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분석 :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2 0 1 4 년 2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미술교육 전공
곽 세 하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분석 :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지도교수 김 형 숙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 01 3 년 1 0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미술교육 전공
곽 세 하
곽 세 하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2 0 1 4 년 1 월
위 원 장 ( 인)
부위원장 ( 인)
위 원 ( 인)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을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구체적으로는 2 0 09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내용을 다문화 교육과정을 위한 접근법으로 고찰하고, 미술 작품 도판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자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으며,2 0 0 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미술과 교육 목표 및 중학교 교육목표가 다문화교육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둘째,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 체험․표현․감 상 영역의 단원과 소단원,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 을 뱅크스 ( Banks ) 의 다문화 교육과정을 위한 4 가지 접근법으로 분석하였다.
셋째,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의 도판을 다문화교육의 관점 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성은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 미술교과서 에 나타난 여성이미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인종․성별․종 교․계층․민족 등 다른 집단과 문화를 존중하고 이해의 폭을 넓 힌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내용 및 방법,그리고 연구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다음으
로 Ⅱ장에서는 기존 연구를 다문화미술교육의 관점에 의한 연구,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관련한 연구,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영역별 내용을 분석한 연구,여성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연구로 나
누어 검토하고,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사전
지식으로써 다문화미술교육과 관련한 이론을 탐색한다.또한 2 0 0 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이 강조된 부분을 찾아보고, 그것이 2 0 0 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이어졌는지를 살펴 봄으로써 2009 개정 미술교과서와 다문화교육의 연관성을 도출한 다.Ⅲ장에서는 2 0 0 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체험․표현․감상 영역의 단원과 소단원,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을 뱅크스( Ba nks ) 의 다문화 교육과정을 위한 4 가지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Ⅳ장 에서 는 미술 작품 도판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와 텍스트를 세 가 지 분석 준거-문화 이해의 관점,다문화교육의 내용,교육인적자원 부에서 제시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의해 분 석하였다.각 장에서 다룬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기존 연구를 다문화미술교육의 관점에 의한 연구,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관련한 연구,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영역별 내용을 분석한 연구,여성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검 토하였다.
둘째,미술교과서의 체험․표현․감상 영역을 뱅크스( Ba nks ) 의 다문 화 교육과정에 대한 4 가지 접근법으로 분석함으로써,각 영역( 체 험․표현․감상 영역) 의 특징에 따라 각 영역의 접근법 사용이 다름 을 알 수 있었다.
셋째,2 0 0 9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여성이미지를 미 술작품 도판을 중심으로 1 1 개의 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 0 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과 여성이미지를
미술 작품 도판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미술교과서에서의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다문화교육,교과서,여성이미지,교육과정,미술 작품,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학 번 :2011-23620
목 차
Ⅰ.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연구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연구의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연구의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도판의 분석 기준 ···10
2)도판의 분석 절차 ···13
4.연구의 중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Ⅱ.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1.기존 연구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1)다문화미술교육의 관점 ···17
2)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영역별 내용 ···20
3)여성이미지의 분석 ···25
2.다문화미술교육과 미술과 교육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1)다문화미술교육 ···35
2)미술과 교육과정 ···44
Ⅲ.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본 2009개정 미술교과서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1.체험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2.표현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3.감상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Ⅳ.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미술교과서의 여성
이미지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1.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의 도판 분석 · · · · · · · · · · · · · · · · ·73
1)일부종사 ···73
2)일하는 여성 ···77
3)어머니 ···80
4)뮤즈 ···82
5)팜므 파탈 ···86
6)춤추는 여성 ···88
7)여신 ···92
8)미인 ···96
9)창녀 ···100
10)여성 누드 ···103
11)새로운 여성상 ···108
2.여성이미지에 드러난 다문화미술교육에의 시사점 · · · · · ·111
1)미술 작품의 다문화적 이해 ···111
2)미술가의 국가별 특성 ···123
Ⅴ.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1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8
Abst r 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표 목 차
<표 1 > 이분법의 계보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2 > 2 0 0 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 3 > 분석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표 4 > 2 00 9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주요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5
<표 5 > 중학교 미술교육과정 내용의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5 0
<표 6 > 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본 미술교과서의 체험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표 7 > 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본 미술교과서의 표현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6
<표 8> 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본 미술교과서의 감상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3
<표 9 > 이분법의 계보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0
<표 1 0 > 2 0 0 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이미 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0
