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최근 북한 변화 및 개혁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최근 북한 변화 및 개혁 동향"

Copied!
44
0
0

Teks penuh

(1)統一情勢分析 2004-02. 최근 북한 변화 및 개혁 동향. 2004. 1. 북한연구실. 통일연구원.

(2) <요 약> ㅇ북한의 변화는 2002년 7월조치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그에 관한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자료를 제 공하는 것이 목적임. <변화와 개혁의 성격> ㅇ북한은 김정일 등장 이후 극심한 경제난으로 사회주의 계획경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정도로 어려움에 봉착하여, 1990년대 중 반이후 북한 당국은 처음에는 실리를 내세우면서 부분적․점진적으 로 경제관리방법을 개선하는데 국한시켰음. ㅇ북한은 2002년 7월에 종전의 경제관리부문의 개선조치와는 달리 경 제전반에 걸친 획기적인 개혁을 실시하였음. - 7월조치는 김정일의 경제관리 개선지침(2001.10.3)에 따라 2002년 도 중점과업으로 설정한 다음, 검토작업을 거쳐 이루어지게 된 일 종의 개혁으로서 - 물가․임금․환율 등 가격기구 대폭 조정을 통한 가격체계 현실 화, 개별 단위의 자율권 확대․인센티브제 도입으로 생산 의욕 및 효율성 제고, 배급제 단계적 폐지․공공요금 인상 등을 통한 사회 보장 축소 등의 광범위한 전면적 개혁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 i -.

(3) <실리사회주의론: 개혁의 이론적 기반> ㅇ김정일체제 등장 이후 북한은 ‘시대적 요구에 맞게 발전시킨다’는 명분 아래 경제사업에서의 ‘실리보장’을 중시하는 ‘실리사회주의’를 추진해오 고 있음. ㅇ북한당국은 실리사회주의를 사회주의계획경제의 틀 속에서 추진하 고 있어 자본주의로의 개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음. - 그러나 실용주의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하였던 중국의 경험에 비 추어볼 때 북한의 실리사회주의는 당시의 흑묘백묘론(黑描白描論) 의 시장사회주의와 비견된다고 하겠음. <7월조치와 후속조치 현황>. ㅇ북한은 2002년 7월 국정가격을 농민시장의 현실적인 가격수준으로 맞 추기 위해 물가․임금․환율 등을 대폭 인상하는 한편 배급제를 구입 제로 전환하는 동시에 인센티브제를 실시하는 등 경제조치를 취하였 음. ㅇ동 조치에 따라 공장․기업소에서 운영상 자율권은 확대되었으나 에너지난․원자재난 등 취약한 여건으로 기대한 만큼의 실적은 아 직 나타나지 않고 있는 과도적 상황으로서 단계적인 시장경제 성격 의 조치들을 취해 나가고 있음. - 시장기능 확대, 탄력적으로 적절한 물가조절, 점포․매대 개인 분 양 등. - ii -.

(4) <최근 인플레 추세> ㅇ7월조치에 따른 임금인상으로 주민들의 구매력은 증가하였으나 수 요에 따른 물자공급 부족으로 인플레현상은 여전한 상태이나 그 상 승폭은 줄어들고 있음. - 7월조치 이후 물가가 3~5배 이상 상승, 달러가 암시장에서 1,000원으로까지 거래 ㅇ이에 따라 당국은 쌀, 기름을 비롯한 중요지표 상품의 상한가격을 설정해 수요와 공급에 따라 10일에 한번씩 적정가격을 산출하고 있 으나 실제 시장거래 상에서는 상한가를 넘기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우리식’ 시장의 성격> ㅇ북한은 시장을 사회주의 원칙과 국가계획에 따라 운영하고 있기 때 문에 자본주의 시장과 구별되는 ‘우리식의 독자적인 시장형태’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 실제로는 주민들의 생필품 등의 구매행위가 화폐를 통해 이루어 진다는 점에서 과거 우리의 재래시장과 유사 ㅇ현재 북한의 시장은 ①기존의 사회주의적 상업유통망 ②장마당 형 태로 운영되는 농민시장 ③지난해 3월부터 개설되기 시작한 종합시 장 등의 3가지 형태가 혼재하고 있음.. - iii -.

