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반도국립공원 꽝꽝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김하송1*
⋅
조영준2⋅
이지희3⋅
오도일3⋅
명현호4⋅
이정윤51고구려대학교 남도생태연구소, 2신안군청 세계유산과, 3국립공원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4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5생태공간정보연구소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Ha-Sing Kim
1*, Yeong-Jun Cho
2, Ji-Hee Lee
3, Do-Il Oh
3, Hyun-Ho Myeong
4and Jung-Yun Lee
51Department of Namdo Ecology Research Institute, Koguryeo College, Naju 58280, Korea 2World Heritage Division, Shinan county office, Sinan 58827, Korea
3Byonsanbando National Park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Buan 56337, Korea 4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5Ecology & Spatial Information Institute, Sejong 30128, Korea
요약: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꽝꽝나무군락 서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하여 군락 분포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과 주요 식생에 대한 생태 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꽝꽝나무군락 주변에서 총 22과 21속 32종 4변종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꽝꽝나무군락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근접거리에서 식생은 산지침엽수림인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으로 나타났으며(북위 35°
39′ 18.62″, 동경 126° 34′ 56.70), 해발고도 85m~95m, 경사도 10°~15°, 남사면과 남서사면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목층 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등이, 아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등이, 관목층에서 는 꽝꽝나무, 진달래, 조록싸리, 쇠물푸레, 청미래덩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철쭉, 감태나무, 노간주나무 등이 나타났다. 변산반도 꽝꽝나무 군락 자생지역은 과거에 부암댐이 조성되기 전에는 주변이 논, 밭 경작지였지만, 부암댐이 완공된 후, 부안댐 주변에서 발생한 안개와 습도와 같은 기후환경 변화로 인하여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주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 피도가 증가되고, 관목층에서 쇠물푸레, 물푸레나 무, 생강나무 등이, 초본층에서 조릿대, 땅비싸리, 그늘사초, 쇠물푸레 등이 출현하면서 군락내의 종구성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꽝꽝나무군락의 분포면적 384㎡으로 측정되었고, 꽝꽝나무 수고는 2.2~2.5m 범위에 속하며, 꽝꽝나무 성목의 뿌리 줄기부분의 직경은 Ø48.5㎜+39.4㎜+46.9㎜+37.3㎜으로서 꽝꽝나무군락 지역의 안정적인 관리 및 보호로 인하여 양호한 생육상태로 생각된다. 또한 꽝꽝나 무군락 자생지 주변의 소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관목층과 초본층의 구성종으로 꽝꽝나무가 점점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이들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와 지속적인 보존과 복원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변산반도, 국립공원, 꽝꽝나무, 자생지, 식생
Abstract: In order to preserve and restore the habitats of Ilex crenata community distributed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major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centered on the community distribution area. A total of 36 taxa with 22 families, 21 genera, 32 species, and 4 variants, were investigated in the vicinity of the Ilex crenata community. At close distances centered on the area around the Ilex crenata community, the vegetation was found to be a mountain coniferous forest called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35° 39′ 18.62″ north latitude, 126° 34′ 56.70 east longitude), at an elevation of 85m to 95m above sea level, an inclination of 10° to 15°, and clustered around the south and southwest slopes. In the Tree-1 layer, there are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and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In the Tree-2 layer, there are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Styrax japonicus,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n the Shrub layer, there are Ilex cren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Lespedeza maximowiczii, Fraxinus sieboldiana, Smilax china, Lindera obtusiloba, Fraxinus rhynchophyll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Lindera glauca, Juniperus rigida var. rigida. In the past, before the Buam Dam was built, the surrounding area was a rice paddy field and farmland, but after the Buam Dam was completed, due to changes in the climatic environment, such as fog and humidity, which occurred around the Buan Dam, It is predicted that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ithin the community will appear as the blooming of Quercus serrata increases in the Tree-1 layer and Tree-2 layer, as Fraxinus sieboldiana, Fraxinus rhynchophylla, Lindera obtusiloba, etc. appear in the shrub layer, and Sasa borealis,
Received 21 February 2022; Revised 04 March 2022; Accepted 15 March 2022
*Corresponding to 김하송(Ha-Sing Kim) E-mail. [email protected]
Indigofera kirilowii, Carex lanceolata, and Fraxinus sieboldiana, etc. appear in the herb layer.