<표 1 1 > 다문화관점에서 여성이미지 작품 분석결과 · · · · · · · ·1 1 4
<표 1 2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과․교수학습의 목표 · · · · · · · ·1 1 9
<표 1 3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과․교수학습의 목표의
미술교과서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0
<표 1 4 > 2 0 0 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여성이미지 작품
을 제작한 미술가의 국가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5
도 판 목 차
<도판 1 > 판에이크( 동생) ( Va nEyc k,J an)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1 4 3 4 년,유채,8 3 ×6 0 c m · · · · · · · · · · · · · · ·7 3
<도판 2 > 미진사 교과서 『중학교 미술』( 조중현 외,2 0 1 0 :1 8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4
<도판 3 > 교학연구사 교과서 『중학교 미술』( 김용주 외, 2 0 1 0 :1 9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8
<도판 4 > 박수근,<앉아 있는 여인>,1958년,캔버스에
유채,4 5 . 5 ×5 3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0
<도판 5 > 박수근,<절구질하는 여인>,1954년,캔버스에 유채,1 3 0 ×9 7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0
<도판 6 > 박수근,<길>,1 9 6 4 년,유채,31×18c m · · · · · · · · · · · · · · ·8 0
<도판 7 > 뒤러( Dur e r ,Al br e c ht ,<뒤러의 어머니>,1 5 1 4 년, 종이에 목탄,4 2 . 1 ×3 0 . 3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
<도판 8 > 천재교육 교과서 『중학교 미술』( 김선아 외,2 0 1 3 :1 1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도판 9 > 달리( Da l i ,Sa l va do r ) ,<공간 속의 갈라>,1 9 5 2 년, 유채,8 0 0 ×7 5 3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
<도판 1 0 > 지학사 교과서『중학교 미술』( 김용주 외.2 0 1 0 :2 1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4
<도판 1 1 > 워홀( Wa r hol ,Andy) ,<마릴린 먼로>,1 9 6 2 년, 실크 스크린,9 1 ×9 1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6
<도판 1 2 > 천재교육 교과서 『중학교 미술』( 김선아 외, 2 0 1 3 :1 1 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7
<도판 1 3 > 드가( De gas ,Hi l ai r eGe r ma i nEdga r ) ,<리허설>,
1 8 7 3 ~ 1 8 7 4 년,캔버스에 파스텔,5 9×8 3 . 8 c m· · · · · 8 9
<도판 1 4 > 미진사 교과서 『중학교 미술』( 조중현 외,2 0 1 0 :4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1
<도판 15> 교학연구사 교과서 『중학교 미술』( 이성도 외, 2 0 1 0 :3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3
<도판 1 6 > <밀로의 비너스>,기원전 1 3 0 ~ 1 0 0 년경,대리석, 높이 2 0 8 . 5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4
<도판 1 7 > <빌렌도르프의 비너스>,기원전 2 5 0 0 0 ~ 2 0 0 0 0 년 경,석회암,높이 1 1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4
<도판 1 8 > 교학연구사 교과서 『중학교 미술』( 이성도 외, 2 0 1 0 :1 5 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7
<도판 1 9 > 신윤복,<미인도>,1 8 세기,비단에 수묵 채색, 1 1 4 ×4 5 . 2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9
<도판 2 0 > 두산동아 교과서 『중학교 미술』( 장선화 외, 2 0 10 :9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1
<도판 2 1 > 신윤복,<단오 풍정>,1 8 세기말~ 1 9 세기 초,종 이에 수묵 담채,2 8 . 2 ×3 5 . 3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2
<도판 2 2 > 두산동아 교과서 『중학교 미술』( 장선화 외, 2 0 1 0 :2 0 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4
<도판 2 3 > 모네( Mone t ,Cl a ude ) ,<풀밭 위의 점심>,1 8 6 5
~ 1 8 6 6 년,캔버스에 유채,2 4 8 ×2 1 8 c m· · · · · · · · · · · · · · · ·1 0 5
<도판 24> 금성출판사 교과서 『중학교 미술』( 이주연 외, 2 0 1 3 :2 4 7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9
<도판 2 5 > 앵그르( I ngr e s ,J e a n-Augus t e -Do mi ni que ) ,<샤
를 7 세 대관식에서의 잔 다르크>,1 8 5 1 ~ 1 8 5 4 년,
캔버스에 유채,2 4 0 ×1 7 8 c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1
Ⅰ.서론
1.연구의 목적
미술 작품은 압축된 문화의 표현물로 다문화교육,문화 간 교육을 가 능하게 할 뿐 아니라 실물 중심의 체험 주의적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또한 미술 작품은 문화를 물리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문화와 상호 유기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작품의 감상과 향유는 과거의 문화는 물론 다른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하는 창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미술 작품에 대한 교육은 삶과 의식에 대한 표현물인 문화를 조형 언어로 학 습하며 문화 정체성을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또한 문화적인 다양 성이 미술 교과보다 더 적절히 강조될 수 있는 교과가 없을 정도로,미 술은 문화적 다양성 인지에 역점을 두는 교육을 중요시한다.다문화교육 의 목표가 다양한 문화 사이의 연계성을 형성하고 상호간의 이해와 비판 적 수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면,미술교육이 이것을 실현하기 위 한 최상의 방법이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김경식,조태현, 2009).
또한 미술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오늘의 ‘나’를 돌아보고 점검 하고 기록하고 드러내는 행위이다.이러한 반성적이고 성찰적 태도는 학 생의 다문화적 감수성과 역량을 기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차윤경 외,2011).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받는 미 술교육 속의 미술 작품을 다문화적 시각에서 연구하고자 한다.중등학교 가 수용․교육하는 청소년은 소년과 청년의 합성어로서,아동이 소년기 를 지나 성인으로 성장해 가는 과도기적 발달단계의 특성을 갖는다(이소 연,2004).이와 같이 중학생은 미완성된 가치관 등이 형성되는 시기이므 로 외부 자극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따라서 연구자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의 효과가 클 것이고 그러한 다문화교
육의 매개체로 미술교과서가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오늘날의 청소년들 은 시각문화에 익숙하며 시각적인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특징이 있 기 때문이다.이에 다른 교과에 비해 미술교과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효 과가 더욱 클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중학교 미술 교과서,그 중에서도 미술작품의 도판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자 하였다.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2009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서의 여성이미지 도판을 다문화교 육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한다.즉 여성이미지가 교 과서에서 저자의 어떠한 의도와 목적에 의해 실렸는지를 ‘대단원’,
‘소단원’,‘학습 목표’, ‘탐구 학습’, ‘학습 성취도 평가’등의 준거 를 통해 파악하고 어떠한 문화 이해의 관점으로 제시되었으며 어떠한 다 문화교육의 내용에 해당되는지를 밝힌다.마지막으로는 교육인적자원부 에서 제시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기준을 중심으로 다 문화교육에 대한 배려가 있는지를 논의한다.이러한 분석을 통해 2009 개정 미술교과서가 여성이미지와 텍스트에 있어 어떠한 문화 이해의 관 점을 취하고 있고,다문화교육의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고,중학교 미 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기준에 잘 부합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 하고자 한다.이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봤을 때 2009개정 미술 교과서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 이 있다.
이제까지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구는 극히 소수로 아직 활발히 연구되지 않고 있다.게다가 도판을 중심으로 미술교과서를 연구한 사례가 많지 않고 이제까지 배제되었던 바 있다.
