤지컬의 개념 및 구성요소
(1) 뮤지컬의 개념과 종류
뮤지컬은 음악, 특히 노래를 중심으로 하는 노랫말과 춤이 연극 줄거리 및 연기와 결합하여 대중성을 가지고 무대 위에서 실연되는 공연물을 말한다.3) 21세기의 문화콘텐츠 사업 일환인 공연예술 중 많은 관객으로부터 관심 받으 며 교류하고 있는 예술형태인 뮤지컬은 19세기말 영국과 미국에서 발생한 오 락적인 음악극의 한 범주로 불과 100년의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다양 한 예술 장르가 혼합되어 있는 예술형태로서 현대인의 문화적 욕구를 가장 적절히 해소해주고 있는 대중오락 공연물이다. 뮤지컬은 음악, 연기, 안무, 무대 매커니즘의 종합구성 되어 관객과 같이 호흡하고 교류하는 무대예술이 다. 뮤지컬은 소재가 다양하고, 지역성을 탈피하여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공연예술로 정립이 되어 가고 있기에 많은 관객과 만날 수 있는 새로운 형태 의 공연양식이라 정의하고 최상의 종합예술이라 표현 할 수 있다.
20세기 초의 유명한 연극예술가인 그레이그는 뮤지컬에 대한 정의를 다음 과 같이 말했다. “뮤지컬은 연기나 드라마가 아니며 또한 무용도 음악도 아 니다. 그러나 뮤지컬은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예술이다. 뮤지컬에서의 연기 는 심오한 인간의 영혼세계를 표현하고 드라마는 인간들의 갈등을 신체적으 로 표현하며, 음악은 주인공들의 뜨거운 가슴을 열고, 무용은 각 장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극적 구성을 떠받친다.”4)
결국 뮤지컬이란 극본과 음악, 안무 등의 모든 것이 혼합되어 하나의 작품
3) 주화영(2011). The music of the musical -뮤지컬 작품의 이해와 분석-. 세종대학교 공연예술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
4) 윤진영 지음(2009). 명작 뮤지컬 100% 감상하기. 동행, pp.10-11.
으로 만들어져 관객과 만나는 형태의 공연양식이라 할 수 있으며, 뮤지컬 양 식은 음악과 연기와 안무를 매끄럽게 통합한 무대라고 정의된다.
뮤지컬은 양식별·내용별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때로 어떤 공연은 두 가지 이상의 범주에 동시에 들기도 하며 장르가 모호한 경우도 있다.5) 대표 적인 뮤지컬 몇 가지로 뮤지컬의 종류를 살펴보겠다.
먼저 양식별로 뮤지컬의 종류를 구분할때는 레뷰와 컨셉뮤지컬, 록뮤지컬, 오페레타와 오페라틱 뮤지컬로 분류할 수 있다<표 1>.
① 레뷰(revue)
흥행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뮤지컬이기에 관객들이 부담을 갖지 않고 가장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뮤지컬의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1930~1940년대에 흔 히 볼 수 있었던 공연양식으로 노래와 이색적인 춤, 풍자적인 볼거리를 위주 로 실험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독특한 연극이었다.
② 컨셉 뮤지컬(concept musical)
시사적인 문제를 언급하는 뮤지컬 레뷰의 일종으로 대개는 무겁고 심각한 주제를 담고있다. 작품 속에서 개별적인 사건의 나열을 말하는 플롯(plot)이 거의 없으며 간단한 상황만이 있을 뿐이다. 특정 주제를 갖고 진행이 되지만 특기할 만한 플롯을 갖지는 않고 에피소드 나열 형식으로 여러 가지 일들이 혼재되며 극이 결말로 이어지게 된다.6)
③ 록 뮤지컬(rock musical)
록 뮤지컬은 전자기타와 드럼소리, 마이크 음향이 전자적으로 증폭된 음악 이 지배적인 작품을 지칭한다. 1960년대 초부터 1970년대가 록 뮤지컬의 전 성시대였으며 우크라이나 민속음악의<지붕 위의 바이올린(1964)>와 마약에 중독된 히피들의 이야기를 그린 <헤어(1968)>가 대표작이다.
5) 이지선(2009). 체계적인 무대의상 디장인 과정의 연구-뮤지컬 「드라큘라」를 중심으로-. 상명 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
6) 손정섭 지음(2001). 뮤지컬 Oh! 뮤지컬 : 매니아를 위한 뮤지컬 전문서. 북스토리, p.159.
종류 특징 레뷰
(revue)
흥행이 최우선 목적인 연극.
풍자적인 볼거리에 노래와 춤을 제공함.
컨셉 뮤지컬 (concept musical)
심각한 시사적 문제를 주제로 담고있음.
에피소드들이 혼재되어 극의 결말로 이어짐.
록 뮤지컬 (rock musical)
전자 음악이 작품을 지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접목.
오페레타 (operetta)
19세기 후반에 발달한 대중적 음악희극.
대중적 악극형식으로서 현대 뮤지컬에도 많은 영향 을 끼침.
오페라틱 뮤지컬
(operatic musical) 대사가 없는 뮤지컬로 플롯에 의해 진행 .
