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의상 디자인에서 소재의 다양화는 시각적 만족을 위해 필요한 요 소이긴 하지만 너무 광범위한 소재와 색상은 오히려 작품의 통일성에 독이 될 수 있다. 전체의 통일성을 위한 디자인 계획을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소 재, 즉 뻣뻣한 정도의 차이에서 오는 질감과 소재의 무게에 따른 성질의 상 호작용으로 실루엣이 결정되게 된다. 이 두 가지 성질에 따라 같은 색의 소 재라도 다른 느낌이 연출된다.33)
소재의 선택은 공연예술의상 디자인에 중요하며, 특성과 효과를 파악하고 인지하여 디자인을 최상으로 만족시켜줄 소재를 잘 선택해야 한다. 딱딱하고 33) 김영삼(2007). 공연제작 매뉴얼 시리즈⑬-무대의상. 중앙대학교 출판부
디자인 사전준비
* 대본읽기 및 분석
* 1차 자료수집 및 관련문헌탐독
* 인물분석 및 배우에 대한 data 모으기
* costume plot 및 costume list 작성 강한 성격의 인물에는 풀기 있고 빳빳한 주름이 잡히는 직물을, 섬세한 성격 의 인물에게는 드레이프성이 강한 직물을 사용한다. 또 엄숙하고 진실한 인 물에게는 광택 없는 직물이 적합하며, 유하고 여성적인 인물에게는 광택이 나는 직물이, 호화스러우며 고급스러운 인물에게는 금·은사를 넣은 직물이 적합하다. 무엇보다 소재의 무게가 무겁거나 움직임에 피해가 되는 옷감은 피하는 것이 좋고, 땀 흡수력이 좋으며 세탁 후에도 실루엣의 변화가 없는, 배우의 움직임을 견뎌낼수 있는 내구성이 강한 소재를 선택하여야 한다.
(3) 공연예술의상의 작업과정
공연예술의상 작업은 단 한명이 전 과정을 수행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에 공연예술의상 디자이너는 조직의 시스템으로 일하게 된다. 공연예술의상 작업의 핵심인 디자인영역과 제작, 공연진행이 여기에 속한다.
공연진행의 경우에는 그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그러 나 장기화되는 공연의 경우 의상이나 소품이 화려하고 장식이 많아서 공연때 마다 수선을 필요로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공연 중 거듭 잦은 의상전환으로 인해 무대 뒤 곳곳에서 의상 퀵체인지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배우 혼자서는 바꾸어 입기 힘든 특수한 의상들로 인해 공연진행 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 하다. 국내의 현재까지 상황은 아직 공연예술의 분야별 세분화가 정리되고 있는 상황에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각 작업과정별 주요 업무는 <표 9>과 같다.
<표 9> 뮤지컬 의상의 작업과정별 주요 업무34)
* 작품의 주 컨셉에 따른 의상컨셉 전개 시키기
실 디자인
* 연출 및 타 스텝진과의 회의 (컨셉의 조율 및 확정)
* 2차 자료수집
* 디자인 전개 및 다듬기
* 원단 및 기타 소재 연구 및 시장조사
* 예산안의 확정
* 최종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스케치 완성
제작
제작준비
* 배우들의 사이즈 재기
* 원단 및 부자재류 구입
* 작업지시서 작성
* 원단 및 부자재 구입처 목록 작성
제작 및 구입
* 제작소에 제작의뢰
* 필요시 원단제작 및 염색
* 자체 제작분 패턴, 재단 및 봉제
* 완제품 및 기타 물품 구입 (액세서리 등)
가봉 및 완성
* 1차 혹은 2차 (필요시 추가) 가봉
*장식 및 수작업 등을 추가하여 최종 완 성
* 완제품의 납품용 패킹
공연진행
의상반입 및 리허설
* 분장실 및 퀵체인지 룸, 의상실의 세팅
* 큐시트의 확정
* costume parade 및 dress rehearsal에 따른 의상의 문제점 점검 및 해결 본 공연 및
공연종료
* 본공연진행
* 의상의 수선, 다림질 및 세탁
* 자료보존을 위한 의상바이블의 제작
* 공연종료 후 철수 및 최종패킹
34) 이지선(2009). 「체계적인 무대의상 디자인 과정의 연구- 뮤지컬 드라큘라를 중심으로」. 상명