특히 2009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 다.뿐만 아니라 전통문화나 시각 디자인을 다룬 미술 작품과 관련한 연 구에 비해,현재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있어 미술 작품을 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분석한 사례는 매우 적은 편이다.상대적으로 소수의 연구만이 다문화교육의 관점에 의해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연구한 바 있다.오명현 (2008)은 중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영역의 참고 작품을 국가,시대,작가 별로 분석하였고,박수민(2011)은 참고 작품을 미술을 통한 문화적 정체
성 함양,미술을 통한 세계화 교육,미술을 통한 문화인류학적 이해라는 분석 준거로 분석하였다.즉 다문화적 관점 중 인종,민족적 특성에 초점 을 맞추어 연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여성 이미지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 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여성이미지’를 분 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다문화교육과 여성이미지는 다문화교육이 여 러 가지 차별 중 성차별에 관심을 갖고,성에 대한 불평등에 도전하며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고 보인다.미국의 다문화교육협회(NationalAssociationforMulticultur alEducation,2007)는 다문화교육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인종차별( r aci s m) ,성차별( s exi s m) , 계급차별( c l as s i s m) ,언어차별( l ongui ci s m) ,장애인차별( abl i s m) ,연령차 별( agei s m) ,동성애자 차별( he t e r os e xi sm) ,종교적 불관용( r e l i gi ousi n t ol e r anc e ) ,외국인 혐오( xe nophobi a) 와 관련된 이슈를 직접적으로 다 룬다( 최충옥 외,2 010에서 재인용) .
위를 통해 다문화교육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성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 념에 대해 다룸을 알 수 있다.실제로 다문화교육 이론가들은 서구 사회 의 발전이 많은 유색인종,그리고 여성의 희생과 기여 덕분에 가능했으 며 따라서 이들의 이야기를 교육과정에 포함해야 한다고 논의한다.또한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는 이상과 함께,인종 차별과 성차별도 여전히 강 하게 남아 있는 현실의 모순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Banks,2008:14).따라서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 교과서의 비중이 크고 교육과정과 교육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볼 때,미 술교과서에서의 성 평등이나 성에 대한 선입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고 보인다.중학교 미술교과서는 청소년을 독자로 하므로,교과서 속의 여성이미지는 청소년의 여성에 대한 관점,성 역할,성 정체성,성 평등, 성 관념 등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현대사회에서 청소년기 남녀에게
매우 중요한 발달과제는 자신의 성에 부합하는 성 역할을 발달시키는 것 이고,이러한 성 역할은 남녀의 본래의 성차에 따라 달리 발달되기보다 는 전통적 성 역할이 사회화된 결과로 나타난다(이지혜,2001).마찬가지 로 청소년 시기는 단순한 신체·생리적 성장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성 숙 등 다양하게 변화하는 시기이다.즉 청소년들은 성에 대해 주체적으 로 인식하기보다 사회구조적 상황 속에서 정해진 기준에 맞추어 가는 경 향이 있다.더욱이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문화적 표상은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박희경,2002).또한 급속한 2차 성징의 출현으로 인해 성적 성숙의 두드러진 변화와 뚜렷한 성차의 인식을 통해,가정과 사회에서의 성 역할에 대한 확고한 인식의 토대를 세워야 하는 시기이기 도 하다(G.M.블레어,1984).뿐만 아니라 남성과 여성 모두 동등한 인격 체로서 평등하게 공존하는 행복한 미래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청 소년들의 건전한 성 관념 형성이 중요하다.청소년들이 미래를 설계하고 진로를 모색함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평등한 가치 관을 가지는 것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방연옥, 2007).이와 같이 청소년들의 성역할과 성 관념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크게 받을 뿐만 아니라 정립되어야 하는 시기에 있으므로,청소년들이 사회적 기준으로 삼는 교과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이 에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서의 여성이미지의 재현과 그 형성 요인을 분석해 보는 것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청소년의 올바 른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해 충분히 가치 있다고 판단하였다.
뿐만 아니라 여성이미지는 교과서에서의 다문화적 시각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다.여성이미지 자체의 내용보다,교과서에서 여성 이미지를 어떤 맥락과 의도와 방식으로 실었는지를 보면 그 교과서의 다 문화적 시각을 알 수 있다.또한 여성이미지는 다른 이미지들에 비해 성 뿐만 아니라 계층,능력,정체성 등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범주를 많이 담 고 있다.왜냐하면 많은 여성이미지가 남성의 시각에서 그려졌고 이러한 시각은 당시의 이데올로기,사회적ㆍ문화적 배경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 다.따라서 여성이미지 자체의 내용뿐만 아니라 여성이미지를 교과서에
서 다루는 방식,시각을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2009개정 미술교과서의 다문화에 대한 배려 정도를 확인하고,개선 방향을 탐색할 수 있다.더불어 여성이미지는 미술의 역사에서 여성에 대한 고정된 견 해와 사고를 재생산하고 여성에 대한 성격을 규정하는 의미를 갖는다.
미술은 사회 체계의 담론과 그 권력의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문화,이데 올로기적 실천 중 하나이다(Parker,Rozsika.,and Pollock,Griselda, 1995:152).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을 분 석하는 것은 여성이라는 집단에 대한 경제․사회․문화적 요인 등을 엿 볼 수 있는 기회이다.어떤 집단에 대한 문화적 가정,관점,편견 등을 학습하는 것은 다문화교육에서 중요하다.이에 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의 도판을 분석하고자 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미지를 다 룬 미술 작품을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2.연구의 방법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과서를 분석함에 앞서 현행 중학교 검정 도서인 미술교과서 6종(두산동아,천재교육,금성출판사,미진사,지학사,교학연 구사)의 교과과정 영역별(체험,표현,감상)단원과 소단원,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을 살펴보았다.또한 교과서 내용 구성의 근간이 되는 2009개 정 교육과정과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그 성격과 특징이 다문화미술교육,나아가 여성이미지 분석과 어떠한 관련이 있을지 밝히 고자 한다.본 연구에서는 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의 도판 분석을 위해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6종(두산동아,천재교육,금성출판사, 미진사,지학사,교학연구사)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분석 대상은 교과서 에 실린 여성 이미지로 한정하고,먼저 일부종사,일하는 여성,어머니, 뮤즈 등 11가지 주제를 기준으로 분류할 것이다.
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을 11개의 주제로 구분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일부종사,일하는 여성,어머니,뮤즈,팜므 파탈,춤추는 여성,여 신,미인,창녀,여성 누드,새로운 여성상은 이분법적인 여성이미지를 가
장 잘 드러내는 기준들이다.