④ 오페레타(operetta)
오페레타라는 용어는 19세기 후반의 유럽 음악 양식에 사용된 악곡과 허구 적이고 낭만적인 줄거리들로 꾸며진 옛 스타일의 작품을 가리켜 이르는 단어 이다. 19세기 프랑스 파리에서, 일년 동안 일어났던 일들을 연말에 풍자적으 로 연출한 것이 유래이다. 한 옥타브 정도의 음역을 사용하여 메조 바리톤을 주로 사용한다면 오페레타는 두 옥타브를 사용하여 소프라노나 테너를 사용 하므로 그만큼 전문적으로 훈련된 가수가 필요하다.7) 캉캉·갤럽·왈츠·폴카 등 춤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음악을 극대화시켰다는 점에서 오페 라와 흡사하다.8)
⑤ 오페라틱 뮤지컬(operatic musical)
오페라틱 뮤지컬은 일정 플롯에 의해 통일성 있는 극이 진행되는 형식으 로, 대사가 없는 뮤지컬이다. 이야기의 줄거리를 잃지 않고, 극장성을 높이 기 위해 음향과 조명, 특수효과 등을 동원하며, 배역들의 프로덕션 넘버까지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기도 한다.
<표 1> 뮤지컬의 종류 (양식별)
7) 이지선(2009). 체계적인 무대의상 디장인 과정의 연구-뮤지컬 「드라큘라」를 중심으로-. 상명 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8) 네이버 지식in. 자료검색일 2012, 10, 22일, 자료출처 http://kin.naver.com
종류 특징 뮤지컬 코미디
(musical comedy)
코미디에 기초를 둔 희극적인 뮤지컬.
해피엔딩이 대부분임.
뮤지컬 플레이 (musical play)
음악을 넣은 연극 형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삽입된 노래들이 극과 밀접한 관계를 갖음.
내용에 의해 뮤지컬의 종류를 구분 지을때는 크게 뮤지컬 코미디(musical comedy)와 뮤지컬 플레이(musical play)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종류가 혼 합되어있는 경우도 있지만, 뮤지컬 코미디가 뮤지컬 플레이보다 내용에서는 가볍고, 극의 구성 또한 약한 편이다. 반면에 뮤지컬 플레이는 단단한 구성 에 주제도 환상적이거나 현실도피적이지 아니며 삽입된 음악들도 작품과 밀 접한 관계를 갖는다<표 2>.
[1] 뮤지컬 코미디(musical comedy)
뮤지컬 코미디는 영국의 코믹 오페라가 19세기 말에 미국으로 옮겨져 조금 더 극적인 노래와 춤이 어우러진 뮤지컬이다. 가벼운 플롯과 코미디적인 시 추에이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절묘한 위트가 넘치며 대부분이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청중들의 웃음을 유도하고 과장된 표현으로 심지어 놀라게까지 하는 등의 코미디에 기초를 둔 형태이다.9)
[2] 뮤지컬 플레이(musical play)
뮤지컬 플레이는 음악을 포함한 연극 형식을 모두 이르는 말로 음악극이라 도 한다. 진지한 목적의식을 가졌다는 점에서 뮤지컬 코미디와 구분10)된다.
뮤지컬 플레이는 구성이 단단하고 주제도 환상적이거나 현실 도피적이 아니 며 삽입된 노래들도 극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11)
뮤지컬 플레이의 형태를 자세히 구분지어 정리하면 <표 3>과 같다.
<표 2> 뮤지컬의 종류 (내용별)
9) 손정섭. 전게서, p.161.
10) 스티븐 시트론. 정재왈·정명주 역. 전게서, p.47.
11) 서지성(2005). 「뮤지컬 ‘불의 검’ 공연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p.41 재인용.
종류 특징 북 쇼
(book show)
진지한 주제를 다룸.
극적 구성이나 스토리가 우위를 차지함.
스펙타클 쇼
(spectacle show) 화려한 특별 효과에 주안점을 두었음.
스타 비이클
(star vehicle) 스타 중심의 쇼 형태.
앙상블 쇼
(ensemble show) 소규모의 북쇼 형태.
① 북 쇼(book show)
북 쇼는 노래와 춤의 요소보다 대본의 극적 구성이나 스토리가 더 우위를 차지하므로 진지한 주제를 다룬다. <사운드 오브 뮤직(1959)>와, <아가씨와 건달들(1950)>, <미스 사이공(1991)>이 대표적인 예이다.
② 스펙타클 쇼(spectacle show)
스펙타클 쇼는 무대장치나 공연예술의상, 안무 등의 효과에 주안점을 둔 뮤지컬로 1970~1980년대에 인기를 끌었다. 대표적 뮤지컬로는 <에비타 (1978)>와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1971)>가 있다.
③ 스타 비이클(star vehicle)
스타 비이클은 노래와 춤, 연기력 등을 두루두루 갖춘 스타를 중심으로 이 루어지는 쇼이다.
한명의 스타를 염두에 두고 쓰여지며 노래, 춤, 연기 등 그 스타에 의해 모 두 수행된다. 대표적 뮤지컬로는 <지붕위의 바이올린(1964)>가 있다.
④ 앙상블 쇼(ensemble show)
앙살블 쇼는 북 쇼와 같은 형태이지만, 좀 더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뮤지컬 을 뜻한다. 적은 인원과 단일 세트, 최소한의 예산으로 주로 소극장에서 공 연된다. <가스펠(1971)>과 <넌센스(1991)>가 대표적인 예이다.
<표 3> 뮤지컬의 플레이 종류
이 본문에서 연구하는 뮤지컬 「닥터 지바고」의 경우는 문학성 높은 소설 을 각색하여 만들었고 탄탄한 스토리를 가졌으므로 북 쇼(book show)에 내재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2) 뮤지컬의 구성요소
한 편의 뮤지컬이 탄생하기까지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극본과 가사, 음악, 안무, 연출이다. 이 다섯 가지의 구성요소가 각자의 역할을 다하여 균형있게 형성되어야 대중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다.
