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악산국립공원 둘레길 주요 생물자원
이승록1
* ·김연수
1·강하람
2·박유정
2·민지홍
3·이석우
4·지형우
5·서인교
1·정길순
11국립공원공단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 2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3국립공원공단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 4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5국립공원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Major Biological Resources in the Dulle-gil of the Chiaksan National Park, Korea
Seung-Rok Lee
1* , Yeon-Su Kim
1, Ha-Lam Kang
2, Yoo-Jung Park
2, Ji-Hong Min
3, Sek-Woo Lee
4, Hyeong-Woo Ji
5, In-Kyo Seo
1and Gil-Soon Jeung
11
Chiaksan National Park Office, Wonju 26304, Korea
2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Wonju 26339, Korea
3
Seoraksan National Park Office, Sokcho 24903, Korea
4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5
Bukhansan National Park Office, Seoul 02700, Korea
요 약
: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 둘레길 주변에 분포하는 생물자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2018년 7월부터9월까지
둘레길 1코스와 2코스에 분포하는 식물, 어류, 조류 및 포유류를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86과 227속 288 종 3아종 34변종 6품종으로 총 331분류군이었다. 코스별로는 1코스에서 239분류군, 2코스에서 206분류군을 확인하 였다.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6분류군, 희귀식물은 10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40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13 분류군으로 나타났고 귀화율은 3.9%이었다. 어류는 총 4목 6과 9속 10종 255개체가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종은 금 강모치, 참갈겨니, 참종개, 새코미꾸리, 퉁가리, 미유기, 둑중개, 꺽지의 8종으로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참갈겨니이었 고, 아우점종은 금강모치와 미유기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관찰된 조류는 총 16과 26종 이었고, 최대개체수의 총합은 138개체였다. 관찰된 조류는 저지대와 산림에서 서식하는 종이었다. 포유류는 4목 7과9종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Ⅱ급인 삵과 담비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진행될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치악산국립공원, 생물자원, 둘레길, 관속식물, 어류, 조류, 포유류Abstract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nage the Chiaksan National Park effectively by investigating the flora, pisces, aves and mammalia in the 1 and 2 Dulle-gil courses of the Chiaksan National Park from July to September, 2018.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31 taxa, including 86 families, 227 genera, 288 species, 3 subspecies, 34 varieties and 6 forms. The number of species in each course was 239 in the 1 course and 206 in the 2 course, respectively.
6 Korean endemic, 10 rare plants, and 40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among investigated 331 tax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as estimated as 3.9%. Collected fishes were 255 individuals identified to 10 species of 9 genera belonging to 6 familis. The Korean endemic fishes were 8 species: Rhynchocypris kumgangensis, Zacco koreanus, Iksookim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Liobagrus andersoni, Silurus microdorsalis, Cottus korenus, Coreoperca herzi.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d Silurus microdorsalis.
Endangered species absent. Total number of birds observed in this area was 138 of 26 species. The bird observed were low-lying ground and forest species. The Mammalia surveyed 9 species, 7 families, 4 order in Dulle-gil. Endangered species investigated 2 species (Level Ⅱ: Prionailurus bengalensis, Martes flavigul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of further research.
Key words : Chiaksan National Park, Biological Resource, Dulle-gil, Vascular plants, Pisces, Aves, Mammalia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서 론
행정구역상 원주시, 횡성군 및 영월군에 해당되는 치악산 국립공원은 1984년 12월 31일, 1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 었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12). 원주를 대표하는 국립공원으 로 최고봉인 비로봉(1,288m)을 중심으로 향로봉(1,042m)과 남대봉(1,181m)이 남북으로 연결되어 있다(Yim et al.
1988).
자연을 이용한 치유와 공간이 갖는 장소적 가치가 부각되 면서 체험형 도보여행 등 자연친화적 탐방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Kwon et al. 2012). 국립공원에서도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탐방객 급증으로 발생한 자연자원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탐방문화 유도를 위한 정책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지리산과 북한산국립공원의 둘레길을 시작으로 정상정복형 수직탐방 문화에서 평지순환형 수평탐 방 문화로 탐방문화의 변화를 유도하였다(Kwon et al. 2012).
이와 함께 둘레길의 효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 지만 이용객 만족도, 자연경관 평가, 경제적 효과 및 둘레길 이용에 따른 분산효과 연구 등 인문, 사회학적인 연구에만 집중되어 있다(Han et al. 2010; Cho et al. 2011; Kwon et
al. 2012; Lee et al. 2013).
치악산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탐방로 훼손실태와 토 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 연구(Kwon et al. 1988), 탐방객의 이용행태와 경관인식 특성 연구(Lee et al. 1988),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 이용과 평가 연구(Cho 2006) 및 금강소나무 숲 보전방안 연구(Cho et al. 2017) 등이 있다. 생물자원 보 전을 위한 연구는 Byeon et al.(1995)의 치악산 계류에 서식 하는 둑중개의 식성 연구, Kim et al.(1988)의 국립공원 이 용객이 야생조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 Park et al.(1997)의 수서곤충 고도분포 연구, Song and Cho(2007)의 치악산국립 공원의 식생 연구, Lee et al.(2013)의 버섯 종 다양성 비교 분석 연구 및 국립공원연구원의 자연자원조사가 있다(국립 공원연구원 2006;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의 둘레길을 대상으로한 생물자원 연구는 북한산 둘레길, 진관내동습지 및 북한동 철거지를 대상으로 관속식 물상을 조사한 Oh et al.(2012)의 연구와 지리산 둘레길의 딱정벌레를 연구한 Choi et al.(2015)의 단편적인 연구에 한 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Kim et al.(2011)은 탐방객과 자연 을 위해 조성한 둘레길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
구가 미흡하다고 지적한바 있다.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 내 제1둘레길과 제2둘레길을 대상으로 주요 생물자원을 조사하여 둘레길 개통 후 탐방객 이용에 따른 둘레길의 생태적 영향에 대한 향후 연구에 비 교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본 조사는 치악산국립공원 둘레길 일대의 총 2개 구간
8.6 km에
대하여 총 8일간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은 치악산국립공원의 산림과 주거지역을 포함하고 있고 조사관찰은 주간(09:00~18:00)에 실시하였다. 분류군별 조사방법은 다음 과 같다.