The distribution area of Ilex crenata community was measured to be 384㎡, the height of Ilex crenata was in the range of 2.2 to 2.5m, and the diameter of the rhizome of Ilex crenata community was Ø48.5mm+39.4mm+46.9mm+37.3mm, It is considered to be in good growth condition due to the stabl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the colony area. In addition, as it is expected that Ilex crenata community will gradually spread as a constituent species of the shrub layer and the herbaceous layer in the pine and Ilex crenata community communities near the native habitats of the black oak community,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these areas and monitor- ing for continuou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 needed in the future.
Key words Byeonsanbando, National Park, Ilex crenata, native place, vegetation
서론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에 특정지역의 식물자원, 희 귀 및 멸종위기식물 자원에 대한 조사와 보존대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Korea Nature Conservation
Association(1981), Kim(1993), Lee et al.(1994), Kim et al.
(1997), Forestry Research Institute(1996), Jungbu Forestry Test Station(1997), Lee et al.(1997), Kim(1998).
이러한 특 정지역의 식물자원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들에 대한 서 식지의 생육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 정이다. 국내 자생수종에 대한 서식지는 식물자원화를 목 적으로 각 식물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우수한 품종 및 유 전자를 개발하여 보전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생태적 특성, 형태적 특성, 유적학적인 연구 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수목은 수종에 따라 생육환경 이 다르며 동일한 종일지라도 집단간, 개체간, 형질의 변 이가 심하기 때문에 가치가 높은 종을 개발, 이용하기 위 해서는 대상종의 생태와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선 행되어야 한다(Oh, 2008).변산반도국립공원은
1988년 6월 11일 건설부 고시 제 258호에 따라 우리나라 국립공원 제19호로 지정되었다.
행정구역상으로 전라북도 부안군 1개의 군, 5개의 면에 분 포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153.934㎢로서 전국 국립공원
면적(6,726.298㎢)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해상면적 은 총 면적의 11.2%인 17.227㎢이며, 육상면적은88.8%
인 136.707㎢이다. 다른 해상국립공원에 비해 육상면적이 크나, 육상 산악형과 달리 낮은 산지, 해안⋅해상이 어우 러진 반도형 공원이다(KNPS, 2019). 변산반도국립공원은 전북구식물계(全北區植物界), 동아구계역(東亞區界域), 한국
구의 남부아구에 속한다. 기후적으로는 온대몬순기후지역 으로 대륙성기후와 해양성기후의 이행대에 위치하여 냉 온대 삼림식생과 난온대 삼림식생이 동시에 나타나는 지 역이다. 특히 변산반도 일대는 해양성기후의 영향권으로 쿠로시오난류 및 한랭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는 온대 성 지역의 이행대로 온대성 및 난대성 식생자원이 풍부 하다. 이들 조건은 한반도 북방계식물과 남방계식물의 공존지역을 형성하여 생태지리적 중간기착지점으로서 식생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난다(Kim, 2019).
변산반도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중요 식물자원으로서 호 랑가시나무군락(천연기념물 제122호), 후박나무군락(천 연기념물 제123호), 꽝꽝나무군락(천연기념물 제124호), 미선나무군락(천연기념물 제370호) 등이 보호, 관리되고있 다. 특히 꽝꽝나무는 기후변화 취약 남방계 산림식물이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9)
Ⅲ등급으로서 변산반도지역에서 중요 식물자원이기 때 문에 서식지의 생육환경과 종구성에 변화에 대한 지속 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변산반도 꽝꽝나무군락에 관한 연구는 Im(1998)의 변 산반도내 호랑가시나무와 꽝꽝나무군락의 서식환경 및 생육상태, Park
et al.(1999)의 변산반도 꽝꽝나무군락의
서식환경 및 생육실태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꽝꽝나무군 락 서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하여 군락 분포지역을 중심 으로 식물상과 주요 식생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조사함 으로서 꽝꽝나무군락의 특이식생 보전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조사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및 기간
본 조사지역은 부안댐의 근접거리에 위치하고 있으 며, 부안댐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위치해 있는 다목적댐으로
1990년 2월에 착공하여 유역면적이
58㎢이며 저수량이 4,200만㎥이고,
용수 공급량이 3,600㎥로 총 사업비
260억원을 투자해 1996년 11월 6일 완공
된 댐으로 주로 부안군민 및 고창군민의 생명수인 상수 원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본 조사는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꽝꽝나무군 락 서식지의 생태조사를 위하여 2021년 10월에 현장답 사를 실시하였다(Fig. 1)
2. 조사방법
식물의 동정은 Jeong(1965), Lee(1996), Lee(1997), Lee
(2003), Park(2001)의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Kim(2008)
의 한국의 야생화와 자원식물을 참고하였다. 조사된 관속 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따 라 작성하였으며, 속 이하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기록 하였고, 학명 및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ForestService, 2021)에 따라 정리하였다.