(5) <신설 종합시장 현황> ㅇ지난해 3월 김정일 위원장의 지시로 평양에 종합시장을 개설하게 되었음. - 종합시장이란 그동안 거래품목 및 가격 제한 등으로 불법운영 되 어온 농민시장을 공식적으로 양성화하기 위해 조성된 종래보다 발전된 형태의 시장임. ㅇ종합시장과 기존의 농민시장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음. - △노천에서 장마당 형태로 운영되던 농민시장과 달리 전용 건물에서 상설운영 △농산물 이외에도 공산품까지 상품의 거래 허용범위 확대 △개인은 물론 협동농장과 공장․기업소도 상품 판매 가능 등 - 현재 평양의 종합시장은 낙랑구역의 통일거리를 비롯하여 평천구 역, 문수구역, 대성구역 등에서 운영되고 있음. <시장경제 학습 현황> ㅇ시장경제 학습은 1998년 이후 증가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동남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선진국 시장경제, 개도국의 정부주도형 개발경험, 사회주의 국가의 개방정책 등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 연수단을 파견 하고 있음. ㅇ김일성종합대와 김책공대에서는 변화된 경제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새로운 교과내용을 편성․발간 예정임. ㅇ최근에는 7월조치로 도입되기 시작한 시장경제적 요소를 이해하려 는 일반 주민들과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음. - iv -.

(6) <사회 개방 확대 현황> ㅇ2000년도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주민간 접촉증대, 교류의 질적 변화, 계속적인 대북지원 등으로 대남인식이 우호적으로 전환되고 있음. ㅇ남북간 화해협력관계가 지속되는 가운데 인적 왕래 확대, 민간차원 의 교류협력 활성화, 관광지 개방 확대 등이 북한 개방화에 기여하 였음. - 7월조치 이후 「경제특구」 추가 지정 등 보다 개방적인 대외 경제 협력을 모색하는 북한당국의 강한 의지도 개방을 촉진하고 있는 한 요인으로 볼 수 있음. <IT산업 정책 현황> ㅇ북한은 2000년 들어 김정일이 중국의 정보연구단지를 2차에 걸쳐 방문한 이후 IT산업을 통한 단번도약을 역설하며 경제난 타개를 위 한 핵심수단으로 IT산업 육성을 강화하여 오고 있음. - 최근에는 이동통신, H/W, 인터넷 등으로 대상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변화와 개혁의 성과와 전망> ㅇ북한은 2002년 이래 경제관리개선을 중점과업으로 지속 추진해오고 있으나, 아직까지 개혁․개방의 가시적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음. ㅇ러시아 및 동구 사회주의권 국가 등은 개혁․개방 직후에 일정기간 동안 마이너스성장을 지속하였는데, 북한도 개혁․개방이 본격화되 면서 성장 둔화 내지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 v -.

(7) ㅇ북한은 개혁․개방을 아직 사회주의 원칙 속에 추진되는 ‘우리식’의 독자적인 개혁․개방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 북한사회 변화의 不可逆性에 따라 시장경제 원리가 확대 적용되 는 방향으로 더욱 탄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며 - 이는 동구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개혁․개방과정에서 보았듯이 궁 극적으로는 북한경제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 vi -.

(8) - 목. 차 -. Ⅰ. 서론 ······································································································· 1 Ⅱ. 변화와 개혁의 성격 ············································································ 2 1. 변화와 개혁의 배경: 극심한 경제난 ··············································· 2 2. 부분개선에서 「전면적 개혁」으로의 전환 ······································ 2 3. 경제난 타개와 북한 개혁 ································································· 3 Ⅲ. 실리사회주의론: 개혁의 이론적 기반 ············································· 4 1. ‘실리사회주의’론의 성격 ··································································· 4 2. 실리사회주의와 개혁․개방 ····························································· 4 3. 북한의 실리사회주의와 중국의 흑묘백묘론(黑描白描論) ············· 5 Ⅳ. 7월조치와 후속조치 현황 ································································· 7 1. 개혁 조치로서의 7월조치 ································································· 7 2. 7월조치의 단계적 후속 조치 ··························································· 7 3. 시장경제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 8 Ⅴ. 최근 인플레 추세 ················································································ 9 1. 인플레의 기본원인: 물자 공급 부족 ··············································· 9 2. 최근 물가 급등세 진정 ··································································· 10 Ⅵ. ‘우리식’ 시장의 성격 ······································································· 11 1. 북한의 ‘우리식’의 시장론 ······························································· 11 2. 북한에서 시장의 3가지 형태 ························································· 11 3. 우리 재래시장과의 유사성 ··························································· 12.

