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은 미국에서 시작된 대중 예술의 한 형태로 음악, 안무, 연기가 어 우러져 만들어진 공연의 한 양식이다. 현대 뮤지컬은 18세기에서 20세기에 거쳐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했던 오락물들의 다양한 형태에서 그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다.20)
(1) 외국 뮤지컬 역사
중세 이후 연극예술에 음악의 사용은 점차 직업화, 전문화 되어갔다. 16세 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시대에 본격적 음악극인 오페라의 탄생으로 음악과 무
20) 윤선경의 뮤지컬 데이트. p.11.
용이 가미된 극형식은 예술적 가치가 높아졌지만, 초기 오페라는 처음부터 귀족계금의 형식으로 자리잡아 서민대중과는 거리가 먼 예술이었다. 이후 18~19세기를 거치는 동안 산업혁명이 일어남에 따라 서민대중들의 요구에 부 응할만한 극형식으로 뮤지컬 선구적인 극 형태라 만들어졌으나 형태적 구성 으로 볼 때 최초의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존 게이(John Gay)의 「거지 오페 라(The Begger's Opera)」(1729)이며, 이 작품은 런던 연극사에서 가장 오래 된 작품으로 희가극의 기본이 되었다.21) 이 희가극은 뮤지컬의 토대가 되었 다.
뮤지컬은 19세기말 영국의 런던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그 당시 영국을 제 외한 유럽 각국에서는 상류층이 즐기는 오페라와 대중이 즐기는 오페레타가 성황을 이루고 있었는데, 영국에는 오페라의 전통이 없어 다른 유럽 국가들 의 오페라와 오페레타를 수입하고 있었다. 그러다 19세기 말 정치적·경제적 으로 부유하고 강해진 영국은 오락물을 급조하게 되었는데, 그때 불려진 이 름이‘뮤지컬 화스(Musical farce)’였다. 다음에는‘뮤지컬 코메디(Musical comedy)’라는 명칭이 붙여졌는데, 희극과 노래, 춤과 미녀들을 총 동원한 무대로 성공을 거두었다. 영국에서 시작된‘뮤지컬 코메디’가 미국으로 건 너가면서 뿌리를 내리고 본격적인 양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미국의 뮤지컬은 1920년대, 영국 등 유럽의 오페라타에서 탈피하여 독자적 인 형태를 갖추면서부터 크게 발전했다. 노래와 셰익스피어의 희곡과 오페라 를 혼합한 형태의 악극형태인‘민트럴 쇼’, 가벼운 뮤지컬 극인‘보드빌’, 해학적인 내용을 담은 장막 풍자극인‘벌레스크’등이 공연되면서 미국적인 뮤지컬이 뿌리내릴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되었으며, 1928년 미국의 생활과 정 서를 담은 획기적인 작품‘쇼 보트’가 등장하면서 미국의 뮤지컬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22) 1940년대 미국의 뮤지컬은 눈부시게 향상된 예술성을 갖추게 되었으며, 서민대중들의 대중극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1950년대 이후에는 미국의 뮤지컬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이때부터 미국 의 뮤지컬은 버라이어티 쇼와 같은 성격을 털어내고 전문적이고 예술성을 갖 21) 유선아(2007). 뮤지컬「루나틱」의 무대의상 디자인. 경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3.
22) 네이버 블로그. 자료검색일 2012, 10, 25일,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mrwoon80?Redirect
춘 작품으로 거듭난다. 그때 발표된 현대적 감각의 새로운 작품은 <아가씨와 건달들(1950)>, <마이 페어 레이디(1956)>,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57)>
등이 있다. 1960~1970년대에는 미국 뮤지컬 특유의 낙천적인 면보다는 사회 적 문제 등을 반영시킨 진지한 작품들이 대거 등장했으며, 이 작품들은 예술 성과 문학성을 강조하여 호소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1980년대를 맞으면서 뮤지컬은 공연예술의 상업화를 주도하게 되었다. 또 한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장르로 부상하였고 그 위상이 높아졌다. 특히
<레미제라블(1980)>, <오페라의 유령(1981)>, <캣츠(1981)> 등은 장기 공연 을 할 정도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세계 각지에 공연되면서 많은 관객들에게 사랑을 받고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뮤지컬의 발전사는 대략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뮤지컬이 독특한 공연예 술로 완성된 1930년대가 제1기‘뮤지컬 황금기’,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평 화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가 제2기인‘뮤지컬 발전기’,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뮤지컬의 전환기’, 제4기는 오늘 날의 뮤지컬이다.
'뮤지컬 발전기'의 뮤지컬 특징은 전쟁과 상흔 등 힘들었던 시대현실을 낙 천적이고 긍정적인 세계와 미래의 꿈으로 바꾸고자 했고, 높은 예술성의 작 품을 만들기 위해서 작가와 작곡가, 안무가들의 공동작업에 치중했다.