[1] 극본
뮤지컬의 기본 토대라 할 수 있는 극본은 작품의 내용으로서 공연의 음악, 안무, 연기를 만들어 내는 바탕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극본이 탄탄하고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잘 전달되어진 작품이 많은 사랑을 받기에 문학성이 높고 주제 의식이 뚜렷한 소설이나 희곡 등을 각색 하여 만든 뮤지컬들이 많다. <맨 오브 라만차(Man of LaMancha)>와 <레미제 라블(Les Miserable)>이 대표적인 예이다.
치밀하고 짜임새 있는 극본이 첫 단계로 준비가 되어야 다음 단계의 음악 과 안무가 보다 극대화 될 수 있다. 탄탄한 구조속에서 간결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와 마찬가지로 뮤지컬 대본에서도 모든 마디가 계산되어야만 한 다.12)
[2] 가사
대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뮤지컬 가사는 극의 전체적인 흐름을 반영해야 하고 알아듣기 쉬워야 한다. 또한 뮤지컬의 노래는 극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 주기 때문에 음악의 선율과 가사의 균형이 중요하다.
작곡가들은 이러한 가사의 중요성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작곡가와 콤비를 이
12) 스티븐 시트론. 정재완·정명주 옮김(2001). 뮤지컬. 열린 책들, pp.64-65.
루어 함께 일하는 작사가를 두는 경우가 많다. 앤드류 로이드 웨버(Andrew Lloyd Webber)와 팀 라이스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13)
[3] 음악
작품의 분위기와 극본의 흐름에 맞는 음악이 만났을 때야말로 휼륭한 작품 이 탄생될 수 있다. 뮤지컬에서 음악은 극본과 마찬가지로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요소로 균형있는 가사와 음악의 멜로디를 통해 메시지와 내용을 전달 한다. 뮤지컬의 노래들은 뮤지컬 넘버라고 부르는데 극 안에서 불려지는 노 래에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선율, 악기들이 함께 등장한다.
뮤지컬 음악은 서곡과 오프닝 넘버, 메인 'I Want'송, 프로덕션과 넘버와 아리아, 반복 연주, 쇼 스타퍼, 헤드 뮤직, 피날레와 커튼 콜로 구성되어 있 다<표 4>.
① 서곡(overture)
서곡은 극 시작 전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것으로 관객을 음악에 미리 익 숙하게 하고 극의 분위기를 빨리 파악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서곡을 통해 시대적 배경과 등장인물, 장소와 극의 총체적인 분위기를 한꺼번에 소 개함으로써 극의 처음 단계 긴장감을 떨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오케스트라 만 단독으로 연주하기도 하지만, 대사나 극으로 시작되어 음악이 자연스레 도입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펜잔스의 해적(The Pirates of Penzance)>(1879)의 서곡은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시작하고, <오페라의 유령 (The Phantom Of The Opera)>(1986)은 원숭이 장난감을 경매에 출품하는 장 면으로 시작되어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 테마의 장엄 한 오르간 연주와 강렬한 비트가 어우러진 서곡이 연주되면서 본격적으로 극 이 시작된다.
② 오프닝 넘버(opening number)
오프닝 넘버는 서곡이 끝난 후 연주되는 곡이나 코러스들의 합창을 말하며
13) 윤선경의 뮤지컬 데이트. p.23.
오프닝 코러스(Opening chorus)라고도 일컫는다. 오프닝 넘버를 통해 등장인 물들과 작품 배경들을 소개하고 관객의 집중과 분위기 안정을 찾게 한다. 대 부분 활력있고 힘차게 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포기와 베스(Porgy and Bess)>(1935)의 ‘섬머타임(Summertime)’과 <라이온 킹(Lion King)>(1997) 의 ‘써클 오브 라이프(Circle of Life)’를 예로 들 수 있다.
③ 메인 ‘I Want’송
메인 ‘I Want’송은 한 명 이상의 주연배우가 자신의 소망을 드러내는 곡 으로 대부분 I wish, I've got to, I want 라는 구가 들어간다. <엘리자벳 (Elisabeth)>(2012)에서 엘리자벳이 자유를 외치는 장면의 ‘나는 나만의 것’이 여기에 속한다.
④ 제시(exposition)
제시는 진행될 극의 시작 전에 어떤 상황이 선행되었는가를 알려주고 중요 소재를 제시하는 부분이다. 뮤지컬에서는 주로 노래를 통해 전달되며 분명한 발음으로 정확한 가사전달이 요구된다.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의‘나를 생각해줘요(Think of Me)’를 예로 들 수 있다.
⑤ 프로덕션 넘버(production number)
프로덕션 넘버는 일반 연극이나 음악극과 확연히 구분되는 뮤지컬의 주요 특성이다. 대부분 1막의 중간부분이나 1막의 끝, 또는 2막의 첫 부분에서 나 오는 것으로 한 작품에 보통 2회 정도 소개된다. 모든 요소들이 총동원되어 화려하고 웅장하게 연주되는 곡으로 극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다. <오페 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1986)의 ‘가면무도회(Masquerade)’
와 <42번가(42nd Street)>(1980)의 ‘42번가(42nd Street)’가 대표적인 예 이다.
⑥ 아리아(aria)
아리아는 흔히 남녀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사랑의 환희, 비극, 작품의 주제
를 담고 있는 클라이막스 부분의 이중창 또는 독창이 대부분이며, 뮤지컬의 백미로 ‘밤 11시 정가의 노래(eleven o'clock number)’라고도 일컬어진다.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1986)의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이 좋은 예이다.