(9) Ⅶ. 신설 종합시장 현황 ········································································· 13 1. 종합시장 개설(2003.3) ····································································· 13 2. 종합시장 운영실태 ··········································································· 13 3. 종합시장과 상품 구매력 ································································· 14 4. 상업유통부문 개혁조치로서 종합시장 ·········································· 15 Ⅷ. 시장경제 학습 현황 ········································································· 16 1. 해외 시장경제 연수의 증가(1998년 이후) ···································· 16 2. 시장경제 학습의 일반화(2002년 7월 이후) ·································· 16 3. 시장경제 학습 열기의 배경 ··························································· 17 Ⅸ. 사회 개방 확대 현황 ········································································ 18 1. 개방 확대 배경: 남북간 교류 증가 ··············································· 18 2. 개방에 대한 주민 인식 변화 ························································· 19 Ⅹ. IT 산업 정책 현황 ··········································································· 20 1. IT산업 추진 현황 ············································································ 20 2. IT산업 추진 주요 성과 ·································································· 20 Ⅺ. 변화와 개혁의 성과와 전망 ···························································· 24. - 표차례 <표 1> 2003년도 S/W 주요 개발 실적 ················································ 22 <표 2> 2003년도 H/W 주요 개발 실적 ················································ 23 <표 3> 2003년도 인터넷부문 주요 추진 동향 ····································· 23.

(10) Ⅰ. 서론 ㅇ1998년 9월 공식 출범한 김정일 체제는 군부 중심의 위기 관리 통 치로 체제유지에 총력을 경주하는 한편, 국제적 고립 탈피 및 심각 한 경제문제 해결을 위한 생존전략 차원의 변화 모색 ㅇ북한의 변화는 기존 정치이념과 체제의 범위 내에서 경제․외교․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실리추구에 중점 - 다른 한편 북한은 ‘우리식 사회주의’ 고수 및 ‘선군정치’에 입각 한 내부 결속을 다지는 가운데 핵․미사일을 체제보장 수단으 로 활용 ㅇ이러한 상황속에서 다양한 방식과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북한의 변 화를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 북한의 공식 이데올로기와 현실 적응을 위한 실제적인 변화를 구 분하여, 변화를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 ㅇ북한의 변화는 2002년 7월조치 이후 두드러지고 있는데, 본 연구는 그에 관한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 - 1 -.

(11) Ⅱ. 변화와 개혁의 성격 1. 변화와 개혁의 배경: 극심한 경제난 ㅇ북한은 김정일 등장 이후 극심한 경제난으로 사회주의 계획경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정도로 어려움에 봉착하였음. - 한국은행은 1995~1998년 기간중 북한의 경제성장률이 연평균 3.8%의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였다고 발표(1995년-4.1%, 1996년 -3.6%, 1997년-6.3%, 1998년-1.1%)하였으며 - GNI도 1995년 223억 달러→1998년 126억 달러로 3년 동안에 절반 가까이 감소하였음. - 1999년 이후 플러스 성장으로 반전되기는 하였으나 성장폭은 1~ 3% 수준으로 여전히 둔화되어 있는 실정임. ㅇ경제성장의 둔화 등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우선 유통부문의 경제 관리 개선조치(개혁) 시도 2. 부분개선에서 「전면적 개혁」으로의 전환 ㅇ북한 당국은 처음에는 실리를 내세우면서 부분적․점진적으로 경제 관리방법을 개선하는데 국한시켰음. - 근로자들에게 신사고와 실리를 지속 강조하는 가운데 1996년 이 후 새로운 분조관리제, 독립채산제 실시 등으로 정치사상적 인 센티브 의존 방법에서 물질적 인센티브를 제고하기 시작하였음. - 개인적 경제활동 영역 확대를 위한 헌법개정(1998.9), 2차례에 걸친 공장․기업소의 조직 통합 또는 개편(2000. 1월 및 9월) 과 기업소간 물자교류시장 허용(2002.2) 등 현체제를 유지하는 - 2 -.