꽝꽝나무군락 분포지역의 식생조사는 꽝꽝나무군락 으로 경계 설정된 지역(Fig. 1, Releve No. 4)과 꽝꽝나무 군락 주변 좌, 후 하단지역(Releve No. 1, 2, 3)을 선정하 여 조사방형구에서 군락의 각 계층별 식생과 출현한 종 의 우점도(피도)를 판정(Braun-Blanquet, 1964), 분포 특 성을 비교하였다.
Fig. 1. Study area of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Releve No. : 1, 2, 3, 4 )
결과 및 고찰
1. 꽝꽝나무군락지 주변 관속식물상
변산반도국립공원내의 자생 관속식물은 변산반도국립 공원 자연자원조사를 통해
139과 456속 740종 4아종 87
변종9품종의
총 840분류군(KNPS, 1999;, KNPS, 2009;KNPS, 2019).
최근 Imet al.(2020)이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군을 발표하였다. 또한, 꽝꽝나무군락지 주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 사한 결과 Park
et al.(1999)이 변산반도 내
꽝꽝나무군락 의 서식환경 및 생육실태 조사결과 꽝꽝나무군락지 내부 에서 총 21과 31속 30종, 6변종 1품종 총 37분류군을 발 표하였다. 과거 조시지역, 조사자, 조사년도, 조사범위 등 의 차이는 있지만, 약 20년 전인 Parket al.(1999)
자료 와 꽝꽝나무군락지 주변에 식물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현 재 분포종의 결과와 비교하였다(Table 1). 본 조사에서는 꽝꽝나무군락지 주변에서 총 22과 21속32종 4변종
총3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과거 자료(Parket al.(1999))와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교목층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 나무 등이, 관목층에서 진달래, 쇠물푸레, 꽝꽝나무, 수리 딸기, 청미래덩굴 등이, 초본층에서 고사리, 단풍마, 쑥, 엉겅퀴 등의22종이 나타났다.
꽝꽝나무군락지는 부안댐이 완공(1996년 11월 6일)됨 으로서 일반인의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인 간섭 은 제한적으로 생각된다. 군락지 주변에 자연적인 식생 천이와 구성종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종구 성의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꽝꽝나무군락지 식생
변산반도 전역에서 조사된 식물군락은 변산반도국립 공원 자연환경조사에서 산지낙엽활엽수림인 졸참나무군 락, 굴참나무-곰솔군락, 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소나무 군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소 사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소나무군 락, 팽나무군락, 팽나무-느티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과 산 지습성림인 층층나무군락, 층층나무-느티나무군락, 그
리고 산지침엽수림인 곰솔군락, 곰솔-굴참나무군락, 곰 솔-소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굴 참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등이 조사되었으며 그 외 조림식생인 리기다소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곰솔군 락, 은사시나무식재림 등과 2차초지, 개발지, 농경지, 암 석식생 등 총 32개 식생유형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Kim, 2019). 본 조사에서는 현재 꽝꽝나무군락 자 생지로 보호, 관리되고 있는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근접 거리에서 군락조사를 하였다(Fig. 1). 군락조사는 3개 방 형구를 중심으로 각 군락에서 계층별 군락 구성종을 비 교하였다(Fig. 1, Quadrat sites 1, 2, 3). 식생 조사결과 산지 침엽수림인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으로 나타났으며(북위 35° 39′ 18.62″,
동경 126° 34′ 56.70), 해발고도 85m~95m, 경사도 10°~15°, 방향 남사면과 남서사면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 었다. 교목층의 소나무, 졸참나무의 흉고직경은 1번 방형구에서
Ø23~30㎝, 2번 방형구에서 Ø28~38㎝, 3번 방형
구에서
Ø26~42㎝로 사면방향에 따라 임상의 영급 차이
가 나타났다. 또한, 교목층에서는 높이
9~14m,
식피율 85~90%,
주요 구성종은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등이, 아교목층에서는 높이 6~8m, 식피율 25~50%, 주요 구성종은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등이, 관목층에서는 높이 1.5~2.5m, 식피율 30~65%, 주요 구성종은 꽝꽝나무, 진달래, 조록싸리, 쇠물푸레, 청 미래덩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철쭉, 감태나무, 노간주 나무 등이, 초본층에서는 높이 0.8~1m, 식피율 40~95%, 주요 구성종은 새, 계요등, 고사리, 그늘사초, 꽝꽝나무, 땅비싸리, 조릿대, 산박하, 쇠물푸레, 철쭉, 진달래 등이 나타났다.