1. 관속식물상
조사는 총 2회(2018년 7월 10일, 8월 14일)에 걸쳐 현지 에서 수행하였다(Table 1). 조사지역을 도보로 이동하며 출 현하는 모든 식물상을 기록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도감류 나 도보류 등을 참고하였다(정 1956, 1957; 이 1996a, b; 이
2003a, b;
이 2006a, b; 국립수목원 2008a). 식물목록에 사용 한 분류체계와 학명 그리고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국립 수목원 2008a,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을 따랐다. 소산식물 중 그 곳의 자생이 아닌 것은 국명뒤에 (재) 표시를 하여 구 별하였고(Appendix 1),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오 등2005)과 희귀식물(국립수목원 2008b)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환경부(2012)의 자료를 바탕으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 물종을 등급별로 구분하였다. 또한 귀화식물은 Lee et
al.(2011)을 따랐으며,
귀화식물 평가를 위한 귀화율은 아래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Numata 1975).
귀화율(PN) = S/N·V × 100
(S: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분류군 수, N·V: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총 분류군 수)2. 어류
조사는 총 2회(2018년 7월 10일, 8월 14일)에 걸쳐 시행 하였다(Table 1). 어류의 채집은 투망(망목 7 × 7 mm, 20회) 과 족대(5 × 5 mm, 20회)를 이용하여 정량 채집하였다. 채집
Table 1. Research areas and period of sites in Chiaksan National Park.
Trails Date Taxon Distance Location
Trail 1 July 10, 2018 Vascular plants 4.7 km Sooreneomi ~ Handari-goal
Trail 2 Aug.14, 208 3.9 km Saejae-goal ~ Oen-goal
Trail 1 July 10, 2018 Pisces 4.7 km Sooreneomi ~ Handari-goal
Trail 2 Aug.14, 2018 3.9 km Saejae-goal ~ Oen-goal
Trail 1 July 24, 2018 Aves 4.7 km Sooreneomi ~ Handari-goal
Trail 2 Sep. 12, 2018 3.9 km Saejae-goal ~ Oen-goal
Trail 1 July 25~26, 2018 Mammalia 4.7 km Sooreneomi ~ Handari-goal
Trail 2 Sep. 3~4, 2018 3.9 km Saejae-goal ~ Oen-goal
된 어류는 현지에서 동정 및 개체수 확인 후 즉시 방류하였 고, 동정이 필요한 일부 개체들은 10% 포르말린에 고정하 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동정 하였다. 표본의 분류, 동정은
Youn(2002)을 따랐고 분류체계는 Nelson(2016)을 참고하였다.
3. 조류
조사는 총 2회(2018년 7월 24일, 9월 12일)에 걸쳐 시행 하였다(Table 1). 선조사법과 정점조사법을 병행하였다. 출 현종, 개체수 및 번식 가능성 등을 파악하였다. 개체가 관 찰된 지점은 모두 GPS(Garmin 60CSx)를 이용하여 관찰위 치를 기록하였다. 육안, 쌍안경(Leiaca 10×32), 망원경(Carl
Zeiss 20×)으로
관찰하였다. 비상하는 모양 및 울음소리 등에 의해 종을 식별하였다. 조류의 동정은 이 등(2000)을 참 고하였고 조류목록 작성에 필요한 분류, 학명 및 영명은
Howard and Moore(2003)와 Clements(2000)의
조류목록을 참고하였다.4. 포유류
조사는 총 2회(2018년 7월 25일~26일, 9월 3일~4일)에 걸 쳐 시행하였다(Table 1). 둘레길 조성구간 내 서식하는 야생 동물 흔적 등을 중심으로 이동로, 능선부 등 야생동물이 서 식하기 좋은 산림 주변지역을 조사하였다. 조사강도의 한계 에 따라 추가 자료 수집 및 실체 파악을 위해 구간별 주요 지점에는 무인센서카메라(Moultrie, Bushnell) 11대(1구간 5 대, 2구간 6대)를 설치하였다. 종목록은 국가생물종목록(환 경부 2018)을 참고하였다.
결 과
1. 관속식물상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86과 227속에 속하는
288종 3아종 34
변종 6품종 등 총 331분류군이었다(Table 2,Appendix 1).
둘레길 구간별로는 1구간은 239분류군, 2구간Table 2. The abridged list of the plants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Taxa/system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Pteridophyta 6 14 21 4 25
Gymnospermae 2 4 4 4
Angiospermae 78 209 263 3 30 6 302
Dicotyledons 70 175 214 3 27 5 249
Monocotyledons 8 34 49 3 1 53
Total 86 227 288 3 34 6 331
Table 3. List of endemic plant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Family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Aristolochiaceae Asarum versicolor (K.Yamaki) Y.N.Lee 무늬족도리풀
●Fumariaceae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Rubiaceae Galium koreanum (Nakai) Nakai 참갈퀴덩굴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Total 3 3
Table 4. List of rare plant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Grade Family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VU Iridaceae Iris minutiaurea Makino 금붓꽃
●LC Ranunculaceae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Aristolochiaceae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Violaceae
Violaceae Viola albida Palib. 태백제비꽃
●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Gentianaceae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 Hara 과남풀
●Liliaceae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금강애기나리
●Tricyrtis macropoda Miq. 뻐꾹나리
● ●Total 9 3
은 20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과별 구성종에 의한 다양성은 국화과가 31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 로 백합과(23), 장미과(19), 제비꽃과(16), 벼과(14), 콩과(13)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병꽃나 무Weigela subsessilis,
점현호색Corydalis maculata
등 6분 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3). 한국특산식물 328분류군의 약1.8%에
해당한다(오 등 2005).희귀식물은 총 10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취약종(VU)에 금붓꽃
Iris minutiaurea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도깨 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등 9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4).
