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미주"

Copied!
4
0
0

Teks penuh

(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25호 2018.7.9

33

미주

미 석탄업계, 미­중 간 무역분쟁으로 석탄 수출 타격 우려

 미국 석탄업계는 최근 격화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분쟁이 향후 미국産 석탄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함.

‒ 미국과 중국이 무역갈등을 봉합하는 동안에는 상호 (보복)관세 부과 계획을 보류하기로 합의했 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서를 발표하였으나(2018.5.19), 이후 미국이 중국에서 수입하는 500억 달 러 규모의 첨단기술 제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을 당초 계획대로 실 행할 것이라고 발표함에 따라(2018.5.29), 중국도 이에 대응하여 동등한 규모와 강도의 對미 보복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2018.6.15) 이러한 우려가 제기되었음.

・ 중국은 석탄, 석유, 액화석유가스(LPG)등 에너지 제품을 포함한 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産 수입품목(659개)에 보복관세를 부과한다는 계획을 밝혔음(2018.6.15).

6월 15일 미국은 관세부과 대상 중국産 수입품목(1,102개)을 발표하였으며, 7월 6일부터 340

억 달러 규모의 중국産 수입품(818개)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나머지 16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목(284개)에 대한 관세 부과 적용일은 추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미국 석탄수출업체인 Xcoal Energy & Resources社와 Consol Energy社는 미국産 제철용 원 료탄(metallurgical coal) 수출을 위해 중국 국영 건축자재 생산업체인 CNBM(China National Building Materials)과 협의 중에 있었으나, 최근 중국의 對미 보복관세 부과 조치 발표로 인 해 협의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Consol Energy社는 연간 100만 톤의 제철용 원료탄을 중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CNBM社와

협의 중이었으나, 향후 어떤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밝힘.

‒ 미국의 다른 석탄기업들도 중국의 석탄 수입기업들과 미국産 석탄 수출 관련 논의를 진행해오고 있었으며, 조속히 논의가 재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 미 웨스트버지니아州 석탄협회(West Virginia Coal Association)는, 미-중 간 무역갈등이 빠른 시일 내에 해소되기 바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부과 조치에 따라 미국 내 제철용 원료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함.

‒ 미 웨스트버지니아州 상공회의소(West Virginia Chamber of Commerce)는, 내수보다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대다수의 석탄기업들이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로 인해 딜레마에 빠져 있다며 석탄업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함.

 한편, 미국産 제철용 원료탄 수출 확대를 위한 미국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향후 제철용 원료탄에 대한 아시아 수출시장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임.

(2)

3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25호 2018.7.9

‒ 미 에너지정보국(EIA)에 따르면, 미국産 석탄의 對아시아 수출은 2016년 1,570만 톤에서 2017년 3,280만 톤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중국으로의 석탄 수출량은 2017년 320만 톤을 기록하였음.

(Reuters, 2018.6.26; Business Insider,2018.6.18)

미 국무부, 이란産 원유 수입 전면 중단 요구 완화

 미국 Brian Hook 국무부 정책기획관은, 이란産 원유 수입을 전면 중단하라는 당초의 요구를 완화하여 이란産 원유 수입을 줄이는 나라들과는 각국의 입장을 고려하여 사안에 따라 협력하 겠다고 밝힘(2018.7.2).

‒ 미 국무부는 동맹국들에게 오는 11월 4일까지 이란産 원유 수입을 전면 중단해 줄 것을 요구하 고, 이란産 원유 수입에 대해 어떠한 예외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이를 위반할 경우 제재를 가 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음(2018.6.26).

‒ 이와 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 변화는, 이란産 원유 수입량이 많은 인도와 한국, 터키 등 미 국과 가까운 동맹국들이 정해진 기일 내에 이란을 대체할 원유 공급선을 확보하는 것이 현실 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 중국, 인도, 터키 등 이란의 주요 원유 수출 대상국들은 미국의 이란産 원유 수입 전면 중 단 요구에 대해 거부 의사를 표명함.

‒ 또한 미 국무부는 미국의 對이란 제재가 세계 원유공급과 유가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도록 중 동 산유국들과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함.

・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유가 상승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명하고, 사우디도 미국과 인식 을 같이하여 국제유가 상승 완화를 위해 200만b/d를 증산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힘(2018.6.30).

・ 사우디는 200만b/d를 증산할 수 있는 공급여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미국과의 합의에 따른 증산이 즉각 이루어질 수 있을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밝힘.

