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중국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를 중심으로 -
2 0 12 년 8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박 춘 설
중국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구 본 관
이 논문을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4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박 춘 설
박춘설의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2012년 6월
위 원 장 ㊞
부위원장 ㊞
위 원 ㊞
국문 초록
중국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를 중심으로-
오늘날 한국인과 중국조선족들은 의사소통은 가능하지만, 전반적으로 매끄럽지 못하거나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것은 한국어와 중국조선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발전하는 과정에서 언어의 이질 현상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한 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비교를 통하여 두 언어 간에 어휘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차 이가 나는 어휘들을 등급화하여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선어문-과 외 활동’ 수업 시간에 활용할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 구의 결과는 한국어와 중국조선어가 보다 원활하게 교류되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와 중 국조선어 어휘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고,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한국어 중국 조선어 북한 문화어 어휘의 차이에 대해서도 검토 했다. 이는 중국조선어와 북한 문화어가 비슷하기 때문에 남·북한의 어휘의 이질화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의 이질화를 보다 선명히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자를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으로 선정한 이유와 연구 방법을 제시 하였다.
2장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성의 전제에 서는 먼저 언어 적용 이론, 의사소통 전략, 코드-변환 어휘 접근 방법으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어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와 중국조선어의 어휘 차이에서는 언어 규범의 차이와 어휘 차이가 생기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사전 조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3장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어휘 선정에서는 앞서 2장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
로 확인된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를 의미와 형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어휘 의미의 차이에서는 의미의 확대, 축소, 이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형태는 표기 법 규정과 발음법 규정에 의해 생기는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 자를 위한 어휘 선정에 있어서 유용성의 원리, 효율성의 원리, 위계성의 원리에 의 해 어휘 선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원리를 제시하였다. 학습자 를 위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은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자료에서 서로 다르게 쓰이는 어휘들을 추출하여 검토를 통하여 선정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한국 어 학습용 어휘목록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매겼다. 그리고 각각 제시한 어 휘들을 등급에 의해 중국조선어 어휘-한국어 어휘, “가나다라” 순으로 한국어 어 휘-중국조선어 어휘로 나누어 분류하고 목록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중국조선어 어휘-한국어 어휘는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들에게 학습용 어휘 목록이 된 다면 한국어 어휘-중국조선어 어휘는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들에게 참고용 어휘목록이 된다.
4장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설계에서는 앞서 제시한 어휘 목록을 활용 하여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목표, 방법, 모형, 실제를 제시하였다.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 법에서는 정의 활용 어휘 학습법, 문맥 활용 어휘 학습법, 정의 활용 학습법을 사 용하였다.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수·학습 모형은 인 식→학습→연습→확인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교육의 실제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능력이 향상 되었는지에 대하여 검증 하였다.
끝으로 5장에서는 결론적으로 앞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 리고 향후의 과제 등을 논하였다.
* 주요어 :한국어 어휘 , 중국조선어 어휘,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어휘 차이, 어휘 목록, 어휘 교육
* 학 번 : 2010-24153
차 례
Ⅰ. 서론
···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2. 선행 연구 검토 ··· 4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7
Ⅱ.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의 구성의 전제
··· 111. 이론적 배경 ··· 11
1.1. 언어 적응 이론 ··· 11
1.2. 의사소통 전략 ··· 12
1.3 코드-스위칭의 어휘 접근 ··· 13
2.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의 차이 ··· 17
2.1.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언어 규범 비교 ··· 17
2.1.1.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발음법 차이 ··· 17
2.1.2.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맞춤법 차이 ··· 24
2.2.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의 요인 ··· 31
2.2.1. 역사·지리·사회적 요인 ··· 32
2.2.2. 이중 언어로 인한 요인 ··· 34
2.2.2.1. 언어 접촉으로 생긴 변화 ··· 34
2.2.2.2. 중국 조선족의 이중 언어 교육의 현황 ··· 36
3.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사전 조사 및 분석 ··· 38
3.1. 조사 목적 및 방법 ··· 38
3.2. 설문 참여자 선정 및 정보 ··· 39
3.3. 결과 및 분석 ··· 40
3.3.1. 한국어 사용 경험 ··· 40
3.3.2. 한국어 사용에서 장애 여부 ··· 41
3.3.3.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차이 인식 ··· 43
3.3.4.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 인식 ··· 44
3.3.5. 한국어 사용 스타일 ··· 44
3.3.6.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여부 ··· 45
3.3.7.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구체적 요구 ··· 46
Ⅲ.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어휘 선정
··· 501.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의 분석 ··· 50
1.1. 의미 ··· 50
1.1.1 의미의 확대와 관련된 차이 ··· 51
1.1.2. 의미의 축소와 관련된 차이 ··· 54
1.1.3. 의미의 이동과 관련된 차이 ··· 58
1.2. 형태 ··· 60
1.2.1. 맞춤법 및 발음법 규정과 관련된 차이 ··· 60
1.2.1.1. 형태는 다르나 발음이 같은 경우 ··· 60
1.2.1.2. 형태는 같으나 발음이 다른 경우 ··· 64
1.2.1.3. 형태도 다르고 발음도 다른 경우 ··· 64
1.2.2. 표준어 설정과 관련된 차이 ··· 69
2. 학습자를 위한 어휘의 선정과 제시 ··· 73
2.1. 학습자를 위한 어휘의 선정 원리 ··· 73
2.1.1. 유용성의 원리 ··· 74
2.1.2. 효율성의 원리 ··· 76
2.1.3. 위계성의 원리 ··· 78
2.2. 학습자를 위한 어휘 선정 ··· 82
2.2.1. 한국어 말뭉치에서 선정한 어휘 ··· 85
2.2.2. 중국조선어 자료에서 선정한 어휘 ··· 88
