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원순환형 항만을 위한 안벽 성능 향상 기술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자원순환형 항만을 위한 안벽 성능 향상 기술 개발"

Copied!
350
0
0

Teks penuh

자원순환을 위한 항만의 능력향상 기술개발 본 연구에서는 중력식 성토벽체에 대한 국부순차 심심심공법을 개발하였다.

해외 안벽 증심기술 동향

수중의 사석과 같이 공극이 큰 입상재료의 충전기술의 경우 수불분리성 모르타르, 프리펙트 모르타르, 아스팔트 매스틱, 소성상 그라우트재, 시멘트 벤토나이트, 투수성 응고법 등을 고려해야 한다. 프리펙트 모르타르는 공법, 공법 관리방법 등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일반조성골재에 대한 적용실적은 없다.

국내동향

해외동향

도쿄의 경우 매립지의 약 80%가 해양처분장에 위치한다. 해양 최종처리장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상처분장 관련 연구동향

특히 실드코팅 설계/시공 및 방수공법 분야. 구분 토지공사 바지선 공사 수중설비 공사.

서론

충전성능은 펌프속도와 시편에 충전된 사석의 크기 등의 조건으로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토질보강 그라우트 되메우기 모의기법을 개발하여 되메우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파라메트릭 연구를 통해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되메우기 성능평가 시편의 유동해석을 통해 시뮬레이션기법을 검증하였다.

그라우팅 보강 강도평가

동일한 물-시멘트비 45%에서 14일 양생까지의 슬래그 시멘트 모르타르 시료의 강도는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 시료보다 낮았으며 28일의 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갈성토 모형의 압축강도 시험에 관한 기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자갈성토 모형의 구형체를 제작하여 압축강도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소성주입질량 총 2종의 제형을 선정하였다.

그라우팅 주입성능 평가

그러나 표준모래에서는 주입압력에 따른 벌브크기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라우팅을 위한 정확한 주입 압력을 계산하기 위한 설계 테이블 제안.

지반보강 그라우트의 충진성능 평가

플라스틱 슬러리의 충진 성능은 실내 실험으로 평가하였다. 플라스틱 그라우트의 충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총 5개의 시험편을 준비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가소성 그라우트 충진 시뮬레이션 기법 개발

1 Pa·s의 그라우트 점도와 200kPa의 주입 압력을 표준 분석 입력 변수로 사용하여 VOF 모델과 가소성 그라우트 충진의 시뮬레이션 검증.

3절 수치해석에 의한 노심공법의 적용성 평가. 수치해석에 사용할 지반상수는 실험식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반정보와 항만설계자료에서 미리 제공한 지반성질 자료를 바탕으로 표 3.3.2와 같이 산출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케이슨 안벽 증심공법 안정성 평가

또한 안벽의 변위는 코어부의 단면에 경사(작은 단차의 형성)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PLAXIS-3D를 이용하여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소론

중력식 심층성토 굴착공법의 현장적용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중력식 심층성토 굴착공법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원심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굴삭기는 부분 굴착 단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설계 및 제작되었습니다.

원심모형실험 개요

원심 모델 실험을 위한 테스트 사양 및 특성. 유체 로터리 조인트 총 10개 라인(공기, 물, 오일) 전기 슬립 링 총 42개 라인(전원, 신호, 비디오) 표 3.4.2 원심 모델 테스트의 주요 사양.

원심모형실험 모델링

나머지 공간에 맞게 캐비닛의 너비를 조정했습니다. 수정체는 강체로 가정하고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1차 굴착은 폭 2m의 부분 굴착으로 이어졌다. 굴착깊이까지 굴착날이 삽입된 지점(관통)과 굴착이 완료된 후의 시간(굴착)은 그림에서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소론

굴착 전 원단면의 침하량은 수정 도입 후 최종단면의 침하량보다 약간 더 컸다. 굴착 완료 직후에 개질체를 삽입하는 것은 실험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질체를 1g으로 삽입하고 뒤쪽의 모래를 다시 채우고 60g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만지진계측시스템 개요

5절 심심공법의 항만 내진특성 분석 및 내진성 평가. 각 항만 지진감시시스템의 주요 분석장비 및 지진기록계 모니터링 상태에 대한 정기 및 수시점검을 실시하였으며, 통합 서버 유지보수를 통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항만지진 응답특성 분석

분당 우수주파수는 13.77Hz의 고주파로 진원지 주변 건물에 대한 피해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우수주파수는 항만 내 지반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분석 결과, 포항 영일만신항 일대는 항만지진측정시스템의 진원을 중심으로 약 45㎞에 해당한다.

구조적 지반운동의 특징적 표현 : 설계응답스펙트럼 및 지반분류체계에 따라 수정 B, 즉시 회복, 장기 회복/생명 보호율 추가.

항만 구조물의 내진설계기준

증심공법 적용 케이슨 안벽 지진안정성 평가

개요

흙보강 성능평가 실험과 동일한 배합비의 플라스틱 모르타르를 사용하였다. 지반보강 성능도 재확인됐다. 충진 성능 평가 실험 시 타이머로 주입시간을 측정하여 주입량을 계산하였다.

접촉면 동적거동 평가 이론

토목섬유-흙 접촉면 동적전단특성

토목섬유-흙 접촉면의 영향인자에 따른 동적거동특성 비교

접촉면 동적거동 수치해석 방법 및 이론

토목섬유-흙 접촉면의 전단거동

토목섬유-흙 접촉면이 적용된 해상처분장 호안 수치해석 조건 및 모델링

경사식 호안에서의 토목섬유-흙 접촉면 동적 전단거동특성

중력식 호안에서의 토목섬유-흙 접촉면 동적 전단거동특성

안벽의 증심 매뉴얼(안) - 중력식 안벽

토목섬유-흙 접촉면 전단거동 평가지침(안)

Referensi

Dokumen terkait

연구개발의 목표 구분 내용 최종목표 한국해 수온과 염분 4차원 기후평균장 시범 구축 및 기술 개발 최종목표 설정근거 장기 해수 물성 변동성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 구축 현장관측 자료 품질검증 기법과 기후평균장 계산을 위한 추적 기술 확 보 필요 세부목표 한국해 해수물성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구축 품질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