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지속적인 對이란 경제제재 조치로 이란이 정치적・경제적으로 고립될

경우, 2019년 2분기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음

(CNBC, 2018.6.28).

‒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국들에게 이란産 원유 수입을 전면 중단할 것을 요구한 6월 26일, 국제 유가는 일제히 상승하였음.

・ 6월 26일 기준, Brent유 가격은 전일 대비 2.1% 상승한 배럴당 76.31달러, WTI유는 전일 대 비 3.6% 상승한 배럴당 70.53달러를 기록하였음.

‒ RBC Captial Market의 Helima Croft 상무이사는, 미국의 對이란 제재는 매우 강압적이어서, 미국 내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거나 추진하기를 원하는 기업들은 이란과의 관계를 끊을 수밖 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함.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25호 2018.7.9

35

・ 미국의 요구대로 이란産 원유 수입이 전면 중단될 경우, 이란産 원유 수출량은 100만b/d 이상 줄어들게 될 것으로 예상함.

・ 또한 국제 석유시장의 주요 이슈는, 원유공급 부족을 막기 위한 러시아, 사우디, UAE, 쿠웨 이트 등 주요 산유국들이 원유 증산능력이 아니라, 향후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원유 공급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원유 공급여력의 보유 여부라고 지적함.

(The Hill, 2018.6.26; Oil Daily, 2018.7.1; The New York Times, 2018.7.2)

미 EPA, ’19 회계연도 바이오연료 의무 혼합량 기준에 관한 제안서 발표

 미 환경보호청(EPA)은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Renewable Fuel Standard, RFS)에 따라, 2019 및 2020 회계연도에 적용할 바이오연료 의무 혼합량에 대한 제안서(proposed rule)를 발 표함(2018.6.26).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Renewable Fuel Standard, RFS) : 정유회사가 휘발유, 경유 등의 수송용 연료에 바이오연료를 의무적으로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제도로 2007년 부시 행 정부에서 발효됨. 주로 옥수수에서 생산한 에탄올이 혼합연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목질 계 바이오연료(cellulosic ethanol)와 같은 차세대 바이오연료의 사용도 의무화하고 있음.

‒ 2019 회계연도의 재생가능 바이오연료(Renewable Biofuel) 의무 혼합량은 2018 회계연도 대 비 3.1% 증가한 198.8억 갤런으로 정해졌으며, 2019 및 2020 회계연도의 바이오매스 기반 경 유(Biomass-based Diesel) 의무 혼합량은 각각 21억 갤런, 24.3억 갤런으로 정해짐.

회계연도

연료별 2018 2019 2020

바이오연료

목질계 바이오연료

(Cellulosic Biofuel) 2.88 3.81 n/a 차세대 바이오연료

(advanced Biofuel) 42.9 48.8 n/a

재생가능 바이오연료

(Renewable Biofuel) 192.9 198.8 n/a 전통적 바이오연료

(Implied conventional biofuel) 150 150 n/a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

(Biomass-based Diesel) 21.0 21.0 24.3

자료 : EPA

< 미국의 바이오연료 의무 혼합량 기준 (2018~2020 회계연도) >

(단위 : 억 갤런)

미국의 회계연도는 매년 10월 1일에서 다음해 9월 30일까지이며, 회계연도가 끝나는 해를 회 계연도로 표기함. 즉, 2019 회계연도는 2018년 10월 1일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를 말함.

‒ Scott Pruitt 청장은 여러 주정부를 방문하여 바이오연료 관련 농업계와 지역사회로부터 RFS

의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미 의회의 법정 발표기한(11월30일)을 준수하 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함.

(4)

3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25호 2018.7.9

 한편, 미국의 바이오연료 업계와 석유 업계는 이번 EPA의 바이오연료 의무 혼합량 기준 제안 서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함.

‒ 미 신재생에너지협회(Renewable Fuels Association, RFA)의 Bob Dinneen 회장은, EPA가

2019 회계연도의 바이오연료 의무 혼합량 기준을 확대하고, 일부 소규모 정유공장(정제능력

75,000b/d 미만)에 적용되는 면제 혜택과 같은 부당한 조항을 폐지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행 정적 절차인 법정 발표기한만을 맞추기 위한 제안서를 제시하였다고 비난하였음.

‒ 미국석유협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는, EPA의 2019 회계연도 바이오연료 의무 혼합량 기준에 대한 제안서는 기존의 RFS 프로그램의 미비점을 여전히 보완하지 못하고 있다 고 평가하였음.

(The Hill, 2018.6.26; EPA 홈페이지, 2018.6.26)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