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벤처 IT 기업 실태조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벤처 IT 기업 실태조사"

Copied!
179
0
0

Teks penuh

(1)

벤처 IT 기업 실태조사 : 기업

CODE BOOK

자료번호 A1-2000-0032

연구책임자 전병유 (한국노동연구원)

조사년도 2000년

연구수행기관 한국노동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년

코드북 제작년도 2009년

(2)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전병유 . 2000. 「 벤처 IT 기업 실태조사 : 기업 」. 연구수행기관 : 한국노동연구 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년. 자료번호:

A1-2000-0032.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9. 「 벤처 IT 기업 실태조사 : 기업 CODE BOOK」.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type

산업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벤처 IT 1 190 44.3 44.3

벤처 비IT 2 86 20.0 20.0

상장 IT 3 25 5.8 5.8

상장 비IT 4 47 11.0 11.0

비상장 IT 5 42 9.8 9.8

비상장 비IT 6 38 8.9 8.9

무응답 9 1 0.2 0.2

429 100.0 100.0

AQ1

회사창설년월(0000년00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03년06월 190306 1 0.2 0.2

1929년07월 192907 1 0.2 0.2

1941년99월 194199 1 0.2 0.2

1945년06월 194506 1 0.2 0.2

1945년08월 194508 1 0.2 0.2

1945년09월 194509 2 0.5 0.5

1947년09월 194709 1 0.2 0.2

1947년10월 194710 1 0.2 0.2

1949년09월 194909 1 0.2 0.2

1949년12월 194912 1 0.2 0.2

1952년09월 195209 1 0.2 0.2

1954년04월 195404 1 0.2 0.2

1955년02월 195502 1 0.2 0.2

1955년11월 195511 1 0.2 0.2

1956년07월 195607 1 0.2 0.2

1957년02월 195702 1 0.2 0.2

1959년09월 195909 1 0.2 0.2

1960년04월 196004 1 0.2 0.2

문1) 귀 사의 창설년월은?

(4)

1960년12월 196012 1 0.2 0.2

1962년03월 196203 1 0.2 0.2

1962년05월 196205 1 0.2 0.2

1963년01월 196301 1 0.2 0.2

1963년10월 196310 1 0.2 0.2

1963년12월 196312 1 0.2 0.2

1964년03월 196403 1 0.2 0.2

1964년99월 196499 1 0.2 0.2

1965년06월 196506 2 0.5 0.5

1965년10월 196510 1 0.2 0.2

1966년07월 196607 1 0.2 0.2

1967년12월 196712 1 0.2 0.2

1968년02월 196802 1 0.2 0.2

1968년03월 196803 1 0.2 0.2

1968년09월 196809 1 0.2 0.2

1968년10월 196810 1 0.2 0.2

1968년12월 196812 1 0.2 0.2

1969년08월 196908 1 0.2 0.2

1969년11월 196911 1 0.2 0.2

1970년01월 197001 1 0.2 0.2

1970년09월 197009 1 0.2 0.2

1970년10월 197010 1 0.2 0.2

1971년03월 197103 1 0.2 0.2

1971년04월 197104 1 0.2 0.2

1971년11월 197111 1 0.2 0.2

1972년07월 197207 1 0.2 0.2

1972년08월 197208 1 0.2 0.2

1972년99월 197299 1 0.2 0.2

1973년02월 197302 2 0.5 0.5

1973년03월 197303 1 0.2 0.2

1973년05월 197305 2 0.5 0.5

1973년06월 197306 1 0.2 0.2

1973년07월 197307 1 0.2 0.2

1973년08월 197308 1 0.2 0.2

(5)

1973년11월 197311 1 0.2 0.2

1973년12월 197312 1 0.2 0.2

1974년04월 197404 2 0.5 0.5

1974년09월 197409 2 0.5 0.5

1974년10월 197410 1 0.2 0.2

1975년07월 197507 1 0.2 0.2

1975년09월 197509 1 0.2 0.2

1976년02월 197602 1 0.2 0.2

1976년04월 197604 1 0.2 0.2

1976년05월 197605 1 0.2 0.2

1976년10월 197610 1 0.2 0.2

1976년11월 197611 1 0.2 0.2

1977년04월 197704 1 0.2 0.2

1977년06월 197706 2 0.5 0.5

1977년07월 197707 1 0.2 0.2

1977년08월 197708 1 0.2 0.2

1977년11월 197711 1 0.2 0.2

1978년01월 197801 1 0.2 0.2

1979년01월 197901 1 0.2 0.2

1979년07월 197907 1 0.2 0.2

1979년08월 197908 1 0.2 0.2

1979년09월 197909 1 0.2 0.2

1980년05월 198005 2 0.5 0.5

1980년07월 198007 1 0.2 0.2

1980년12월 198012 1 0.2 0.2

1982년02월 198202 1 0.2 0.2

1982년03월 198203 2 0.5 0.5

1982년05월 198205 2 0.5 0.5

1982년09월 198209 1 0.2 0.2

1982년11월 198211 1 0.2 0.2

1982년12월 198212 1 0.2 0.2

1983년02월 198302 1 0.2 0.2

1983년08월 198308 1 0.2 0.2

1983년12월 198312 1 0.2 0.2

(6)

1983년99월 198399 1 0.2 0.2

1984년01월 198401 1 0.2 0.2

1984년02월 198402 1 0.2 0.2

1984년03월 198403 2 0.5 0.5

1984년04월 198404 2 0.5 0.5

1984년06월 198406 1 0.2 0.2

1984년07월 198407 1 0.2 0.2

1985년04월 198504 1 0.2 0.2

1985년05월 198505 1 0.2 0.2

1985년06월 198506 1 0.2 0.2

1985년07월 198507 1 0.2 0.2

1985년08월 198508 1 0.2 0.2

1985년11월 198511 1 0.2 0.2

1985년12월 198512 1 0.2 0.2

1985년99월 198599 1 0.2 0.2

1986년01월 198601 1 0.2 0.2

1986년06월 198606 1 0.2 0.2

1987년02월 198702 2 0.5 0.5

1987년03월 198703 1 0.2 0.2

1987년04월 198704 2 0.5 0.5

1987년07월 198707 3 0.7 0.7

1987년08월 198708 2 0.5 0.5

1987년12월 198712 1 0.2 0.2

1988년01월 198801 1 0.2 0.2

1988년03월 198803 1 0.2 0.2

1988년04월 198804 1 0.2 0.2

1988년05월 198805 1 0.2 0.2

1988년10월 198810 4 0.9 0.9

1988년11월 198811 1 0.2 0.2

1989년01월 198901 2 0.5 0.5

1989년02월 198902 1 0.2 0.2

1989년03월 198903 2 0.5 0.5

1989년05월 198905 3 0.7 0.7

1989년07월 198907 1 0.2 0.2

(7)

1990년01월 199001 2 0.5 0.5

1990년02월 199002 2 0.5 0.5

1990년03월 199003 4 0.9 0.9

1990년05월 199005 3 0.7 0.7

1990년06월 199006 1 0.2 0.2

1990년07월 199007 4 0.9 0.9

1990년08월 199008 1 0.2 0.2

1990년09월 199009 2 0.5 0.5

1990년11월 199011 1 0.2 0.2

1990년12월 199012 1 0.2 0.2

1991년03월 199103 1 0.2 0.2

1991년04월 199104 2 0.5 0.5

1991년08월 199108 1 0.2 0.2

1991년11월 199111 1 0.2 0.2

1992년01월 199201 1 0.2 0.2

1992년02월 199202 2 0.5 0.5

1992년03월 199203 3 0.7 0.7

1992년04월 199204 2 0.5 0.5

1992년06월 199206 1 0.2 0.2

1992년07월 199207 1 0.2 0.2

1992년08월 199208 1 0.2 0.2

1992년09월 199209 1 0.2 0.2

1992년10월 199210 4 0.9 0.9

1992년12월 199212 1 0.2 0.2

1993년02월 199302 1 0.2 0.2

1993년03월 199303 3 0.7 0.7

1993년05월 199305 2 0.5 0.5

1993년06월 199306 1 0.2 0.2

1993년07월 199307 1 0.2 0.2

1993년08월 199308 1 0.2 0.2

1993년09월 199309 1 0.2 0.2

1993년10월 199310 1 0.2 0.2

1993년11월 199311 3 0.7 0.7

1994년01월 199401 1 0.2 0.2

(8)