(12) 가운데 부분적으로만 개선을 시도하였음. ㅇ2002년 7월조치는 종전의 경제관리부문의 개선조치와는 달리 경제 전반에 걸친 획기적인 개혁을 실시하였음. - 7월조치는 김정일의 경제관리 개선지침(2001.10.3)에 따라 2002년 도 중점과업으로 설정한 다음, 검토작업을 거쳐 이루어지게 된 일 종의 개혁으로서 - 물가․임금․환율 등 가격기구 대폭 조정을 통한 가격체계 현실 화, 개별 단위의 자율권 확대․인센티브제 도입으로 생산 의욕 및 효율성 제고, 배급제 단계적 폐지․공공요금 인상 등을 통한 사회 보장 축소 등의 광범위한 전면적 개혁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3. 경제난 타개와 북한 개혁 ㅇ북한은 사회주의를 고수하는 가운데 경제관리 개선이 종래의 제도를 재해석하거나 수정하는 방식으로 부분적․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해 왔음. ㅇ그러나 2003년 6월부터는 아직 사회주의 원칙을 강조하면서도 북한 스스로 그동안 기피해 왔던 「개혁」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 하기에 이르렀음. ㅇ이 같은 일련의 조치들은 아직 과도적인 과정에 있으나, 북한 개혁 이 불가피한 경제사회적 상황에 따라 추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 다고 하겠음.. - 3 -.

(13) Ⅲ. 실리사회주의론: 개혁의 이론적 기반 1. ‘실리사회주의’론의 성격 ㅇ김정일체제 등장 이후 북한은 ‘시대적 요구에 맞게 발전시킨다’는 명분아래 경제사업에서의 ‘실리보장’을 중시하는 ‘실리사회주의’를 추진해오고 있음. ㅇ당초에는 기존의 사회주의 경제관리방식을 재해석 또는 수정하는 방식의 부분적인 개선에 그쳤음. - 농장원의 자유처분권을 인정하는 새로운 분조관리제 채택(1996), 물질적 인센티브를 높인 독립채산제 실시(1997), 2차에 걸친 연합 기업소 개편(2002), 헌법개정(1998) 등 20여개의 경제관련법 제정 등 경제운영을 재해석 또는 수정하는 차원에서만 실시 ㅇ최근에는 7월조치를 계기로 가격부문의 개선, 공장․기업소 경영의 자율권 부여, 배급제의 단계적폐지 등을 주요 골격으로 하는 경제․사 회 개혁을 추진하기에 이르렀음. 2. 실리사회주의와 개혁․개방 ㅇ실리차원에서 남한과의 경협문제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으며 남한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대남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음. - 남북간 교역증가(1998년 2억달러→ 2002년 6억4천만달러) 및 경의 선․동해선 철도 궤도 연결공사 등 경협 확대 등으로 남한에 대 한 의존도가 1995년 12% → 2003년 25%이상으로 증가. - 4 -.

(14) - 7월조치 이후 신의주특별행정구역(2002.9), 금강산관광지구(2002.10), 개성공업지구(2002.11) 등 경제특구 추가지정 등 대외 개방에도 적극 적 자세 ㅇ대외 자본주의 시장경제 교육 및 연수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도 실리표방 이후의 주요한 변화로 지적되고 있음. - 1995~1998년 연 5~10명 수준에서 1999년 이후 수백명 수준으로 증가 - 2002년 ’경제대표단‘ 유럽4국 시찰, ’경제시찰단‘ 남한․동남아 연 수, 2003년 ‘경제연수단’ 베트남 개방정책 및 경제운용방법 연수 등 고위층에서도 시장연수에 각별한 관심을 갖기 시작 ㅇ7월조치 이후 북한주민들 역시 시장친화적 마인드를 갖게 되면서 실리사회주의를 개혁․개방의 대명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음. - 이미 주민들 사이에, ‘에누리, 깎아주다’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등 시장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북한당국도 시장이라는 용어를 공 식 사용하기 시작(2003.3) 3. 북한의 실리사회주의와 중국의 흑묘백묘론(黑描白描論)의 비교 ㅇ북한당국은 실리사회주의를 사회주의계획경제의 틀 속에서 추진하 고 있어 자본주의로의 개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음. ㅇ그러나 실용주의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하였던 중국의 경험에 비추 어볼 때 북한의 실리사회주의는 당시의 흑묘백묘론(黑描白描論)의 시장사회주의와 비견된다고 하겠음. - 북한은 “7월조치를 자본주의에로의 회귀로 보는 나라도 있지만 실. - 5 -.