<표 1> 이분법의 계보학
(가)여성에 대한 긍정의 계열 (나)여성에 대한 부정의 계열 허난설헌/신사임당
양처 요조숙녀 덕녀/성녀(聖女)
천사 석녀(石女)1)
미녀 열녀 어머니/현모/정실 일부종사/사종지도
정숙/정조/순결 선 충녀(忠女)
황진이 악처 화냥년/양갈보 성녀(性女)/창녀/탕녀
마녀:기독교 색녀 추녀 요부 창부/첩,후처:이상
바람/불륜 타락/바람
악 화녀(花女)
<출처> 이득재.(2004).가부장제국 속의 여자들.서울:문화과학사.
이와 같이 여성이미지는 선/악,미/추 등 이항 대립적인 도식으로 나누 어질 수 있다.(가)는 여성에 대한 긍정의 계열인 반면 (나)는 여성에 대 한 부정의 계열이다.이항 대립의 계보학은 서구 사상에 나타난다.엘렌 식쑤(HeleneCixous)에 따르면,서구 사상은 이항 대립 구조에 근거하고 있고 이항 대립 구조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타자’의 존재가 불가피하다.
남성에 대한 여성,미녀에 대한 추녀 등은 타자에 의해 존재하는 개념이 라고 볼 수 있다(이득재,2004:51).
마찬가지로 미술사에서도 작품 속 여성이미지들은 선과 악으로 나누어 지는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생명을 잉태하는 자비로운 어머니와 정숙한 열녀,여기에 대비되는 남성을 파멸에 이르게 하는 팜므 파탈 등이 그것 이다.미술에서 여성을 신체적 무상함과 나약함에 관계시키는 여성 이미
1)
동아국어사전연구회(1990)에 따르면 석녀(石女)는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자를 의미하 나,여기서는 성욕이나 성적 흥분을 느끼지 못하는 여자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다.(가)여성에 대한 긍정의 계열 (나)여성에 대한 부정의 계열 일부종사
일하는 여성 어머니
뮤즈 여신 미인 여성 누드 새로운 여성상
팜므 파탈 춤추는 여성
창녀
지의 역사는 오래 되었으며 이러한 역사 속에서 여성은 뮤즈,성녀,숙녀 에서 메두사,마녀,창녀에 이르기까지 불안정한 기표로 존재하여 왔다 (박영순,2003:7).미술교과서에서 서구 작가들의 작품을 많이 싣고,서 구 미술사를 중심으로 서술을 한다는 점에서 볼 때,위와 같은 이항 대 립적인 여성이미지가 등장한다는 것은 이상하지 않다.본 연구는 20009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여성이미지가 위와 같은 이분법적인 기준에 따른 여성이미지의 한계를 거의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파악하였다.여 성이미지를 다룬 대부분의 미술 작품이 어머니,여신,창녀,일하는 여성 등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교과서에서 이렇게 여성에 대한 고정 관념과 편견을 일으킬 수 있는 미술 작품들을 별다른 의식 없이 싣고, 학생들이 미술 작품 속 여성이미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학 습 기회를 열어 두지 않는다면 학생들에게 여성에 대한 특정한 관점을 고착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 1>을 기준으로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 서의 미술 작품에 나타난 여성이미지를 <표 2>와 같이 분류하고자 한 다.
<표 2>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표 2>의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에는,그림 속 여성이 어떠한 모습으 로 묘사되었는지 색채·형태·구도·소재 등 일차원적인 관점에서 있는 그 대로 서술한다.그 다음에 그러한 묘사가 의미하는 바를 작품이 만들어
진 시대적·문화적 배경과 연관시켜 분석한다.마지막으로 여성 이미지가 지니는 표상으로서의 의의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방법은 아래와 같다.
1)두 가지 분석 기준을 이용해서 미술교과서를 내용과 여성이미지 작품 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한다.
2)2009개정 미술교과서 6종의 단원,소단원,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을 체험․표현․감상 세 영역으로 나누어 다문화적 이해 측면에서 분석한 다.
3)첫 번째 분석 기준은 다문화미술교육 접근 방법 중 뱅크스(Banks)의 네 가지 접근법(기여적 접근법,부가적 접근법,변혁적 접근법,사회적 접근법)을 이용해서 미술교과서에서의 다문화 접근 방법을 알아본다.이 분석 기준을 이용해서 미술교과서를 내용 측면에서 분석한다.
4)두 번째 분석 기준은 다문화교육의 내용(문화,협력,편견,정체성 형 성,평등성,다양성)과 문화 이해의 관점(상대론적 관점,비교론적 관점, 총체론적 관점),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기준이다.이 분석 기준을 이용해서 여성이미지와 텍스트를 분석한다.
5)세 번째 분석 기준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주 요 특성,2009개정 미술과의 목표,성취 기준 등 2009개정 교육과정에 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이다.이를 종합하여 교과서 분석을 위한 분석 준 거를 마련한다.
3.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선행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을 고찰한 후,다문화미술 교육의 관점에 의한 연구,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관련한 연구,중 학교 미술교과서의 영역별 내용을 분석한 연구,그리고 여성이미지의 분 석에 관한 연구의 특징을 알아본다.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여성이미지를 분석한 기존 연구가 없으므로 연구의 특징을 여 러 가지로 나누어 조사하도록 한다.더불어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이해 를 돕기 위한 사전 지식으로써 다문화미술교육과 관련한 이론을 탐색한 다.또한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해 조사한다.2009개정 교 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이 강조된 부분을 찾아보고,그것이 2009개정 미 술과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이어졌는지를 살펴봄으로써 2009개정 미술교 과서와 다문화교육의 연관성을 도출한다.