꽝꽝나무는 전라북도 변산반도 이남의 거제도, 보길도 등 해안지방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난온대 기후대에 자생 하고 있다(Im, 1979; Bang, 1994). 좀꽝꽝나무는 우리나 라 자생식물 가운데 상록활엽관목으로 내음성이 강해 음 지성 관목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다. 조경소재로 이용 가능 성이 높은 수종이지만 식물지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한 반도에는 제주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난온대 기후대에 자생하며, 한라산에서는 1,800m 까지 자란다(Bang, 1994;
Lee, 1997; Won et al., 2016).
꽝꽝나무와 좀꽝꽝나무는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ote
1 2
Pteridaceae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Underw. 고사리 0 0
Thelypteridaceae Thelypteris palustris (A. Gray) Schott 처녀고사리 0
Pinacea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0 0
Cupressaceae Juniperus rigida var. rigida Siebold & Zucc. 노간주나무 0
Gramineae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새 0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억새 0
Sasa borealis Makino 조릿대 0
Cyperaceae Carex disperma Dewey 가는사초 0
Carex laticeps C. B. Clarke ex Franch. 그늘사초 0
Liliaceae Disporum smilacinum A. Gray 애기나리 0 0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0 0
Dioscoreaceae Dioscorea quinqueloba Thunb. 단풍마 0 0
Ulmaceae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느티나무 0
Juglandaceae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굴피나무 0
Fagaceae
Quercus aliena Blume 갈참나무 0
Quercus serrata Murray 졸참나무 0 0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0 0
Lauraceae Lindera glauca (Siebold & Zucc.) Blume 감태나무 0 0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0
Rosaceae
Rubus corchorifolius L. fil. 수리딸기 0 0
Potentilla fragarioides L. 양지꽃 0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윤노리나무 0 0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벗나무 0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Makino) Nakai 잔털벚나무 0
Fabaceae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땅비싸리 0 0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0 0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0
Lespedeza maximowiczii C. K. Schneid. 조록싸리 0 0
Rutaceae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0 0
Anacardiaceae Rhus javanica L. 붉나무 0
Toxicodendron trichocarpum (Miq.) Kuntze 개옻나무 0 0
Aquifoliaceae Ilex crenata Thunb. 꽝꽝나무 0 0
Rhamnaceae Rhamnus yoshinoi Makino 짝자래나무 0 0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0 0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0
Vaccinium oldhamii Miq. 정금나무 0
Styracaceae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때죽나무 0
Symplocaceae Symplocos sawafutagi Nagam. 노린재나무 0
Oleaceae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0
Fraxinus sieboldiana Blume 쇠물푸레 0 0
Aceraceae Acer pseudo-sieboldianum Kom. 당단풍 0
Gentianaceae Gentiana squarrosa Ledeb. 구슬붕이 0