2.3. 어휘 목록 제시 방안 ··· 107
Ⅳ.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설계
·· 1111.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목적과 목표 ··· 111
2.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법 ··· 112
2.1. 정의 활용 어휘 학습법 ··· 114
2.2. 문맥 활용 어휘 학습법 ··· 115
2.3. 번역 활용 어휘 학습법 ··· 116
3.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수·학습 모형 ··· 117
3.1. 인식 단계 ··· 118
3.2. 학습 단계 ··· 120
3.3. 연습 단계 ··· 123
3.4. 확인 단계 ··· 127
4.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실제 ··· 128
4.1. 사전 검사 ··· 128
4.2. 수업의 개요 ··· 129
4.3. 수업의 실제 ··· 131
4.4. 사후 검사 ··· 139
4.5. 사전 사후 비교 분석 ··· 140
Ⅴ. 결론
··· 143* 참고문헌 ··· 145
* Abstract ··· 152
* 부록 ··· 154
표 목차
[표1]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의 실제 ··· 3
[표2] 히가시테루지(東照二, 1997)의 코드-스위칭의 원인 ··· 15
[표3] 중국 조선족들의 코드-스위칭의 양상 ··· 15
[표4] 한국어에서의 순자모의 순서 ··· 26
[표5] 중국조선어 자모의 순서 ··· 26
[표6] 초·중학교 “조선어문”과 “한어” 수업의 주당 배정된 시간 ··· 36
[표7] 고등학교 “조선어문”과 “한어” 수업의 주당 배정된 시간 ··· 37
[표8] 설문지 구성 요약 ··· 38
[표9] 중국조선어 어휘 중 의미가 확대 된 어휘 ··· 51
[표10] 중국조선어 어휘 중 의미가 축소 된 어휘 ··· 54
[표11] 중국조선어 어휘 중 의미가 이동 된 어휘 ··· 58
[표12] 검토자들 기본 정보 ··· 84
[표13] 검토지 샘플 ··· 85
[표14] 한국어 말뭉치에서 선정한 어휘 ··· 86
[표15] 중국조선어 자료에서 선정한 어휘 1 ··· 89
[표16] 중국조선어 자료에서 선정한 어휘 2 ··· 105
[표17] 중국조선어 어휘-한국어 어휘 제시의 예 ··· 108
[표18] 한국어 어휘-중국조선어 어휘 제시의 예 ··· 109
[표19]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의 목적과 목표 ··· 111
[표20] 실험 참여자 ··· 128
[표21] 실험반과 통제반의 평균 차 ··· 141
그림 목차
[그림1] 설문 참여자의 성별 ··· 39
[그림2] 설문 조사 대상인 고등학교 ··· 40
[그림3] 한국어를 접한 경로 ··· 41
[그림4] 한국인과의 의사소통 여부 ··· 42
[그림5]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에서 장애 여부 ··· 42
[그림6] 다른 경로를 통해 한국어를 접했을 때의 양상 ··· 43
[그림7]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차이에 대한 인식 ··· 44
[그림8] 학습자들의 어휘 사용 스타일 ··· 45
[그림9]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여부 1 ··· 46
[그림10]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여부 2 ··· 46
[그림11] 어휘 교육에 대한 구체적 요구 1 ··· 47
[그림12] 어휘 교육에 대한 구체적 요구 2 ··· 48
[그림13] 어휘 교육에 대한 구체적 요구 3 ··· 49
[그림14]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수·학습 모형 ··· 118
Ⅰ. 서론
1.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재외 동포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 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재미 동포나 재일 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는 이 루어지고 있지만 중국 동포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는 그에 비해 미미한 형편 이다. 중국 동포들은 중국 내에서 중국 조선족이라고 불리며, 그들이 사용하는 언 어는 ‘우리말1)’의 하위분류로서 중국조선어2)라고 한다. 중국 동포들은 고급 한국 어 학습자라고도 할 수 있으며 외국인 학습자와 다른 부류의 한국어 학습자라고 할 수도 있다. 동포들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교육 방법은 외국인 학습자와는 분 명히 달라야 한다. 또한 중국조선어는 중국어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 어 북한과의 지역적인 인접성과 정치적인 동질성으로 인해 언어의 음운, 형태, 의 미 등 여러 면에서 북한의 문화어와 가까운 모습으로 변화 발전하여 왔다. 중국 조선족들은 ‘中國少數民族政策’으로 우리말로 정규교육을 받을 수 있고 우리말로 된 교재와 서적을 출판할 수 있는 출판사도 가지고 있고 신문사, 방송국도 가지고 있다.3)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우리말로 모든 교육을 받을 수 있고 대학입학시 험도 우리말로 치를 수 있으며, 소수민족 특례로 1점부터 10점의 가산 혜택을 받 을 수 있다. 이처럼 중국 조선족들은 우리말로 된 체계적인 교육을 받아 한국인들 과 비교적 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만 표준 한국어와는 차이가 있는 중국조선 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에서 서로 부자연스러운 상황이 생기 곤 한다.
중국의 개혁 개방 이후 1992년부터 한-중 수교로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빈번
1)『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우리말’은 ‘우리나라 사람의 말’이라고 풀이하지만, 본고에서는 한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를 지칭하여, 현재 남북한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재외국민 및 동 포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와 ‘조선어’를 포괄하여 이르기로 한다.
2) 북한에서 사용하는 표준어를 ‘문화어’ 혹은 ‘조선어’라고 부르며, 중국에서도 조선족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조선어’라고 부르기에 본고에서는 서술의 편의상 중국 조선족들이 사용 하는 언어를 ‘중국조선어’라고 하였다.
3)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장 총칙의 제4조에서는 “각 민족은 모두 자기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고 발전시킬 자유가 있다”고 하였다.
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결혼이민, 연수, 유학 취업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한 국에 체류하고 있는 중국 조선족은 415,005명으로 추정되고 있다.4) 한국에서 생 활하고 있는 대부분의 중국 조선족들은 사회적 관계 등을 위해 한국어를 한국인처 럼 구사하고 싶어 하지만5) 실상은 두 언어 간의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문제점은 한국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中華人民共和國국가(中 國) 인구 관리 위원회의 통계에 의하면 최근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은 70만을 넘고 있다. 중국의 산동성(山東省)만 보아도 조선족 18만과 한국인 12만이 함께 거주 한다.6) 한국인들의 중국 진출과 더불어 한국인들은 중국 조선족들의 전통 집거지인 동북삼성 지역을 벗어나 중국의 주요 도시나, 해안 도시에 이주하여 그곳에서 새로운 거주지를 형성하고 있다.
최근 중국 조선족 사회에서는 한국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2007년에 새로 편찬된 중국 조선족 『조선어문7)』교과서에서는 한국의 문학 텍스트들이 많 이 실리기 시작하였다.8) 그 중 이영희의 「사랑이 있는 생활」, 정현종의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박동규의 「보이지 않은 선물」등이 있었고, 한국의
『중학교-국어』교과서에 실려 있는 민태원의 「청춘예찬9)」과 이병도의 「세종 대왕」도 중국 조선족 중학교『조선어문』교과서에 실려 있다.10) 현재 중국 조선 4) 2007년 3월부터 도입되고 있는 방문취업제로 한국에 입국한 중국 조선족 수는 더욱 많았 다. 2010년도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연보에 의하면 2010년도 국내 체류 외국 국적 동포 총 수는 477,029명이고, 국적 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87%(415,004명)로 대부분을 차지하 고 있다. 연도 별 체류 현황을 보면, 2006년 236,854명, 2007년 328,621명, 2008년 376,563명, 2009년 377,560명, 2010년 415,004명으로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중국 동포 들이 점점 많아진 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후에도 더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5) 김향(2008)에서 20~30대의 在韓 중국 조선족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한 국에서 중국 조선어를 사용하면 불편을 겪거나 불이익을 당한 경우가 있어서 한국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한다는 결과가 있다.