Ⅲ장에서는 뱅크스(Banks)의 다문화교육과정을 위한 4가지 접근법을 이용하여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체험․표현․감상 영역의 단원 과 소단원,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을 분석한다.이러한 4가지 접근법(기 여적․부가적․변혁적․사회적 접근법)은 체험․표현․감상 영역을 각각 분석함으로써,교과서의 다문화적 시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 다.결과적으로 이러한 다문화적 시각이 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의 도판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나는지 파악함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6종에서 여성이미지가 어떻 게 드러나는지를 미술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성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 한다.이 때 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을 일하는 여성,여신,어머니, 누드 등 11개의 주제로 구분한다.분석 근거는 서구 사상의 이항 대립 구조에 있다.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여성이미지들은 그러한 이 분법적인 여성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여성이미지들을 이러한 이분법적인 범주 안에서 해석함으로써 그러한 시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지적할 수 있다.또한 그러한 이미지를 설명하는 혹은 이미지 와 관련된 학습 내용에 대한 텍스트를 이미지가 실린 맥락을 고려해서 분석함으로써,해당 교과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각을 엿볼 수 있다.
그 다음 교과서에서 이미지가 쓰인 의도와 목적을 확인한 후,분석 대상 (이미지와 텍스트)을 문화 이해의 관점,다문화교육의 내용,그리고 교육 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과 같은
세 가지 분석 준거(이론)에 의해 분석한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여성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를 비판적으로 요약정 리하고,여성이미지에 드러난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한다.또한 여성이미지 작품을 제작한 미술가의 국가별 분류와 여성이미지에 드러난 국가별 분류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더불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 로 논의할 수 있는 문제들을 탐색한다.
마지막으로,Ⅵ장에서는 이러한 비판적 논의를 바탕으로 미술교과서에 서 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이루 어져야 할지에 대해 제언한다.
단원,소단원,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이 뱅크스(Banks)의 네 가지 접 근법(기여적 접근법,부가적 접근법,변혁적 접근법,사회적 접근법)으로 분석되었다면,본 연구에서 여성이미지를 다룬 미술 작품의 도판과 텍스 트는 어떠한 분석 절차에 의해 분석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먼저 여기에서는 분석 절차를 살펴보기 전에 분석 대상과 분석 기준을 논의하 고자 한다.
1)도판의 분석 기준
제 7차 교육과정 이후 대부분의 교과서들은 텍스트 이외의 삽화,사진, 도표 등 다양한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있다.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 는 이미지는 사진으로,크게 작품 이미지와 사진 이미지로 나눌 수 있다.
작품 이미지란 공간 및 시각의 미를 표현하는 그림․조각․건축․공예․
서예 따위의 미술 작품 이미지를 칭하며 사진 이미지란 사진기를 이용하 여 서적이나 잡지 그리고 신문 등의 표지,광고 미술 등에서 사용되는 이미지로 정의된다.이러한 이미지는 그림으로 표현되는 작품이나 사진 이외에도 이미지를 간략하게 설명하는 표제나 소제목을 모두 포함한다 (김선미,김영순.2008:117).
도판들을 분석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다.
첫째로,기본적으로 이미지와 작품 제목을 보았을 때 일차적으로 알
수 있는 기준(표제,소제목 등)에 따라 이미지를 분류하였다.작품 제목 등으로 작품의 주제를 가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행본,학위논문,정기 간행물 등의 문헌을 통하여 정보를 얻었다.
둘째로,미술 작품과 사진 이미지로 분석 대상을 한정하였다.여기서의 사진 이미지는 포스터․애니메이션․벽화 등의 시각물로 정해 둔다.이 미지의 주제가 사물이나,작품 일부분에 여성이 등장한 경우(예:등대 주 변을 거니는 여성,놀이터에서 노는 여아 등)는 분석하였고,여성을 형상 화한 사물(예:여성 탈 등)의 경우는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다.또한 표현 기법을 설명하는 소녀의 모습,준비 과정 등 삽화 이미지는 포함하지 않 았다.표현 기법을 설명하는 소녀는 대부분 작품 활동을 하는 모습으로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기에 적절하지 않으며,준비 과정에는 대 부분 인물의 손만 등장하기 때문에 여성이미지 분석에 적절하기 않기 때 문이다.
셋째로,학생 작품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마지막으로,부록과 활동지에 수록된 도판을 제외한 체험,표현,감상 영역의 도판을 분석 대상으로 함을 밝힌다.
텍스트는 교과 내용을 해석하고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과서 학습 에서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본 연구에서는 미술 교과서의 사진 이미지 와 텍스트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의 구조와 내용,그리고 단 원 간의 연계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김선미,김 영순,2008:115).
그렇다면 이러한 분석 대상(이미지와 텍스트)은 어떠한 분석 준거(이 론)에 의해 분석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본 연구에서 여성이미지 를 다룬 미술 작품의 도판과 텍스트는 아래에서 살펴볼 세 가지 분석 준 거에 의해 분석되었다.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여성이미 지와 텍스트를 분석하고자 한다.이에 다문화교육의 어떠한 관점에서 분 석할 것인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교육은 교육 이념으로 등장한 지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여
전히 모호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구정화 외, 2010). 뱅크스 (Banks,2004:12-13)는 미국 다문화교육의 역사가 소수 인종 및 민족문 제에 초점을 두던 단계를 지나 여성과 장애인 및 그 외 소수집단들로까 지 관심 범위가 확장되며 진화해 왔다고 설명한다.또한 슬리터와 그랜 트(Sleeter& Grant;2007)가 아래에서 설명하듯,다문화교육의 개념은 확장돼 가고 있으며,현재 인종,언어,민족,성,계층,장애 등 다양한 사 회문제들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구정화 외,2010 에서 재인용).
다문화교육은 인종,문화,언어,사회 계층,젠더 및 장애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 umbr e l l ac once pt ) 으로 발전해 왔다.비록 많은 교육자들이 여전히 다 문화교육의 범위를 인종으로 제한하기도 하지만 여러 차원의 다양성을 포괄 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확장되는 용어가 바로 다문화교육이다( Sl e e t e r
& Gr ant ,2 007:28) .
2)이와 같이 다문화교육이 인종,문화,언어,사회 계층,젠더 및 장애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알 수 있다.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Sleeter &
Grant(2007)가 정의한 다문화교육의 개념인 인종,문화,사회 계층,젠더 를 여성이미지와 텍스트를 분석하는 틀로 사용하고자 한다.즉 다문화교 육의 요소를 인종,문화,사회 계층,젠더로 나누어,미술 교과서에서 텍 스트와 이미지가 이러한 요소와 관련해 어떻게 서술되었는지를 지적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이를 위해 아래의 분 석 준거들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분석을 해 나갈 것이다.