* Note 1: Park et al., 1999, 2: This investigation
Table 1. List of vascular plants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식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 다. 강원도, 원주, 강릉, 충청남도 태안군 주변지역에서 도 식재가 이루어지고, 야생상태에서도 자생하고 있다.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산(북위 35° 59′ 39.8″, 동경
127° 02′ 44.5)에서도 상수리나무-곰솔군락에서 관목층
과 초본층에서 꽝꽝나무가 자생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기후환경 변화에 따라 꽝꽝나무가 자생하고 있는 분포지 역은 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변산반도 꽝꽝나무군락 자생지역은 과거에 부안댐이 조성되기 전에는 주변이 논, 밭 경작지로서 인위적인 간섭이 많았지만, 부안댐이 완공된 후, 부안댐 주변에서 발생한 안개와 습도와 같은 기후환경 변화와 인위적인 간섭이 제한되어 꽝꽝나무군 락 자생지 주변의 식생변화가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주변에서는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졸 참나무 피도가 증가되고, 관목층에서 쇠물푸레, 물푸레 나무, 생강나무 등이, 초본층에서 조릿대, 땅비싸리, 그늘 사초, 쇠물푸레 등이 출현하면서 군락내의 종구성 변화 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3.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생육 특성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Ilex) 식 물로는 감탕나무(Ilex integra Thunb.),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Lindl. & Paxton),
완도호랑가시나무(Ilex × wan-doensis C.F.Mill. & M.Kim),
좀꽝꽝나무(Ilex crenata var.microphylla Maxim. ex Matsum.),
꽝꽝나무(Ilex crenataThunb.),
먼나무(Ilex rotunda Thunb.), 대팻집나무(I. mac-ropoda Miq.),
민대팻집나무(Ilex macropoda f.pseudoma- cropoda (Loes.) H. Hara) 등이 대부분 남부지방에서 생육
하고 있다. 꽝꽝나무는 여러개의 가지가 나와 관목상으로 자라며, 잎이 치밀하게 배열된다. 성장속도가 매우 느리 며, 나무가 크게 자라지 않으므로 주목보다는 잔디밭 가 장자리, 정원, 공원 등의 진입로변, 생울타리, 정원의 경 계식재, 건물의 하부식재 등의 용도로 좋다. 열매는 관상 가치는 높지 않으나 많이 열리며, 붉은머리오목눈이, 동 박새, 직바구리 등이 좋아해 조류 유치목으로 이용할 수 있다(Jeong, 2015). 꽝꽝나무와 좀꽝꽝나무의 형태적 특 성은 가장 큰 차이점은 잎 길이와 잎 넓이로, 꽝꽝나무는잎 길이가
15~30㎜,
좀꽝꽝나무는 잎 길이가8~14㎜로
구분되어진다(Lee, 2016). 변산반도 내 꽝꽝나무는 잎 길 이가 7~14㎜, 잎 넓이가5~9㎜로 조사되어 좀꽝꽝나무라
고 표기하는 타당하다고 발표하였다(Parket al., 1999).
또 한, Lee(2016)는 변산반도와 한라산의 좀꽝꽝나무의 계 통학적 분석결과, 변산반도 개체는 한라산 좀꽝꽝나무와 상이한 개체로 분석하였으며, 변산반도 집단은 오랜기간 동안 외부와 고립된 상태에서 개체가 형성된 것으로 추 정할 수 있으며, 이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잎의 형태 적 모습이 점차 작아진 것으로 판단되어, 변산반도 집단 은 한라산의 좀꽝꽝나무와 유사한 형태를 띄는 꽝꽝나무 군락으로 판단하였다.국내 꽝꽝나무의 분포지역은 전라남도 변산반도 이남 의 거제도, 보길도, 대흑산도 등 해안지방과 제주도를 중 심으로 난온대 기후대에 자생하고 Im(1979), Bang(1994),
Kim(2008), Kim et al.(2016),
제주도에서는 일반적으로 부 식량이 많으며 습한 소교목지대에서 잘 자생하며, 황칠 나무, 청미래덩굴, 삼나무, 단풍나무, 솔비나무, 굴거리나 무 등과 혼생하고 자연집단에서의 암수성비(性比)는 약1:1로 나타난다고 하였다(Im, 1979).
한라산에서 꽝꽝나무는 해발 1,700m에서 자라는 것이 해발 1,300m에서 자 라는 것에 비하여 마디사이가 약 2/3정도 짧아짐을 보고 하였다(Lee and Kim, 1978).
변산반도 꽝꽝나무군락 자생지는 천연기념물(제124호) 로 지정되면서(1962.12.03.) 지속적으로 인위적인 관리 및 보호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보호되고 있는 꽝꽝나무 군락 자생지에서는 관목층에서 높이
2.4m,
식피율 98%, 구성종으로 꽝꽝나무(피도:5) 단일종으로 나타났고, 초본 층에서는 높이 0.8m, 식피율 10%, 구성종으로 꽝꽝나무, 그늘사초, 고사리, 땅비싸리, 쇠물푸레, 산박하, 억새, 소 나무, 졸참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Table 2, Fig.2).