1994년02월 199402 2 0.5 0.5

1994년04월 199404 2 0.5 0.5

1994년05월 199405 1 0.2 0.2

1994년07월 199407 4 0.9 0.9

1994년08월 199408 2 0.5 0.5

1994년09월 199409 1 0.2 0.2

1994년10월 199410 2 0.5 0.5

1994년12월 199412 3 0.7 0.7

1995년01월 199501 1 0.2 0.2

1995년04월 199504 3 0.7 0.7

1995년05월 199505 2 0.5 0.5

1995년06월 199506 1 0.2 0.2

1995년07월 199507 2 0.5 0.5

1995년08월 199508 2 0.5 0.5

1995년09월 199509 4 0.9 0.9

1995년10월 199510 7 1.6 1.6

1995년12월 199512 3 0.7 0.7

1996년01월 199601 4 0.9 0.9

1996년03월 199603 4 0.9 0.9

1996년04월 199604 2 0.5 0.5

1996년05월 199605 1 0.2 0.2

1996년06월 199606 3 0.7 0.7

1996년07월 199607 4 0.9 0.9

1996년08월 199608 3 0.7 0.7

1996년09월 199609 1 0.2 0.2

1996년10월 199610 5 1.2 1.2

1996년11월 199611 4 0.9 0.9

1996년12월 199612 1 0.2 0.2

1997년01월 199701 2 0.5 0.5

1997년02월 199702 3 0.7 0.7

1997년03월 199703 2 0.5 0.5

1997년04월 199704 2 0.5 0.5

1997년05월 199705 1 0.2 0.2

1997년06월 199706 5 1.2 1.2

(9)

1997년07월 199707 5 1.2 1.2

1997년08월 199708 6 1.4 1.4

1997년10월 199710 5 1.2 1.2

1997년11월 199711 3 0.7 0.7

1997년12월 199712 2 0.5 0.5

1998년01월 199801 1 0.2 0.2

1998년02월 199802 3 0.7 0.7

1998년03월 199803 3 0.7 0.7

1998년04월 199804 4 0.9 0.9

1998년05월 199805 6 1.4 1.4

1998년06월 199806 6 1.4 1.4

1998년07월 199807 2 0.5 0.5

1998년08월 199808 3 0.7 0.7

1998년09월 199809 4 0.9 0.9

1998년11월 199811 7 1.6 1.6

1998년12월 199812 6 1.4 1.4

1999년01월 199901 8 1.9 1.9

1999년02월 199902 3 0.7 0.7

1999년03월 199903 4 0.9 0.9

1999년04월 199904 8 1.9 1.9

1999년05월 199905 3 0.7 0.7

1999년06월 199906 7 1.6 1.6

1999년07월 199907 6 1.4 1.4

1999년08월 199908 5 1.2 1.2

1999년09월 199909 3 0.7 0.7

1999년10월 199910 7 1.6 1.6

1999년11월 199911 6 1.4 1.4

1999년12월 199912 4 0.9 0.9

2000년01월 200001 2 0.5 0.5

2000년02월 200002 3 0.7 0.7

2000년03월 200003 2 0.5 0.5

2000년06월 200006 1 0.2 0.2

429 100.0 100.0

(10)

AQ2

노동조합 설립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68 15.9 15.9

아니오 2 360 83.9 83.9

무응답 9 1 0.2 0.2

429 100.0 100.0

AQ21

노동조합 설립시기(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60년 1960 1 0.2 1.5

1962년 1962 1 0.2 1.5

1963년 1963 1 0.2 1.5

1967년 1967 1 0.2 1.5

1968년 1968 1 0.2 1.5

1969년 1969 1 0.2 1.5

1970년 1970 1 0.2 1.5

1972년 1972 1 0.2 1.5

1975년 1975 3 0.7 4.4

1976년 1976 1 0.2 1.5

1978년 1978 1 0.2 1.5

1979년 1979 1 0.2 1.5

1980년 1980 3 0.7 4.4

1982년 1982 3 0.7 4.4

1983년 1983 1 0.2 1.5

1984년 1984 1 0.2 1.5

1985년 1985 1 0.2 1.5

1986년 1986 1 0.2 1.5

1987년 1987 16 3.7 23.5

1988년 1988 7 1.6 10.3

문2-1) 노동조합은 언제 설립되었습니까?

문2) 귀사에는 사무직 또는 생산직 근로자들에 대한 노동조합이 설립되어 있습니까?

(11)

1989년 1989 4 0.9 5.9

1990년 1990 2 0.5 2.9

1992년 1992 1 0.2 1.5

1993년 1993 1 0.2 1.5

1994년 1994 2 0.5 2.9

1996년 1996 3 0.7 4.4

1998년 1998 4 0.9 5.9

1999년 1999 2 0.5 2.9

2000년 2000 1 0.2 1.5

무응답 9999 1 0.2 1.5

비해당 0 361 84.1

429 100.0 100.0

AQ22

조업원들의 노동조합 가입비율

유효합계 67

최소값 1

최대값 100

평균 60.69 (%)

표준편차 24.882

AQ23

최근 3년간 노사분규 유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8 1.9 11.8

아니오 2 59 13.8 86.8

무응답 9 1 0.2 1.5

비해당 0 361 84.1

429 100.0 100.0 문2-2) 종업원들의 노동조합의 가입비율은?

문2-3) 최근 3년간 노사분규가 있었습니까?

(12)

AQ3

노사협의회 설립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42 33.1 33.1

아니오 2 285 66.4 66.4

무응답 9 2 0.5 0.5

429 100.0 100.0

AQ31

노사협의회 설립시기(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60년 1960 1 0.2 0.7

1963년 1963 1 0.2 0.7

1964년 1964 1 0.2 0.7

1968년 1968 1 0.2 0.7

1969년 1969 2 0.5 1.4

1970년 1970 1 0.2 0.7

1971년 1971 2 0.5 1.4

1972년 1972 1 0.2 0.7

1975년 1975 1 0.2 0.7

1977년 1977 1 0.2 0.7

1978년 1978 1 0.2 0.7

1979년 1979 2 0.5 1.4

1980년 1980 4 0.9 2.8

1981년 1981 1 0.2 0.7

1982년 1982 4 0.9 2.8

1983년 1983 3 0.7 2.1

1984년 1984 1 0.2 0.7

1985년 1985 4 0.9 2.8

1986년 1986 4 0.9 2.8

1987년 1987 11 2.6 7.7

1988년 1988 5 1.2 3.5

문3-1) 노사협의회는 언제 설립되었습니까?

문3) 귀 사에는 노사협의회가 설립되어 있습니까?

(13)

1989년 1989 11 2.6 7.7

1990년 1990 5 1.2 3.5

1991년 1991 2 0.5 1.4

1992년 1992 1 0.2 0.7

1993년 1993 1 0.2 0.7

1994년 1994 4 0.9 2.8

1995년 1995 5 1.2 3.5

1996년 1996 6 1.4 4.2

1997년 1997 19 4.4 13.4

1998년 1998 12 2.8 8.5

1999년 1999 9 2.1 6.3

2000년 2000 5 1.2 3.5

무응답 9999 10 2.3 7.0

비해당 0 287 66.9

429 100.0 100.0

AQ32

1년간 노사협의회 개최 회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회 1 5 1.2 3.5

2회 2 16 3.7 11.3

3회 3 5 1.2 3.5

4회 4 85 19.8 59.9

5회 5 5 1.2 3.5

6회 6 5 1.2 3.5

7회 7 1 0.2 0.7

8회 8 2 0.5 1.4

10회 10 3 0.7 2.1

12회 12 6 1.4 4.2

19회 19 1 0.2 0.7

27회 27 1 0.2 0.7

40회 40 1 0.2 0.7

997회 997 1 0.2 0.7

무응답 999 5 1.2 3.5

비해당 0 287 66.9

429 100.0 100.0 문3-2) 1999년의 경우 노사협의회를 1년동안 몇번 개최하였습니까?