희귀식물 571분류군의 1.8%에 해당한다(국립수목원 2008b).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40분류군을 확인하였고 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 1,257분류군의 3.2%에 해당한다(환경부
2012). IV등급에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점현호 색Corydalis maculata,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등 3
분 류군, III등급에 광릉용수염Diarrhena fauriei,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나도개감채Lloydia triflora
등 5분류군,Table 5. List of the special plant by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Grade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Ⅳ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Ⅲ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 (
재)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Diarrhena fauriei (Hack.) Ohwi 광릉용수염
●Ⅱ
Polystichum braunii (Spenn.) Fee 좀나도히초미
● ●Caltha palustris L. 동의나물
●Caulophyllum robustum Maxim. 꿩의다리아재비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털괭이눈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ino) F.Maek. 민둥뫼제비꽃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Primula jesoana Miq. 큰앵초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Weigela florida (Bunge) A.DC. 붉은병꽃나무
● ●Carpesium macrocephalum Franch. & Sav. 여우오줌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곰취
●Heloniopsis koreana Fuse &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금강애기나리
●Iris minutiaurea Makino 금붓꽃
●Ⅰ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청나래고사리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H.Christ) Sa.Kurata 참나도히초미
●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재)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
●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Pyrus ussuriensis Maxim. 산돌배
●Oxalis obtriangulata Maxim. 큰괭이밥
●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Circaea cordata Royle 쇠털이슬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오갈피나무
●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올괴불나무
● ●Diarrhena mandshurica Maxim. 껍질용수염
●Total 32 17
II등급에
금강애기나리Streptopus ovalis,
민둥뫼제비꽃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산앵도나무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등 14분류군, I등급에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물양지꽃Potentilla cryptotaeniae,
올 괴불나무Lonicera praeflorens
등 18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귀화식물은 총 13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6). 생태계교 란야생식물은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등 2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 분포하 는 귀화식물 321분류군(Lee et al. 2011)의 4.0%, 치악산국 립공원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52분류군(국립공원연구원 2015) 의 25.0%에 해당하며, 귀화율은 3.9%로 산출되었다.2. 어류상
본 연구에서 채집된 어류는 4목 6과 9속 10종 255개체로 확인되었다. 이 중 잉어과 Cyprinidae 어류가 4종(40.0%)으 로 가장 많았다(Table 7). 그 다음으로 미꾸리과 Cobitidae
어류가 2종(20.0%), 퉁가리과 Amblycipitidae, 메기과 Siluridae, 둑중개과 Cottidae, 꺽지과 Centropomidae는 각 1종(10.0%) 씩 출현하였다(Table 7). 다른 분류군에 비해 잉어과 어류의 우점하는 출현양상은 한반도의 대부분 하천이 서해와 남해 로 유입되는 지형적 특성과 일치하고, 한강수계의 어류는 고황하 하천에서 유래하는 생물지리적 분포와 일치한다
(Jeon 1980; Kim 1997;
김 1995).둘레길 1구간에서 8종 103개체가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참갈겨니
Zacco koreanus(52개체, RA: 50.5%),
아우점종은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23개체, RA: 22.3%)
이었다(Table 7). 둘레길 2구간에서는 7종 152개체가 확인되 었다. 1구간과 동일하게 참갈겨니Z. koreanus (92개체, RA:
92%)가 우점하였고 아우점종은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24개체, RA: 15.8%)로
나타났다(Table 7). 둘레길 1구간에 는 2구간에서 확인되지 않은 금강모치R. kumgangensis,
돌 고기Pungtungia herzi
및 참종개Iksookima koreensis가
확 인되었는데, 주천강과 인접하고 하상이 모래, 자갈, 암석 등Table 6.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Family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Leguminosae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 ●Simaroubaceae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죽나무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 ●Convolvulaceae Quamoclit coccinea Moench 둥근잎유홍초
●Composit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 ●Verbesina alternifolia Britton 나래가막사리
●Gramineae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Total 10 10
Table 7. Comparison of number of collected fish on the studied areas in Dulle-gil of Chiaksan Natioanl Park.
Order Family Species/Korean name Trail Total RA
1 2
Cypriniformes Cyprinidae
*Rhynchocypris kumgangensis 금강모치23 23 9.0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11 6 17 6.7
Pungtungia herzi 돌고기 6 6 2.4
*Zacco koreanus 참갈겨니
52 92 144 56.5
Cobitidae
*Iksookima koreensis 참종개4 4 1.6
*Koreocobitis rotundicaudata 새코미꾸리
1 2 3 1.2
Siluriformes Amblycipitidae
*Liobagrus andersoni 퉁가리9 9 3.5
Siluridae
*Silurus microdorsalis 미유기24 24 9.4
Scorpaeniformes Cottidae
*Cottus korenus 둑중개4 14 18 7.1
Perciformes Centropomidae
*Coreoperca herzi 꺽지2 5 7 2.7
No. of Speies 8 7 10 100
No. of individuals 103 152 255
RA: Relative abundance, *: Endemic species
서식공간이 다양한 결과로 사료된다. 2구간은 수온이 낮고 자갈과 바위가 많은 계곡의 최상류 지역으로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가
서식하였고 1구간에 비해 비교적 종다양성 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은 확인되지 않았다.한국고유종은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참갈 겨니Zacco koreanus,
참종개Iksookima koreensis,
새코미꾸 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
퉁가리Liobagrus anderson,
미유기Silurus microdorsalis,
둑중개Cottus korenus,
꺽지Coreoperca herzi의 8종으로
높은 고유화 비율(80.0%)을 보 였다. 고유화 비율은 어류 서식에 필요한 환경적 특성을 반 영하는데 국립공원의 하천과 계곡은 낮은 수온과 단편화된 서식공간에 적응한 고유종의 비율이 높아 타 지역에 비해 높은 고유화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2010;Lee et al. 2011).
3. 조류상
본 연구결과 최대개체수 기준으로 16과 26종 138개체가 확인되었고 1구간 23종 109개체, 2구간 15종 77개체가 확인 되었다(Table 8). 우점종은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21개체(15.2%),
박새Parus major 16개체(11.6%),
곤줄박이Parus varius 11개체(8.0%),
멧비둘기Streptopelia orientalis
9개체(6.5%)
순이었다. 관찰된 조류는 저지대와 산림을 이용Table 8. List of avian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Order Family Species/Korean name Trail Max.