향후 이 지역 꽝꽝나무군락 자생지에서의 지속적인 인위적인 간섭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종구성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생각된다.4.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생육 변화
변산반도국립공원 꽝꽝나무군락은 내륙지방의 자생 북
Releve No. 1 2 3 4
Altitude (m) 89 85 86 95
Slope aspect SE S SW S
Slope degree (°) 15 10 15 15
Quadrat size (㎡) 225 100 100 25
Height of tree-1 layer(m) 9 14 14 .
Coverage of tree-1 layer(%) 85 90 90 .
Height of tree-2 layer(m) 6 8 7 .
Coverage of tree-2 layer(%) 50 45 25 .
Height of shrub layer(m) 2.5 2.5 1.5 2.4
Coverage of shrub layer(%) 65 40 30 98
Height of herb layer(m) 0.8 1 0.8 0.8
Coverage of herb layer(%) 40 95 80 10
Number of species 18 14 14 9
Tree-1 layer
Pinus densiflora 3 3 3 .
Quercus serrata 3 3 3 .
Quercus variabilis 1 1 2 .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1 1 1 .
Tree-2 layer
Quercus serrata 3 2 2 .
Quercus variabilis 1 . . .
Styrax japonicus . 2 . .
Acer pseudo-sieboldianum . 2 . .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 . 1 .
Shrub layer
Ilex crenata 1 1 2 5
Fraxinus sieboldiana + 2 3 .
Rhododendron mucronulatum 3 . 1 .
Lespedeza maximowiczii 2 . . .
Zanthoxylum schinifolium 1 . . .
Smilax china 1 . . .
Paederia scandens + . . .
Lindera obtusiloba . 2 . .
Fraxinus rhynchophylla . 1 . .
Lindera glauca . 1 .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 1 .
Juniperus rigida var. rigida . . 1 .
Herb layer
Arundinella hirta 2 . 2 .
Paederia scandens 2 . . .
Smilax china 1 . . .
Carex lanceolata + 2 2 1
Ilex crenata 1 2 1 2
Indigofera kirilowii 1 . 2 +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1 . 1 1
Table 2. Vegetation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Releve No. 1 2 3 4
Styrax japonicus 1 . . .
Atractylodes ovata + . + .
Sasa borealis . 5 . .
Disporum smilacinum . 1 . .
Fraxinus sieboldiana . . 2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 1 .
Rhododendron mucronulatum . . 1 .
Isodon inflexus . 1 + +
Miscanthus sinensis . . . +
Pinus densiflora . . . +
Quercus serrata . . . +
Table 2. Continued
Fig. 2. Field survey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방한계 지역으로서 식물학적 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 물로 지정(1962.12.3.)되어 있다. 당시 기록에 천연기념 물 지정면적은 4,231㎡이며, 키 작은 관목으로서 암상식 물이며 남쪽을 향한 산허리 경사면의 규암 위에 약 700 그루가 대군락을 이루고 있다고 하였다. 주변에 묘가 설 정되어 있는데 그 지정 당시 이 군락의 면적이 축소된 것으로 짐작한다. 현재에도 군락지 주변에 묘가 존재하 면서 지속적인 묘관리가 이루어지면서 이 곳 꽝꽝나무는
높이
1.0-1.8m에 이르고 열매가 자연적으로 떨어져 자란
어린 묘목을 볼 수 있다(Im, 1993). Park
et al.(1999)은
변산반도내 꽝꽝나무군락의 서식환경 및 생육실태에서 군락지 내 꽝꽝나무군락의 분포면적은 270㎡, 꽝꽝나무 수 고는 성목
123그루중에서 97구루(78.9%)가 0.5~1.5m
범 위에 속하며, 2m 이상인 것은 4구루(3.3%)로 나타났다.본 조사에서는 꽝꽝나무군락의 분포면적
384㎡(24m x
16m)으로 측정되고,
꽝꽝나무 수고는 2.2~2.5m 범위에속하며, 꽝꽝나무 성목의 근원줄기(지상 15㎝ 높이)의 직
경은
Ø48.5㎜+39.4㎜+46.9㎜+37.3㎜으로서
꽝꽝나무군락 지역의 안정적인 관리 및 보호로 인하여 수고, 흉고직 경 등이 생육상태가 증가하면서 양호한 생육상태로 나타 난 것으로 생각된다(Table 3, Fig. 3).
또한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주변(Fig. 1, Releve No. 1,2,
Year Area Growth variation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124
(1962.12.3.) Designated area : 4,231㎡
- Records at the time recorded about 700 small shrubs in large community.