6)
www.chinapop.gov.cn (National Populaltion and family Planning Commission of
P.R.Chian)참조.7) 광복 후 중국 조선족들의 우리말 교육은 시초에 《한글》교과서를 쓰다가 1953년부터 이 른바 《조선어》로 명칭을 바꾸기 시작하였다. 1950년대 말 “민족융합논”에 의하여 교과 서는 《조선족어문》으로 이름을 고쳤다가 다시 1963년 《조선어문》으로 개칭하여 지금 까지 그렇게 쓰고 있다. 이득춘 (2007), 참조
8) 중국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 교과서 6권에 총 15편의 현대(남·북 분단 이후)한국의 문 학 작품이 실려져 있다.
9) 글의 설명에서도 “ 이글은 한국《중학국어(3-2)》에서 선택하였다”라고 표기 되었다.
10) 이 글들은 중국조선어의 두음법칙과 띄어쓰기는 적용되어 편찬되었다.
족 조선어문교육에서 한국의 텍스트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한국어가 중국조선어에 침투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나아가 중국 조선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도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현재 중국조선어에는 일본의 침략과 함께 들어온 일본어 외래어들의 잔재가 지금까지 허용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한 번 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그만큼 중국조선어는 자기의 체제를 갖고 있지만, 언어의 발달에 있어서 부족함을 느껴 다른 언어에서 그 부족함을 채우고 있다.
한편 중국 조선족 방송에서 TV 아나운서와 라디오 방송 아나운서들도 한국어에 근접한 중국조선어를 쓰고 있지만, 어색하거나 틀린 표현들이 있다. 그 이유는 그 들은 억양을 한국어 억양에 근접하게 바꾸고, ‘해요체’로 바꾸면 한국어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또 주목할 점은 아나운서들의 발음에 “문화어”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두음법칙이 적용된 점이다. 이것은 이제까지 “문화어”를 기준으로 하던 중국조선어 사용자들이 한국어를 수용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보여 준다.
중국 조선족들은 서로 중국조선어로 의사소통을 하지만 한국인들과는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려고 한다.11) 최근 중국 조선족들은 쉽게 한국문화를 접하여 한국어 의 어휘와 표현12)을 사용하려고 하지만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하는 데 확신이 없어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아래 [표1]은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의 차이가 생기는 실제 상황을 보여준다.
★ 아래 밑줄 친 어휘를 한국어(한국에서 사용하는 언어)어휘로 바꾸어 보십시오.
ㄱ. 한국어로 대화하기 어렵고 듣기 능력도 차합니다.(약합니다/차해요) ㄴ. 요즘 학생들은 기본상 휴대폰을 가지고 있습니다.(거의/다)
ㄷ. 귀에 물이 들어갔나 봅니다. 귀속에서 윙윙 소리가 납니다.(귀안/귀구멍안) ㄹ. 우리 집은 연변병원 근방에 있습니다. (모태/근처/부근)
ㅁ. 오늘 숙제를 바치지 못해서 선생님한테 욕을 먹었습니다.(내지) [표 1]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의 실제
11) 중국 조선족들과 사전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인들과 대화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지 중국 조선어를 사용하는지를 질문했었는데 그 결과 한국어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12) 중국 조선족 채팅 방에서 사용하고 있는 우리말과 글을 분석한 결과, 그들도 요즘 한국 에서 유행하고 있는 신조어나, 어휘 표현들은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20대를 위한 ‘채팅 방’ 이여서 젊은 층(20대)이라고 판단했다.
위에서 제시한 내용은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들이 나타내는 한국어 오류 어휘들 이다. 여기에서 ‘차하다, 약합니다, 기본상, 귀안, 귀구멍안, 근방, 모태, 바치다’와 같은 어휘들은 중국조선어에서는 사용하는 어휘들이고 사전에도 수록되어 있는 어 휘들이다. 이 어휘들 중에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어휘들도 있고, 없는 어휘 들도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는 통상적으로 다른 어휘로 대체해서 사용한다.
이런 어휘로 한국인들과 대화를 하면 어색해지거나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실정에 비추어 볼 때 한국어를 사용하거나, 사용하려고 하는 중국 조선족들에게 정확하고 표준적인 한국어 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적이나 지리적으로 중국과 한국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중국 조선족 학습 자들이 점차 많아지므로 이해를 위한 차원에서라도 한국어 교육은 필요하다고 생 각한다. 일상생활을 통해 그 차이를 인식하고 고치는 것은 한계가 있고, 많은 시간 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자는 중국 조선족 학습자들에게 한국인들과 의사소통에서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한국어교육의 장이 마련되어야 하고, 외적으로 들리는 억양보다는 의사소통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어휘교육을 먼저 실시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 제기한 바와 같이 중국 조선족들이 한국어를 수용하기 시작하고, 사용하려고 하지만 정확하지 않거나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현 실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의 비교를 통하여 차이가 나는 어휘들을 目錄化하여 중국조선어의 체계 교육의 마지막 단계인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조선 어문-과외활동13)” 수업 시간에 가르칠 어휘교육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2.선행 연구 검토
중국 조선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국 조선 족들의 모국어로서 조선어문 교육에 대한 연구는 있기는 하지만 많지 않고 특히
13) 과외활동 시간은 한국에서의 방과 후 활동시간과 비슷한 수업시간이다. 고등학교 수업 시간표는 7교시까지 짜여 있고 하교 시간은 4시 30분으로 정해져 있으니 매일 8교시는 과외활동 수업으로 정해져 있다.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14) 중국조선어와 한국어에 대한 비교 연구는 80년대 중반부터 한국의 일부 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80년대 말에 한국과 민간교류가 이루어지면서 한국어를 조금은 접할 수가 있었지 만, 한국어를 제대로 공식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는 한-중 수교가 시작된 이후 부터 생기기 시작했다. 따라서 중국에서의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비교 연구는 90 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어휘 차이에 대한 비교 연구는 김순녀(2000)를 들 수 있다. 김순녀(2000)에서는 중국조선어가 중국어의 영향과 중국의 정치·경제·문화·
사상적인 영향을 받았고, 또한 북한 문화어의 영향으로 한국어와 차이를 나타나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런 차이가 갈수록 더 커지면서 이질화가 심각하게 될 것이며 앞으로 이러한 이질화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하다고 하였다. 중국조선어와 한국어 어휘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조선말소사전』(1980)과 한국 금성출판사 의 개정판 『국어대사전』(1997)에 수록된 어휘들을 동형이의어, 중국조선어에만 있는 단어, 관용 표현으로 유형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하지만 사전의 해석을 그대로 옮겨 썼고 중국조선어와 한국어의 차이는 부차적으로 간단히 설명만 하고 있어서 비교 분석이라고 하기엔 부족한 편이다. 또한 사전을 비교 분석했기에 요 즘 사용하지 않는 사상적, 정치적 용어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어 실제 활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하지만 중국조선어와 한국어의 어휘의 차이를 찾아내고 그 원인을 규명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주행(2003)은 한국과 중국내 여러 도시의 청소년들의 발음 사용 실태를 비교 하였는데 언어의 이질화 현상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또 이 연구는 두 나라의 언 어를 비교하고 비슷한 음운현상과 다른 음운현상을 찾아 차이점을 분석하여 이질 화 현상에 대한 실제 원인과 현상을 증명하였다. 한글을 점점 잊어가는 중국 조선 족에 대한 문제와 한국인과 중국 조선족 사이에서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해서도 지적하며 한국어 교육의 의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자들 이 한국어의 동질화 정책을 만들어 공동 연구를 통해 양국 청소년들이 동일한 어 문 규범에 의한 언어생활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향(2008)은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 동포들은 중국조선어와 한국어의
14) 중국에서는 한국어와의 비교보다는 중국어의 영향으로 중국조선어가 변화된 양상, 이중 언어 문제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이 많다.