1 2
Galliformes Phasianidae Phasianus colchicus 꿩 1 1
Columbiformes Columbidae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9 3 9
Piciformese Picidae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3 3 3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2 3 3
Picus canus 청딱다구리 2 2
Passeriformes Laniidae Lanius bucephalus 때까치 1 1
Corvidae Garrulus glandarius 어치 1 1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1 1
Paridae Parus major 박새 4 16 16
Parus ater 진박새 1 7 7
Parus varius 곤줄박이 10 11 11
Parus palustris 쇠박새 5 6 6
Aegithalidae Aegithalos caudatus magnus 오목눈이 5 3 5
Pycnonotidae Microscelis amaurotis 직박구리 21 6 21
Timaliidae Paradoxornis webbianus 붉은머리오목눈이 6 6
Sittidae Sitta europaea 동고비 7 5 7
Turdidae Zoothera aurea 호랑지빠귀 2 2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1 1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8 5 8
Muscicapidae Luscinia sibilans 울새 1 1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8 8
Cinclidae Cinclus pallasii 물까마귀 1 1
Passeridae Passer montanus 참새 6 6
Motacillidae Motacilla alba leucopsis 알락할미새 1 1 1
Emberizidae Emberiza cioides 멧새 7 7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3 3
Total No. of Speies 23 15 26
No. of individuals 109 77 138
Figure 1. Seasonal type of birds in Dulle-gil of Chiaksan Natioanl Park.
하는 종이었다. 둘레길 분포가 산림의 가장자리에 있어 박 새류와 직박구리 등과 같이 저지대의 개활지나 임지를 이용 하는 조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Kim et al. 2011).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계절형 은 텃새의 비율(Residents, 76.9%)이 가장 높았고 여름철새
(Summer visitors, 19.2%)
및 통과철새(Migrants, 3.8%) 순이 었다(Figure 1). 여름철에 관찰된 종의 대부분은 이 지역에 서 번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4. 포유류상
본 연구에서 확인된 포유류는 4목 7과 9종으로 식충목 두
더지과 두더지
Mogera wogura,
식육목 고양이과 삵Prionailurus bengalensis,
개과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족제비과 담비Martes flavigula,
오소리Meles leucurus,
우 제목 멧돼지과 멧돼지Sus scrofa,
사슴과 노루Caproelus pygargus,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및 설치목 청설모과 청설모Sciurus vulgaris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9).
치악산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포유류 30종의 3%에 해당된다(국립공원연구원 2015). 멸종위기야생생물은
II급인
삵Prionailurus bengalensis과
담비Martes flavigula
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은 야생동물이 서식 하기에 유리한 생태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삵은 1구간 내 능선부와 동물이동로를 중심으로 흔적(배설물)이 발견되 었고 담비Martes flavigula는 2구간
내 설치한 무인센서카 메라에 실체가 확인되었다. 본 구간을 중심으로 행동권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고 찰
치악산 둘레길은 총 길이 108.8 km로 고지대로 집중되는 탐방객을 저지대로 분산하여 자연자원 훼손을 최소화 하고 사회적 약자도 국립공원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Han et al.
2010).
올해 공원구역 내 8.6 km구간을 사무 소에서 개통 후 연차적으로 2020년까지 완공예정이다. 새로운 탐방로의 개통에 따른 야생생물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는 시점이다.
치악산 둘레길 코스를 대상으로 야생생물상을 조사한 본 연구에서 식물 331분류군, 어류 10종, 조류 26종, 포유류 9 종으로 총 376종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치악산국립공원 전 체 생물종수 3,762종의 10.0%에 해당된다(국립공원연구원
2015).
구간별로 비교해 보면 1코스(횡성구간, 수레너미~한다리골, 4.7 km)는 277종, 2코스는(원주구간, 새재골~왼골,
3.9 km) 23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주구간보다횡성구간의 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자원조 사에서도 횡성지구(부곡)의 종다양성과 멸종위기야생생물 분포 비율이 높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국립공원연구원 2015).
식물상은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분류군(국립수목원, 한 국식물분류학회 2007)의 6.8%, 강원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1,796분류군(강원도 2010)의 18.4%,
치악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741분류군(국립공원연구원 2015)의 44.6%에 해당한 다. 자생지가 탐방로 주변에 집중되어 있어 탐방로 개통 후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훼손이 우려된다. 특히 희귀식물인 금붓꽃은 산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Oh et al. 2012). 자생종 보호를 위해 신규 서식지 발굴, 유전자원 확보(종자채취 등) 및 치악산국 립공원 자생식물관찰원 현지 내 보전이 필요하다. 귀화식물 은 13종, 귀화율은 3.9%로 확인되었다(Table 6). 북한산국립 공원 둘레길을 대상으로한 Oh et al.(2012)의 연구에서는 귀 화식물이 41종으로 9.5%의 본 연구보다 높은 귀화율을 보 였다. 탐방로 개방 후 귀화식물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분포가 확인된 돼지풀과 미국쑥부쟁 이는 환경 적응력이 높고 대규모로 분포하여 산림식생과 생 태계의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적극적인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8; You et al. 2011).
Kim et al.(2011)은 북한산 둘레길
내 탐방객 증가에 따른주변 샛길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치악산 둘 Table 9. Presence of mammalian species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Order Family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Insectivora Talpidae Mogera wogura 두더지
●Carnivora Felidae Prionailurus bengalensis 삵
● ●Canidae Nyctereutes procyonoides 너구리
●Mustelidae Martes flavigula 담비
●Meles leucurus 오소리
● ●Artiodactyla Suidae Sus scrofa 멧돼지
● ●Cervidae Caproelus pygargus 노루
●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 ●Rodentia Sciuridae Sciurus vulgaris 청설모
● ●Total
No. of Order 4 3
No. of Family 6 6
No. of Speies 7 8
레길도 답압에 의한 탐방로 훼손, 산림병해충 유입, 쓰레기 발생 및 샛길 발생에 따른 자연자원의 훼손이 예상된다. 샛 길은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파편화시켜 서식공간을 축소시키 고 외부로부터 소음과 외래동식물(들고양이, 들개)의 유입경 로로 이용될 수 있다. 둘레길 개방에 따른 생태계 교란과 간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비교 연구도 필요하다
(Kim et al. 2011).