-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lex crenata community was recognized for its value as a dry plant community.
Im(1993) A tomb was set up around it, and it is presumed
that the colony area was reduced at that time. - Ilex crenata Height tree: 1.0∽1.8m Park et al.
(1999) Ilex crenata community distribution area : 270㎡ - Ilex crenata Height tree 0.4∽2.5m range, Average Ilex crenata Height tree : 1.0m
- Holy tree 123 trees, Measure 170 trees This investigation
(2021) Distributed area of Ilex crenata community:
24 x 16m - Ilex crenata Height tree : 2.2∽2.4m
Holy tree stem diameter(㎜):48.5+39.4+46.9+37.3 Table 3. Distribution area and groth variation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Fig. 3. Field survey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3)에서는 소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관목층과 초본층에
서 구성종으로 꽝꽝나무(피도: 1~2)가
점점 확산될 것으 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이들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와 지속적인 보존과 복원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 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꽝꽝나무군락 서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하여 군락 분포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과 주요 식생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꽝꽝나무군락 주변에서 총 22과 21속 32종 4변종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과거 자료와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교목층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이, 관목층 에서 진달래, 쇠물푸레, 꽝꽝나무, 수리딸기, 청미래덩굴 등이, 초본층에서 고사리, 단풍마, 쑥, 엉겅퀴 등의
22종
이 나타났다. 꽝꽝나무군락지는 부안댐이 완공되면서 인 위적인 간섭은 제한적이며, 군락지 주변에 자연적인 식생 천이와 구성종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종구 성의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꽝꽝나무군락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근접거리에서 식 생은 산지침엽수림인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
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으로 나타났으며(북위 35° 39′ 18.62
″, 동경 126° 34′ 56.70), 해발고도 85m~95m, 경사도 10°~15°, 남사면과 남서사면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군락 주변지역에서 교목층의 소나무와 졸 참나무의 흉고직경은1번 방형구에서 Ø23~30㎝, 2번 방
형구에서 Ø28~38㎝, 3번 방형구에서 Ø26~42㎝로 사면 방향에 따라 임상의 영급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목층 에서는 높이9~14m,
식피율 85~90%이며, 주요 구성종은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등이, 아교목층 에서는 높이 6~8m, 식피율 25~50%이며, 주요 구성종은 졸 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등이, 관 목층에서는 높이
1.5~2.5m,
식피율 30~65%이며, 주요 구 성종은 꽝꽝나무, 진달래, 조록싸리, 쇠물푸레, 청미래덩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철쭉, 감태나무, 노간주나무 등이, 초본층에서는 높이 0.8~1m, 식피율 40~95%, 주요 구성 종은 새, 계요등, 고사리, 그늘사초, 꽝꽝나무, 땅비싸리, 조릿대, 산박하, 쇠물푸레, 철쭉, 진달래 등이 나타났다.변산반도 꽝꽝나무군락 자생지역은 과거에 부안댐이 조성되기전에는 주변이 논, 밭 경작지였지만, 부안댐이 완공된 후, 부안댐 주변에서 발생한 안개와 습도와 같은 기후환경 변화로 인하여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주변 교 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 피도가 증가되고, 관목 층에서 쇠물푸레, 물푸레나무, 생강나무 등이, 초본층에 서 조릿대, 땅비싸리, 그늘사초, 쇠물푸레 등이 출현하면 서 군락내의 종구성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변 산반도 꽝꽝나무군락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면 서 지속적으로 관리 및 보호되고 있는 상태이다. 꽝꽝나 무군락에서는 관목층에서 높이 2.4m, 식피율 98%, 구성 종으로 꽝꽝나무(피도:5) 단일종으로 나타났고, 초본층에 서는 높이
0.8m,
식피율 10%으로, 꽝꽝나무, 그늘사초, 고사리, 땅비싸리, 쇠물푸레, 산박하, 억새, 소나무, 졸참 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 지역 꽝꽝나무 군락 자생지에서의 지속적인 인위적인 간섭은 미미할 것 으로 생각된다.꽝꽝나무군락의 분포면적
384㎡(24m x 16m)으로 측정
되었고, 꽝꽝나무 수고는 2.2~2.5m 범위에 속하며, 꽝꽝 나무 성목의 근원 줄기 직경은Ø48.5㎜+39.4㎜+46.9㎜+
Fig. 3. Continued
37.3㎜으로서 꽝꽝나무군락 지역의 안정적인 관리 및 보
호로 인하여 양호한 생육상태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또한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주변의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에서 관목층과 초본층의 구성종으로 꽝꽝나무(피도 : 1~2) 가 점점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이들 지역 에 대한 정밀조사와 지속적인 보존과 복원을 위한 모니 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사
본 연구는
2021년 국립공원 생태지도 제작(변산반도
(육상))의 일부
결과를 반영하여 수행되었다.참고문헌
Bang GJ. 1994. Studies on Planting Distrfbutien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in Korea. p. 112. Ph.D.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egetationskunde. Pp.865.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6. Rare and endangered plants - Conservation guidelines and target plants - Korea Forest Service. p. 140.