차이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고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한국어를 사용하려고 한다고 했다. 이에 중국 조선족들의 실생활에 가장 필요하고, 교육의 효과를 가장 빨리 얻 을 수 있는 어휘 교육에 초점을 두고 중국 동포들에게 제시할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을 작성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동포들을 위한 한국어 어휘 목록 을 작성하기 위해 조선족 동포들이 사용하는 한국어와는 차이가 있는 어휘들을 찾 아 목록을 만들었다. 그 동안의 연구가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차이를 밝히는 연 구에만 그쳤다면 이 연구에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 동포들이 시행착오를 적게 겪고 자신감을 갖고 한국어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 이에 한국인과 의사소통 하는데 필요한 중국조선어와 다르거나 중국조선어에는 없는 한국어 어휘 중 일부를 제시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 했다.
김기창(2009)는 재중 동포 대학생들의 작문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언 어 차이 현상을 살펴보았다. 언어 차이는 표기, 발음, 어휘, 표현, 띄어쓰기, 외래 어표기, 문장 부호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결과적으로 어휘 면에서 차이가 심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고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하여 한국, 중국 조선족, 북한 세 나라 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하루 빨리 통일된 언어규범을 만들어 그에 따른 통일된 언어를 쓰도록 해야 한다고 제 안했다.
이 외에도 한국어, 북한 문화어, 중국조선어의 차이에 대한 연구도 있다. 최윤갑 (1994)에서는 중국, 조선, 한국 세 나라의 서사법(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법, 외래어표기법), 표준발음법, 어휘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기술하여 중국조선어의 통 일을 구상하고 통일의 방도를 찾고 있는 지성인들에게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어 휘의 차이를 설명하면서 제시한 어휘들의 출처를 밝히지 않거나, 현재 사용하지 않고 젊은 세대들이 모르는 어휘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중국에서 중국조선어(한국 어)에 대한 열풍이 일어나면서 한국어와 북한 문화어, 중국조선어 차이를 알려는 요구가 보편적으로 제기되고 있는데 반해 중국조선어의 규범이 통일되어 있지 않 아 중국조선어 학습과 교재에 막대한 지장이 있다고 하였다. 이에 중국 조선족들 은 중국조선어의 통일을 절실히 느끼게 되고 중국조선어의 통일에서도 가장 중요 하고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어휘 규범의 통일이라고 하였다. 이런 통일을 위 하여 한국, 조선, 중국에서의『철자법대조사전』,『외래어표기법대조사전』,『학술
용대조사전』,『어휘대조사전』등을 편찬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전병선(2001)에서는 중국조선어와 북한 문화어, 한국어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중국조선어의 특색을 살펴보았다. 중국조선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가지 고 있다고 하였다. 첫째, 해방 전 중국과 조선반도의 우리말의 특징으로 중국 조선 족이 사용한 언어문자는 조선반도의 우리말과 완전히 같다고 했다. 둘째, 해방 후 와 한-중 수교 전 중국조선어의 특징으로 특이한 언어 환경에서 조선반도의 우리 말과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는 이중적 특성이 있다고 했다. 셋째, 한-중 수교 후 중국조선어의 특징으로 중국·조선·한국어의 3가지 특성을 모두 띠게 되었다고 했다. 이는, 중국조선어에 한국어가의 부분적으로 수용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정희(2002)는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이 사용하는 언어의 차이를 인식하고 한 민족의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해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이 사용하는 우리말을 비 교 고찰하였다. 한국어, 북한의 문화어 그리고 중국조선어의 어문규범화 기준의 비 교, 방언의 차이, 외래어와 관련한 차이, 호칭어의 차이, 신조어의 비교, 어휘정리 와 관련한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차이가 생긴 원인을 밝히고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의 어휘 이질화는 극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결론에서 어휘의 차이점을 극복할 방향을 제시한다고 했지만 차이에 대한 분석 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이질화는 많은 연 구자들이 인정을 하였고, 그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은 하고 있었다. 한국에 서도 현재 통일을 대비하여, 남·북한어의 이질화에 대비하여 북한어 교육을 실시하 고 있다. 같은 우리말이지만 현재 서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한국어 를 필요로 하는 중국 조선족들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이런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비교를 통한 어휘의 차 이를 살펴보고 중국조선족 고등학생을 위한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본고의 연구 대상인 중국 조선족은 대부분 우리말로 정규교육을 받았으므로15) 우리말의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조선족의 정규 교육은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으로 나눌 수 있다. 대학에 진학해서는 대 부분의 수업은 중국어로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를 고등학생으로 정한 것은 중국에서 체계적인 우리말 교육에 있어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우리말과 중국어 (한어)의 습득과 학습단계이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 중국조선어와 차이나는 한국 어 어휘의 교육을 투입하면,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차이 나는 어휘에 대한 코드- 스위칭 보다는 중국조선어에 대한 혼란과 두 어휘 차이에 대한 혼란을 초래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중국 조선족의 우리말의 체계적인 학 습의 마지막 단계인 고등학교 과정의 학생들에게 맞추려고 한다.16)이 학습자들은 중국조선어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인지도가 형성 되었으며, 중국어(漢語)에 대 한 교육도 받았기에 적절한 시기에 중국어와 중국조선어를 바꾸어 쓸 줄 안다. 또 한 한국어에 대한 인식도 갖추고, 한국어와 중국조선어가 다르다는 것을 인지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고, 진로를 고려해서도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한국어 자료와 중국조선어 자료를 활용해 어휘를 선정했 다. 한국어 자료는 국립국어원의「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선정했고 중국조선어 자료로는 중·고등학교 『어휘풀이집17)』교과서와, 2012년『대형문학격월간 –장백 15) 중국에서 중국어의 위상을 더 높이 생각하고 중국어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중국 조
선족들은 자녀를 한족학교에 보내 한족(漢族)들의 정규교육을 받게 하는 경우도 적지 않 다. 최근에 이런 현상이 점점 더 심해지지만 현재 우리말을 사용하는 중국 조선족의 대부 분은 그래도 우리말로 정규교육을 받았다.