2)구정화 외,2010:136에서 재인용.
2)분석 절차
<표 3> 분석 절차
➡
➡
첫째로,해당 교과서에서 이미지가 쓰인 의도와 목적을 확인한다.즉, 교과서의 저자가 도판을 실은 이유를 ‘대단원’,‘소단원’,‘학습 목표’,‘탐 구 학습’,‘학습 성취도 평가’등의 준거를 통해서 짐작한다.단,교과서의 출판사에 따라 준거의 명칭은 조금씩 다르다.즉 준거를 통해 도판이 어 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의도를 갖고 실렸는지를 알 수 있다.
둘째로,해당 도판이 어떠한 문화 이해의 관점에서 실렸는지를 파악 한다.즉 상대론적 관점,비교론적 관점,총체론적 관점 중 어떠한 관점 으로 도판이 실렸고 텍스트가 제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셋째로,다문화교육의 내용,즉 다문화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여섯 가지 요소들이 해당 이미지와 텍스트에서 발견되는지를 분석한다.
넷째로,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기준을 준거로 교과서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석한다.특히 위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된 부분이 다문화교육과 관련이 있으므로 중점적으로 보도록 한다.
2009개정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이미지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교과서에서 이미지가
쓰인 의도와 목적 확인 문화 이해의 관점
다문화교육의 내용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기준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 절차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첫째로,교과서에서 이미지가 쓰여진 원래의 의도와 맥락을 살펴봄으 로써,2009개정 미술교과서가 다문화교육에 대한 배려가 있는지를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만약 다문화교육과 상관없이 교과서에서 이미지가 쓰 여 졌다면,거기서 그치지 않고 해당 이미지를 활용한 향후 다문화교육 을 위한 미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해 제언하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로,어떠한 문화 이해의 관점에서 도판과 텍스트가 제시되었는지 를 파악함으로써 교과서가 문화와 그 가치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갖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교과서에서의 암묵적인 문화적 가정과 관점을 확인하는 것은 해당 학문 영역(미술)에서 지식(교과서의 내용)이 형성되는 과정에 문화적 관점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뱅크스 가 다문화교육의 구성 요소로 제시한 지식 구성 과정(knowledgeconstr uction process)와도 연관이 있다.또한 맥피(McFee)는 다문화미술교육 에 대해서 미술은 문화를 전하는 핵심적인 수단이고 문화는 미술을 통해 서 유지 전수되는 것으로,미술은 사회와 문화의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 이 된다고 하였다(양정숙,2000:47).즉 다문화미술교육이 문화와 미술 에 대하여 문화 인류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며 문화와 미술교육의 관계를 강조한 것에서 볼 때,문화 이해의 관점에서 도판과 텍스트를 파악할 필 요가 있다.
셋째로,다문화교육의 내용을 여섯 가지 범주로 나눈 틀로 텍스트와 이미지를 파악함으로써 2009개정 미술교과서가 다문화교육의 내용에 얼 마나 충실한지를 살펴보고,주로 어떤 면에서 다문화교육과 연결될 수 있을지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로,중학교 미술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기준으로 텍스트와 이 미지를 분석함으로써,국가에서 제시한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찬 상 유 의점을 충실히 반영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4.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의 중요성은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 난 여성이미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기존의 연구 중 교과서 속 여성이미지를 분석한 연구들은 사회,과학,정치교과서의 삽화 를 분석한 연구(남호엽,2010;공영주,2004;유수경,2007)들로,미술교과 서의 여성이미지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또한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인종․
성별․종교․계층․민족 등 다른 집단과 문화를 존중하고 이해의 폭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보인다.다른 문화에 대한 관용은 다문화 사회에서 중요하지만,특히 우리 사회는 기존 사회의 다양성을 먼저 인 정하고 수용해야 하기 때문이다.소득,계층,장애 유무,성적 지향(sexua lorientation)등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에 대해 우리 사회는 아직 충분 히 포용하거나 이해하지 못하고(최충옥 외,2010:44-45)있다.이와 함께 여성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에서의 다문화적 시각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여성이미지는 다른 이미지들에 비해 성 뿐만 아니라 계 층,능력,정체성 등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따라서 여성 이미지 자체의 내용뿐만 아니라 여성이미지를 교과서에서 다루는 방식, 시각을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2009개정 미술교과서의 다 문화에 대한 배려를 확인하고,개선 방향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교과서의 여성이미지는 청소년의 여성에 대한 관념을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학생들은 교과서 속 여성이미지들의 감상을 통하여 무의식적으로 여성에 대한 관념을 형성할 수 있고,교과서에서 그에 대한 별도의 비판적인 설명이 없으면 학생들은 편견과 고정관념에 서 벗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특히 청소년기는 성 관념이 외부로부 터 크게 영향 받는 시기로,교과서가 미치는 영향 역시 크다고 볼 수 있 다.교과서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주된 교수-학습 자료로,한 학기 동 안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교수 혹은 학습 내용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김대현,2011:280).따라서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여성이미
지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문화미 술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은,2009 개정 미술교과서의 다문화에 대한 배려를 확인하고,개선 방향을 탐색하며 청소년의 여성에 대한 편 견과 고정관념을 극복하는데 필요하다.
Ⅱ.이론적 배경
1.기존 연구 검토
1)다문화미술교육의 관점
본 연구는 현행 중학교 검정 도서인 미술 교과서 6종(두산동아,천재 교육,금성출판사,미진사,지학사,교학연구사)의 교과과정 영역별(체험, 표현,감상)단원,소단원,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을 다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접근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또한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바탕이 되 는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그 성 격과 특징이 다문화 미술교육과 어떠한 관련이 있을지 밝히고자 한다.