Im GB. 1979. Variation of Genus Ilex in Korea and their Ornamental Valu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42: 1-38.
Im GB. 1993. Natural Monument (Plant edition). p. 256.
Daewonsa. Seoul.
Im HS, SH Han, HD Jang, YY Kim, SG So. 2020. Floristic study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in Korea. Kor.
J. plant Tax. 50(4): 427-452.
Im SJ. 1998. A Study on the Habitat and Growth Status of Ilex cornuta and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p. 59.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Jeong GJ. 2015. Korean native trees that are good for land- scape trees: characteristics and cultivation methods. p. 47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ess.
Jeong TH. 1965. Korean Botanical Encyclopedia (Trees and Herbs). Samhwachulpansa, Seoul.
Jungbu Forestry Test Station. 1997. Encyclopedi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Korea Forest Service. p. 255.
Kim CH. 2019. Byeonsanbando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Vegetation.
Kim HS, YJ Cho, HH Myung, JG OH. 2016. A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Daehuksan Island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8(2): 203-219.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
Kim TJ. 2008. Wildflowers and resource plants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im YS. 1993. Necessity and introduction of new classi- fication criteria for rare and endangered plants. Nature Conservation. 80: 12-15.
Kim YS. 1998.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Populations in Korea.
Yeungnam University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17:
67-81.
Kim YS, SH Kim, KH Kang. 1997.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O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2): 205-210.
Korea Forest Service. 2021. List of national standard plants.
http://forest.go.kr/newkfsweb/ on December 2021.
Korea Nature Conservation Association. 1981. Korea's rare and endangered flora and fauna. Korea Nature Conservation Association. 154-271.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999. Byeonsanbando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Pp. 39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Byeonsanbando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Pp. 69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9. Byeonsanbando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p. 99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Lee CB. 2003. Large Plant Encyclopedia. Pp. 1-914. Hyangmunsa.
Lee DG. 2016. Studies on Vegetation structur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propagation of Ilex crenata var. microphylla in Mt. Halla. p. 126. Ph.D. thesis.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Lee IG, GJ Kim, JM Cho, DW Lee, DS Cho, JS Yoo. 1994.
Korea's Biodiversity 200(Strategy for Conservation, Research and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Resources).
Pp15-24. Mineumsa, Seoul.
Lee JS, IJ Kim. 1978. A study on the growth status of several native ornamental plants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Mt. Halla.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sis. 9: 63-68.
Lee SW, SC Kim, WW Kim, SD Han, KB Yim. 1997.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Vegetation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Populations of a Rare
Tree Species ,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erst Science. 86(2): 167-176.
Lee WC. 1996. Korean Botanical Catalog. Pp. 1-624. Academy Books, Seoul.
Lee YN. 1997. Primary Color Korean Plant Encyclopedia.
Pp. 1-1247. Gyohagsa, Seoul.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Pp. 1-666. Gebruder Borntraeger, Berlin.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The 5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Guidelines. Pp. 1-29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h CJ. 2008. Vegetation structures, morphological character- 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tea plant [Camellia si-
nensis(L.) O. Kuntze] populations in Korea.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Park JM, Seo BS, SJ Im. 1999. Inhabitation Environments and Growth Conditions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Pyonsanban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2): 118-128.
Park SH. 2001. Korean naturalized plant primary color book.
Pp. 1-178. Iljogag Publisher.
Won HG, CH Jeon, HS Kim, YJ Cho. 2016. A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Jeju Experimental Forest, Korea - mainly on Hannam Experimental Forest -.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8(1): 203-220.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