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폴드 애머리(Leopold Amery)가 본 영 제국의 미래. 따라서 자치령들의 지위를 영국의 협력적인 동반자로 격상시킴 으로써 제국 통합을 증진시키는 작업이 필요했다.
서론
야 한다고 주장했다.3) 하나로 통합된 영 제국은 영국이 약육강식의 세계 에서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간주되었다. 애머리는 영국사 서술에서 단편적으로 언급될 뿐이다.9) 애머리를 중심으로 다룬 연구들도 그의 군사적 제국 통 합론과 1920년대 정치적 활동들을 연장선상에서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있 지 못하다.
영 제국의 미래에 대한 애머리의 구상
자치령들은 제국의 부와 인력의 광범위한 기반이라는 점에서 자치령들 없이 영국의 안보는 장기 적으로 불가능했다.39). 캐나다 역시 독자적인 해 군을 보유하는 것은 자치령들의 의무라고 주장하면서 영국을 압박했 다.45).
제국의 군사적 통합을 위한 노력
워싱턴 회담과 싱가포르 해군 기지
태평양 함대 내에서 별개의 소함대를 구성해야 하며, 영국 해군성이 전 시에 태평양 함대 전체를 지휘해야한다고 보았다.58) 그런 점에서 자치령 해군은 진정한 독립적인 개체가 될 수 없었으며 싱가포르 기지는 태평양 함대가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해군 기지를 의미했다. 그럼에도 해군성은 일본을 견제할 수 있으리라 자신했는데, 이는 영국이 태평양, 즉 홍콩에 해군 기지를 소유한 유일한 서양 해군 국가였기 때문이다.61). 또한 일 본은 주력함의 질적인 개선과 잠수함과 같은 비주력함의 건조를 통해 해 군력을 강화해나가고자 했다.63) 따라서 영국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한 새 로운 대책을 내놓아야 했다.
국제 문제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건대, 해 군력의 문제는 영국이 다른 강국과 얼마나 친밀한지와 무관하다는 것이 다.70) 이러한 애머리의 주장은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볼 때 합리적인 것 이었다. 따라서 기존 해군 기지를 넓히고 보강하는 작업이 필요했다.73) 워싱턴 조약으로 인해 더 이상 홍콩 해군 기지를 발 전시킬 수 없게 된 상황에서 영국 해군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바로 젤리코가 제출했던 싱가포르 해군 기지 건설안이었다.
자치령들의 협력과 새로운 제국 구조
1차 세계 대전 이후 자치령들은 경제 불 황을 겪고 있었기에 싱가포르 기지를 최소한의 비용을 지출하면서 영국 을 통해 태평양을 방위하는 방법으로 간주했다.83) 그러나 애머리는 자치 령들의 적극적인 원조에 대한 낙관적인 믿음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 인다. 제국의 각 국민들(the nations of the Empire)은 그들 고유의 삶에 뿌리내린 해군, 해군 정신, 그리고 해군 전통을 길러야 한다.”84) 이는 자치령 해군이 영국 해군의 휘하에 종속된 형태가 아니라 보다 동등한 협력자로서 발전해나가야 한다는 애머리의 오랜 생각이 마침내 공식적으로 선언되었음을 의미했다. 애머리는 노동당이 평화 의 동의어를 비무장이라고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싱가포르 기지 건설의 중단으로 자치령들은 영국에 불신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비 난했다.93) 애머리는 하원 연설에서 역사적인 교훈은 방위력을 경시하는 국가가 몰락에 이른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뉴질랜드 역시 순양함 관리에 상당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는 점 을 강조하며 원조금의 지출 가능 여부를 의회와 논의해봐야 한다고 대답 했다.95) 자치령들의 원조금이 없다면 싱가포르 기지의 건설은 더 오랜. 게다가 자치령들은 자국의 해군력에 보다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다.
결론
예컨대, 캐나다 해군은 최선을 다해 영국 해군과 협력할 것을 선언했으나 캐나다 선박에 대한 궁극적인 통제권은 캐나다 해군 본부에 속할 것이었다.104) 이는 애머리가 구상했던 제국적 차원의 군사적 협력이 2차 세계 대전에서 실현되었음을 의미했다. 따라서 애머리의 군사적 제국 통합론은 자치령과 영국 사이에 보다 동등한 협력을 기반으 로 한 해군력 통합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애머리는 해군성의 벽을 넘을 수 없었다.
1920년대 애머리는 해군력의 제국적 성격을 강화하는 동시에 자치령 들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를 통해 애머리는 일본 해군력의 위협을 견제하고 자치령들의 협력을 이 끌어내고자 했다. 치인들은 본격적으로 해군력 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1931 년 제국은 영연방이 되었고, 자치령들은 식민지 시기의 유산에서 탈피하 여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치령이 되었다.105) 그 과정은 영국과 자치령들 간에 어떠한 대립과 충돌 없이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치령들은 영국과의 유대를 단절하지 않고 영연방이라는 새로운 구조 속에 남아있는 쪽을 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