(1)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생애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1890년 2월 10일 모스크바의 교양있는 유대인 가정 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레오니드는 예술 학교의 미술교수이자 톨스토이의 소 설집에 삽화를 그리는 화가였고, 어머니는 로자 카우프만은 피아니스트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국제적인 환경에서 자랐는데 소설가 레프 톨스토이, 작곡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교류했던 문화 사교적인 부모님 덕분이었다. 짙은 예술적 분위기에서 성장한 그는 이웃이었던 알렉산 더 스크리아빈의 영향으로 음악가가 될 작정으로 모스크바 음악 학교에 입학 하여 6년간 음악 이론과 작곡을 공부했다. 하지만 음악적 재능이 완숙하지 못하다는 좌절감에 음악을 버리고 돌연 갑자기 철학으로 방향을 바꾸어 모스 크바 대학에서 철학을 수강하고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으로 유학해 그곳에서 신칸트주의 철학자인 헤르만코헨과 니콜라이 하트만의 지도 아래 공부하고 귀국하여 모스크바 대학을 졸업한다. 이후 문학과 철학을 줄곧 공부하며 문 학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글쓰기에 매진하였다. 1914년 그는 당시 러시아 미 래파 작가이자 상징주의 시인인 알렉산더 블록의 영향을 받은 그의 첫 시집
<구름속의 쌍둥이>을 출판하여 자신의 작품을 세상 사람들에게 선보였다. 이 후 꾸준히 시를 써서 계속 출간하며 러시아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자리 잡았 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는 신체상의 문제로 병역이 면제되는 대신 우랄 지 방의 화학 공장에서 근무했고, 혁명 후에는 소비에트 교육부 도서관에서 일 했다. 이곳의 경험이 1957년 완성한 그의 유일한 장편 「닥터 지바고」에 반 영되어 있다. 이 시기는 제정 러시아에서 러시아 혁명을 거쳐 급박하게 변화 하는 상황이었다. 이렇게 시를 쓰는 가운데 그는 당시 러시아 혁명을 비판한 내용을 작품에 조금씩 반영시킨 결과 소련 정부와 작가 동맹의 따가운 눈초
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5.
출생-사망 1890.2.10 ~ 1960.5.30
국적 러시아
출생지 러시아 모스크바
활동분야 문학
주요수상 노벨문학상(1958) 거부
주요저서 《의사 지바고 Doktor Zhivago》(1957)
연도 나이 내용
1890 0세 2월 10일, 아버지 레오니드 파스테르나크와 어머니 로자 카 우프만 사이에서 장남으로 출생.
1901 11세 모스크바 제5고등학교 2학년에 입학.
1902 12세 다리를 부상, 치료를 잘못하여 불구가 됨.
1903 13세 저명한 작곡가 스트리아빈을 오블렌스코에서 만남. 이후 6년 동안 음악에 전념.
1907 17세 문학 서클 ‘세라르다’에 참가.
리를 받게 되었다. 그는 그때의 상황 상 엄한 처벌을 받을 처지였는데, 국외 추방만은 면하게 해줄 것을 흐루쇼프 서기장에게 탄원했다. 1958년 「닥터 지바고」의 노벨 문학상 수상 거부도 이 때문이었다. 러시아 혁명의 잔혹함 과 그 여파 속에서 펼쳐지는 정신적 고독, 방황, 사랑을 서사적으로 기술한 이 베스트셀러 소설은 비밀리에 번역되고 해외로 몰래 반출되어 이탈리아 밀 라노에서 첫 출판이 되었고 각국에서 번역되었다. 국외로의 추방은 겨우 면 했지만, 이후 시민권 박탈이라는 처형을 받은 이 작가는 여러 가지 제약과 구속이 뒤따르며 암흑 같은 시기를 보냈고, 국외 추방을 두려워한 나머지
<프라우다>지의 논설을 통해 자신의 과오를 거짓 시인하고 속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번역을 주업으로 하다가 2년 후인 1960년 70세의 나이로 모스 크바 교외 작가촌에서 외롭게 세상을 떠났다.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생애는 <표 10>과 <표 11>로 정리된다.
<표 10>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Boris Leonidovich Pasternak ]
<표 11>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연보35)
35) 파스테르나크/이원진 옮김. 닥터지바고. 홍신문화사, pp.585-586.
1908 18세 최초로 문학작품 시도.
1909 19세 모스크바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
1911 21세 미래파 문학서클 ‘원심력’에 참가.
1912 22세 첫 시집 《구름 속의 쌍둥이》 집필.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 에서 철학 공부.