또한 야생동물의 서식지 관리를 위한 계 획수립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통한 개체군 크기, 지리분포, 서식유형, 멸종위기종 현황파악이 우선되어야 한 다(Bolen and Robinson 1995; US Fish & Wildlife Service1999).
구간별 탐방객수와 야생생물의 변화상을 비교하는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둘레길 조성에 따른 공원관리 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단기간 동 안 수행되어 둘레길 전체의 생물상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향후 진행될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사 사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에서 2018년에 시행한
「국민참여형 치악산 둘레길 조사단」에 의해 수행된 결과 입니다. 본 연구 수행에 도움을 주신 상지대학교의 강하람 님, 김정민님, 김태이님, 박유정님, 이정민님, 박소진님과 자 원봉사자 구자란님, 고창규님, 김정순님, 상춘자님, 신성기님, 이성식님, 전인환님, 정기래님, 허남인님, 황의주님께 감사드 립니다 또한, 본 논문이 작성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상 지대학교 천경식 교수님과 국립공원연구원 권영수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강원도. 2010. 강원도의 야생동·식물 서식·분포 실태. 강원도. 춘천.
국립공원관리공단. 2012. 제1차 치악산국립공원 보전관리계획.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06.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5,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수목원. 2008a. 한국식물 도해도감 2. 양치식물. 국립수목원, 포천.
국립수목원. 2008b.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 포천.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 목원, 포천.
김익수. 1995. 한국의 위기 담수어류의 서식현황과 보조, 한국생태 학회어류학회공동심포지엄발표논문집. pp 31-50.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관속식물. 국립 수목원, 포천.
이영노. 2006a.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교학사, 서울.
이영노. 2006b.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I). 교학사, 서울.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서울.
이우철. 1996a.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우철. 1996b.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창복. 2003a. 원색대한식물도감(상). 향문사, 서울.
이창복. 2003b. 원색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서울.
정태현. 1956. 한국식물도감(하). 신지사, 서울.
정태현. 1957. 한국식물도감(상). 신지사, 서울.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8. 한국의 주요 외래생물 I. 국립환경 과학원 보고서.
환경부. 2018. 국가생물종목록 척추동물 편. 생물자원관.
환경부. 2012.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과천.
Bolen EG, WL Robinson, 1995. Wildlife ecology and management.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Byeon HK, HS Sim, JS Choi, YM Son, JK Choi, SR Jeon. 1995.
Feeding habit of the River Sculpin,
Cottus poecilopus from theStreams at Mt. Chiak, Korea. Korean journal Ichthyol. 7(2):
160-170.
Cho W. 2006. Visitor Usage and Evaluation of Interpretive Media in Chi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Environmental and Ecology. 20(1): 9-19.
Cho W, JY Lee, KS Ki. 2017. A Study on the Conservation plan of
Pinus dessiflora f. erecta Uyeki Forest in Chiak MountainNational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7(1):
49-50.
Cho WH, HJ Yun, SB Im. 2011. A Study on Visitor Satisfaction for Bukhansan Dule gil. Journal of the Kore 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 60-73.
Choi. CW, DS Kim, SG Lee, JG Kim, CK Lee. 2015.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on Boundary area of Jiri Mountain Trail Courses.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9(5): 117-131.
Clements, J. F. 2000. The 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Han Bh, JW Choi, KJ Yu, TH No. 2010. A Study on Eco Trail Planning in Bukhansan National Park. Pro. Kor. Soc. Env. Eco.
Con. 20(1): 193-197.
Howard, M. and A. Moore. 2003.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hristopjer Helm.
Jeon SR. 1980. Studies on the distributon of fresh-water fishes from Korea. Chung-Ang Uniersity Press. (in Korea).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in Korea).
Kim JS, KT Kim, YH Gong, SH Go. 1988.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Environmental and Ecology. 2(1): 37-49.
Kim MR, HY Kim, TW Kang. 2011. Bird Distibution and Human Disturbance on Woodpeckers in Dulegil of Bukh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2): 75-79.
Kwon HG, KW Sim, SY Han. 2012. A Study on Dispersion Effect in the Use of Bukhansan National Park Dulle-gi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1): 115-120.
Kwon TH, KK Oh, YS Kwon. 1988. Trail and Campground
Deteriorations, and Their Environment Changes of Soil and Vegetation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Environmental and Ecology. 2(1): 50-65.
Lee BK, KC Eom, SJ Seok. 2013.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Muchroom in Mt. Chiak. The Korean Journal Mycology.
41(2): 57-66.
Lee MW, YS Kim, KW Lee. 1988. A Study on the Visitors Activities and Congnition of Scene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Environmental and Ecology. 2(1): 66-85.
Lee MY, KJ Lee, BH Han. 2013. A Study o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Plan of Natural Scenery in Dulegil, Bukhansan Mountain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3(1):
84-85.
Lee SR. 2010. Fauna of Freshwater Fish in Sobaeksan National Park. 1(4): 277-283.
Lee SR, YS Cho, DW Lee. 2011. Fauna of Freshwater Fish in Se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4): 194-202.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ists. 41(1): 87-101.
Nelson JS. 2016. Fish of the world (5th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Oh HK, YH Han, W Cho. 2012. Vascular Plants of Major Sit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 A Case Study on Bukhandan Dulegil, Jingwan-dong Wetland, Bukhan-dong Cheolgeoji -. J.
Korean Env. Res. Tech. 15(1): 35-51.
Park SJ, SY Park, JS Kim, YJ Bae. 1997. Altitudinal Distribution of Ephemeroptera, Plecoptera, and Trichoptera in a Mountain Stream of Chiaksan. Entomological Research Bulletin. 23: 37- 42.
Song HS, W Cho. 2007. Veget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in Gangwon, Korea. Korean Journal Environmental and Ecology.
21(4): 356-365.
US Fish & Wildlife Service. 1999.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mith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and London.
Yim KB, KJ Lee, GT Kim, KK Oh. 1988. Management Proposal of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Environ- mental and Ecology. 2(1): 86-104.