16) <全國 중국조선어 교재 심의위원회(중국)>에서는 조선어문 교과서 편찬에서 목표를 아 래와 같이 정하였다. 중국 조선족 조선어문 교과과정을 보면 초등학교는 조선 민족의 언 어문자를 소중히 여기고 바르게 이해하며 활용하도록 학생들을 지도하는 동시에 듣기, 말 하기 읽기, 글짓기 훈련을 통하여 사상정치 교육과 도덕품질 교육을 받게 하며 지력을 발 전시키고 양호한 학습 습관을 갖도록 하고 있다. 중등학교는 초등학교 단계 기초 위에서 중국조선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도록 하고 중국조선어 기본능력을 신장시키고 훌륭 한 학습습관을 길러주는 것이다.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을 높여 실제 수요에 적응 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구비하게 하고 초보적인 문학 감상 능력과 민족 고전 작품 독해 능력을 터득하게 하며,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7) “어휘풀이집”은 총 3권으로 초중(중학교)편 한 권과 고중(고등학교) 두 권(필수,선택)이 다. 여기에서는 교과서의 어휘를 위주로 하고 자습교과서의 어휘를 적당히 보충하면서 본 문에 새롭게 나오는 , 중·고등 단계에서 알아야 할 사용 어휘와 내용 이해에 필요한 일부 어휘(고어 학술용어 등)를 선택하여 총 4,766 개의 단어를 사전식으로 풀이한 책이다.
산(长百山大型文学双月刊)18)』에서 선정한 단편소설 10편, 연변위성방송에서 방 송되는 “고향의 아침19)” 10회분을 선정하여 한국어와 차이가 나는 중국조선어 어 휘를 선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한국어 어휘를 제시하려고 한다.「한국어 학습용 어 휘 목록」은 빈도수를 토대로 조사한 외국인 학습자들이 꼭 알아야 할 한국어 어 휘들이다. 이는 중국조선어가 모국어인 학습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친숙한 어휘들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다르게 쓰이거나 모르는 어휘가 있다면 그것부터 학습해야 한다.
중국조선어 자료에서 선택한『어휘풀이집』교과서의 어휘를 분석한 것은 자료를 통해 그 집단이 두루 아는 어휘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월간지에서 선정한 단편소설 10편의 어휘를 분석한 것은 교과서의 어휘들이 제한적으로 제시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구어 자료를 보충하기 위하여 연변위성방송의 “고향의 아침” 10회분 중의 대화를 선택하여 어휘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자료에서는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는 분석한 중국조선어 자료의 양에 비하면 현저히 적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중국 조 선족들이 새로 배워야 할 한국어 어휘보다는 이미 알고 있는 한국어 어휘 중에 한 국어 어휘와 다른 어휘들을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중국조선어 자료 분석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이 자료들은 양적인 면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다양한 자료들에서 어휘를 추출하려고 시도하였 다. 위의 자료에서 한국인들과 중국 조선족들이 다르게 사용하는 어휘와 사용하지 않는 어휘들을 선택하고 다시 검증을 하여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들에게 학습용 한 국어 어휘 목록을 제시 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들에게 한국어 어휘 교육의 장을 마련하려 한다. 이것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 서로 진행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기하고
18) 《장백산》은 1980년 5월에 창간되었으며「지린일보그룹(吉林日報報業集團)」에서 주최 하였고, 중국조선어로 된 유일한 성(省)급 대형 문학 평론지이다. 본 월간지는 지린성(吉 林省)에서 베스트 10위안에 꼽혔고, 중국 북방 지역의 우수 잡지로 선정 되었고, 중국 소 수민족 문학 저널에서는 으뜸으로 꼽힌다.
19) “고향의 아침”은 연변위성방송에서 매주 일요일 아침 7시에 30분 씩 방송하는 정보프 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취지는 시청자들한테 고향에 대한 사랑을 심어주고 고향의 풍 토, 인정, 볼거리, 놀 거리, 먹을거리 등을 통해서 고향의 모습을 세상에 홍보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차이에 대한 연구와 한국어, 중국조선 어의 차이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성의 전제를 살펴본다. 먼저 이론적 기반을 위해 언어 적용 이론과 의사소통 전략을 이용하여 중국조선어와 차 이가 나는 한국어 어휘를 추출하고, 이중 언어 소유자인 학습자들의 코드전환을 이용하여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다음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어휘 차이를 살펴보고 그 차이를 의미와 형태로 나눠서 분석을 했다.
3장에서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양상을 조사하고 차이가 나는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양상 기술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을 하였다. 한국어 학습용 어휘 말뭉치와 중국조선어 자료에서 서로 다르게 쓰이는 어휘들을 추출하여 검토해서 어휘들을 선정하고, 또한 국립국어원 에서 발표한「한국어 학습용 어휘목록」중의 등급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기도록 한 다. 그리고 선정한 어휘들을 한국어 어휘-중국조선어 어휘 , 중국조선어 어휘- 한국어 어휘로 목록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어휘 목록을 활용하여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들에게 도 입, 인식, 학습, 연습 확인(평가)단계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5장에서는 결론적으로 앞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 리고 향후의 과제 등을 논할 것이다.
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성의 전 제
1.이론적 배경
1. 1.언어 적응 이론( SpeechAccommodat i onTheor y)
언어 적응(speech accommodation)이란 두 화자가 의사소통을 할 때 상대방의 언어에 서로가 적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같은 문화권에 있는 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아니라 다른 문화권에 있는 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공통적으로 나 타나는 현상이다. 같은 문화권에 있는 한 언어 사용자들의 언어 적응 예로는 스노 우와 퍼거슨(Snow&Ferguson, 1977)의 어머니의 말투(motherese)를 들 수 있 다.20) 이것은 부모가 자녀와의 의사소통에서 성인들의 ‘말’을 사용하는 대신에 어 린 자녀의 눈높이를 맞추어서 그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달 리 다른 문화권에 있는 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언어 적응은 크게 두 가지로 살 펴볼 수 있다. 하나는 한 언어 사용자와 이중 언어 사용자 사이의 언어 적응이고, 다른 하나는 이중 언어 사용자들 사이의 언어 적응이다. 그러나 언어 적응에 앞서 서 먼저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언어를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에 대하여 판단해야 한다.
기일스(Giles, 1973)에 의해 최초로 연구된 언어 적응 이론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게 될 때 왜 그들의 언어를 이동(shift)하는지에 대하여 사회 심리적인 과정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의사소통 시 화자와 대화 상대자는 서로의 언어적인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게 되는데 그 결과 언어 적응이라 불리는 과정 안에서 그들의 언어 양식은 서로의 언어 양식에 적응하게 된다.21)이 이론은
20) Hamers, J. F. & Blanc, M. H. A.(1987). Bilinguality and bilingualism.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이혜란 외 공역(1995). 2개언어 상용과 그 이론. 서울: 한 국문화사.) 재인용
21) Myers Scotton, C. M.(1993). Social motivations for code switching. NY: Oxford University Press.