⑦ 반복 연주(reprise)
극의 중요한 순간에 앞의 노래가 다시 연주되는 것을 뜻하지만, 반드시 같 은 선율이 반복되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 변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극의 상 황이 변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한 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드러낸다. 예를 들 면,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의 서곡이었던 오르간 연주 가 제1막 4장에서 두 남녀 주인공의 노래로 또 다시 등장하거나, <집시 (Gypsy)>(1959) 시작부분의 ‘즐겁게 해드려도 될까요?(May I Entertain You?)’의 클라이막스 장면에서 ‘즐겁게 해드리죠(Let Me Entertain You)’
로 변형되어 불려지는 것, <에비타(EVITA)>(1978)에서 에비타의 남편이 대통 령이 되어 연설하는 장면과 병에 걸려 죽음을 앞두고 국민들에게 마지막 인 사를 하는 장면에서 함께 사용된 ‘Don't Cry Me Argentina’가 그 예이다.
⑧ 쇼 스타퍼(show stopper)
쇼 스타퍼는 유머러스한 노래나 연기를 작품에 삽입시켜 극의 방향을 살짝 우회하거나 기분전환의 역할을 맡은 요소이다. 관객의 박수나 환호로 인하여 극의 진행이 끊어지게 되는 경우를 말하기도 한다.<넌센스(Nunsense)>(1985) 에서 원장수녀가 자신의 옛 이야기를 들려주며 부르는‘비쳐요 스포트라이트 (Tum up the spotlight)’를 통해 이 형식을 알아 볼 수 있다.
⑨ 헤드 뮤직(head music)
헤드 뮤직은 뮤지컬의 메인이 되는 멜로디나 테마곡이다. <캣츠 (Cats)>(1981)의 ‘메모리(Memory)’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⑩ 피날레(finale)
클라이막스 이후에 사건이 해결되고 주제곡이 연주되는 장면을 피날레라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음악은 극의 흐름상 당연한 결말이라는 느낌을 관객에 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무리 속에 묻혀서 주목받지 못하는 댄서들의 입장 을 대변한 <코러스 라인(A Chorus Line)>(1975)은 단 한명의 스타를 선정한 다는 내용의 ‘하나(One)’라는 곡으로 극을 마무리한다. 또 <포기와 베스 (Porgy and Bess)>(1935)에서도 주인공 포기가 베스를 찾아 뉴욕으로 갈 결 심을 하며 코러스와 함께 부르는 ‘내 길을 가네(I'm on my way)’로서 극이 끝이 난다. 반복연주를 사용하여 피날레를 장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관 객의 호응을 주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나와 내 여자(Me and My girl)>(1937), <오클라호마!(Oklahoma!)>(1943), <헬로 돌리!(Hello, Dolly!)>(1964)가 반복연주를 사용하여 피날레를 장식한 작품들이다.
⑪ 커튼 콜(curtain call)
연극이나 오페라, 뮤지컬 등에서 공연이 훌륭하게 모두 끝나고 막이 내린 뒤 퇴장한 배우들이 무대로 다시 등장해 관객들의 찬사의 표현과 환호, 박수 갈채에 답하는 의미로 극중의 중요 멜로디나 아리아를 짧게 다시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커튼콜을 받은 출연진들은 감사의 인사나 앙코르공연으로 답한다. 연극이 나 음악공연에서 몇 번의 커튼 콜을 받았느냐는 그 공연이 얼마나 성공적이 었느냐를 일차적으로 가늠하는 잣대가 되기도 하다.14) 또 최근에는 관객의 당연한 매너로서, 연출의 일부로서 형식적으로 행하여지는 경우도 많다.
14) 네이버캐스트. 자료검색일 2012, 10, 25일,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
200000000&docId=1149620&mobile&categoryId=200000756
종류 설명 서곡
(overture) 작품 시작 전 오케스트라에 의해 연주되는 곡.
오프닝 넘버
(opening number) 서곡이 끝난 후 연주되는 곡 혹은 합창.
메인 ‘I Want’송
1막의 시작부분에 등장하여 한 명 이상의 주연배우 가 자신의 소망을 드러내는 곡으로 대게 I wish, I've got to, I want 라는 구가 들어가는 곡.
제시
(exposition) 극의 배경과 현 상황을 설명해 주는 음악.
프로덕션 넘버 (production number)
뮤지컬의 모든 요소를 등장시킨 하이라이트가 되는 곡.
아리아 (aria)
남녀 주인공의 사랑이나 환희, 비극을 묘사하거나 주제를 담고 있는 뮤지컬의 백미.
반복 연주 (reprise)
앞서 연주된 곡이 그대로 혹은 변주되어 다시 연주 되는 곡.
쇼 스타퍼
(show stopper) 관객의 열렬한 환호나 박수를 받게 되는 곡.
헤드 뮤직
(head music) 뮤지컬의 메인이 되는 멜로디나 테마.
피날레 (finale)
감정의 최고조를 유발하여 관객에게 인상을 남기는 곡으로 작품 중 가장 감정적인 노래를 재현하는 곡.
커튼 콜 (curtain call)
공연이 끝난 후 모든 배우들이 나와 극의 하이라이 트 부분을 다시 보여주고 들려주는 부분
<표 4> 뮤지컬 음악의 구조15)
뮤지컬의 노래 종류는 보편적으로 발라드 송, 코미디 송, 참 송, 아이엠 송과 아이 원트 송, 스페셜 머티리얼로 나누어진다.<표 5>.
15) 윤선경 지음(2007). 윤선경의 뮤지컬 데이트. 대광 서림, p.24.
