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12호 2013.3.29
21
중국
□ 중국 3대 국영석유기업, ’12년 수익 감소
ㅇ 최근 발표된 3대 국영석유기업의 2012년 실적 보고에 따르면, CNPC, Sinopec, CNOOC 의 2012년 순이익은 각각 1,153.26억 위안, 639억 위안, 636.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3%, 12.8%, 9.3% 감소하였음.
ㅇ 분석가들은 3대 국영석유기업의 2012년 수익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천연가스 가격 규제, 자원세 부담 증가, 탐사비용 상승 및 석유화학산업 침체 등을 거론함.
- CNPC는 중국의 천연가스 가격이 너무 낮게 책정되어, 천연가스와 LNG를 수입하여 자
국 내에서 판매하는 과정에서 419억 위안의 적자를 보았다고 밝힘.
- CNOOC는 자원세 부담 증가로 인한 세금 인상과 탐사비용 상승을 2012년 수익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였음.
- Sinopec은 석유화학산업의 침체와 가격 급락으로 동 부문에서의 수익이 전년 대비 255
억 위안 감소하였고, 이를 2012년 수익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함.
ㅇ 한편, 3대 국영석유기업은 아래와 같은 목표를 제시하였음.
- CNPC는 2015년까지 중국 내에서 약 2억 톤의 석유·가스를 생산하고, 국외 석유·가스 생산량을 전체 생산량의 50%에 달하도록 한다는 계획을 세움.
- CNOOC는 2013년 중국 해역과 해외 석유·가스 자원 탐사개발에 역점을 두고, 해외 자
원의 운용 효율을 계속 제고할 방침이라고 밝힘.
- Sinopec은 2013년에 약 1,817억 위안을 투자할 계획이며, 그 중 891억 위안을 유전 개 발에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함.
(鳳凰網; 新華網, 2013.3.25)
□ 중국석유기업협회, ‘2013년 중국 석유·가스 산업 분석 및 전망 보고서’ 발표
ㅇ 중국석유기업협회가 ‘2013년 중국 석유·가스 산업 분석 및 전망 보고서’를 3월 22일 발표함.
- 보고서는 2012년 중국의 석유 소비량이 4.76억 톤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하였고, 석유 제품 소비량은 2.76억 톤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하였다고 밝힘.
- 또한, 에너지절약 및 탄소배출 저감정책의 시행에 따라, 천연가스 소비량은 큰 폭의 증 가세를 유지하였는데 2012년 천연가스 소비량은 144.5Bcm으로 전년 대비 12.8% 증가 하였음.
- 2012년 중국의 해외 석유·가스 지분 생산량은 9,000만 톤 이상으로, 전년 대비 3% 증 가하였음.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도 크게 증가해 수입 의존도가 각각 56.4%, 26.2%에 달하였음.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2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12호 2013.3.29※ ‘2013년 중국 석유·가스 산업 분석 및 전망 보고서(中國油氣産業發展分析與展望報告藍皮 書)’는 중국석유기업협회가 중국 석유·가스 산업의 현황 및 전망을 분석하여 매년 초에 발 표하는 보고서임.
ㅇ 이 보고서에서는 2013년에 원유 소비량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천연가스 소비량이 계속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 또한, 미국의 원유 수입 의존도 감소와 세계 경제의 지속적인 침체로 국제 유가가 하락 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중국의 원유 수입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중국의 원유 수입 의 존도가 58%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中國石化新聞網, 2013.3.25)
□ 중국, 셰일가스산업 정책 초안 완성
ㅇ 3월 18일 개최된 2013년 셰일가스 국제협력컨퍼런스(International Shale Gas Conference 2013)에서 중국 국가에너지국(NEA) 석유·가스부 양레이(楊雷) 부부장은 현재 중국의 ‘셰 일가스산업 정책’ 초안이 거의 완성되었다고 밝힘.
- ‘셰일가스산업 정책’은 셰일가스산업 진입, 환경보호, 관리감독, 대외개방 등의 내용을 포함하며, 2012년 3월에 발표된 ‘셰일가스발전 12.5계획(2011~2015년)’보다 셰일가스 산업에 대한 계획을 더욱 구체화하였음.
※ 중국 정부는 2012년 3월 ‘셰일가스발전 12.5계획(2011~2015년)을 발표한 바 있는데, 2015 년까지 셰일가스 연간 생산량 목표를 6.5Bcm으로 설정하였음. 또한 쓰촨, 충칭, 구이저우, 후난, 후베이, 윈난, 장시, 안후이, 장쑤, 산시, 허난, 랴오닝, 신쟝을 중심으로 19개의 셰일 가스 탐사개발구를 조성할 계획임(인사이트 제12-11호(2012.3.23일자) p.17 참조).