‘언어 수렴(speech convergence)’ 과 ‘언어 분리(speech divergence)’로 나누어 설 명 할 수 있다. 기일스와 파우스랜드(Giles&Powesland, 1975)는 화자가 대화 상 대자로부터 태도나 신념에서 자신과 유사한 부분을 발견하게 될 때 화자는 대화 상대자와의 언어적인 차이를 줄이게 되면서 언어 수렴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Hamers, J. F. &Blanc, M. A., 1987, 재인용). 김경령(2001)은 화자가 대화 상 대자로부터 사회적 승인을 받고자 하여 그들의 언어를 대화 상대자의 언어에 맞추 게 되는 것을 언어 수렴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사회적 승인을 고려하게 될 때 화 자와 대화 상대자 사이의 세력 관계는 언어 수렴의 등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가 된다고 덧붙여 설명하였다. 하머스와 블랑(Hamers, J. F. &Blanc, M. H.
A.,1987)은 언어 분리를 화자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확고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 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았고, 마이어스 스코튼(Myers Scotton, 1993)은 화자 가 대화 상대자로부터 분리되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언어 분리로 보았다. 이때 화자는 대화 상대자와는 다른 자신들의 언어적인 차이를 강조하면서 그들로부터 대화 상대자를 분리되도록 만든다. 여기에서 중국이라는 국가에서 중 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이중 언어 환경에 접해 있는, 중국조선어 사용에 더 익숙함 을 느끼는 중국 조선족과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대화 상대자의 의사소통에 서 중국 조선족들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향은 언어 적용 이론의 언어적 수렴이라 는 것을 알 수 있다.
1. 2.의사소통 전략( Communi cat i onSt r at egi es)
브라운(Brown, 2007)에서는 외국어교육에서 말하는 제2언어로서의 의사소통은 1970년대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것이다’란 움직임 속에서 등장하게 된 의사소 통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에 의해 보다 많은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고 한다. 의사소통 접근법은 ‘의사소통 능력 숙달’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이란 하머스(Harmers)가 만든 용어로, 어떤 상 황에서 메시지를 보내고 받아 해석하면서 상호 간에 의미를 협의할 수 있도록 하 는 능력을 의미한다.22)
22) Brown, H. D.(200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5th ed. NY:
P.233에서 재인용.
하머스(Harmers)는 의사소통 능력으로 다음의 네 가지 능력을 포함시켜 말하고 있다.
첫 번째는 촘스키(Chomsky, 1965)가 말한 언어 능력(linguistic competence)과 유사한 것으로 언어 구조가 문법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두 번째 는 언어를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지식에 대한 구체적 실행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맥락을 고려해 그 상황 속에서 어떠한 문장이 적절한 가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어떤 언어 구조가 실 제 현실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고 있는 능력인데, 가령 중국 조선족 학 습자와 한국인의 대화에서 학습자가 문법적으로는 전혀 손색이 없는 올바른 문장 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이 문장이 한국 사회에서 실제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문 장이라면 중국 조선족 학습자는 하머스((Harmers)가 말한 네 번째 능력이 결여된 상태라 말할 수 있다.
의사소통 전략은 한 언어 사용자들(monolingual)뿐만 아니라 이중 언어 사용자 (bilingual)들의 의사소통에서도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언어의 전환이다. 특히 이중 언어를 사용 하는 중국 조 선족들에게 있어서 언어의 전환은 하나의 현상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1. 3.코드-스위칭( code-swi t chi ng) 의 어휘 접근
사람들은 여러 가지 발화 행위를 할 때 발화 전략의 하나로 상황에 따라 언어 를 바꾼다. 또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말을 바꾸어 쓰기도 한다. 이러한 상이한 언어의 차용과 변환 현상은 한국어를 중국어나 영어로 바꾸는 것일 수도 있고 서 울 표준말을 사용하다가 고향 친구를 만나면 중국조선어로 바꾸는 것일 수도 있 다.
이처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언어나 방언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코드-스 위칭(code-switching)이라 한다. 존 라이언 (John Lyons, 1981)은 여러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多言語竝用) 화자들이 담화 중에서 자신들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 하여 그들이 구사할 수 있는 두 언어가 의식·무의식적으로, 또는 자동·비자동적으 로 교체되는 것을 코드-스위칭이라 명명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사회 언어학자들 은 이중 언어 사용자들이 그들의 담화 가운데에서 때와 상황, 상대 등에 따라 두
가. 장면, 상황, 화자가 변화함에 따라 일어나는 코드변환.
나. 이중 정체성(dual identity)을 갖는 구성원들 간에 상호 인식을 위하여 쓰이는 코드변환.
다. 듣는 사람과 화자 간에 일어나는 권리나 의무를 상호 확인하기 위한 하 나의 수단으로 쓰이는 코드변환.
라. 두 개 언어 중 어느 언어를 선택해야 할지 모를 경우, 언어 선택을 결정 언어를 서로 바꾸어 가며 말하는 것을 ‘코드-스위칭’이라고 하며, 이 코드-스위칭 에 있어서 이중 언어 화자의 사용 언어 중 모국어를 하나로 삼고 그 외의 언어는 외국어로 취급한다.23) 그러나 코드-스위칭의 세부적인 개념이 학자들마다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발화자가 상대에게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여 의식적으로 언 어를 바꾸는 것만을 일반적인 코드-스위칭의 개념으로 하는 것과 그렇지 않고 제 2언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무의식적으로 바꾸는 것까지를 포함시키는 경우 가 있어 논란이 된다. 또한 일반적인 코드-스위칭이 코드가 병치되는 길이에 따라 서 담화 단위, 문장 단위로 이루어짐에 비하여 구, 어절 및 단어 형태 단위로 코드 가 바뀌는 것을 특별히 코드혼합(code-mixing), 통합적 차용어라고도 한다. 이처 럼 코드-스위칭에 대하여 다양한 견해가 있으며 또한 코드-스위칭의 정의는 내 재하는 구체적인 분류와 개념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갖고 있다.24)코드-스위칭의 원인에 대해서 히가시테루지(東照二, 1997)는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김정자, 2002, 재인용).
23) 이것은 차용과는 다르다. 예컨대, 한국어만 사용하는 단일어 화자(monolingual)의 담화 중에서 보이는 외국어 어휘는 차용이다. 김정자(2002), 『재일 한국인 1세의 한국어·일본 어 혼용 실태어 대한 연구』에서 참고.
24)McClure & Wentz(1975)와 Thelander(1976)는 코드변환을 코드믹싱(code-mixing)과 코드변환(code-changing)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았다. 먼저 코드믹싱은 한 문장 성분 안에서 일어나는 전환으로 보았는데 이것은 코드변환의 유형 중 하나인 문장 내 코 드변환과 유사한 개념이다. 다음으로 코드변환은 문장 경계에서 나타나는 전환과 담화 차 례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환으로 보았다. 그리고 단일 언어 사용자가 이중 언어 사용자들 의 대화에 참여했을 때 이중 언어 사용자들이 공손의 행위로서 단일 언어 사용자의 언어 로 전환하는 것 또한 변환으로 보았다. 이정희,「재미 동포 아등의 코드 스위칭연구」, 경 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p15.