① 발라드 송(Ballad song)
발라드 송은 연가, 즉 사랑 노래로서, 연인의 사랑을 노래하고 관객의 감 성에 호소한다. 때문에 가사보다는 선율의 아름다움에 중점을 둔다. 대표적 인 예로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1986)의 크리스틴과 라 울의 ‘원하는 건 그대뿐(All I A나 of You)’, <미스 사이공(Miss Saigon)>(1989)의 킴과 크리스의 이중창인 ‘해와 달(Sun and Moon)’, 을 들 수 있다.
② 코미디 송(Comedy song)
코미디 송은 즐거움과 웃음을 유도하기 위하여 삽이 되는 곡이다. 등장인 물들의 코미디 연기가 잘 발현되는 역할이다. 단순하고 쉬운 것이 특징이고,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절묘한 순간의 등장이 필수적이다. <아가씨와 건달 들(Guy and Girls)>(1950)의 ‘앉아! 배 뒤집어진다고!(Sit Down! You're Rocking the Boat)’와 <맨 오브 라만차(Man of La Mancha)>(1964)가 이에 속한다.
③ 참 송(Charm song)
참송은 발라드 송과 코미디 송의 중간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낭만적이고 낙천적인 내용이 많고, 등장 인물간의 화합이나 갈등 상황에 자주 등장한다.
여러 등장인물들의 중창이나 합창으로 함께 어우러지기도 하고, 독창으로 불 리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왕과 나(The King and I)>(1951)의 ‘쉘 위 댄 스(Sall we me?)’와 <지붕위의 바이올린(Fiddler on the Roof)>(1964)의
‘나를 사랑하세요?(Do you love me)’등을 들 수 있다.
④ 아이 엠 송(I Am song)
아이엠 송은 등장인물이 관객에서 상황이나 자신을 설명하는 노래이다.
<미스 사이공(Miss Saigon)>(1989)의 ‘해와 달(Sun and Moon)’과 <서푼짜 리 오페라(Die Dreigroshenoper)>(1928)의 ‘해적 제니(Seerauber-Jenny)’
를 예로 들 수 있다.
⑤ 아이 원트 송(I want song)
아이원트 송은 극의 전개를 미리 예시하는 곡이다. 상황이 전개되기 전, 상황을 암시하는 해설적인 측면이 많다. 이 노래 이후에 극이 발전되거나 갈 등 구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애니여, 총을 잡아라(Annie Get Your Gun)>(1950)의 ‘쇼 비즈니스 만한 사업이 없지(There's no business like show business)’와 <셜록홈즈(Sherlock Holme)>(2012)의 ‘내가 원하는건 (All I Want)’이 이에 속한다.
⑥ 리드 송(Lead Song)
리드송은 작품을 이끄는 노래로, 테마송이라고도 한다. 이 곡은 서곡이나 반복연주곡으로 극 중에 여러번 편곡되어 연주된다.16) 예를 들자면, <오페라 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1986)의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과 <캣츠(Cats)>(1981)의 ‘메모리(Memory)’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⑦ 스페셜 머티리얼(special material)
스페셜머티리얼은 연기자의 가창력과 기량을 관객에게 마음껏 보여줄 수 있는 노래 형식이다. 독창과 합창이 큰 규모로 함께 이루어지는게 보통이며, 극의 클라이막스나 막의 피날레 장면에 많이 사용된다.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1980)의 ‘사람들의 노래 소리가 들리는가?(Do you hear the people sing?)’와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1986)의‘가 면무도회(Masquerade)’, <영웅(Hero)>(2009)의‘누가 죄인인가’등이 있다.
16) 이진아(2011). 뮤지컬의 역사와 양식.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0.
종류 설명 발라드 송
(Ballad song)
극중의 연인관계에서 주로 불리어지고 멜로디가 중 요한 노래
코미디 송 (Comedy song)
주로 쇼 스타퍼가 부르게 되는 단순하고 어렵지 않 은 노래로써 멜로디보다는 가사 전달이 중요한 노 래
참 송 (Charm song)
낙천적이고 낭만적인 내용으로 발라드 송과 코미디 송의 중간 형태인 노래
아이 엠 송
(I Am song) 관객에게 상황과 인물을 설명하는 노래 아이 원트 송
(I want song)
주인공이 극의 전개를 미리 알려주는 기능을 가진 노래
스페셜 머티리얼 (special material)
대부분 극의 클라이막스 부분에서 이루어지며, 배 우의 가창력을 마음껏 보여줄 수 있는 합창과 연주 가 함께 된 노래
<표 5> 뮤지컬의 노래 종류
뮤지컬 「닥터 지바고」의 경우 극 초반에는 밝은 분위기의 코미디 송 (Comedy song)과 참 송(Charm song), 주인공의 상황을 나타내는 아이 엠 송 (I Am song), 아이 원트 송(I want song)이 이어지고, 극 후반부에는 주로 남·녀 주인공의 사랑을 나타내는 발라드 송(Ballad song)과 아이 원트 송(I want song), 스페셜 머티리얼(special material)이 불려졌다.
[4] 안무
뮤지컬에서 안무는 배우의 내면 감정과 배우들 간의 갈등을 직접 몸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뮤지컬만이 갖고 있는 강한 특징을 제공하는 요소이다.17) 뮤지컬 안무를 통해 등장인물의 정서와 성격을 표현하기도 하고, 극의 갈등 이나 관객과의 교류를 상승시키기도 한다. 작품의 분위기에 따라 현대무용, 고전무용, 마임, 힙합, 발레 등 다양한 춤이 활용되는데 안무가는 창의성을 17) 유선아(2007). 뮤지컬「루나틱」의 무대의상 디자인. 경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종류 설명 오프닝 넘버
(Opening number) 극의 처음에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등장용 댄스.