(14)

BQ11

사업장의 종업원수

유효합계 428

최소값 2

최대값 14000

평균 300.64 (명)

표준편차 1160.329

BQ12

사업체에 소속된 전체 종업원수

유효합계 426

최소값 2

최대값 47534

평균 498.88 (명)

표준편차 2746.694

BQ131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7년 12월 정규직(명)

유효합계 286

최소값 0

최대값 99997

평균 783.70 (명)

표준편차 6122.738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1) 1997년 12월 정규직

문1-2) 귀 사업체가 소속된 회사의 전체 종업원수는?

문1-1) 귀 사업장의 종업원수는?

(15)

BQ132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8년 12월 정규직(명)

유효합계 334

최소값 0

최대값 14161

평균 359.03 (명)

표준편차 1273.632

BQ133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9년 12월 정규직(명)

유효합계 406

최소값 0

최대값 22013

평균 290.25 (명)

표준편차 1329.189

BQ134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2000년 12월 정규직(명)

유효합계 426

최소값 2

최대값 22138

평균 295.53 (명)

표준편차 1313.225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2) 1998년 12월 정규직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4) 2000년 12월 정규직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3) 1999년 12월 정규직

(16)

BQ135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7년 12월 비정규직(명)

유효합계 286

최소값 0

최대값 9997

평균 63.48 (명)

표준편차 630.254

BQ136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8년 12월 비정규직(명)

유효합계 334

최소값 0

최대값 9997

평균 52.84 (명)

표준편차 564.730

BQ137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9년 12월 비정규직(명)

유효합계 406

최소값 0

최대값 3259

평균 28.33 (명)

표준편차 204.213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6) 1998년 12월 비정규직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5) 1997년 12월 비정규직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7) 1999년 12월 비정규직

(17)

BQ138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2000년 12월 비정규직(명)

유효합계 426

최소값 0

최대값 3908

평균 39.52 (명)

표준편차 275.184

BQ139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7년 12월 총계(명)

유효합계 286

최소값 0

최대값 99997

평균 812.23 (명)

표준편차 6133.249

BQ1310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8년 12월 총계(명)

유효합계 334

최소값 0

최대값 99997

평균 651.40 (명)

표준편차 5584.234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10) 1998년 12월 총계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9) 1997년 12월 총계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8) 2000년 12월 비정규직

(18)

BQ1311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1999년 12월 총계(명)

유효합계 406

최소값 0

최대값 22013

평균 318.58 (명)

표준편차 1383.318

BQ1312

최근 4년간 종업원 현황: 2000년 12월 총계(명)

유효합계 426

최소값 2

최대값 22138

평균 335.04 (명)

표준편차 1387.693

BQ141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남성 정규직(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12288

평균 227.07 (명)

표준편차 907.466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 남성 정규직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12) 2000년 12월 총계

문1-3) 최근 4년간의 종업원 현황(귀 사업장 현황) 11) 1999년 12월 총계

(19)

BQ142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남성 임시직(명)

유효합계 424

최소값 0

최대값 370

평균 6.12 (명)

표준편차 33.262

BQ143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남성 일용직(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2520

평균 11.85 (명)

표준편차 156.094

BQ144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남성 시간제(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403 93.9 93.9

1명 1 8 1.9 1.9

2명 2 2 0.5 0.5

3명 3 2 0.5 0.5

4명 4 2 0.5 0.5

5명 5 1 0.2 0.2

10명 10 3 0.7 0.7

13명 13 1 0.2 0.2

31명 31 1 0.2 0.2

1100명 1100 1 0.2 0.2

무응답 99999 5 1.2 1.2

429 100.0 100.0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2) 남성 임시직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4) 남성 시간제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3) 남성 일용직

(20)

BQ145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남성 파견근로(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82 89.0 89.0

1명 1 12 2.8 2.8

2명 2 4 0.9 0.9

3명 3 6 1.4 1.4

4명 4 5 1.2 1.2

6명 6 2 0.5 0.5

7명 7 1 0.2 0.2

8명 8 1 0.2 0.2

11명 11 1 0.2 0.2

14명 14 1 0.2 0.2

19명 19 1 0.2 0.2

27명 27 2 0.5 0.5

79명 79 1 0.2 0.2

85명 85 1 0.2 0.2

90명 90 1 0.2 0.2

120명 120 1 0.2 0.2

152명 152 1 0.2 0.2

547명 547 1 0.2 0.2

무응답 99999 5 1.2 1.2

429 100.0 100.0

BQ146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남성 무급종사자(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422 98.4 98.4

1명 1 1 0.2 0.2

3명 3 1 0.2 0.2

70명 70 1 0.2 0.2

무응답 99999 4 0.9 0.9

429 100.0 100.0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6) 남성 무급종사자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5) 남성 파견근로

(21)

BQ147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남성 총계(명)

유효합계 424

최소값 0

최대값 12288

평균 244.66 (명)

표준편차 935.295

BQ148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여성 정규직(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9850

평균 83.64 (명)

표준편차 572.356

BQ149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여성 임시직(명)

유효합계 424

최소값 0

최대값 693

평균 6.51 (명)

표준편차 51.684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9) 여성 임시직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8) 여성 정규직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7) 남성 총계

(22)

BQ1410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여성 일용직(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250

평균 2.08 (명)

표준편차 18.554

BQ1411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여성 시간제(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403 93.9 93.9

1명 1 5 1.2 1.2

2명 2 4 0.9 0.9

3명 3 4 0.9 0.9

4명 4 1 0.2 0.2

5명 5 4 0.9 0.9

15명 15 1 0.2 0.2

17명 17 1 0.2 0.2

80명 80 1 0.2 0.2

무응답 99999 5 1.2 1.2

429 100.0 100.0

BQ1412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여성 파견근로(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91 91.1 91.1

1명 1 8 1.9 1.9

2명 2 2 0.5 0.5

3명 3 4 0.9 0.9

5명 5 2 0.5 0.5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0) 여성 일용직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2) 여성 파견근로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1) 여성 시간제

(23)

6명 6 1 0.2 0.2

7명 7 1 0.2 0.2

8명 8 1 0.2 0.2

10명 10 1 0.2 0.2

11명 11 2 0.5 0.5

15명 15 1 0.2 0.2

23명 23 2 0.5 0.5

24명 24 1 0.2 0.2

26명 26 1 0.2 0.2

72명 72 1 0.2 0.2

80명 80 1 0.2 0.2

81명 81 1 0.2 0.2

82명 82 1 0.2 0.2

103명 103 1 0.2 0.2

209명 209 1 0.2 0.2

무응답 99999 5 1.2 1.2

429 100.0 100.0

BQ1413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여성 무급종사자(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424 98.8 98.8

10명 10 1 0.2 0.2

무응답 99999 4 0.9 0.9

429 100.0 100.0

BQ1414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여성 총계(명)

유효합계 424

최소값 0

최대값 9850

평균 93.53 (명)

표준편차 584.702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4) 여성 총계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3) 여성 무급종사자

(24)

BQ1415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정규직 전체(명)

유효합계 426

최소값 0

최대값 22138

평균 312.86 (명)

표준편차 1386.012

BQ1416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임시직 전체(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888

평균 13.07 (명)

표준편차 74.736

BQ1417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일용직 전체(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2770

평균 13.93 (명)

표준편차 171.978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7) 일용직 전체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6) 임시직 전체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5) 정규직 전체

(25)

BQ1418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시간제 전체(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1100

평균 3.91 (명)

표준편차 55.371

BQ1419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파견근로 전체(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3213

평균 12.46 (명)

표준편차 160.206

BQ1420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무급종사자 전체(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422 98.4 98.4

1명 1 1 0.2 0.2

3명 3 1 0.2 0.2

80명 80 1 0.2 0.2

무응답 99999 4 0.9 0.9

429 100.0 100.0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8) 시간제 전체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20) 무급종사자 전체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19) 파견근로 전체

(26)

BQ1421

2000년 8월 현재 종업원의 구성: 전체인원(명)

유효합계 425

최소값 0

최대값 22138

평균 354.27 (명)

표준편차 1459.887

BQ211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7년 12월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271

최소값 0

최대값 2155

평균 19.41 (명)