(15) 리사회주의와 자본주의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고 강조 ※ 흑묘백묘론(黑描白描論)은 1978년 제11기 제3차 중국공산당 전체회의에서 등소평이 펼친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좋은 고양이”(사회주의를 하든 자본주의를 하든 잘 살기만 하면 된다)라는 개혁․개방의 논리를 지칭. - 6 -.

(16) Ⅳ. 7월조치와 후속조치 현황. 1. 개혁 조치로서의 7월조치. ㅇ북한은 2002년 7월 국정가격을 농민시장의 현실적인 가격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물가․임금․환율 등을 대폭 인상하는 한편 배급제를 구입제로 전환하는 동시에 인센티브제를 실시하는 등 7월조치를 취 하였음. - 물가는 평균 25배, 임금은 평균 18배, 환율은 69배, 공공요금은 평 균 20배 인상 - 동 조치에 대해 북한은 당초 사회주의원칙을 고수하는 가운데 경 제관리개선을 취한 조치의 일환이라고 강조하였으나, 지난해부터 는 공식적으로 ‘개혁’이라고 부르기 시작. 2. 7월조치의 단계적 후속 조치. ㅇ동 조치에 따라 독립채산제 공장․기업소에서 운영상 자율권은 확 대되었으나, 에너지난․원자재난 등 취약한 여건으로 기대한 만큼의 실적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는 과도적 상황으로서 단계적인 시장 경제 성격의 조치들을 취해 나가고 있음. - 시장기능 확대, 탄력적으로 적절한 물가조절, 점포․매대 개인 분 양 등. ㅇ물가는 동 조치 이후 3~5배 이상 오르고, 환율도 1달러당 1,000원 정도까지 상승하기도 하였음. - 7 -.

(17) 3. 시장경제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ㅇ대내 시장 기능을 공식 상업유통부문의 한 축으로 활용․강화함으 로써 시장경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형성되고 있음. - 그 동안 기피해 왔던 「경제개혁」, 「시장」 등의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는 등 시장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 “오늘의 현실에서 시장 기능을 홀시해서는 안되며 시장도 상품유통의 한 형태로 보아야 할 것임”(2003.4.1, 최홍규 국 가계획위원회 국장) - 2003년 3월부터 평양시를 비롯 북한 전역의 주요 도시에 대규 모 「종합시장」을 개설, 주민에게 규격화된 점포․매대 분양 ㅇ매대․점포 증가, 개인 서비스업 및 중개업 조직화 등 상업유통부문 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음. - 국영 공장․기업소 경우는 매대의 5%정도를 배정받아 공장 부산 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생필품을 30% 한도내에서 판매하도록 하 고 있고, 개인의 경우에는 신청을 받아 일정한 기준을 갖춘 자를 선정하여 배정하고 있음.. ㅇ따라서 7월조치는 핵문제 등 현실적인 대외협력 여건 악화 및 대내 공급능력 부족으로 아직 이렇다 할 성과가 가시화 되지 않고 있으나 - 북한사회 분위기는 실리를 중시함에 따라 시장친화적으로 변화되 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됨.. - 8 -.