독무 (Solo)
배우가 혼자서 인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깊이 있는 표현의 댄스.
듀엣 (Duet)
주로 사랑을 그려내는 남녀 한쌍의 낭만적인 장면 에서 사용되며, 상호간의 협력이 필요한 댄스.
앙상블 (Ensemble)
두 사람 이상의 배우들이 극 중 인물들의 화합이나 대립을 표현하는 댄스.
프로덕션 넘버 (Production
number)
합창곡과 공연되는 경우가 많으며, 화려하고 장엄 한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댄스.
발휘해 극에 맞는 안무를 고안하고 표현해내야 한다. 또한 대사나 노래 없이 오로지 춤 동작만으로 어느 한 장면을 연출 할 때 연출가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며, 음악적 틀 안에서 작업을 하는 한에 있어서는 음악가의 역할도 수행 해야 한다.18)
뮤지컬 안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창의성인데, 멋있는 동작 보다는 극적 동기의 타당성에 입각해 그 안에서 창의성을 발휘해야 하며 연기에서 출발된 정서적인 춤과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기능적인 춤을 음악과 연출의 효과적인 조율을 거쳐 표현해내야 한다.19) 이러한 안무들은 표현 방식과 출연 규모에 따라 오프닝 넘버, 독무, 듀엣, 앙상블, 프로덕션 넘버 등의 유형으로 나누 어 정리할 수 있는데, 여러명이 함께 호흡하는 군무는 뮤지컬이 가진 매력 중 하나다.
이와 같은 안무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표 6>과 같다.
<표 6> 뮤지컬의 안무의 종류
18) 전보경(2010). 뮤지컬 안무의 특성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1.
19) 서지성(2005). 뮤지컬 ‘불의 검’ 공연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6.
뮤지컬 「닥터 지바고」는 안무보다는 노래와 스토리가 더 우위를 차지하 는 북 쇼(book show)의 일종이기 때문에 타 작품보다는 안무의 화려함이 조 금 덜하지만, 오프닝 넘버(Opening number)와 듀엣(Duet), 앙상블(Ensemble) 은 흥미롭게 전개되었다.
[5] 연출
연출가는 작품 선정과 연기자 캐스팅, 스태프 채용 등 작품의 모든 것을 담당하고, 제작자와 공연 참가 인원들과 함께 의견을 조율하며 작업하고 책 임지는 중심인물이다. 작품의 완성도 또한 연출가에게 책임이 돌아간다. 따 라서 연출가는 뮤지컬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추고 있 어야 하며 참가자들이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살펴 주는 역할도 맡아야 한 다.
뮤지컬 「닥터 지바고」의 2012년 한국 공연은 미국의 영화감독 겸 뮤지컬 연출가 데스 맥아너프(Des McAnuff)가 총괄 지휘를 맡아 역동적인 극 전개, 연출과 조화를 이루는 서정적인 음악을 성공적으로 표현해냈다.
2) 뮤지컬의 역사
뮤지컬은 미국에서 시작된 대중 예술의 한 형태로 음악, 안무, 연기가 어 우러져 만들어진 공연의 한 양식이다. 현대 뮤지컬은 18세기에서 20세기에 거쳐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했던 오락물들의 다양한 형태에서 그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다.20)
(1) 외국 뮤지컬 역사
중세 이후 연극예술에 음악의 사용은 점차 직업화, 전문화 되어갔다. 16세 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시대에 본격적 음악극인 오페라의 탄생으로 음악과 무
20) 윤선경의 뮤지컬 데이트. p.11.
용이 가미된 극형식은 예술적 가치가 높아졌지만, 초기 오페라는 처음부터 귀족계금의 형식으로 자리잡아 서민대중과는 거리가 먼 예술이었다. 이후 18~19세기를 거치는 동안 산업혁명이 일어남에 따라 서민대중들의 요구에 부 응할만한 극형식으로 뮤지컬 선구적인 극 형태라 만들어졌으나 형태적 구성 으로 볼 때 최초의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존 게이(John Gay)의 「거지 오페 라(The Begger's Opera)」(1729)이며, 이 작품은 런던 연극사에서 가장 오래 된 작품으로 희가극의 기본이 되었다.21) 이 희가극은 뮤지컬의 토대가 되었 다.
뮤지컬은 19세기말 영국의 런던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그 당시 영국을 제 외한 유럽 각국에서는 상류층이 즐기는 오페라와 대중이 즐기는 오페레타가 성황을 이루고 있었는데, 영국에는 오페라의 전통이 없어 다른 유럽 국가들 의 오페라와 오페레타를 수입하고 있었다. 그러다 19세기 말 정치적·경제적 으로 부유하고 강해진 영국은 오락물을 급조하게 되었는데, 그때 불려진 이 름이‘뮤지컬 화스(Musical farce)’였다. 다음에는‘뮤지컬 코메디(Musical comedy)’라는 명칭이 붙여졌는데, 희극과 노래, 춤과 미녀들을 총 동원한 무대로 성공을 거두었다. 영국에서 시작된‘뮤지컬 코메디’가 미국으로 건 너가면서 뿌리를 내리고 본격적인 양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미국의 뮤지컬은 1920년대, 영국 등 유럽의 오페라타에서 탈피하여 독자적 인 형태를 갖추면서부터 크게 발전했다. 노래와 셰익스피어의 희곡과 오페라 를 혼합한 형태의 악극형태인‘민트럴 쇼’, 가벼운 뮤지컬 극인‘보드빌’, 해학적인 내용을 담은 장막 풍자극인‘벌레스크’등이 공연되면서 미국적인 뮤지컬이 뿌리내릴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되었으며, 1928년 미국의 생활과 정 서를 담은 획기적인 작품‘쇼 보트’가 등장하면서 미국의 뮤지컬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22) 1940년대 미국의 뮤지컬은 눈부시게 향상된 예술성을 갖추게 되었으며, 서민대중들의 대중극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1950년대 이후에는 미국의 뮤지컬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이때부터 미국 의 뮤지컬은 버라이어티 쇼와 같은 성격을 털어내고 전문적이고 예술성을 갖 21) 유선아(2007). 뮤지컬「루나틱」의 무대의상 디자인. 경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3.