- 특히, 대외개방 부문에서 외국기업의 중국 셰일가스 개발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외국 기업의 중국 셰일가스산업 진입과 권익 보장 등에 관한 세부 사항을 규정하고, 생산물 분배방식 이외의 기타 협력방식도 제시할 예정임.
ㅇ 한편, 당일 컨퍼런스에서 국토자원부 관계자는 현재 제3차 셰일가스 입찰에 관한 자세한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힘.
- 3차 셰일가스 입찰 대상지역에 관해서 일부 전문가들은 산시, 네이멍구 등의 북부 지역
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東南網; 中國廣播網, 2013.3.19)
□ 중국, 러시아와 ’18년부터 동부노선 통한 가스공급 협정 체결
ㅇ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3월 22~24일 러시아 국빈 방문을 계기로, CNPC와 러 시아 Gazprom은 3월 22일에 천연가스 공급 MOU를 체결하였음.
- 이에 따라, 러시아는 2018년부터 동부노선을 통해 연간 38Bcm의 가스를 중국에 30년 간 공급하게 될 것임. 또한, MOU에는 추후 협의를 통해 연간 공급량을 60Bcm까지 확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12호 2013.3.29
23
대한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음.
- Gazprom Alexei Miller CEO는 중·러 양국이 올해 6월 對중국 천연가스 공급 계약 조 건을 작성할 계획이며, 연말 내에 가격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전망함.
- 전문가들은 동부노선에 이어 서부노선을 통한 가스공급 계약까지 체결된다면, 중국은 연간 68Bcm의 천연가스를 공급받게 되고, 이는 석탄의존도가 70%에 달하는 중국의 에 너지 소비구조 개선과 오염물 배출 감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함.
- 한편, 장기적으로는 파이프라인 가스 수입의 증가로 국내 천연가스의 가격 상승 압박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현재 중앙아시아에서 중국 신장으로 수입되는 천연가스 수입 원가만 2.5위안/㎥인데 반해, 중국의 국내 천연가스 가격은 2~3위안/㎥으로 낮게 규제되어 있음.
ㅇ 당일, 중국은 러시아 Rosneft와 원유 공급 확대에 관한 계약도 체결함.
- 공급 계약에 따라, Rosneft는 올해 중국에 대한 연간 원유 공급량을 80만 톤 확대하고, 향후, 對중국 연간 원유 공급량을 현재의 1,500만 톤에서 최대 3,10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임.
※ 중국은 Rosneft와 2009년 2월 러시아에 250억 달러의 장기차관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2011~2030년까지 총 3억 톤(연간 1,500만 톤)의 원유를 공급받는 것에 합의한 바 있음.
- 중국 국가개발은행(CDB)은 원유 공급에 대한 조건으로 러시아에 25년 만기 20억 달러 의 차관을 제공하는 것에 합의함.
- 전문가들은 이번 원유 공급 계약으로 중국은 원유 도입선의 다변화를 추진하고 말라카해협 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게 될 것이며, 이는 중국의 에너지 안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함.
(中國財經; 新華網, 2013.3.25; 騰訊財經, 2013.3.26)
□ 중국, ’14년 세계 최초로 3+++세대 원자로 가동
ㅇ 중국 국가핵전기술공사(SNPTC)는 저쟝省에 건설 중인 산먼(三門) 원전 1호기가 2014년 10월에 가동될 것이며, 이는 세계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는 3+세대(AP1000) 원자로가 될 것으로 전망함.
- SNPTC와 Westinghouse-The Shaw Group 컨소시엄은 2008년 3+세대 원자로인
AP1000형 원자로 4기의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현재 저쟝省의 산먼 지역과 산둥省
의 하이양(海洋) 지역에 각각 2기의 원자로가 건설되고 있음.
-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발전용량 1,250MW인 산먼 원전 1, 2호기는 2009년 3월과 9월에 건설이 시작되었고, 2014년과 2015년에 가동을 개시할 예정임. 발전용량 1,250MW인 하이양 원전 1, 2호기는 2009년 9월과 2010년 6월에 건설이 시작되었고, 2014년과 2015년에 가동을 개시할 것으로 전망됨.
- 한편, 산먼 원전 1, 2호기가 모두 가동되면, 연간 연료탄과 아황산가스 감소량이 각각 500만 톤과 1만1,490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World Nuclear News; 新華網, 2013.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