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작성 과정에서 세심한 조언을 해주신 김정혜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제가 도움을 청할 때마다 아낌없이 도와주시는 박상형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연구의 필요성
따라서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복약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염증성 장 질환 환자의 우울증이나 불안정성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연구의 목적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국내 만성질환 환자와 해외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복약 순응도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는 Keefer et al.이 개발한 염증성 장질환 관리를 위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2011), Lee 등이 한국어로 번역한 Illness Self-Efficacy Scale (IBD-SES). 3) 불안. 본 연구에서는 Horne and Weinman(2002)이 개발한 복약 순응 보고 척도로 측정한 결과를 의미한다.
문헌고찰
염증성 장질환의 투약
그리고 관해를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생물학적 제제와 소분자 제제는 중등도~중증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게 사용되며, 약물 특이적 유도 요법 후 유지 요법으로 투여됩니다.
투약 순응도
MARS-5 항목(© Rob Horne 교수)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그 유용성이 검증되었습니다. 그러나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복약순응도 연구 중 MARS-5 항목을 사용한 연구는 없었다(© Rob Horne 교수).
투약 순응도의 영향요인
한편, 국내에서는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복약순응도와 자기효능감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복약순응도와 우울증, 불안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
윤 등이 개발한 염증성 장질환 관련 지식(IBD-KNOW). (2017)은 원저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Keefer 등이 개발한 염증성 장질환 자기효능감 척도(IBD-SES). (2011)과 이영진 역(2020)은 원저자와 번역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GL 평가(영국 런던, 런던)는 허가를 받아 사용되었습니다.
연구자는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전문 번역가의 검증을 거친 후 다시 영어로 역번역한 후 전문 번역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저자의 요청에 따라 영어와 한국어 버전의 악기를 보내어 사용 전 수정하였습니다.
자료수집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좋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과정에서 Cronbach의 α 신뢰도는 0.8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도구에 대한 Cronbach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윤리적 고려
점수가 높을수록 피험자의 약물 순응도가 높은 것을 의미합니다. 교육경험 및 질병활동)을 일정한 양식(종이 또는 컴퓨터)으로 기록하여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됩니다. 준비된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정보 보호를 위해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되, 권한이 있는 연구자만이 접근할 수 없도록 잠금장치를 사용하거나 피험자 식별정보를 암호화하거나 익명화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연구의 공동연구자, 연구기관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 임상연구보호센터, 정부기관 대표 등이 검토를 통해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모든 정보는 국가 및 현지 법률에 따라 처리되었으며, 연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 종료 후 최대 3년 동안 저장 및 폐기됩니다. 또한, 귀하는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에 대해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동의 거부로 인한 불이익은 없습니다.
자료분석
Risk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The role of self-efficacy in the manage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preliminary validation of a disease-specific measure. Comparison of disease-related knowledg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ient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using an updated questionnaire (IBD-KNOW).
Treatment adherence and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Higher levels of disease knowledge reduce medical escalation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strategies, outcomes, and integration into clinical care.
Importance of patients' knowledge of their prescribed medication in improving treatment adherence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fluence of disease-related knowledge, medication beliefs, trust in nurses on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velopment,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a new instrument to measure disease-related knowledge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Crohn's disease and colitis knowledge assessment: a test to measure patients' knowledg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Predictors of impair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inactive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sociation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mood disorders. A preconcentration care program for wome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for program development.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nonadherence to treatment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Results from the ISSEO survey Inflamm Bowel Dis. Nonadherence to anti-TNF therapy is associated with illness perceptions and clinical outcomes in out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results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s a chronic disease of unknown etiology that affects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ncludes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incurable with medical treatment, and patients' symptoms tend to wax and w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