표준편차 144.781

BQ212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8년 12월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314

최소값 0

최대값 1841

평균 15.47 (명)

표준편차 115.416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1) 1997년 12월 정보통신인력

문1-4) 2000년 8월 현재 전체 종업원의 구성 21) 전체인원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2) 1998년 12월 정보통신인력

(27)

BQ213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9년 12월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384

최소값 0

최대값 1802

평균 15.27 (명)

표준편차 103.680

BQ214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2000년 현재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12

최소값 0

최대값 2018

평균 17.22 (명)

표준편차 109.867

BQ215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7년 12월 핵심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271

최소값 0

최대값 1524

평균 14.14 (명)

표준편차 111.488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5) 1997년 12월 핵심정보통신인력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4) 2000년 현재 정보통신인력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3) 1999년 12월 정보통신인력

(28)

BQ216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8년 12월 핵심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314

최소값 0

최대값 1879

평균 14.39 (명)

표준편차 120.470

BQ217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9년 12월 핵심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385

최소값 0

최대값 2400

평균 14.88 (명)

표준편차 132.803

BQ218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2000년 현재 핵심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12

최소값 0

최대값 2618

평균 16.64 (명)

표준편차 138.413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8) 2000년 현재 핵심정보통신인력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7) 1999년 12월 핵심정보통신인력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6) 1998년 12월 핵심정보통신인력

(29)

BQ219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7년 12월 총계(명)

유효합계 272

최소값 0

최대값 3155

평균 33.46 (명)

표준편차 221.955

BQ2110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8년 12월 총계(명)

유효합계 315

최소값 0

최대값 2841

평균 29.79 (명)

표준편차 198.637

BQ2111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1999년 12월 총계(명)

유효합계 385

최소값 0

최대값 2802

평균 30.12 (명)

표준편차 194.498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9) 1997년 12월 총계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11) 1999년 12월 총계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10) 1998년 12월 총계

(30)

BQ2112

최근 3년간 정보통신 관련인력 현황: 2000년 현재 총계(명)

유효합계 412

최소값 0

최대값 3018

평균 33.86 (명)

표준편차 202.967

BQ221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고졸이하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09

최소값 0

최대값 520

평균 4.90 (명)

표준편차 33.328

BQ2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전문대졸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09

최소값 0

최대값 358

평균 3.07 (명)

표준편차 19.206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 고졸이하 정보통신인력

문2-1) 최근 3년간의 정보통신 관련 인력 현황 12) 2000년 현재 총계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2) 전문대졸 정보통신인력

(31)

BQ223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대졸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09

최소값 0

최대값 1111

평균 7.74 (명)

표준편차 56.574

BQ224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석사 정보통신인력(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43 80.0 80.0

1명 1 23 5.4 5.4

2명 2 23 5.4 5.4

3명 3 2 0.5 0.5

4명 4 4 0.9 0.9

5명 5 2 0.5 0.5

6명 6 2 0.5 0.5

7명 7 2 0.5 0.5

10명 10 4 0.9 0.9

20명 20 1 0.2 0.2

27명 27 1 0.2 0.2

114명 114 1 0.2 0.2

379명 379 1 0.2 0.2

무응답 9999 20 4.7 4.7

429 100.0 100.0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4) 석사 정보통신인력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3) 대졸 정보통신인력

(32)

BQ225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박사 정보통신인력(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94 91.8 91.8

1명 1 9 2.1 2.1

2명 2 2 0.5 0.5

3명 3 1 0.2 0.2

11명 11 1 0.2 0.2

12명 12 1 0.2 0.2

23명 23 1 0.2 0.2

무응답 9999 20 4.7 4.7

429 100.0 100.0

BQ226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총 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11

최소값 0

최대값 2018

평균 17.63 (명)

표준편차 110.494

BQ227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고졸이하 핵심정보통신인력(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64 84.8 84.8

1명 1 18 4.2 4.2

2명 2 11 2.6 2.6

3명 3 4 0.9 0.9

4명 4 3 0.7 0.7

5명 5 3 0.7 0.7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5) 박사 정보통신인력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7) 고졸이하 핵심정보통신인력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6) 총 정보통신인력

(33)

6명 6 1 0.2 0.2

7명 7 1 0.2 0.2

10명 10 1 0.2 0.2

19명 19 1 0.2 0.2

31명 31 1 0.2 0.2

111명 111 1 0.2 0.2

무응답 9999 20 4.7 4.7

429 100.0 100.0

BQ228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전문대졸 핵심정보통신인력(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09 72.0 72.0

1명 1 34 7.9 7.9

2명 2 25 5.8 5.8

3명 3 13 3.0 3.0

4명 4 7 1.6 1.6

5명 5 7 1.6 1.6

6명 6 2 0.5 0.5

8명 8 2 0.5 0.5

9명 9 3 0.7 0.7

12명 12 1 0.2 0.2

17명 17 1 0.2 0.2

19명 19 1 0.2 0.2

20명 20 2 0.5 0.5

85명 85 1 0.2 0.2

318명 318 1 0.2 0.2

무응답 9999 20 4.7 4.7

429 100.0 100.0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8) 전문대졸 핵심정보통신인력

(34)

BQ229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대졸 핵심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09

최소값 0

최대값 1512

평균 9.34 (명)

표준편차 77.447

BQ2210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석사 핵심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08

최소값 0

최대값 854

평균 3.77 (명)

표준편차 43.304

BQ2211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박사 핵심정보통신인력(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69 86.0 86.0

1명 1 23 5.4 5.4

2명 2 7 1.6 1.6

3명 3 5 1.2 1.2

4명 4 1 0.2 0.2

6명 6 1 0.2 0.2

7명 7 2 0.5 0.5

68명 68 1 0.2 0.2

무응답 9999 20 4.7 4.7

429 100.0 100.0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9) 대졸 핵심정보통신인력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1) 박사 핵심정보통신인력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0) 석사 핵심정보통신인력

(35)

BQ221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총 핵심정보통신인력(명)

유효합계 411

최소값 0

최대값 2538

평균 16.00 (명)

표준편차 134.801

BQ2213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고졸이하 전체(명)

유효합계 410

최소값 0

최대값 520

평균 5.53 (명)

표준편차 35.071

BQ2214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전문대졸 전체(명)

유효합계 410

최소값 0

최대값 676

평균 4.87 (명)

표준편차 34.631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3) 고졸이하 전체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2) 총 핵심정보통신인력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4) 전문대졸 전체

(36)

BQ2215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대졸 전체(명)

유효합계 410

최소값 0

최대값 1512

평균 17.07 (명)

표준편차 105.942

BQ2216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석사 전체(명)

유효합계 409

최소값 0

최대값 854

평균 5.50 (명)

표준편차 50.859

BQ2217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박사 전체(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357 83.2 83.2

1명 1 30 7.0 7.0

2명 2 10 2.3 2.3

3명 3 5 1.2 1.2

4명 4 2 0.5 0.5

6명 6 1 0.2 0.2

7명 7 1 0.2 0.2

11명 11 1 0.2 0.2

19명 19 1 0.2 0.2

23명 23 1 0.2 0.2

68명 68 1 0.2 0.2

무응답 9999 19 4.4 4.4

429 100.0 100.0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7) 박사 전체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6) 석사 전체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5) 대졸 전체

(37)

BQ2218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구성: 전체인원(명)

유효합계 412

최소값 0

최대값 3018

평균 33.61 (명)

표준편차 200.52

BQ3

고용조정실시 경험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97 22.6 22.6

아니오 2 331 77.2 77.2

무응답 9 1 0.2 0.2

429 100.0 100.0

BQ311

(고용조정실시했다면)1997년 감축인원

유효합계 90

최소값 0

최대값 600

평균 33.47 (명)

표준편차 93.400

문3-1) 고용조정을 한 경험이 있다면, 고용조정으로 감축된 인원은 얼마나 됩니까?

1) 1997년

문3) 최근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고용조정(정리해고, 명예퇴직, 희망퇴직 포함)을 실시한 경험이 있습니까?

