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인적자원개발동향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인적자원개발동향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Copied!
4
0
0

Teks penuh

(1)

직업과 인력개발2006가을 80

정책동향 | 인적자원개발동향

금융인력의 현주소

2005년 국민경제자문회의가 국내 100여 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에 따르면, 응답자의 41%가 우리나라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우선 조건으로

‘금융전문인력’을 꼽았다.

양질의 금융전문인력 확보는 우리 금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는 물론, 금융 허브 달성을 위해서도 시급한 과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영국 등 금융선진국은 물론 싱가폴, 호주 등 경쟁국들도 금융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경쟁국과 비교할 때 우리의 금융 인력은 현재 질적·양적 측면에서 모두 낙후된 상황이다. 외환위기 이후 선진 금융제도의 도입과 재무 건전성 확보 측면에서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금융 인력에 대한 관리는 상대적으로 미흡 했으며, 이는 IMD(2006)의「세계경쟁력 평가」금융인력 구인 가능성(financial skills availability) 항목에서 우리나라가 최하위(61위)를 기록한 것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러한 반성에서 정부는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의 일환으로 금융전문인력 양성 을 핵심과제로 선정하고, 민간전문가가 중심이 된「금융인력양성 분과위원회」를 구 성하여 정부차원의 대책인「금융인력양성 기본계획」을 마련하였다(’06.6). 여기에 서는 동 계획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금융인력 양성 현황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금융산업과 금융인력양성의 중요성

저출산·고령화 추세, 중국경제의 급속한 부상 등을 고려할 때 기존의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는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우리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그중에서도 특 히 금융업은 고용창출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실물경제 전반에 대한 파급효과가

정부는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금융전문인력 양성을 핵심 과제로 선정하고, 민간전문가와 정부차원의 대책인‘금융인력양 성 기본계획’을 발표

| 김 수 호 | 재정경제부 금융허브협력과 사무관 ([email protected])

금융인재 없이는 동북아 금융허브도 없다!

- 동북아 금융허브를 위한 금융전문인력 양성계획 -

(2)

81

인적자원개발동향 | 정책동향

큰 산업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금융연관비율1)이 낮은 상황이기 때문 에 금융산업의 발전 잠재력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앞당기고 중장기적으로 우리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전략적으로 금융산업을 육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금융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서 는 금융규제 개선, 외환제도의 선진화, 외국자본 유치 등 다양한 부문에서의 대책마 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수한 금융인력 양성이라고 생각 한다. 금융업은 제조업과는 달리 인적자원의 경험에 크게 의존하는 지식기반 산업 이다. 따라서 금융업의 경쟁력은 하드웨어(Hardware), 소프트웨어(Software)가 아 닌 휴먼웨어(Human-ware)가 좌우하게 된다. 제 아무리 좋은 금융제도나 기법을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투자, 리스크 관리 등의 노하우를 갖춘 인력이 없다면 무용 지물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싱가포르, 호주 등 경쟁국 정부들은 금융인력 양성을 금융허브 달성의 핵심전략으로 채택, 추진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美 펜실베니아 와튼 스쿨과

우리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서 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필수 적이며, 그중에서도 금융업은 고 용창출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실물경제에 파급효과가 큰 사업

금융업은 인적자원의 경험에 의 존하는 지식기반 산업으로, 금융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수한 금융인력 양성이 필요 그림1. 국가별 금융연관비율 추이

1) 금융자산/GNI를 의미하며 ’05년 우리나라의 금융연관비율은 6.5배(미국 9.0배, 영국 11.8배, 일본 11.8배)이다.

(3)

직업과 인력개발2006가을 82

정책동향 | 인적자원개발동향

같은 세계적 MBA를 목표로 정부 주도로 2000년 싱가포르 경영대학교(SMU: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를 설립했으며, 2003년에는 동 대학교에 자 산운용 석사과정(WMI: Wealth Management Institute)을 개설했다. 또한「f- NExT」(Financial Network for Excelence)를 구축하여 금융관련 연수 프로그램의 수요·공급을 매개하고 금융교육에 대해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호주는 금융전공 학생에게 금융회사 인턴십을 제공하는 산학연계 프로그램