You JH, JS Mun, WS Lee, 2011. Management Plan and Vas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
Korea. Env. Res. Tech. 14(5): 17-35.
Youn CH. 2002. Fish of Korea with pictorial key and Systematic list. Academybook Publishing Company Press. Seoul (in Korea).
(2018년 11월 27일 접수; 2019년 5월 30일 수정;
2019년 6월 21일 채택)
Appendix 1. Plant list in two trail of Dulle-gil in Chiaksan National Park.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 ●
Osmundaceae 고비과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Copel. 꿩고비 ●
Osmunda japonica Thunb. 고비 ● ●
Dennstaedtiaceae 잔고사리과
Dennstaedtia wilfordii (T.Moore) H.Christ 황고사리 ● ●
Deparia conilii (Franch. & Sav.) M.Kato 좀진고사리 ●
Deparia pycnosora (H.Christ) M.Kato 털고사리 ●
Davalliaceae 넉줄고사리과
Thelypteris palustris (Salisb.) Schott 처녀고사리 ● ●
Woodsia polystichoides D.C.Eaton 우드풀 ●
Aspleniaceae 꼬리고사리과
Asplenium incisum Thunb. 꼬리고사리 ●
Athyrium brevifrons Kodama ex Nakai 참새발고사리 ● ●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개고사리 ● ●
Athyrium yokoscense (Franch. & Sav.) H.Christ 뱀고사리 ● ●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Heller 고사리 ●
Dryopteridaceae 면마과
Arachniodes borealis Seriz. 왁살고사리 ●
Dryopteris bissetiana (Baker) C.Chr. 산족제비고사리 ● ●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 ●
Dryopteris lacera (Thunb.) Kuntze 비늘고사리 ●
Dryopteris sacrosancta Koidz. 애기족제비고사리 ● ●
Dryopteris saxifraga H.Ito 바위족제비고사리 ●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청나래고사리 ●
Onoclea orientalis (Hook.) Hook. 개면마 ● ●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 야산고비 ● ●
Polystichum braunii (Spenn.) Fee 좀나도히초미 ● ●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H.Christ) Sa.Kurata 참나도히초미 ● ●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십자고사리 ● ●
Pinaceae 소나무과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재) ●
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일본잎갈나무 (재) ● ●
Pinus densiflora sp. Siebold & Zucc. 소나무 ● ●
Cupressaceae 측백나무과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 (재) ●
Salicaceae 버드나무과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
Salix koreensis Andersson 버드나무 ●
Betulaceae 자작나무과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 ●
Carpinus cordata Blume 까치박달 ● ●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개암나무 ● ●
Fagaceae 참나무과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밤나무 (재) ●
Quercus aliena Blume 갈참나무 ●
Quercus dentata Thunb. 떡갈나무 ●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 ●
Quercus serrata Thunb. 졸참나무 ● ●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
Ulmaceae 느릅나무과
Celtis sinensis Pers. 팽나무 ●
Moraceae 뽕나무과
Morus bombycis Koidz. 산뽕나무 ● ●
Urticaceae 쐐기풀과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좀깨잎나무 ●
Polygonaceae 마디풀과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Mori 가시여뀌 ●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이삭여뀌 ●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
Persicaria nepalensis (Meisn.) H.Gross 산여뀌 ●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 Hara 장대여뀌 ●
Persicaria sagittata (L.) H.Gross 미꾸리낚시 ●
Persicaria sieboldii var. aestiva Ohki ex T.B.Lee 민미꾸리낚시 ●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 고마리 ● ●
Rumex acetosa L. 수영 ●
Portulacaceae 쇠비름과
Portulaca oleracea L. 쇠비름 ●
Caryophyllaceae 석죽과
Arenaria serpyllifolia L. 벼룩이자리 ●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Nakai) Mizush. 점나도나물 ●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개별꽃 ●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큰개별꽃 ● ●
Sagina japonica (Sw.) Ohwi 개미자리 ●
Silene seoulensis Nakai 가는장구채 ●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Thunb.) Ohwi 벼룩나물 ●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명아주 ●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
Magnoliaceae 목련과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 ●
Schisandraceae 오미자과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오미자 ●
Lauraceae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복수초 ●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
Caltha palustris L. 동의나물 ●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 ● ●
Ranunculus japonicus Thunb. 미나리아재비 ●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Regel & Tiling 꿩의다리 ●
Thalictrum filamentosum var. tenerum (Huth) Ohwi 산꿩의다리 ●
Berberidaceae 매자나무과
Caulophyllum robustum Maxim. 꿩의다리아재비 ●
Lardizabalaceae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Houtt.) Decne. 으름덩굴 ●
Menispermaceae 방기과
Cocculus trilobus (Thunb.) DC. 댕댕이덩굴 ●
Chloranthaceae 홀아비꽃대과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 ● ●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
Asarum sieboldii Miq. 족도리풀 ● ●
Asarum versicolor (K.Yamaki) Y.N.Lee 무늬족도리풀 ●
Actinidiaceae 다래나무과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다래 ● ●
Actinidia polygama (Siebold & Zucc.) Planch. ex Maxim. 개다래 ●
Guttiferae 물레나물과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Hypericum ascyron L. 물레나물 ● ●
Papaveraceae 양귀비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애기똥풀 ●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
Fumariaceae 현호색과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
Corydalis pauciovulata Ohwi 선괴불주머니 ●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현호색 ● ●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 ●
Cruciferae 십자화과
Arabis glabra Bernh. 장대나물 ●
Barbarea orthoceras Ledeb. 나도냉이 ●
Capsella bursapastoris (L.) L.W.Medicus 냉 이 ●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
Cardamine impatiens L. 싸리냉이 ●
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미나리냉이 ● ●
Cardamine scutata Thunb. 큰황새냉이 ●
Draba nemorosa L. 꽃다지 ●
Rorippa indica (L.) Hiern 개갓냉이 ●
Rorippa palustris (Leyss.) Besser 속속이풀 ●
Crassulaceae 돌나물과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기린초 ●
Saxifragaceae 범의귀과
Astilbe rubra Hook.f. & Thomson 노루오줌 ●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애기괭이눈 ●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털괭이눈 ●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바위말발도리 ●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 ●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E.H.Wilson 산수국 ● ●
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 Maxim. 얇은잎고광나무 ●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coreana Nakai 산짚신나물 ● ●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