문2-2) 2000년 8월 현재 정보통신관련 인력의 구성 18) 전체인원

(38)

BQ312

(고용조정실시했다면)1998년 감축인원

유효합계 90

최소값 0

최대값 99997

평균 1268.24 (명)

표준편차 10545.612

BQ313

(고용조정실시했다면)1999년 감축인원

유효합계 92

최소값 0

최대값 400

평균 28.41 (명)

표준편차 62.251

BQ314

(고용조정실시했다면)2000년 6월까지 감축인원

유효합계 92

최소값 0

최대값 966

평균 22.68 (명)

표준편차 110.189

문3-1) 고용조정을 한 경험이 있다면, 고용조정으로 감축된 인원은 얼마나 됩니까?

2) 1998년

문3-1) 고용조정을 한 경험이 있다면, 고용조정으로 감축된 인원은 얼마나 됩니까?

4) 2000년 6월까지

문3-1) 고용조정을 한 경험이 있다면, 고용조정으로 감축된 인원은 얼마나 됩니까?

3) 1999년

(39)

BQ321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원 및 관리직 1 27 6.3 27.8

연구개발직 및 기술직 2 8 1.9 8.2

기술공 3 4 0.9 4.1

사무직 4 16 3.7 16.5

영업직 5 4 0.9 4.1

생산직 7 5 1.2 5.2

단순노무직 8 1 0.2 1.0

직종의 구분없이 시행하였음 9 31 7.2 32.0

무응답 99 1 0.2 1.0

비해당 0 332 77.4

429 100.0 100.0

BQ322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연구개발직 및 기술직 2 6 1.4 15.8

기술공 3 1 0.2 2.6

사무직 4 11 2.6 28.9

영업직 5 8 1.9 21.1

서비스직 6 1 0.2 2.6

생산직 7 9 2.1 23.7

단순노무직 8 2 0.5 5.3

비해당 0 391 91.1

429 100.0 100.0

BQ323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술공 3 3 0.7 20.0

사무직 4 1 0.2 6.7

영업직 5 4 0.9 26.7

생산직 7 5 1.2 33.3

직종의 구분없이 시행하였음 9 2 0.5 13.3

비해당 0 414 96.5

429 100.0 100.0 문3-2) 고용조정의 대상자는 주로 어느 직종이었습니까? (복수응답)

(40)

BQ324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무직 4 2 0.5 28.6

서비스직 6 1 0.2 14.3

생산직 7 3 0.7 42.9

단순노무직 8 1 0.2 14.3

비해당 0 422 98.4

429 100.0 100.0

BQ325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영업직 5 1 0.2 25.0

생산직 7 1 0.2 25.0

단순노무직 8 2 0.5 50.0

비해당 0 425 99.1

429 100.0 100.0

BQ326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6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비스직 6 1 0.2 100.0

비해당 0 428 99.8

429 100.0 100.0

BQ327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생산직 7 1 0.2 100.0

비해당 0 428 99.8

429 100.0 100.0

BQ328

(고용조정실시했다면)고용조정의 대상 직종 8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41)

BQ331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원 및 관리직 1 24 5.6 5.6

연구개발직 및 기술직 2 13 3.0 3.0

기술공 3 1 0.2 0.2

사무직 4 16 3.7 3.7

영업직 5 2 0.5 0.5

생산직 7 3 0.7 0.7

단순노무직 8 3 0.7 0.7

잉여인력이나 과잉 인력이 없다 9 367 85.5 85.5

429 100.0 100.0

BQ332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술공 3 1 0.2 3.7

사무직 4 6 1.4 22.2

영업직 5 5 1.2 18.5

생산직 7 10 2.3 37.0

단순노무직 8 4 0.9 14.8

잉여인력이나 과잉 인력이 없다 9 1 0.2 3.7

비해당 0 402 93.7

429 100.0 100.0

BQ333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영업직 5 1 0.2 25.0

생산직 7 2 0.5 50.0

단순노무직 8 1 0.2 25.0

비해당 0 425 99.1

429 100.0 100.0 문3-3) 귀사는 아직도 잉여인력이나 과잉인 인력이 있습니까? 있다면 어느 직종입니까?

(42)

BQ334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비스직 6 1 0.2 100.0

비해당 0 428 99.8

429 100.0 100.0

BQ335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5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BQ336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6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BQ337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7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BQ338

(잉여/과잉인력이 있다면)잉여/과잉인력의 직종 8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BQ4

부족인력이 정보통신 관련 직종인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21 51.5 51.5

아니오 2 196 45.7 45.7

무응답 9 12 2.8 2.8

429 100.0 100.0 문4) 귀사가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인력은 정보통신 관련 직종 인력입니까?

(43)

BQ5

부족한 직종코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관리직 1 1 0.2 0.2

기술공 3 1 0.2 0.2

사무직 4 1 0.2 0.2

생산부서 관리자 122 2 0.5 0.5

기타 부서 관리자 123 12 2.8 2.8

물리학자, 화학자 및 관련 전문가 211 3 0.7 0.7

건축가, 기술자 및 관련 전문가 214 5 1.2 1.2

생명과학 전문가 221 3 0.7 0.7

자연과학 및 공학 기술공 311 11 2.6 2.6

안전 및 품질 검사원 315 3 0.7 0.7

금융 및 판매 준전문가 341 6 1.4 1.4

기타 사무직원 419 3 0.7 0.7

대금수납원, 금전출납원 및 관련 사무원 421 1 0.2 0.2

여행접대요원 및 관련 근로자 511 1 0.2 0.2

기타 대인서비스 근로자 514 1 0.2 0.2

금속주형원 용접원 판금원 721 3 0.7 0.7

기계 정비원 및 설비원 723 1 0.2 0.2

전기, 전자장비 정비원 및 설비원 724 1 0.2 0.2

금속 및 관련 재료 세공원 731 1 0.2 0.2

도공, 유리가공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32 1 0.2 0.2

목재, 섬유, 가죽 및 관련재료의 수공예 근로자 733 1 0.2 0.2

인쇄 및 관련 기능근로자 734 1 0.2 0.2

식품가공 및 관련 기능근로자 741 1 0.2 0.2

섬유, 의복 및 관련 기능근로자 743 1 0.2 0.2

금속가공장치조작원 812 2 0.5 0.5

금속 및 광물제품제조용 기계조작원 821 1 0.2 0.2

화학제품용 기계 조작원 822 2 0.5 0.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용 기계 조작원 823 3 0.7 0.7

인쇄, 제본 및 종이제품용 기계 조작원 825 1 0.2 0.2

문5) 현재 가장 부족한 직종은 어떤 직종입니까?

1) 직종코드

(44)

식품 및 관련제품용 기계 조작원 827 1 0.2 0.2

조립원 828 1 0.2 0.2

기타 지계조작원 및 조립원 829 1 0.2 0.2

자동차 운전원 832 1 0.2 0.2

배달원, 수하물 운반원, 경비원 및 관련 근로자 915 1 0.2 0.2

제조 관련 단순노무자 932 24 5.6 5.6

전산업무부서 관리자 1110 4 0.9 0.9

시스템 설계·분석가 1111 7 1.6 1.6

네트워크시스템 분석 및 설계가 1113 1 0.2 0.2

컴퓨터 보안 전문가 1114 4 0.9 0.9

시스템 운영 및 관리자 1115 2 0.5 0.5

기타 컴퓨터 시스템 관련 기술자 1119 3 0.7 0.7

연구개발부서 관리자 1120 5 1.2 1.2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1 26 6.1 6.1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2 22 5.1 5.1

개발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3 21 4.9 4.9

기타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9 9 2.1 2.1

기술부서 관리자 1130 1 0.2 0.2

웹엔지니어 1131 12 2.8 2.8

기타 인터넷 관련 기술 전문가 1139 5 1.2 1.2

컴퓨터 하드웨어 엔지니어 1141 3 0.7 0.7

컴퓨터 프로그래머 1211 30 7.0 7.0

컴퓨터 제도사CAD/CAM) 1222 2 0.5 0.5

컴퓨터, 주변기기 품질검사원 1223 1 0.2 0.2

컴퓨터 및 정보처리업 관련 관리자 2110 4 0.9 0.9

통신망 계획·설계자 2111 1 0.2 0.2

통신망 운용·관리자 2112 1 0.2 0.2

통신장비기술자 2113 8 1.9 1.9

기타 통신기술자 2119 1 0.2 0.2

통신업 관련 관리자 2120 1 0.2 0.2

전자공학기술자(컴퓨터, 통신 제외) 2131 11 2.6 2.6

반도체 기술자 2141 4 0.9 0.9

전자 부품 관련 기술자(반도체 제외) 2142 5 1.2 1.2

전자 기술공 2231 5 1.2 1.2

(45)