22) 네이버 블로그. 자료검색일 2012, 10, 25일,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mrwoon80?Redirect
춘 작품으로 거듭난다. 그때 발표된 현대적 감각의 새로운 작품은 <아가씨와 건달들(1950)>, <마이 페어 레이디(1956)>,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57)>
등이 있다. 1960~1970년대에는 미국 뮤지컬 특유의 낙천적인 면보다는 사회 적 문제 등을 반영시킨 진지한 작품들이 대거 등장했으며, 이 작품들은 예술 성과 문학성을 강조하여 호소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1980년대를 맞으면서 뮤지컬은 공연예술의 상업화를 주도하게 되었다. 또 한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장르로 부상하였고 그 위상이 높아졌다. 특히
<레미제라블(1980)>, <오페라의 유령(1981)>, <캣츠(1981)> 등은 장기 공연 을 할 정도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세계 각지에 공연되면서 많은 관객들에게 사랑을 받고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뮤지컬의 발전사는 대략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뮤지컬이 독특한 공연예 술로 완성된 1930년대가 제1기‘뮤지컬 황금기’,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평 화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가 제2기인‘뮤지컬 발전기’,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뮤지컬의 전환기’, 제4기는 오늘 날의 뮤지컬이다.
'뮤지컬 발전기'의 뮤지컬 특징은 전쟁과 상흔 등 힘들었던 시대현실을 낙 천적이고 긍정적인 세계와 미래의 꿈으로 바꾸고자 했고, 높은 예술성의 작 품을 만들기 위해서 작가와 작곡가, 안무가들의 공동작업에 치중했다.
‘뮤지컬의 전환기’에는 사실적 내용의 사회 주제의 진지한 뮤지컬들이 주 로 창작되어 공연되었고, 예술성·문학성 높은 작품이 선호되고 더욱 강화된 춤이 뮤지컬의 중심이 되었으며, 호소력이 강한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제4기에 속하는 오늘날의 뮤지컬은 전 시기의 특성들과 함께 무엇보다도 첨단 메커니즘을 사용한 무대 예술에 치중하고 있는 특성을 보인다.
(2) 국내 뮤지컬 역사
한국에서 현대적 뮤지컬이 시작된 시기는 세계 최초의 현대적 뮤지컬이 탄 생한지 100년이 지난 1966년 무렵이다. 하지만 더 앞서 뮤지컬과의 양식은
조금 달라도 형식적인 면에서 뮤지컬과 비슷했던 1930년대 우리나라의 악극, 우리의 정서를 담은 창극과 같은 전통 음악극 형식이 먼저 존재했었다. 악극 은 서구 음악극을 모방하여 가수의 노래와 연기, 무용을 추가한 것으로, 공 연 도중에 변사나 삐에로 같은 출연 배우들이 코미디나 만담, 가요, 숨은 장 기 등을 보여주는 막간극이었다. 악극은 시간이 지나 하나의 일관된 줄거리 를 갖추게 되면서 가극이라는 명칭으로 불렸고 조선 악극단, 반도 가극단 등 대표적인 악극단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다가 1950년대 이후 거의 자취를 감추 었다.
우리나라에는 연극형태의 음악극을 시도했던 예그린 악단이 창단되면서부 터 현대적 뮤지컬 공연이 시작되었다. 창단 후 본격적인 뮤지컬 공연을 시작 한 것은 예그린 악단이 단장 박용구, 무용 임성남, 연출 백은선·임영웅, 최 창권 작곡의 <살짜기 옵서예>를 공연하고 부터이다. <살짜기 옵서예>는 음 악, 연극, 무용 등 각 분야의 전문인과 인기인들이 동원되어 당시 큰 호응을 받았고 패티 김이 부른 주제가‘살짜기 옵소예’는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 작품으로 한국 뮤지컬이 화려하게 시작되었다. 그 이후로 예그린 악단은 1974년 [국립 가무단]이란 이름으로 국립극장에 편입되었고, 다시 1974년부 터 [국립 예그린 예술단]이라는 이름으로 국립극장에서 공연을 올리게 되었 다. 이 단체가 [서울 시립 가무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하기 시작한 것은 1977년에 완공된 세종문화회관에 소속되면서 부터이고 1996년 [서울 시립 뮤 지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뮤지컬의 계보를 이어나가고 있다.23)
예그린 악단과 더불어 우리나라 뮤지컬의 현대화에 기여한 공연단체는 현 대극장이다. 1977년부터 꾸준히 뮤지컬 공연에 정성을 기울인 현대극장은 상 업극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빠담빠담>을 비롯해서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 스타(1980)>, <사운드 오브 뮤직(1981)>. <에비타(1981)>,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87)>, <레미제라블(1988)> 등 주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공연하였 다. 극단 민중, 대중, 광장은 1983년 <아가씨와 건달들>을 공동 제작하여 유 례없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이후로 극단 민중, 대중, 광장은 <캣츠(1990)>,
<넌센스(1991)>, <캬바레(1984)>, <레미제라블(1993)> 등을 공연하며 뮤지컬 23) 백민정(2011). 한국 뮤지컬 배우 양성 시스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
위눈문, p.3.
