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수·학습 모형
3.2. 학습 단계
인식의 단계에서 중국조선어와 차이가 나는 한국어 어휘들을 알고, 어떠한 어휘 들은 의사소통에 문제를 일으킬 것이고, 어떠한 어휘들은 한국인들과 의사소통에 어색함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면 학습단계에서는 그런 어휘를 어떻게 고쳐 야 할 것인가를 앞서 제시 하였던 정의 활용 어휘 학습법, 문맥 활용 어휘 학습법, 번역 활용 어휘 학습법으로 모형을 구축해보았다.
3. 2. 1. 정의를 활용한 학습
이 단계에서는 두 언어 간의 차이가 나는 어휘를 제시하면 본고에서 제시한 한 국어 어휘-중국조선어 어휘, 중국조선어 어휘-한국어 어휘 목록을 참고하고 교사 와 사전의 도움으로 고쳐야 할 어휘들에 대해 정확히 배워야 한다. 즉, 한국어 어 휘의 뜻을 교사가 설명해주고 그 어휘에 대응하는 중국조선어 어휘를 알아보게 하 여, 두 어휘가 대응되는 것을 명기시키고 암기에 도움을 주게 하는 것이다. 이는 중국조선어 어휘에 대응하는 한국어 어휘를 제시하고 어휘가 어떤 뜻인지 알아맞 히게 하여 한국어 어휘의 의미를 기억할 수 있게 도와준다.
80) 김종택(1992)와 김동소(2007), 참조
한국어 어휘 의미 중국조선어 어휘
간판
① 기관, 상점, 영업소 따위에서 이름이나 판매 상품,, 업종 따위를 써서 사람들의 눈에 잘 뜨이게 걸 거나 붙이는 표지
②대표하여 내세울 만한 사람이 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겉으로 내세우는 외모, 학벌, 경력, 명분 따위를 속되게 이르는 말
( )
애니메이션 ( ) 그림영화 횡단보도 사람이 가로로 건너다닐 수 있도
록 안전 표지나 도로 표지를 설치 ( )
이 단계에서 또 주의 할 점은 중국조선어에도 존재하지만 한국어에서 달리 사용 되는 어휘들이 있기 때문에 어휘만 기억할 것이 아니라 어떤 맥락에서 쓰이고 어 떻게 다르게 쓰이는지에 대해서 정확히 학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삐치다”는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에는 다 사용되는 어휘이지만 중국조선어에서는 “간섭하다”의 뜻 으로 쓰이고 한국어에서는 “토라지다”의 뜻으로 쓰인다.
3. 2. 2.문맥을 활용한 학습
아래 문장을 읽거나 잘 모르는 어휘나 무슨 뜻인지는 알겠지만 학습자는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지 않는 어휘에 반응하게 한다. 처음 읽을 때는 밑줄을 쳐서 표시를 하고 두 번째에 읽을 때 밑줄을 친 어휘가 어떤 뜻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그 다 음 교사가 정답을 알려줌과 동시에 학습자들이 자신이 생각 했던 어휘 뜻과 비슷 한지 알아보며, 다르면 어떻게 다른지 발표하게 한다.81) 이때 학습자로 하여금 자 신이 아는 것이라도 한 번쯤은 확인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알려준다. 그것은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습관 되어 있는 어휘가 있다면 실제 사용에서는 자신에게 익숙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81) 학습자들마다 한국어를 접한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난다고 느끼는 어휘의 양이 조금 다를 수도 있다.
하여 차도 위에 마련한 길
바퀴 ( ) 고패
어제 백화점에서 문자가 왔다. 처음에는 스팸인줄 알고 보지 않았는데 아침에 다 시 확인해 보니 오늘부터 백화점에서 대박세일을 한다는 홍보용 문자였다. 곧 개강 을 앞둔 터라 준비해야 할 문건들이 많다. 개강과 함께 빠질 수 없는 새 옷들……
나는 사인펜으로 종이에 필요한 물건들의 리스트를 만들어 보았다. 요즘 친구들 이 백팩이 유행이라고 해서 이번 기회에 나도 하나 장만하고 싶다. 우선 백팩을 리 스트의 일번으로 정했고, 다음에는 봄에 입을 티셔츠와 청바지 그리고 스니커즈 하 나 사고 싶었다. 엄마에게 백화점에서 세일을 한다고 말씀드렸더니, 절호의 쇼핑
3. 3. 3. 번역을 활용한 학습
아래 문장은 중국 조선족 학습자들이 평소에 쓰는 구어를 갖고 온 것이다. 여기 에 많은 구어에서 사용하는 어휘들도 포함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쌰발” 이러한 어휘들은 중국어에서 그대로 차용하여 갖고 온 어휘들이다. 이렇게 사용한다면 한 국인들이 알아듣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여기에서 한국인들이 그렇게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어휘들에 반응하도록 하고 밑줄을 친 어휘를 한국어 어휘 에 바꿔서 적는다.
오늘 드디어 쌰발했습니다. 요즘 연말이라 회사 일이 어찌나 바쁜지 입이 다 때개졌습니다. 일 걱정하느라 저녘에는 자부럼도 오지 않아 몸이 다 망태기 될 것 같습니다. 부모님들이 걱정해서 저는 일없다고 잘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몸 이 이렇게 실해서 열심히 일하면 살도 빠져서 좋다고 했습니다. 요즘 너무 바빠 서 점심도 먹을 시간도 없었는데 어머니가 매일 곽밥을 싸주셔서 덕분에 잘 먹 고 있습니다. 내일 점심엔 아무리 바빠도 우전국에 가서 한국에 소포를 부쳐야 합니다. 언니가 한국에서 먹게븐게 많아서 그것을 싸서 보내려구요. 우전국 헤루 곽 통이 질량이 좋아서 제저레 거기다 넣어서 보낼려구요. 지난번에는 슈퍼에서 헤루곽 통을 얻어갔는데 다 때개졌다고 하더군요 슈퍼 창고에서 썩어지게 뚜져 서 골랐는데 말입니다. 다시는 펄라리들을 갖다 쓰지 않겠습니다.
또한 중국조선어와 한국어가 섞인 텍스트에서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를 찾 아내고, 그 중국조선어 어휘를 한국어 어휘로 번역하도록 한다. 아래 텍스트는 한 찬스라고 좋아하셨다. 그리고 덩달아 어머니도 쇼핑 리스트를 작성하셨다. 거기에 는 스탠드와 전자레인지 커버 그리고 밥솥이 적혀있었다. 엄마는 나더러 빨리 준비 하라고 하셨다. 너무 급한 마음에 씻고 드라이도 못했다. 감기에 걸리면 어떡하지 하는 걱정도 금방 신난 마음으로 변했다.
국인 남자와 중국조선족 여자의 대화이다.
이렇게 중국조선어 텍스트와 한국어와 섞인 텍스트에서 한국어와 다르게 사용되 는 중국조선어 어휘를 바로 찾아 그것은 한국어 어휘로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와 차이가 나는 중국조선어 어휘에 민감 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