전자부품 기술공 2241 4 0.9 0.9

기술영업부서 관리자 3110 2 0.5 0.5

일반영업부서 관리자 3120 2 0.5 0.5

시각 디자이너 3211 1 0.2 0.2

정보기술 관련 사업 및 업무 분석가 4111 2 0.5 0.5

정보제공 전문가 4122 1 0.2 0.2

컴퓨터 기술영업원 5111 1 0.2 0.2

방송, 통신장비 기술영업원 5112 2 0.5 0.5

기타 기술영업원 5119 3 0.7 0.7

방송·통신장비 일반영업 및 판매원 5212 1 0.2 0.2

기타 일반영업 및 판매원 5219 2 0.5 0.5

통신장비 제조반장 7122 1 0.2 0.2

통신장비 제조 관련 조작, 조립원 7222 1 0.2 0.2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관련 조작, 조립원 7223 1 0.2 0.2

반도체 제조 관련 조작, 조립원 7231 1 0.2 0.2

전자부품 제조관련 조작, 조립원(반도체 제외) 7232 6 1.4 1.4

기술직 9992 4 0.9 0.9

연구직(연구개발직) 9994 5 1.2 1.2

전산직 9995 1 0.2 0.2

없다 9998 82 19.1 19.1

무응답 9999 4 0.9 0.9

429 100.0 100.0

BQ50

부족한 직종의 부족인력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28 6.5 8.1

2명 2 91 21.2 26.2

3명 3 48 11.2 13.8

4명 4 31 7.2 8.9

5명 5 52 12.1 15.0

6명 6 5 1.2 1.4

7명 7 5 1.2 1.4

문5) 현재 가장 부족한 직종은 어떤 직종입니까?

2) 부족인력수

(46)

8명 8 4 0.9 1.2

10명 10 38 8.9 11.0

12명 12 1 0.2 0.3

15명 15 1 0.2 0.3

20명 20 14 3.3 4.0

25명 25 3 0.7 0.9

30명 30 5 1.2 1.4

40명 40 1 0.2 0.3

50명 50 4 0.9 1.2

52명 52 1 0.2 0.3

75명 75 1 0.2 0.3

150명 150 1 0.2 0.3

200명 200 1 0.2 0.3

345명 345 1 0.2 0.3

500명 500 1 0.2 0.3

무응답 999 10 2.3 2.9

비해당 998 82 19.1

429 100.0 100.0

BQ51

부족한 직종 근로자의 학력과 경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력무관-4년이상 11 10 2.3 2.9

공고졸-4년이상 13 7 1.6 2.0

전문대졸-4년이상 14 9 2.1 2.6

대졸-4년이상 15 51 11.9 14.7

석박사이상-4년이상 16 12 2.8 3.5

학력무관-2년~4년 21 14 3.3 4.0

공고졸-2년~4년 23 9 2.1 2.6

전문대졸-2년~4년 24 13 3.0 3.7

대졸-2년~4년 25 71 16.6 20.5

석박사이상-2년~4년 26 11 2.6 3.2

학력무관-1~2년 31 15 3.5 4.3

공고졸-1~2년 33 5 1.2 1.4

전문대졸-1~2년 34 15 3.5 4.3

명문5-1) 위의 부족한 직종 근로자의 학력과 경력은 어느 부분입니까?

(47)

대졸-1~2년 35 42 9.8 12.1

석박사이상-1~2년 36 4 0.9 1.2

학력무관-3개월이상 1년미만 41 4 0.9 1.2

인문 상업계 고졸-3개월이상 1년미만 42 3 0.7 0.9

공고졸-3개월이상 1년미만 43 10 2.3 2.9

전문대졸-3개월이상 1년미만 44 2 0.5 0.6

대졸-3개월이상 1년미만 45 7 1.6 2.0

석박사이상-3개월이상 1년미만 46 2 0.5 0.6

학력무관-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1 12 2.8 3.5

공고졸-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3 9 2.1 2.6

전문대졸-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4 2 0.5 0.6

대졸-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5 5 1.2 1.4

석박사이상-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6 1 0.2 0.3

무응답 99 2 0.5 0.6

비해당 0 82 19.1

429 100.0 100.0

BQ521

근로자가 부족한 이유 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노동시장에 원하는 분야의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함 1 156 36.4 45.0

입사지원인력은 많으나 기술수준은 낮고 분야가 잘 맞지 않음 2 66 15.4 19.0

채용하고 싶어도 인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 3 27 6.3 7.8

임금/근로조건이 안맞아 채용 어렵고 채용해도 곧바로 이직함 4 71 16.6 20.5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오려고 하지 않음 5 13 3.0 3.7

대기업이나 경쟁기업의 스카우트 6 1 0.2 0.3

지역적인 이유로 인해 7 6 1.4 1.7

신규시장진입으로 인력수급미비 8 1 0.2 0.3

경영합리화위해 채용중지 9 1 0.2 0.3

경력자부족 11 1 0.2 0.3

적성을 찾아 타분야 진출 12 1 0.2 0.3

회사사정상 여건이 안되어서 13 2 0.5 0.6

무응답 99 1 0.2 0.3

비해당 0 82 19.1

429 100.0 100.0 문5-2) 위와 같은 조건의 근로자가 부족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

(48)

BQ522

근로자가 부족한 이유 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입사지원인력은 많으나 기술수준은 낮고 분야가 잘 맞지 않음 2 39 9.1 22.9

채용하고 싶어도 인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 3 28 6.5 16.5

임금/근로조건이 안맞아 채용 어렵고 채용해도 곧바로 이직함 4 54 12.6 31.8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오려고 하지 않음 5 27 6.3 15.9

대기업이나 경쟁기업의 스카우트 6 9 2.1 5.3

지역적인 이유로 인해 7 12 2.8 7.1

중소기업은 인력충원에 대해 장기적 계획이 어려우므로 10 1 0.2 0.6

비해당 0 259 60.4

429 100.0 100.0

BQ523

근로자가 부족한 이유 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채용하고 싶어도 인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 3 3 0.7 4.8

임금/근로조건이 안맞아 채용 어렵고 채용해도 곧바로 이직함 4 19 4.4 30.2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오려고 하지 않음 5 20 4.7 31.7

대기업이나 경쟁기업의 스카우트 6 9 2.1 14.3

지역적인 이유로 인해 7 12 2.8 19.0

비해당 0 366 85.3

429 100.0 100.0

BQ524

근로자가 부족한 이유 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근로조건이 안맞아 채용 어렵고 채용해도 곧바로 이직함 4 1 0.2 5.3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오려고 하지 않음 5 5 1.2 26.3

대기업이나 경쟁기업의 스카우트 6 3 0.7 15.8

지역적인 이유로 인해 7 10 2.3 52.6

비해당 0 410 95.6

429 100.0 100.0

(49)

BQ525

근로자가 부족한 이유 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오려고 하지 않음 5 1 0.2 50.0

지역적인 이유로 인해 7 1 0.2 50.0

비해당 0 427 99.5

429 100.0 100.0

BQ6

향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관리직 1 1 0.2 0.2

과학자, 엔지니어, 기술자 2 3 0.7 0.7

생산부서 관리자 122 1 0.2 0.2

기타 부서 관리자 123 14 3.3 3.3

물리학자, 화학자 및 관련 전문가 211 4 0.9 0.9

건축가, 기술자 및 관련 전문가 214 10 2.3 2.3

생명과학 전문가 221 1 0.2 0.2

사업 전문가 241 1 0.2 0.2

기록 보관원, 사서 및 관련 정보 전문가 243 1 0.2 0.2

자연과학 및 공학 기술공 311 11 2.6 2.6

광학 및 전자장비 조작원 313 2 0.5 0.5

안전 및 품질 검사원 315 3 0.7 0.7

준교사, 준교육전문가 330 1 0.2 0.2

금융 및 판매 준전문가 341 4 0.9 0.9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347 2 0.5 0.5

기타 사무직원 419 2 0.5 0.5

상점 판매원 및 선전원 522 2 0.5 0.5

금속주형원 용접원 판금원 721 5 1.2 1.2

기계 정비원 및 설비원 723 4 0.9 0.9

전기, 전자장비 정비원 및 설비원 724 1 0.2 0.2

금속 및 관련 재료 세공원 731 1 0.2 0.2

도공, 유리가공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32 1 0.2 0.2

문6) 향후 가장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근로자의 직종은 어떤 직종입니까?