Duchesnea indica (Andr.) Focke 뱀딸기 ●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im. 양지꽃 ●
Potentilla freyniana Bornm. 세잎양지꽃 ● ●
Prunus persica (L.) Batsch 복사나무 ●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 ●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Makino) Nakai 잔털벚나무 ●
Pyrus ussuriensis Maxim. 산돌배 ●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 ●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 ●
Rubus oldhamii Miq. 줄딸기 ●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
Rubus phoenicolasius Maxim. 곰딸기 ●
Sanguisorba officinalis L. 오이풀 ●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Nakai 조팝나무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국수나무 ● ●
Leguminosae 콩과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Ohashi 차풀 ●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매듭풀 ● ●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Lespedeza cuneata G.Don 비수리 ●
Maackia amurensis Rupr. 다릅나무 ●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 ●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재) ●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 ●
Vicia unijuga A.Braun 나비나물 ● ●
Vicia venosa var. cuspidata Maxim. 광릉갈퀴 ● ●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 새팥 ●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obtriangulata Maxim. 큰괭이밥 ● ●
Oxalis stricta L. 선괭이밥 ●
Geraniaceae 쥐손이풀과
Geranium wilfordii Maxim. 세잎쥐손이 ●
Euphorbiaceae 대극과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개감수 ●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광대싸리 ●
Rutaceae 운향과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
Simaroubaceae 소태나무과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죽나무 ●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소태나무 ●
Anacardiaceae 옻나무과
Rhus trichocarpa Miq. 개옻나무 ● ●
Aceraceae 단풍나무과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고로쇠나무 ● ●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 ●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신나무 ● ●
Balsaminaceae 봉선화과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
Impatiens textori Miq. 물봉선 ●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노박덩굴 ●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Franch. & Sav.) Hiyama 회잎나무 ● ●
Euonymus oxyphyllus Miq. 참회나무 ●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
Staphyleaceae 고추나무과
Staphylea bumalda DC. 고추나무 ● ●
Rhamnaceae 갈매나무과
Hovenia dulcis Thunb. 헛개나무 ●
Vitaceae 포도과
Ampelopsis heterophylla (Thunb.) Siebold & Zucc. 개머루 ●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담쟁이덩굴 ●
Vitis flexuosa Thunb. 새머루 ●
Tiliaceae 피나무과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 ●
Viola albida f. takahashii (Makino) W.T.Lee 단풍제비꽃 ●
Viola collina Besser 둥근털제비꽃 ● ●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
Viola hirtipes S.Moore 흰털제비꽃 ●
Viola japonica Langsd. ex Ging. 왜제비꽃 ● ●
Viola keiskei Miq. 잔털제비꽃 ● ●
Viola mandshurica W.Becker 제비꽃 ●
Viola phalacrocarpa Maxim. 털제비꽃 ● ●
Viola rossii Hemsl. 고깔제비꽃 ● ●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뫼제비꽃 ●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ino) F.Maek. 민둥뫼제비꽃 ●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알록제비꽃 ● ●
Viola verecunda A.Gray 콩제비꽃 ● ●
Onagraceae 바늘꽃과
Circaea cordata Royle 쇠털이슬 ●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 ●
Alangiaceae 박쥐나무과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박쥐나무 ●
Cornaceae 층층나무과
Cornus controversa Hemsl. 층층나무 ● ●
Araliaceae 두릅나무과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독활 ●
Aralia elata (Miq.) Seem. 두릅나무 ● ●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오갈피나무 ● ●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음나무 ● ●
Umbelliferae 산형과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Fisch. ex DC. 기름나물 ●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참나물 ● ●
Sanicula chinensis Bunge 참반디 ● ●
Pyrolaceae 노루발과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노루발 ● ●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 ●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
Primulaceae 앵초과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염 ● ●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Kunth 좁쌀풀 ●
Primula jesoana Miq. 큰앵초 ●
Styracaceae 때죽나무과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 ●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Nakai) Ohwi 노린재나무 ● ●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쥐똥나무 ●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 Hara 과남풀 ●
Gentiana zollingeri Faw. 큰구슬붕이 ●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민백미꽃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
Rubiaceae 꼭두서니과
Asperula maximowiczii Kom. 개갈퀴 ●
Galium koreanum (Nakai) Nakai 참갈퀴덩굴 ●
Galium trachyspermum A.Gray 네잎갈퀴 ● ●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
Convolvulaceae 메꽃과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메꽃 ●
Cuscuta japonica Choisy 새삼 ●
Quamoclit coccinea Moench 둥근잎유홍초 ●
Boraginaceae 지치과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 Benth. ex Hemsl. 꽃마리 ●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Maxim.) H. Hara 참꽃마리 ● ●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Thunb. 작살나무 ●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누리장나무 ●
Labiatae 꿀풀과
Elsholtzia splendens Nakai 꽃향유 ● ●
Isodon excisus (Maxim.) Kudo 오리방풀 ●
Isodon inflexus (Thunb.) Kudo 산박하 ●
Lycopus lucidus Turcz. ex Benth. 쉽싸리 ● ●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벌깨덩굴 ● ●
Mentha piperascens (Malinv.) Holmes 박하 ●
Phlomis umbrosa Turcz. 속단 ● ●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꿀풀 ●
Scutellaria pekinensis var. transitra (Makino) H. Hara 산골무꽃 ●
Solanaceae 가지과
Solanum nigrum L. 까마중 ●
Scrophulariaceae 현삼과
Mazus pumilus (Burm.f.) Steenis 주름잎 ●
Melampyrum roseum Maxim. 꽃며느리밥풀 ●
Phrymaceae 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 Hara 파리풀 ●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 ●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올괴불나무 ● ●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딱총나무 ● ●
Weigela florida (Bunge) A.DC. 붉은병꽃나무 ● ●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