더불어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여성이미지 작품을 분석한다.따라서 다 문화미술교육의 관점,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영역별 내용,여성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한다면 본 연구의 위치를 가늠하고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이에 위와 같은 연구 내용과 관련 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2009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를 다루고 이전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적용 방안을 연구한다.둘째로, 미술사 교육의 현황 및 방향을 주로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통해 연구 조사한다.세 번째 부류의 연구는 여성이미지의 분석에 있어 미술 작품 속의 여성이미지,미술 수업의 개발 및 실시와 관련한 여성이 미지,미술사에서의 여성이미지 등을 연구한다.이렇게 본 연구의 특성 상-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여성이미지를 분석한 기존 연구가 없는- 기존 연구를 세 종류로 나누어 검토함으로써,본 연 구의 필요성과 방향 등을 가늠할 수 있다.먼저 다문화미술교육의 관점 에 의한 연구를 조사함으로써 미술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접근 방법을 살펴본다.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를 구체적
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다문화미술교육의 관점과 관련한 기존 연구는 다문화미술교육의 필요 성과 효율성에 대해 논하면서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을 통하여 미술 수업 에서의 다양한 사고의 촉진과 함께 폭넓은 문화 이해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영역별 내용에 관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대한 여러 가지 분석 기준이 존재함과 동시에,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참고 작품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의 관 점에서 바라본 연구가 소수임을 알 수 있었다.대부분의 논문이 다문화 교육의 관점을 통하여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반영되어야 한다는 데에 는 공감하지만 실제로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도판을 다문화적 관점으로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다.이와 함께 2009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에 비하여 개정 교과서를 다룬 논문 역시 그 수가 적다고 보인다.이에 본 연구는 먼저 다문화 미술교육이 2009개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도판을 통하여 분석하고,다문화 교육에 있어서의 도판과 학습 내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 중 여성 주의적 관점에서의 미술 수업의 개발과 실시와 관련한 연구(류지영,2006;강경민,2013)는 페미 니즘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감상 및 표현 수업 연구이다.마찬가지로 광 고 등 시각 문화 속 여성 이미지를 다룬 연구(최현아,2008)는 페미니즘 이론의 재현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미술 작품과 시각 문화인 광고 속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대한 수업 적용 방안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 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또한 이수진(2009)의 연구는 다양한 접근으로 써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로 그동안 수많은 미술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 성성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기하고,그 작품 속에 숨겨져 있는 남성 중심 적인 시각을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올바르게 재해석할 수 있도록 했다 는 점에 의미가 있다.즉 여성 주의적 관점에서 여성이미지를 활용한 감 상 수업을 실시한 것이다.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주로 감상 수업을 중심 으로 수업 방안을 제시(류지영,2006;강경민,2013;최현아,2008;이수
진,2009)하였다는 점이 한계라고 할 수 있다.또한 미술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활용된다는 점에서 볼 때,여성이미지를 활용한 여성 주의적 관점의 미술 수업은 교과서 속 여성이미지와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으리 라 보인다.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과서의 체험․표현․감상 영역 여성 이미지를 활용한 미술교육을 연구하고자 한다.
김혜경(2010)의 연구인 「통합 교과를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 방안」은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안을 통합 교육의 방법에서 접근하고자 한다.다문 화교육은 문화 이해에 대한 소양을 높이며,실제 수업에서의 적용을 통 하여 갈등보다는 통합의 방안을 강구하는데 목적이 있다.나아가 다문화 미술교육은 민족의 정체성,사회 체계,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미술 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다문화 미술 교육은 미술 수업에서의 다양한 사고의 촉진과 함께 폭넓은 문화 이해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이로써 통합 교과를 통한 다문화 이해 미술 수업의 방안을 구상,적용함으로써 다양한 문화 이해 방안을 모색 하는데 의의가 있다.
김혜숙(1997)은 「미술교육에 있어서의 다문화적 접근과 적용」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효율성에 대해 논하면서 문화의 중요성과 그것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알아보고 전통적인 요소들을 문화적,사회적,시대적,민속학적,인류학적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하였 다.연구자는 텍스트 이론을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의 기반이 된다고 보고 그것을 기반으로 문화와 인간 생활의 관계,문화의 역할,문화의 의미 등 에 관해 논의하였다.또한 미술교육에 있어 다문화란 의미를 여러 문화 속에 보여 지는 고유적인 형태와 상징적인 것들을 미술 수업에 적용하는 것으로 통합 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정의하였다.오늘날의 우리 사회는 빈부 격차의 심화,폭력,환경의 황폐화 등 많은 문제들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우리의 일상생활을 지배한다고 보았다.또한 작가들의 작품이 이러한 현 실들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고 생각하였다.작가들의 취향과 기법,매체에 따라 각기 다르겠지만,어느 작가는 자연을,어느 작가는 인물을,어느
작가는 사회적 현상을 고발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작업하며,사실적,재현 적 혹은 추상적으로 표현한다고 보았다.또 오늘날 많은 작가들은 현상 적으로 보여지는 사회적,역사적,신화적,환경적,정치적인 요소들을 자 신의 시각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표현한다고 하였다.필자의 연구에서는 여성 이미지를 작품이 만들어진 시대적·문화적 배경과 연관시켜 분석하 고자 한다.위와 같은 관점은 작가를 둘러싼 사회와 민족,국가 등을 반 영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 이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다문화사회와 미술교육」에서는 다문화미술교육의 기초적인 이 해를 통해서 학교 현장에서 미술을 통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지도 역량을 기르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다문화미술교육은 다양 한 문화가 혼재하는 다문화 사회에서 학생들이 타 문화와 우리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더 나아가 차이가 생기는 원인을 사회문화 적 맥락에서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고 보았다.즉 우리 와 피부색이 다른 이주민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합리적이고 상대주 의적인 수용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 것이다.또한 다문화미술교육을 통해 나와 다른 사람들의 문화를 이해,수용하고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 다문화 시민의 자질을 길러 주는 것이 다문화미술교육 의 역할이라고 보았다.
2)중학교 미술교과서의 영역별 내용
교육과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매체가 교과서라고 볼 때,교과서를 분 석한 선행 연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본 연구가 다문화교육 관점의 중 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연구 목표로 하므로,중학교 미술교과서를 분석 한 선행 연구로 범위를 좁혀 살펴보도록 한다.