짓기 위하여 일부러 쓰이는 코드변환.
[표 2] 히가시테루지(東照二, 1997)의 코드-스위칭의 원인
가. 대화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상이함에 따라서 언어가 교체 되는 경우.
나. 최초 발화자의 발화 내용을 인용하여 해당 언어로 전달하는 경우.
다. 발화 내용에 의한 다른 언어의 반복으로 그 내용에 대해 강조의 표현을 나 타내는 경우.
라. 어휘 사용에 있어서 두 언어의 의미적 차이가 있거나 중국조선어에 해당하 는 적절한 어휘가 없을 때, 또는 언어를 습득할 때 중국어로 습득하였을 경우.
마. 청자와 화자의 거리 관계를 표현할 때 두 명의 중국 조선족 화자가 발화할 때 서로의 가까움을 나타내고 싶을 때엔 중국조선어를 쓰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싶을 때에는 중국어로 코드-스위칭을 하는 경우.
[표 3] 중국 조선족의 코드-스위칭의 양상
(나)의 ‘이중 정체성’에 대한 히가시테루지(東照二, 1997)의 설명은, 다 언어·다 민족 사회에서 민족성이 제기 될 때, 특정의 인종 그룹에 속하고 있다는 의식을 나타내기 위하여 코드-스위칭을 한다고 하며, 여기서 ‘이중 정체성’을 의식하게 된다고 한다. 자기 민족의 고유한 언어로 바꿔 사용함으로써 민족성을 부각시키는 것은, 실은 두 사회에 속하고 있다는 내면 의식을 담고 있는 것이므로 정체성의 이중적 의식을 갖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을 곧 ‘이중 정체성을 위한 코드 -스위칭’이라고 설명한다. 즉, 이중 정체성이란 커다란 하나의 사회와 그 안에 속 해 있는 또 하나의 사회에 대한 소속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중국 조선족들이 코드-스위칭을 일으키는 양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는 가장 일반적인 코드-스위칭의 양상이다. 대화에 참여하는 참여자가 사용 하는 언어가 다름에 따라 교체하는 언어 현상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 친
구들이 모여서 밥을 먹고 있는 한족인 회사 친구를 우연히 만나서 같이 자리를 하 게 된다. 그때는 한족 친구의 개입으로 사용하는 언어를 대화에 참여하는 청자에 따라 언어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나)는 친구들끼리 모여서 회사 일을 이야기 할 때 회사 동료가 한 말을 그대로 중국어로 전달하여 전달 내용의 현장성을 더해 주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된 현상이 다.
(다)는 강조하고 싶은 내용에 대해서 중국어를 중국조선어로 혹은 중국조선어를 중국어로 다시 한 번 말해 주는 것이다. 상이한 언어로 재 발화해 줌으로써 청자 로 하여금 주의를 갖게 하고 발화의 내용에 대해 강조하는 경우이다.
(라)를 보면 어휘를 사용할 때 요리, 의료 용어, 기관 명칭, 인터넷 등 전문적이 고 정형화된 용어들만 직접 중국어로 쓰면서 해당 위치의 어휘만 바꿔 주는 경우 를 한 예로 들 수 있다.
(마)는 거리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두 언어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볼 수 있다. 기차를 타고 가면서 먼저 공용어인 중국어로 이야기를 나누다가 상대 방이 같은 조선족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에는 중국조선어의 사용으로 거리를 줄인 다. 이렇게 현재 중국 조선족들이 두 언어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거리 관계를 표현 하기도 한다.
전술하였듯이 중국 조선족들은 중국어와 중국조선어를 상황에 맞추어 코드-스 위칭을 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인들과의 의사소통에서 중 국조선어와 한국어를 코드변환 할 수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기존의 중국어와 중 국조선어의 코드변환을 기반으로 삼아 접근하려고 한다. 장흥권(2000)에서는 코드 변환은 이중 언어 사용자 또는 다 언어 사용자가 한차례의 담화 활동에서 상대방, 화제, 언어 사용 환경 등 요인에 따라 언어코드인 상이한 언어, 변종, 단어 결합 또는 단어를 바꾸어 쓰는 현상을 가리키며 한 마디로 말하면 한 화자가 구체적인 대화 장면에 따라 코드를 바꾸어 쓰는 현상을 말한다고 하였다. 이때 코드란 선택 할 수 있는 기호, 방언, 언어 등을 가리킨다. 그것은 부동한 언어일 수도 있고 부 동한 지역적 방언 또는 표준어의 격식적 방언과 비격식적 방언일 수도 있다고 하 였다.
2.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어휘 차이
2. 1.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언어 규범의 비교
한국의「한글 맞춤법」(1988)에서는 “맞춤법”의 하위 항목으로 “띄어쓰기(제5 장)”와 함께 “그 밖의 것(6장)”에서 부록으로 “문장부호”가 실려 있지만 중국『조 선말규범집』(2007)에는 “발음법,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법”이 별개의 독립된 장으로 설정되어있다. 그렇다면 여기서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맞춤법”에 관한 범 위설정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본장에서는《조선말규범집(2007)》에서의 맞춤법 과 발음법을 한국의《한글맞춤법(1998)》에 대하여 세부조항들을 중심으로 그 차 이점을 살펴보려고 한다.25)
2. 1. 1.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발음법의 차이
표준발음법이란 동일 언어 공동체에서 정해 놓은 표준어의 발음을 말한다. 한국 과 중국에서 쓰이는 우리말은 어느 방언을 기초방언으로 하여 표준으로 정하는가 의 차이로 인해 정해 놓은 표준 발음법에서도 다양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2. 1. 1. 1총칙
한국과 중국에서 제정한 총칙을 비교하면 기초 방언이 다르고 세칙 제정 원칙이 다르다. 우선 한국의 총칙에서는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 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하여 지적한 표준 어는 서울말을 의미하고 중국조선어 총칙은 “조선말 표준 발음법은 우리나라 조선말 발달에 맞는 발음을 가려잡음을 원칙으로 한다.”고 하여 기초 방언이 없이 중국 조선 족에게 널리 쓰이고 있는 중국조선어를 기초로 한다고 했으므로 기초 방언이 다르 다. 또한 한국의 총칙에서는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한다.”는 것을 세칙 제 정의 원칙으로 했기 때문에 구체 단어들의 발음 원칙 제정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발음과 시대의 발전에 따라 나타난 변화를 다 인정하는 원칙에서 두 가지 발음을
25) 여기에서 한국어의 규범은『국어 어문 규정집』(2009, 대한교과서)을 참고하였고, 중국 조선어의 규범은『조선말규범집』(2007, 연변인민출판사)을 참고하였다.