‘뮤지컬의 전환기’에는 사실적 내용의 사회 주제의 진지한 뮤지컬들이 주 로 창작되어 공연되었고, 예술성·문학성 높은 작품이 선호되고 더욱 강화된 춤이 뮤지컬의 중심이 되었으며, 호소력이 강한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제4기에 속하는 오늘날의 뮤지컬은 전 시기의 특성들과 함께 무엇보다도 첨단 메커니즘을 사용한 무대 예술에 치중하고 있는 특성을 보인다.
(2) 국내 뮤지컬 역사
한국에서 현대적 뮤지컬이 시작된 시기는 세계 최초의 현대적 뮤지컬이 탄 생한지 100년이 지난 1966년 무렵이다. 하지만 더 앞서 뮤지컬과의 양식은
조금 달라도 형식적인 면에서 뮤지컬과 비슷했던 1930년대 우리나라의 악극, 우리의 정서를 담은 창극과 같은 전통 음악극 형식이 먼저 존재했었다. 악극 은 서구 음악극을 모방하여 가수의 노래와 연기, 무용을 추가한 것으로, 공 연 도중에 변사나 삐에로 같은 출연 배우들이 코미디나 만담, 가요, 숨은 장 기 등을 보여주는 막간극이었다. 악극은 시간이 지나 하나의 일관된 줄거리 를 갖추게 되면서 가극이라는 명칭으로 불렸고 조선 악극단, 반도 가극단 등 대표적인 악극단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다가 1950년대 이후 거의 자취를 감추 었다.
우리나라에는 연극형태의 음악극을 시도했던 예그린 악단이 창단되면서부 터 현대적 뮤지컬 공연이 시작되었다. 창단 후 본격적인 뮤지컬 공연을 시작 한 것은 예그린 악단이 단장 박용구, 무용 임성남, 연출 백은선·임영웅, 최 창권 작곡의 <살짜기 옵서예>를 공연하고 부터이다. <살짜기 옵서예>는 음 악, 연극, 무용 등 각 분야의 전문인과 인기인들이 동원되어 당시 큰 호응을 받았고 패티 김이 부른 주제가‘살짜기 옵소예’는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 작품으로 한국 뮤지컬이 화려하게 시작되었다. 그 이후로 예그린 악단은 1974년 [국립 가무단]이란 이름으로 국립극장에 편입되었고, 다시 1974년부 터 [국립 예그린 예술단]이라는 이름으로 국립극장에서 공연을 올리게 되었 다. 이 단체가 [서울 시립 가무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하기 시작한 것은 1977년에 완공된 세종문화회관에 소속되면서 부터이고 1996년 [서울 시립 뮤 지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뮤지컬의 계보를 이어나가고 있다.23)
예그린 악단과 더불어 우리나라 뮤지컬의 현대화에 기여한 공연단체는 현 대극장이다. 1977년부터 꾸준히 뮤지컬 공연에 정성을 기울인 현대극장은 상 업극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빠담빠담>을 비롯해서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 스타(1980)>, <사운드 오브 뮤직(1981)>. <에비타(1981)>,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87)>, <레미제라블(1988)> 등 주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공연하였 다. 극단 민중, 대중, 광장은 1983년 <아가씨와 건달들>을 공동 제작하여 유 례없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이후로 극단 민중, 대중, 광장은 <캣츠(1990)>,
<넌센스(1991)>, <캬바레(1984)>, <레미제라블(1993)> 등을 공연하며 뮤지컬 23) 백민정(2011). 한국 뮤지컬 배우 양성 시스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
위눈문, p.3.
붐 조성에 이바지하고 뮤지컬의 현대화에 기여했다.
한편 뮤지컬 프로덕션 에이콤이 출범하면서 뮤지컬 전문단체를 표방하고 많은 작품을 공연하였다. 에이콤은 1995년 국내에서 공연하였던 창작뮤지컬
<명성황후>를 가지고 1997년 8월 미국의 뉴욕 링컨센터에서 공연함으로써 한 국 뮤지컬 역사의 새장을 열었다.
최근 21세기에 들어‘뮤지컬 빅뱅’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작품들이 공연 되고 뮤지컬 산업이 팽창하였다. 그 기폭제가 된 <오페라의 유령(2001)>이 19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뮤지컬 시장은 산업화의 문턱을 넘었고, 2005 년 처음으로 연간 관객이 100만 명을 돌파하여 2,000억 원의 매출 규모로 뮤 지컬 시장이 커졌다.24) 최근 국내 대기업들의 뮤지컬 진출은 탄탄한 자본을 바탕으로 해외의 대형 뮤지컬을 수입하고, 중소 규모에 머물던 창작 뮤지컬 에도 눈을 돌려 <불의 검(2005)>, <겨울연가(2006)>, <댄싱 섀도우(2007)>
등 규모 있는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뮤지컬의 산업화와 창작 뮤지컬의 활성화 를 촉진하였다.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