1) 직종

(50)

목재, 섬유, 가죽 및 관련재료의 수공예 근로자 733 1 0.2 0.2

인쇄 및 관련 기능근로자 734 1 0.2 0.2

식품가공 및 관련 기능근로자 741 1 0.2 0.2

목재처리원, 가구제조원 및 관련기능 근로자 742 1 0.2 0.2

섬유, 의복 및 관련 기능근로자 743 3 0.7 0.7

금속가공장치조작원 812 1 0.2 0.2

금속 및 광물제품제조용 기계조작원 821 1 0.2 0.2

화학제품용 기계 조작원 822 1 0.2 0.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용 기계 조작원 823 3 0.7 0.7

자동차 운전원 832 1 0.2 0.2

배달원, 수하물 운반원, 경비원 및 관련 근로자 915 1 0.2 0.2

환경 미화원 및 관련 근로자 916 1 0.2 0.2

제조 관련 단순노무자 932 24 5.6 5.6

운수업 관련 단순노무자 및 화물 취급원 933 1 0.2 0.2

전산업무부서 관리자 1110 2 0.5 0.5

시스템 설계·분석가 1111 6 1.4 1.4

데이터베이스 분석 및 설계가 1112 3 0.7 0.7

네트워크시스템 분석 및 설계가 1113 3 0.7 0.7

컴퓨터 보안 전문가 1114 6 1.4 1.4

시스템 운영 및 관리자 1115 8 1.9 1.9

기타 컴퓨터 시스템 관련 기술자 1119 3 0.7 0.7

연구개발부서 관리자 1120 6 1.4 1.4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1 21 4.9 4.9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2 16 3.7 3.7

개발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3 26 6.1 6.1

기타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엔지니어 1129 8 1.9 1.9

기술부서 관리자 1130 1 0.2 0.2

웹엔지니어 1131 12 2.8 2.8

기타 인터넷 관련 기술 전문가 1139 6 1.4 1.4

컴퓨터 하드웨어 엔지니어 1141 4 0.9 0.9

컴퓨터 프로그래머 1211 20 4.7 4.7

컴퓨터 기술공 1221 1 0.2 0.2

컴퓨터 제도사CAD/CAM) 1222 2 0.5 0.5

컴퓨터 및 정보처리업 관련 관리자 2110 4 0.9 0.9

통신망 계획·설계자 2111 2 0.5 0.5

통신망 운용·관리자 2112 2 0.5 0.5

(51)

통신장비기술자 2113 10 2.3 2.3

기타 통신기술자 2119 2 0.5 0.5

전자공학기술자(컴퓨터, 통신 제외) 2131 9 2.1 2.1

반도체 기술자 2141 4 0.9 0.9

전자 부품 관련 기술자(반도체 제외) 2142 5 1.2 1.2

통신운용기술공 2211 2 0.5 0.5

방송장비 품질검사원 2222 1 0.2 0.2

전자 기술공 2231 6 1.4 1.4

전자부품 기술공 2241 1 0.2 0.2

전자부품 품질검사원 2242 1 0.2 0.2

기술영업부서 관리자 3110 4 0.9 0.9

기타 멀티미디어 관련 예술가 3119 1 0.2 0.2

일반영업부서 관리자 3120 1 0.2 0.2

시각 디자이너 3211 1 0.2 0.2

멀티미디어 디자이너 3212 3 0.7 0.7

정보통신장비 생산관리자 4110 1 0.2 0.2

정보기술 관련 사업 및 업무 분석가 4111 4 0.9 0.9

전자상거래관리사 4123 3 0.7 0.7

기타 통신 서비스 관련 전문가 4129 1 0.2 0.2

컴퓨터 기술영업원 5111 1 0.2 0.2

방송, 통신장비 기술영업원 5112 2 0.5 0.5

기타 기술영업원 5119 6 1.4 1.4

컴퓨터 일반영업 및 판매원 5211 1 0.2 0.2

방송·통신장비 일반영업 및 판매원 5212 1 0.2 0.2

기타 일반영업 및 판매원 5219 5 1.2 1.2

전자장비 설치, 수리원 6131 1 0.2 0.2

컴퓨터, 주변기기 제조 관련 조작, 조립원 7211 1 0.2 0.2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관련 조작, 조립원 7223 2 0.5 0.5

반도체 제조 관련 조작, 조립원 7231 3 0.7 0.7

전자부품 제조관련 조작, 조립원(반도체 제외) 7232 4 0.9 0.9

기술직 9992 3 0.7 0.7

연구직(연구개발직) 9994 9 2.1 2.1

전산직 9995 1 0.2 0.2

없다 9998 48 11.2 11.2

무응답 9999 3 0.7 0.7

429 100.0 100.0

(52)

BQ60

향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종의 필요인원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36 8.4 9.5

2명 2 89 20.7 23.5

3명 3 60 14.0 15.8

4명 4 25 5.8 6.6

5명 5 54 12.6 14.2

6명 6 10 2.3 2.6

7명 7 2 0.5 0.5

8명 8 3 0.7 0.8

10명 10 39 9.1 10.3

12명 12 1 0.2 0.3

13명 13 1 0.2 0.3

15명 15 1 0.2 0.3

20명 20 14 3.3 3.7

25명 25 5 1.2 1.3

30명 30 7 1.6 1.8

35명 35 1 0.2 0.3

40명 40 1 0.2 0.3

50명 50 4 0.9 1.1

52명 52 1 0.2 0.3

100명 100 2 0.5 0.5

130명 130 1 0.2 0.3

500명 500 1 0.2 0.3

무응답 999 21 4.9 5.5

비해당 998 50 11.7

429 100.0 100.0 문6) 향후 가장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근로자의 직종은 어떤 직종입니까?

2) 필요인원수

(53)

BQ61

향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종 근로자의 학력과 경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력무관-4년이상 11 16 3.7 4.2

공고졸-4년이상 13 3 0.7 0.8

전문대졸-4년이상 14 10 2.3 2.6

대졸-4년이상 15 57 13.3 15.0

석박사이상-4년이상 16 16 3.7 4.2

학력무관-2년~4년 21 14 3.3 3.7

공고졸-2년~4년 23 16 3.7 4.2

전문대졸-2년~4년 24 18 4.2 4.7

대졸-2년~4년 25 73 17.0 19.3

석박사이상-2년~4년 26 16 3.7 4.2

학력무관-1~2년 31 14 3.3 3.7

인문 상업계 고졸-1~2년 32 2 0.5 0.5

공고졸-1~2년 33 6 1.4 1.6

전문대졸-1~2년 34 15 3.5 4.0

대졸-1~2년 35 41 9.6 10.8

석박사이상-1~2년 36 4 0.9 1.1

학력무관-3개월이상 1년미만 41 3 0.7 0.8

인문 상업계 고졸-3개월이상 1년미만 42 2 0.5 0.5

공고졸-3개월이상 1년미만 43 4 0.9 1.1

전문대졸-3개월이상 1년미만 44 9 2.1 2.4

대졸-3개월이상 1년미만 45 6 1.4 1.6

학력무관-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1 11 2.6 2.9

인문 상업계 고졸-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2 2 0.5 0.5

공고졸-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3 7 1.6 1.8

전문대졸-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4 3 0.7 0.8

대졸-3개월미만의 현장훈련 55 6 1.4 1.6

무응답 99 5 1.2 1.3

비해당 0 50 11.7

429 100.0 100.0 문6-1) 위의 직종의 근로자의 학력과 경력은 어느 부분입니까?