다 표준으로 인정한 것 들이 많다.
중국조선어의 총칙에서는 “조선말 발달에 맞는 발음”을 세칙 제정의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사실상 조선(북한)의 것을 옮겨 쓰고 있다.
2. 1. 1. 2.모음 “ㅚ,ㅟ,ㅢ,ㅖ,ㅕ” 의 발음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에서는 동일한 10개의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ㅔ,ㅐ, ㅚ, ㅟ”을 단모음으로 발음하고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ㅚ, ㅟ, ㅢ, ㅖ, ㅕ”의 발음은 각각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1) 모음 “ㅚ, ㅟ”의 발음
한국에서는 “ㅚ, 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붙임 규정을 두어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함께 허용하고 있지만 중국조선어에서 “ㅚ”를 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겹모음 “ㅞ”로의 발음을 허용발음으로 하였 고, 모음 ‘ㅟ’를 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겹모음 “ㅟ, ㅣ”로의 발음 을 허용발음으로 하였다 즉, 모음“ㅚ”의 발음은 같지만 모음 “ㅟ”의 발음은 다르다.
예) 한국: 외국[웨국], 외삼촌[웨삼촌],
위대하다[위대하다/우이대하다], 가위[가위/가우이]
중국: 외국[웨국], 외삼촌[웨삼촌],
위대하다[위대하다/위이대하다], 가위[가위/가위이]
2) 모음 “ㅢ”의 발음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표준발음법에서 모음 “ㅢ”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였고 허용 발음도 기본적으로 일치하나 약간의 차이가 있 다. 허용발음에서 한국어와과 중국조선어의 규정에서는 자음을 첫 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와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ㅢ”는 〔ㅣ〕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 다고 하였다. 또한 한국어에서는 조사 “ㅢ”는 〔ㅔ〕로 발음함을 허용하고 중국조 선어에서도 속격토(관형격 조사) “ㅢ”는 〔ㅔ〕로도 발음한다고 규정하였다.
3) 이중 모음 “ㅖ”의 발음
두 나라의 규범에서 모음 “ㅖ”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기본원칙은 똑같다.
그런데 모음 “ㅖ”가 일부 자음과 결합될 때의 발음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우선 표기법에서 한국어에서는 자음 “ㄱ,ㄹ,ㅁ,ㅎ,ㅍ”가 모음 “ㅖ”와 결합된 음절
“계(계집), 례(경례), 혜(혜택), 폐(폐막)”가 쓰이나 중국조선어에서는 자음 “ㄱ,ㄹ, ㅎ”와 결합된 음절 “계(계급), 례(례절), 혜(혜택)”밖에 쓰이지 않는다.26)
예) 한국: 계집〔계집〕/〔게집〕, 혜택〔혜택〕/〔헤택〕, 차례〔차례〕
중국: 계집〔게집〕, 혜택〔헤택〕, 차례〔차레〕
4) 모음 ‘ㅕ’의 발음
두 나라 발음법에서 모음 “ㅕ”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기본 원칙은 같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는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 한다.”고 규정하였다. 즉 동사 어간과 조사 “어”가 결합되면서 축약된 음절 “져, 쪄, 쳐”의 모음 “ㅕ”를 단모음 〔ㅓ〕로 발음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중국조선어의 발음 과 다른 발음이다.
예)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치어→다쳐〔다처〕
2. 1. 1. 3.자음 “ ㄴ,ㄹ,ㅎ” 의 발음
1) 어두 자음 “ㄴ, ㄹ”의 발음
어두 자음 “ㄴ, ㄹ”의 발음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표기법의 차이, 즉 두음 법칙 과 관계된다.
한국어에서는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하고(냥
<兩>, 년<年> 몇 년),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남녀
<男女>, 당뇨<糖尿>).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26) 『중국, 조선, 한국에서의 조선어차이에 대한 연구』, 최윤갑, 1994, p.196 재인용.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신여성<新女性>, 공염불<空念佛>).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리(理), 리(里)와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또한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 지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그 외에 외 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을 수 있고, 준말에서 본으로 소리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으며,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 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 다고 붙임으로 표현하였다.
중국조선어 발음법에서는 자음 “ㄴ, ㄹ”을 모든 모음의 앞에서 〔ㄴ〕,〔ㄹ〕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였고 대중의 실제발음을 고려하여 자음
“ㄴ, ㄹ”을 발음하지 않는 것을 허용 발음으로 하였다.
예) 女子 年代 浪費 禮節 한국 : 여자 연대 낭비 예절 중국 : 녀자/여자 년대/연대 랑비/낭비 례절/예절
2) 자음 “ㅎ”의 발음
중국조선어의 발음법에서는 자음 “ㅎ”의 발음에 대하여 모음이나 유향자음(유 성자음)뒤에 오는 “ㅎ”는 약하게 발음한다고 규정하였다. 한국어에서는 이 경우의 발음에 대해 구체적인 발음법은 정하지 않았지만 실제 발음에 있어서는 중국조선 어와는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예) 마흔, 아흐레, 안해, 열흘, 부지런히
2. 1. 1. 4.받침 “ ㄼ ” 의 발음
한국 표준발음법에서는 “ㄼ”의 받침을〔ㄹ〕로 규정하고 개별적 경우에 〔ㅂ〕
로 발음하게 하였다.27)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되고 “넓-”이 “넙죽하 27) 표준 발음법, 제10항에서 ‘ㄱㅅ’, ‘ㄵ’, ‘ㄼ, ㄽ, ㄹㅌ’,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
다〔넙쭉카다〕”, “넓등글다〔넙뚱글다〕”의 경우에는 “ㅂ”으로 발음된다고 하였다.
중국조선어의 표준발음법에서는 받침 “ㄼ”의 받침소리를 〔ㅂ〕로 규정하고 “ㄱ”
앞에서〔ㄹ〕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여덟”의 경우에 〔여덜〕로 발음 한다고 규정하였다.
예) 넓다 넓고 밟소 밟게 여덟 넓둥글다 한국: 널따 널꼬 밥쏘 밥께 여덜 넙뚱글다 중국: 넙따 널꼬 밥쏘 발께 여덜 넙뚱글다
2. 1. 1. 5.받침이 뒤의 모음과 이어질 때의 발음
1) 연음 현상
두 나라의 표준발음법에서 겹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나 조사가 올 경 우에 앞의 글자는 그 음절의 받침으로 되고 뒤의 글자는 뒤에 오는 모음의 첫소리 로 옮겨 발음한다고 규정하였다. 이 기본 받침 “ㄳ”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나 토(조사)와 이어질 때의 실제 발음은 차이가 있다.
한국 표준발음법에서는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 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28) 이라고 명확히 규정하였다. 그러나 중국조선어에서는 “ㅅ”을 된소리로 발음한다고 규정은 짓지 않았으나 발음표기에서 된소리로 표기하고 있다.
2) 절음 현상
두 나라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모두 절음을 표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