교육과정과 수업 실천을 연결해 주는 핵심 자료인 교과서는 교육 현장 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외적 체제나 편 집,그리고 품질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신세례,2010).상당수의 선
행 연구는 현행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는데 있어,미술과 교육과 정 교육 내용 영역별 내용 구성을 그 기준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교 육 내용을 크게 미적 체험,표현,감상의 세 영역으로 나누고,각각 영역 별로 내용구 성과 단원명,단원 수,단원별 활동 영역,도판 분포도,활동 내용 분포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특히 다문화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 의 경우,다문화 단원을 따로 구별하고 그것을 다시 단원,소단원,학습 목표,다문화 준거(정체성,세계화,문화 인류학 등),접근 방법 등으로 나누어 제시한 바 있다.연구 대상으로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가 선정되 었으며,분석 기준으로는 뱅크스(Banks)의 다문화교육의 접근 방법과 펠 트만(Feldman)의 비평적 감상 지도의 4단계 등이 사용되었다.또한 대부 분의 연구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으로 감상 영역 참고 자료 분석을 들 수 있다.참고 작품의 국적을 조사하여 나라별로 분석한 표가 많이 있다.국 적으로 크게 동,서양으로 나누고 중국,일본 등으로 세분화하여 조사하 는 활동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 다.
첫째로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참고 작품을 포함하여 분석한 선행 연구는 다음과 같다.먼저 다문화 교육 내용과 2007개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도출한 분석 준거를 기준으로 2010년부터 바뀌어서 적용된 미 술교과서 9종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 구성과 참고 작품을 출판사별로 분 석하여 다문화교육이 미술과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 해 고찰해 보고자 한 연구(박수민,2011)가 있다.
「반편견적 다문화 교육 시각에서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역시 다양 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교과목이라고 할 수 있는 제 7차 중등 미술 교과의 7종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적 요소,작품,시각 이미 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다문화 교육의 주소를 가늠하고자 하였다.또한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이 다양한 문화적 가 치와 이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교과임을 제시하면서 다문화 미술교 육의 이론적 배경과 사회적 수용의 당위성을 논의하고,현행 7차 교육과 정 미술교과서에 담겨 있는 다문화 요소를 내용 구성과 시각 이미지(도
판)분석을 통해 다문화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 다.이를 위해 미술교과서의 단원과 시각 이미지에 내포된 다문화적인 요소를 연구하였다.먼저 영역별(미적체험,표현,감상)내용을 7차 미술 과 중등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다문화 이해 교육 내용으로 정리하였으 며,각 영역에서의 다문화적인 성격의 단원을 조사하였다.마지막으로는 작가와 국적이 소개되어 있는 작품을 대상으로 국가별로 범주화하였다.
이와 같이 교과서의 작품을 국가별로 분류하는 것은 다문화적 시각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많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이다.
둘째로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미술사 영역을 분석한 연구가 있다.이주 은(2011)은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통해 본 미술사 교육의 현황 및 방향」에서 현행 9종 미술교과서 속의 미술사 내용을 분석하였 다.현행 교과서를 평한다기보다는 내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현재 중등학교 미술교과서에서 미 술사 영역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생생한 문화적 에너지를 다루는 데 에 많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라고 보았다.인덱스 같이 사조를 나열한다 거나 연표를 제시하는 데 그치는 미술사 교육으로는 학생들의 예술관 정 립과 조형적 경험에 긴밀하게 다가가기 어렵다는 관점을 취한다.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미술 수업에서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한 시각적 자 료들을 통해 시각 체험의 기회를 가지게 되는데,이 때 작품의 주제,구 도,기법 외에도 시대적 배경과 맥락을 밝혀내고 생각해보게 하는 지도 방안이 요구된다고 보았다.미술교과서의 도판 역시 하나의 시각적 자료 이고,시대적 배경과 맥락을 생각해보게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연결 될 수 있다고 보인다.또한 위 연구는 무엇보다 미술사 교육을 통해 효 과적인 시각적 읽기 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미의식을 함양하는 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은 물론,문화 연구의 기회도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그러기 위해서는 중등 미술 교과과정에서 미술사와 관련된 내용 이 좀 더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학생들이 미술 수업에서 미술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짓고,미술의 외적 요소들을 함 께 조망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학습 내용을 점차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에서 미술 교과서에서 페미니즘 미술사와 관련된 내용이 주로 어떻게 제시되었고,도판과 연결 지어 페미니즘 미 술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좋을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또한 이주은(2011)의 연구는 작품의 형식과 양식적 특징을 거론하 는 조형 표현 부분이 아니라,작품의 의미와 사회성을 다루는 부분이 주 로 감상의 영역에서 어떤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는가를 중점으로 살펴보 았다.결과적으로 미술을 내적 요소와 외적 요소로 구분할 때 외적 요소 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미술사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인다.
셋째로,중학교 미술교과서의 감상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연구 들이 다수 존재한다.권정현(2010)의 연구는 미술 작품을 다루었다는 점 에서는 공통적이나,참고 작품 도판이 아닌 감상 활동지로 그 대상을 제 한하였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미술교과서의 감상 활동지 내 용의 부족한 면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기 위한 노 력의 일환으로 7종의 미술교과서의 감상지 내용을 펠트만의 비평적 감상 지도의 4단계인 서술,분석,해석,판단을 기초로 하여 감상 활동지를 연 구하여 제시하였다.더불어 페미니즘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획일적인 미술이 아닌 다양화된 미술에 대해서 새로운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예를 연구하였다.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학교 미술 감상 교육 에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효과적인 학습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시각에서의 개발이 필요하고 학생의 능력 수준 을 고려하여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권정현, 2010).
다른 예로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2010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개정 미술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감상 영역의 구성을 연구한 것을 들 수 있다.중학교 1,2,3학년 합본으로 총 9종의 검정 교과서의 미적 체험, 표현,감상의 세 영역을 구분하고 감상 영역의 체계에 대해 좀 더 자세 한 분석을 하였다(엄주희,2010).본격적인 연구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 중등 미술교육과 감상 교육,미술 교과서,그리고 2007개정 미술과 교육
과정의 개념과 특성,중요성 등에 관해 이론적으로 짚어 보았던 부분이 인상 깊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넷째로,미술교과서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