(54)

BQ621

근로자가 필요한 이유 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업내용의 고도화, 전문화에 따른 채용 1 214 49.9 56.5

사업확장에 따른 인력수요 증가 2 102 23.8 26.9

경기회복에 따른 제품수요 증가로 인한 인력수요 증가 3 26 6.1 6.9

정년퇴직, 자발적 이직 등 자연발생한 결원의 보충 4 19 4.4 5.0

충원요인은 없으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5 8 1.9 2.1

구조조정의 완료에 따른 신규 채용 6 3 0.7 0.8

힘든 일 기피현상 7 2 0.5 0.5

영업력에 따라 물량조절이 되므로 8 1 0.2 0.3

무응답 99 4 0.9 1.1

비해당 0 50 11.7

429 100.0 100.0

BQ622

근로자가 필요한 이유 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업확장에 따른 인력수요 증가 2 82 19.1 65.1

경기회복에 따른 제품수요 증가로 인한 인력수요 증가 3 21 4.9 16.7

정년퇴직, 자발적 이직 등 자연발생한 결원의 보충 4 10 2.3 7.9

충원요인은 없으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5 12 2.8 9.5

구조조정의 완료에 따른 신규 채용 6 1 0.2 0.8

비해당 0 303 70.6

429 100.0 100.0

BQ623

근로자가 필요한 이유 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경기회복에 따른 제품수요 증가로 인한 인력수요 증가 3 6 1.4 33.3

정년퇴직, 자발적 이직 등 자연발생한 결원의 보충 4 4 0.9 22.2

충원요인은 없으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5 8 1.9 44.4

비해당 0 411 95.8

429 100.0 100.0 문6-2) 위와 같은 조건의 근로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

(55)

BQ624

근로자가 필요한 이유 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년퇴직, 자발적 이직 등 자연발생한 결원의 보충 4 1 0.2 50.0

충원요인은 없으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5 1 0.2 50.0

비해당 0 427 99.5

429 100.0 100.0

BQ625

근로자가 필요한 이유 5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BQ7

현재 필요한 인력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일자리 개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개 0 118 27.5 27.5

1 개 1 34 7.9 7.9

2 개 2 81 18.9 18.9

3 개 3 51 11.9 11.9

4 개 4 26 6.1 6.1

5 개 5 31 7.2 7.2

6 개 6 6 1.4 1.4

7 개 7 7 1.6 1.6

8 개 8 5 1.2 1.2

10 개 10 24 5.6 5.6

12 개 12 1 0.2 0.2

15 개 15 4 0.9 0.9

16 개 16 1 0.2 0.2

20 개 20 7 1.6 1.6

30 개 30 2 0.5 0.5

35 개 35 1 0.2 0.2

50 개 50 1 0.2 0.2

무응답 99 29 6.8 6.8

429 100.0 100.0 문7) 현재 필요한 인력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일자리(job position)은 얼마나 됩니까?

(56)

BQ811

종업원의 이직율: 1997년(%)

유효합계 283

최소값 0

최대값 97

평균 11.96 (%)

표준편차 60.032

BQ812

종업원의 이직율: 1998년(%)

유효합계 330

최소값 0

최대값 997

평균 11.66 (%)

표준편차 55.799

BQ813

종업원의 이직율: 1999년(%)

유효합계 401

최소값 0

최대값 80

평균 9.66 (%)

표준편차 12.132

문8-1) 최근 귀 사업체 종업원의 이직율은? (이직율은 고용조정에 의한 이직이나 본인의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을 제외한 자발적인 이직만을 포함합니다.)

2) 1998년

문8-1) 최근 귀 사업체 종업원의 이직율은? (이직율은 고용조정에 의한 이직이나 본인의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을 제외한 자발적인 이직만을 포함합니다.)

1) 1997년

문8-1) 최근 귀 사업체 종업원의 이직율은? (이직율은 고용조정에 의한 이직이나 본인의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을 제외한 자발적인 이직만을 포함합니다.)

3) 1999년

(57)

BQ814

종업원의 이직율: 2000년 6월까지(%)

유효합계 423

최소값 0

최대값 57

평균 8.53 (%)

표준편차 10.384

BQ821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원 및 관리직 1 39 9.1 10.3

연구개발 및 기술직 2 121 28.2 32.1

기술공 3 42 9.8 11.1

사무직 4 36 8.4 9.5

영업직 5 27 6.3 7.2

서비스직 6 7 1.6 1.9

생산직 7 80 18.6 21.2

단순노무직 8 19 4.4 5.0

무응답 9 6 1.4 1.6

비해당 0 52 12.1

429 100.0 100.0

BQ822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연구개발 및 기술직 2 11 2.6 15.1

기술공 3 5 1.2 6.8

사무직 4 12 2.8 16.4

영업직 5 17 4.0 23.3

서비스직 6 3 0.7 4.1

생산직 7 16 3.7 21.9

단순노무직 8 9 2.1 12.3

비해당 0 356 83.0

429 100.0 100.0 문8-2) 최근 귀사의 경우 가장 이직률이 높은 직종을 선택해주시고, 관련 직업 또는 직무, 직위를 적어주시 기 바랍니다

1) 직업명

문8-1) 최근 귀 사업체 종업원의 이직율은? (이직율은 고용조정에 의한 이직이나 본인의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을 제외한 자발적인 이직만을 포함합니다.)

4) 2000년 6월

(58)

BQ823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술공 3 1 0.2 5.9

사무직 4 5 1.2 29.4

영업직 5 5 1.2 29.4

서비스직 6 3 0.7 17.6

생산직 7 2 0.5 11.8

단순노무직 8 1 0.2 5.9

비해당 0 412 96.0

429 100.0 100.0

BQ824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영업직 5 3 0.7 100.0

비해당 0 426 99.3

429 100.0 100.0

BQ825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생산직 7 1 0.2 100.0

비해당 0 428 99.8

429 100.0 100.0

BQ826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6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BQ827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7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59)

BQ828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명 8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429 100.0

BQ8211

이직률이 높은 직종: 직업코드 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관리직 1 5 1.2 1.3

정보통신관련 관리직 10 1 0.2 0.3

최고경영자 121 3 0.7 0.8

생산부서 관리자 122 7 1.6 1.9

기타 부서 관리자 123 19 4.4 5.0

물리학자, 화학자 및 관련 전문가 211 3 0.7 0.8

수학자, 통계학자 및 관련 전문가 212 1 0.2 0.3

건축가, 기술자 및 관련 전문가 214 6 1.4 1.6

생명과학 전문가 221 2 0.5 0.5

법률 전문가 242 1 0.2 0.3

자연과학 및 공학 기술공 311 9 2.1 2.4

광학 및 전자장비 조작원 313 1 0.2 0.3

안전 및 품질 검사원 315 2 0.5 0.5

금융 및 판매 준전문가 341 15 3.5 4.0

비서, 타자원 및 관련 사무원 411 1 0.2 0.3

계수 사무원 412 3 0.7 0.8

기타 사무직원 419 9 2.1 2.4

대금수납원, 금전출납원 및 관련 사무원 421 5 1.2 1.3

고객안내 사무원 422 2 0.5 0.5

보안업무 근로자 516 1 0.2 0.3

상점 판매원 및 선전원 522 1 0.2 0.3

매점 및 시장 판매원 523 1 0.2 0.3

금속주형원 용접원 판금원 721 9 2.1 2.4

기계 정비원 및 설비원 723 2 0.5 0.5

전기, 전자장비 정비원 및 설비원 724 4 0.9 1.1

문8-2) 최근 귀사의 경우 가장 이직률이 높은 직종을 선택해주시고, 관련 직업 또는 직무, 직위를 적어주시 기 바랍니다

2) 직업코드

Referensi

Dokumen terkait

문 귀사의 사회공헌활동은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얼마나 큰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하시는 지 해당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시고 각 항목들 간의 순위를 매겨 주시기 바랍니다,... 문 귀사의 사회공헌활동은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얼마나 큰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하시는 지 해당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시고 각 항목들 간의 순위를 매겨 주시기

귀하의 경주 여행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과 행동의도에 관한 질문으로 귀하께서 생각하고 있는 가장 가까운 의견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나는 경주의 전반적 이미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