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1주
01
1. 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및 석유제품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3월 첫째 주(3.1~3.8) 국제유가는 미국의 경제회복 소식 및 북해 송유관 누유사고로 인한 공급 차질 등의 상승요인과 중국 경제지표 둔화와 같은 하락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보합세를 나타냄.
∙
미국의 고용지표 개선 소식 및 연방제도이사회(FRB)의 경기회복세 진단은 세계 경제회복에 긍정 적인 신호로 작용함.- 미국의 2월 실업률은 전월 대비 0.2%p 하락하여 ‘08.12월 이후 최저 수준인 7.7%를 기록하였는 데, 지난 6년 중 가장 큰 증가폭인 48,000명이 증가한 건설부문이 실업률 하락을 견인함.
- FRB는 베이지북(Beige book)에서 고용시장 환경 개선과 부동산시장 호조로 미국내 대부분 지역 에서 완만한 속도로 경제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발표함(3.6).
※ 베이지북은 FRB에서 연간 8차례 발표하는 미국 경제동향 종합보고서로 FRB 산하 12개 지 역의 연방준비은행에서 작성한 각 지역의 경제상황을 종합한 보고서임.
∙
북해 브렌트유의 송유관 원유 유출사고로 생산시설 가동이 일시 중단(3.2~3.7)되어 북해지역의 원 유공급이 차질을 빚음.- 아부다비 국영에너지회사 TAQA는 북해에서 운영중인 원유생산 시설(Cormorant Alpha)과 연결 된 송유관의 원유 유출로 시설 운영을 일시 중단함.
2013. 3. 1~2013. 3. 8.
421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02
2. 선물 유가
※ Cormorant Alpha 플랫폼은 연결된 송유관을 통하여 8만b/d의 원유를 수송하고 있으며, 자 체적으로 1만b/d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음.
∙
세계 2위 석유 소비국인 중국의 경제지표 둔화 소식은 원유가격 상승폭을 제한함.- 중국의 2월 서비스업 PMI는 전월 대비 1.7p 하락한 54.5, 제조업 PMI는 전월 대비 0.3p 하락한 50.1을 기록하여 각각 ‘12년 9월 및 10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나타남.
- 신규 주문지수 역시 전월 대비 1.9p 하락하여 ‘12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인 51.8을 기록함.
∙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가 증가한 반면, 휘발유와 중간유분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3.9백만 배럴 증가한 381.4백만 배럴을 기록함.
- 미국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 0.6백만 배럴 감소한 227.9백만 배럴을 기록하였으며, 중간유분 재고는 3.8백만 배럴 감소한 120.4백만 배럴을 나타냄.
Nymex-WTI 선물가격 및 비상업순매수 추이
자료: Reuters, CFTC, 한국석유공사
3월 5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 대비 $1.81/배럴(2.0%) 하락한 $90.82/배럴을 기 록함.
∙
3월 8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 원월물(12월물)과 최근월물의 스프레드는 $0.20/배럴로 콘 탱고(contango) 상태를 유지함.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3월 5일 기준 Nymex의 대형 투기자금에 의한 원유
(WTI)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 대비 0.4백만 배럴 감소한 235.7백만 배럴을 기록함.
2013년 3월 1주
03
미국 석유수급 통계
1) 석유재고(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2/8 2/15 2/22 3/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372.2 376.4 377.5 381.4 +3.9 +1.0%
휘발유 233.2 230.4 228.5 227.9 -0.6 -0.3%
중간유분(난방유 등) 125.9 123.6 124.2 120.4 -3.8 -3.1%
중 유 35.1 35.6 35.6 36.1 +0.5 +1.4%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2/8 2/15 2/22 3/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4.31 14.18 14.51 14.03 -0.48 -3.3%
가동률(%) 83.8 82.9 85.1 82.2 - -2.9p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2/8 2/15 2/22 3/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8.40 8.44 8.60 8.36 -0.23 -2.7%
중간유분(난방유 등) 3.94 3.81 3.50 3.86 +0.36 +10.1%
중 유 0.23 0.21 0.19 0.30 +0.12 +61.5%
총석유제품 19.05 18.41 18.68 18.30 -0.38 -2.1%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2/15 2/22 3/1 전주대비
2/15 2/22 3/1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7.69 7.96 7.31 -0.65 -8.2% 7.12 7.10 7.09 -0.00 -0.0%
휘발유 0.51 0.58 0.61 +0.03 +5.2% 8.94 9.21 8.61 -0.61 -6.6%
중간유분 0.29 0.16 0.11 -0.04 -28.2% 4.27 4.48 4.26 -0.23 -5.1%
중유 0.22 0.10 0.25 +0.13 +150.0% 0.46 0.53 0.54 +0.02 +3.6%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