Valerianaceae 마타리과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
Valeriana fauriei Briq. 쥐오줌풀 ●
Campanulaceae 초롱꽃과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모시대 ●
Asyneuma japonicum (Miq.) Briq. 영아자 ● ●
Compositae 국화과
Adenocaulon himalaicum Edgew. 멸가치 ●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 ●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 Hara 과남풀 ●
Gentiana zollingeri Faw. 큰구슬붕이 ●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민백미꽃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
Rubiaceae 꼭두서니과
Asperula maximowiczii Kom. 개갈퀴 ●
Galium koreanum (Nakai) Nakai 참갈퀴덩굴 ●
Galium trachyspermum A.Gray 네잎갈퀴 ● ●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
Convolvulaceae 메꽃과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메꽃 ●
Cuscuta japonica Choisy 새삼 ●
Quamoclit coccinea Moench 둥근잎유홍초 ●
Boraginaceae 지치과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 Benth. ex Hemsl. 꽃마리 ●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Maxim.) H. Hara 참꽃마리 ● ●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Thunb. 작살나무 ●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누리장나무 ●
Labiatae 꿀풀과
Elsholtzia splendens Nakai 꽃향유 ● ●
Isodon excisus (Maxim.) Kudo 오리방풀 ●
Isodon inflexus (Thunb.) Kudo 산박하 ●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Lycopus lucidus Turcz. ex Benth. 쉽싸리 ● ●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벌깨덩굴 ● ●
Mentha piperascens (Malinv.) Holmes 박하 ●
Phlomis umbrosa Turcz. 속단 ● ●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꿀풀 ●
Scutellaria pekinensis var. transitra (Makino) H. Hara 산골무꽃 ●
Solanaceae 가지과
Solanum nigrum L. 까마중 ●
Scrophulariaceae 현삼과
Mazus pumilus (Burm.f.) Steenis 주름잎 ●
Melampyrum roseum Maxim. 꽃며느리밥풀 ●
Phrymaceae 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 Hara 파리풀 ●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 ●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올괴불나무 ● ●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딱총나무 ● ●
Weigela florida (Bunge) A.DC. 붉은병꽃나무 ● ●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
Valerianaceae 마타리과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
Valeriana fauriei Briq. 쥐오줌풀 ●
Campanulaceae 초롱꽃과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모시대 ●
Asyneuma japonicum (Miq.) Briq. 영아자 ● ●
Compositae 국화과
Adenocaulon himalaicum Edgew. 멸가치 ●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 ●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 ●
Artemisia keiskeana Miq. 맑은대쑥 ●
Artemisia princeps Pamp. 쑥 ●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넓은잎외잎쑥 ● ●
Aster ageratoides Turcz. 까실쑥부쟁이 ●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 ●
Aster scaber Thunb. 참취 ●
Aster tataricus L.f. 개미취 ● ●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삽주 ●
Bidens tripartita L. 가막사리 ●
Carpesium macrocephalum Franch. & Sav. 여우오줌 ●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 ●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o 이고들빼기 ● ●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k & Kawano 고들빼기 ●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 ●
Eupatorium japonicum Thunb. 등골나물 ●
Hemistepta lyrata Bunge 지칭개 ●
Hieracium umbellatum L. 조밥나물 ●
Ixeris polycephala Cass. 벌씀바귀 ●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곰취 ●
Saussurea gracilis Maxim. 은분취 ●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 Hara 미역취 ●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우산나물 ● ●
Taraxacum coreanum Nakai 흰민들레 ●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민들레 ●
Verbesina alternifolia Britton 나래가막사리 ●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
Liliaceae 백합과
Allium monanthum Maxim. 달래 ●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name Trail
1 2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 ●
Convallaria keiskei Miq. 은방울꽃 ●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 ●
Disporum uniflorum Baker 윤판나물 ●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큰애기나리 ●
Heloniopsis koreana Fuse &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
Hemerocallis fulva (L.) L. 원추리 ●
Lilium amabile Palib. 털중나리 ● ●
Lilium tsingtauense Gilg 하늘말나리 ●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Paris verticillata M.Bieb. 삿갓나물 ●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각시둥굴레 ● ●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용둥굴레 ●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죽대 ● ●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둥굴레 ● ●
Smilacina japonica A.Gray 풀솜대 ●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 ●
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Regel) Hara & T.Koyama 밀나물 ● ●
Smilax sieboldii Miq. 청가시덩굴 ● ●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금강애기나리 ●
Tricyrtis macropoda Miq. 뻐꾹나리 ● ●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tokoro Makino 도꼬로마 ●
Iridaceae 붓꽃과
Iris minutiaurea Makino 금붓꽃 ●
Iris sanguinea Donn ex Horn 붓꽃 ●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
Gramineae 벼과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속털개밀 ●
Alopecurus aequalis Sobol. 뚝새풀 ●
Arundinella hirta (Thunb.) Koidz. 새 ●
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산조풀 ●
Calamagrostis langsdorfii (Link) Trin. 산새풀 ●
Diarrhena fauriei (Hack.) Ohwi 광릉용수염 ●
Diarrhena mandshurica Maxim. 껍질용수염 ●
Muhlenbergia huegelii Trin. 큰쥐꼬리새 ●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주름조개풀 ● ●
Panicum bisulcatum Thunb. 개기장 ●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
Sasa borealis (Hack.) Makino 조릿대 ● ●
Spodio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
Stipa pekinensis Hance 나래새 ●
Araceae 천남성과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천남성 ● ●
Arisaema amurense Maxim. 둥근잎천남성 ●
Arisaema peninsulae Nakai 점박이천남성 ● ●
Pinellia ternata (Thunb.) Breitenb. 반하 ●
Cyperaceae 사초과
Carex bostrychostigma Maxim. 길뚝사초 ●
Carex filipes Franch. & Sav. 낚시사초 ●
Carex hakonensis Franch. & Sav. 애기바늘사초 ●
Carex humilis var. nana (H.Lév. & Vaniot) Ohwi 가는잎그늘사초 ● ●
Carex japonica Thunb. 개찌버리사초 ●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 ●
Orchidaceae 난초과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은대난초 ●
Liparis kumokiri F.Maek. 옥잠난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