1914 24세 시집 《구름 속의 쌍둥이》 출간.
1917 27세 문학 서클 ‘아방가르드’에 참가. 시집 《성벽을 넘어》 출 간.
1923 33세 여류 화가 에프게니아와 결혼.
1924 34세 단편 소설 《루버스의 유년 시절》, 시집 《주제와 변주》
출간.
1925 35세 <공로> 집필. 소설집 출간.
1931 41세 자서전적 산문 <여권> 출간. 수필 <어느 시인의 죽음> 탈고.
아내 에프게니아와 이혼.
1934 44세 소련내 문학 서클을 해체하고 소비에트 작가동맹 결성. 그의 시선집이 나오고 9년간의 침묵이 시작됨.
1943 53세 시집 《새벽 차에서》 출간.
1944 54세 시집 《1944년 봄》 출간.
1945 55세 시집 《대지》 출간, 비평가의 비난을 받음. 《닥터 지바 고》 집필 시작.
1953 63세 스탈린 사망, 그의 문학적 생명이 소생됨.
1954 64세 《닥터 지바고》 속의 시가 잡지에 게재. 출간이 공표됨.
1956 66세
문학지 <노브이미르>에 《닥터 지바고》를 제출했다가 게재 를 거절당함.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는 좌익계 출판사가 《닥 터 지바고》의 이탈리아판 출판을 위해 원고를 입수함.
1957 67세 11월 15일 《닥터 지바고》 출간.
1958 68세 10월 13일, 노벨 문학상 수상이 결정되었으나 포기.
1960 70세 5월 30일 사망.
(2)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작품세계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사회주의 국가의 철의 장벽을 넘어, 개인의 자유라 는 서구적 낭만을 상징하는 작가이다. 그는 40년이 넘는 작가 생활을 통해 다수의 시와 소설을 남겼으며, 음악이 담긴 미학적 세계로 가득 찬 시인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의 이러한 작품 세계를 제1기-(1922-1932), 제2기 -(1933-1941), 제3기-(1945-1958)로 분류할 수 있다.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첫 번째 시집《구름 속의 쌍둥이》은 1912년에, 이 어 두 번째 시집 《성벽을 넘어서》는 1917년에 간행되었다. 그는 1922년
<삶은 나의 누이》를 출간하면서 역량 있는 서정 시인으로 주목받기 시작했 다. 《삶은 나의 누이》를 발표한 1922년부터 1932년의 《제2의 탄생》까지 의 시기가 제1기이다. 시인으로 출발한 파스테르나크의 시작품들에는 동시대 에 살았던 시인 블록과 독일의 시인 릴케의 영향을 받은 것이 보인다. 이 시 기에 그의 작품들은 독자와 평론가들을 흥분시킴으로서 명성이 확립되었다.
그의 초기 작품들은 세련되고 특이한 시풍으로 예술적인 향기가 느껴졌고 당 시 러시아 시단에 새바람을 일으켰지만, 공산주의자들은 그의 시에 상징주의 가 엿보이며, 현실을 도피하려는 성향이 있다는 이유로 비난하기도 했다. 또 한 그의 시는 남성적이며 활기에 차 있으며 간결하고, 삶에 대한 확신으로 충만되어 있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 그는 시단에서 확고히 자리를 굳혔다.
제2기는 1933년부터 시집《새벽 열차를 타고》을 발표한 1941년까지, 그의 작품이 소련에서 한 편도 출간되지 못했던 침묵의 시기이다. 이 시기의 침묵 은 시대의 숙청에 따라 파스테르나크에게 미친 압력이 상당했음을 반증하고 있다. 이때 그는 생계의 수단으로 번역에 몰두하였으며, 자신의 안전을 위해 전전긍긍해야 했다.
제3기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그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모스크 바 근교의 별장에 틀어박혀 소설「닥터 지바고」를 집필하기 시작했는데, 그 의 초기의 작품들보다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이 된다. 완성된 「닥터 지바 고」는 러시아에서는 출판이 금지되었으나, 1957년 이탈리아에서 번역되어 발표되었다. 그의 다른 산문 작품으로는 《지난여름》과 몇몇의 단편이 있 다.
작품 리스트는 <표 12>과 같이 정리된다.
그의 주요작품은《삶은 나의 누이》,《1905년》,《닥터 지바고》,《자서전 안의 에세이》이라고 할 수 있다<표 13><그림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