「Axiss2)Scholar Program」을 실시하고 있으며, 금융 교육의 수요·공급을 체계적 으로 매개하기 위해 정부와 금융협회, 대학, 직업연수기관, 감독당국 등이 참여하는 금융교육협회(AFSTA: Australian Financial Services Training Alliance)간 연 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경쟁국들과 비교할 때 금융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우리의 노 력은 크게 미흡하다. 이를 반영하듯 IMD도 우리의 대학교육과 금융교육의 경쟁력 을 각각 50위, 46위로 낮게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홍콩, 싱가포르 등과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부 터라도 정부·금융업계·교육계 등이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하여 국제경쟁력을 갖 춘 금융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금융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

단시일 내에 금융전문인력의 수준을 질적·양적으로 제고하기는 어려우므로 정부는 연차별·단계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우선 금년도에는 기초통계 정비와

「금융전문대학원」개원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경영대학교를 설립, 2003년에는 자산운용 석사과정 을 개설하였고, 호주는 금융회사 인턴십을 제공하는 산학연계 프 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경쟁력 강 화산업을 추진

2) 호주 정부가 외국금융기관 유치를 위한 원스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설치한 지원기구이다.

표1. IMD의 대학교육·금융교육 경쟁력 순위

2004 2005 2006

대학교육 59/60 52/60 50/61

금융교육 51/60 46/60 46/61

(4)

83

인적자원개발동향 | 정책동향

먼저 금융인력양성의 기반 구축 차원에서 기존 금융인력 현황에 대한 통계 D/B를 구축하고 과학적인 인력 수급전망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 년 6월 금융연구원 내에「금융인력네트워크센터」를 설치하였으며, 이곳에서는 금 융회사의 인력구조와 직종별·수준별 인력수요에 대한 기초 통계를 파악하는 한편 정기적으로 금융인력 중장기 수급전망을 분석하여 수요(금융회사)와 공급(연수기 관, 대학교 등)의 균형을 유도할 것이다. 원활한 조사·연구를 위해「금융인력네트 워크센터」는 웹사이트(http://www.fnet.or.kr)를 기반으로 금융회사, 협회, 연수 기관, 대학교 등 회원기관을 네트워크화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실무중심 전문 금융인력 양성을 위해 금년 3월 금융전문대학원을 개 설하였다. 전국적인 공모를 거쳐 KAIST에 설치된 금융전문대학원은 정규학위과 정인「금융MBA과정」과 금융회사 중견직원의 보수교육과정인「금융전문가과정」

으로 구성된다. 「금융MBA과정」은 2년제 주간 석사과정으로 연간 100명 정원이 며, 「금융전문가과정」은 국내외 금융업계 실무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6개월 단기과 정으로 연간 100명 정원으로 운영된다.

수업은 원칙적으로 영어로 진행되며 우수한 현업전문가를 교원으로 초빙하여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금융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탄력적 운영을 통한 경쟁 력 강화를 위해 기존 대학본부로부터 예산·조직·운영상 자율성·독립성을 갖도 록 할 계획이며, 운영실적 등에 대해서는 정부, 금융계, 교육계 인사로 구성된 운 영위원회에서 평가하도록 하여 성과에 의거한 실적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향후 계획

많은 한국인들이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엄 청난 차익을 챙기는 것을 비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부러워하였다. 역으로 생각하 면 우리나라도 우수한 금융인력 양성을 통해 세계 각국에서 부를 창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문적 금융지식, 국제경제에 대한 이해, 외국어 능력 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 기 위해서는 민·관·학의 종합적, 체계적, 장기적 노력이 요구된다. 정부는 유관 기관과의 협의, 외국 사례 벤치마킹 등을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 양질의 금융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다.

금융전문인력의 수준을 질적·

양적으로 제고하기 위하여 금년 에는 금융전문대학원을 개설하 고, 금융전문가과정과 금융MBA 과정으로 구성

전문금융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서는 민·관·학의 종합적, 체계 적, 장기적 노력이 요구됨

Referensi

Dokumen terkait

- 진로야망이 있는 경우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거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의 소득 상승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사회경제적 배경과 성적에 따라 청소년기의 진로야망이 성인기 소득에 미치는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남.. - 학교교육 단계에서의 진로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신뢰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