붐 조성에 이바지하고 뮤지컬의 현대화에 기여했다.
한편 뮤지컬 프로덕션 에이콤이 출범하면서 뮤지컬 전문단체를 표방하고 많은 작품을 공연하였다. 에이콤은 1995년 국내에서 공연하였던 창작뮤지컬
<명성황후>를 가지고 1997년 8월 미국의 뉴욕 링컨센터에서 공연함으로써 한 국 뮤지컬 역사의 새장을 열었다.
최근 21세기에 들어‘뮤지컬 빅뱅’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작품들이 공연 되고 뮤지컬 산업이 팽창하였다. 그 기폭제가 된 <오페라의 유령(2001)>이 19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뮤지컬 시장은 산업화의 문턱을 넘었고, 2005 년 처음으로 연간 관객이 100만 명을 돌파하여 2,000억 원의 매출 규모로 뮤 지컬 시장이 커졌다.24) 최근 국내 대기업들의 뮤지컬 진출은 탄탄한 자본을 바탕으로 해외의 대형 뮤지컬을 수입하고, 중소 규모에 머물던 창작 뮤지컬 에도 눈을 돌려 <불의 검(2005)>, <겨울연가(2006)>, <댄싱 섀도우(2007)>
등 규모 있는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뮤지컬의 산업화와 창작 뮤지컬의 활성화 를 촉진하였다.25)
3) 공연예술의상의 정의 및 요소
공연예술에는 수많은 장르가 현존하고 있고 새로운 장르 또한 파생을 기다 리고 있다. 이 수많은 장르의 의상들은 공연예술의상의 특징 및 역할을 기본 적으로 내포하고 있으며 거기에 그 장르만의 고유성이 가미되어 특정사항이 강화되거나 첨가되는 것이다.26)
(1) 공연예술의상의 정의
의복은 신체를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지위와 부, 신념에 대한 외적 장 24) “뮤지컬 관객 年100만 시대”. 조선일보. 2005년 9월 23일, p.2.
25) 김희정(2010). 「한국 뮤지컬의 변천과 뮤지컬 의상의 특성에 관한 고찰」.복식문화연구. 제18 권. 제6호, 2010년 12월. p.1117.
26) 이지선(2009). 체계적인 무대의상 디장인 과정의 연구-뮤지컬 「드라큘라」를 중심으로-. 상 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1.
식목적 이상의 다양한 의미를 부여 받고있으며, 인간의 미적 작품 활동이란 예술적인 표현으로까지 이르게 된다.
특히 무대에서 이루어지는 뮤지컬이나 연극, 오페라, 무용 등과 같은 공연 예술만을 위한 복식을 공연예술의상이라고 하는데, 공연예술의상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입는 일반 의상이 가지고 있는 상품판매를 목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패션 동향에 맞추어 의상 및 기타 보조품목을 구상 및 개발하고 제조, 생산하는 일과는 다르다.27) 무대 예술에 있어서 의상은 공연의 시각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로서 캐릭터의 이미지를 확실히 정립시키며, 극에 대한 재미와 볼거리를 제공하여 극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28)
공연예술의상은 공연의 시각적 예술 표현이라는 목적을 위하여 제작된 표 현성에 치중된 특수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무대 위의 등장인물들의 역할 이나 성격, 극의 시대를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몸에 걸치는 모든 소품을 말하며 의상, 신발, 액세서리, 머리장식 등의 포함된다. 공연예술의상은 관 객들의 시선을 모으고 배우를 극중 인물로 시각화시키는 가장 빠르고 강한 요소 중 하나로서, 등장인물의 성격과 사회적 지위, 나이 등 인물에 관한 많 은 정보와 극의 시대, 장소 등의 극의 흐름과 분위기, 스타일에 관한 정보와 느낌을 정확히 전달하는 시각적 표현방식으로 극의 스타일과 색채 등의 의미 를 더해서 시각예술의 무대를 창출해낸다. 의상은 크게 극중 인물의 성격을 정확하게 표현해 내는 성격 의상, 라스베가스의 쇼걸 의상처럼 장식성만을 강조하는 장식 의상, 16세기 셰익스피어 극처럼 시대를 표현하여 사적인 연 구가 바탕이 되는 시대 의상으로 분류된다.29)
(2) 공연예술의상의 요소
공연예술의상의 요소는 구체적으로 색(color), 선(line)과 실루엣 27) 김현숙 지음(1995). 무대의상의 세계. 고려원, pp.31-32.
28) 조미경(2001). 뮤지컬 「라이언 킹」의 무대의상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p.2.
29) 김희정(2010). 「한국 뮤지컬의 변천과 뮤지컬 의상의 특성에 관한 고찰」.복식문화연구. 제18 권. 제6호, 2010년 12월. p.1114.
(silhouette), 소재(material)로 나눌 수 있고, 무대, 조명, 분장에 의해 방 향이 설정된다. 이 요소들은 극중 등장인물들이 시각적으로 완벽히 용해될 수 있도록, 그리하여 관객들이 단번에 그 역할의 인물임을 쉽게 알 수 있도 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위의 구성요소들의 조화의 중요성으로 볼 때 종 합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30)
[1] 색(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