(18) Ⅴ. 최근 인플레 추세 1. 인플레의 기본원인: 물자 공급 부족 ㅇ농산물 등 일부 품목만 거래가 허용되던 농민시장에서는 수요와 공 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었으므로 7월조치 이전에도 물자 공급 부 족으로 인플레가 있었음. ㅇ7월조치로 물가, 임금, 환율 등이 현실화되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 은 다음과 같음. - 쌀 550배(8전→44원), 옥수수 400배, 콩기름 45배, 운동화 50배 등 식량․생필품의 국정 공급가격이 농민시장 수준으로 수십~수백 배 인상되었으며 - 광부 등 중노동자는 20~30배, 사무직은 9배 등 평균 18배 인상하 되 차별적인 임금조정을 실시하였음. - 또한 종래 고평가되어 온 북한 원화의 달러환율을 나선지역 수준으 로 현실화하고(1$당 2.2원 → 150원) 외화와 바꾼돈표를 폐지하였음. ㅇ 7월조치에 따른 임금인상으로 주민들의 구매력은 증가하였으나 수요에 따른 물자공급 부족으로 인플레현상은 여전한 상태 - 7월조치 이후 물가가 3~5배 상승, 달러가 암시장에서 1,000원 으로까지 거래 ㅇ이에 따라 당국은 쌀, 기름을 비롯한 중요지표 상품의 상한가격을 설정해 수요와 공급에 따라 10일에 한번씩 적정가격을 산출하고 있 으나 실제 시장거래 상에서는 상한가를 넘기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9 -.

(19) 2. 최근 물가 급등세 진정 ㅇ7월조치가 1년여 지난 지금도 물가 및 비공식환율이 상승하고 있으 나 그 상승폭은 줄어들고 있음. - 쌀 가격은 kg당 80원(2002.7)→160원(2003.4)→180원(2003.7)→190 원(2003.10), 암시장 달러화는 200원(2002.7)→400원(2003.2)→900원 (2003.5)→1,000원(2003.11) 등으로 점차 상승폭이 둔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ㅇ이는 7월조치 이후 인플레는 주민들의 수요와 물자공급 사정에 따 른 과도적인 물가조정 과정이라고 볼 수 있음. - 최근에 와서 물가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음을 볼 때, 이와 같은 과도 적인 물가조정 과정도 어느 정도 진정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보임.. - 10 -.

(20) Ⅵ. ‘우리식’ 시장의 성격 1. 북한의 ‘우리식’의 시장론 ㅇ북한은 시장을 사회주의 원칙과 국가계획에 따라 운영하고 있기 때 문에 자본주의 시장과 구별되는 ‘우리식의 독자적인 시장형태’라고 주장하고 있음. - 가격당국이 쌀, 기름을 비롯한 중요 지표 상품의 최고한도가격을 설정하고 그 범위 내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10일에 한번씩 ‘적절 한 가격’을 산출한다는 점에서 가격이 국가계획에 의거한다고 설명 - 종합시장의 경우 국가 조직 형태인 국영기업소로 운영되고 있다 는 점도 자본주의 시장과 다른 점으로 제시 2. 북한에서 시장의 3가지 형태 ㅇ현재 북한의 시장은 ①기존의 사회주의적 상업유통망 ②장마당 형 태로 운영되는 농민시장 ③지난해 3월부터 개설되기 시작한 종합시 장 등의 3가지 형태가 혼재하고 있음. ㅇ기존의 사회주의 상업유통망인 백화점, 전문상점, 국영상점 등이 사회주의적 공급․배분기능을 담당해왔으나 극심한 경제난 이후 사 실상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ㅇ농민시장은 1990년대 중반 경제난으로 공식 유통망이 붕괴되면서 활성화된 시장으로 주민들이 식량 및 생필품의 80% 이상을 조달하 는 북한 최대의 유통경로임. - 농민시장은 수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장마당 형태의 비상설 - 11 -.

(21) 시장으로 극히 일부 품목만 공식적인 거래가 허용되어 7월조치 이전에는 주로 암시장으로 기능하였음. ㅇ종합시장은 지난해 3월 김정일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농민시장을 양성화하면서 확대․개편한 상설시장으로, 평양에 40여개를 비롯 북 한 전역에 총 300여개의 조성을 추진하고 있음.. 3. 우리의 재래시장과 유사성 ㅇ현재 북한의 물자 공급은 기존의 사회주의 상업유통망보다 농민시 장, 종합시장에 주로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음. - 종합시장이 물건을 구입하려는 사람들로 붐비고 거리와 시장에 매대가 급증하여 매대간에 경쟁 분위기까지 조성되고 있음. ㅇ그동안 가격제정위원회에서 ‘가격의 일원화 및 세부화 원칙’에 따라 정했던 국정가격 체계가 사실상 변화되고 있음. -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면서 시기와 지역에 따라 가격 이 다른 상황이 전개되고 있으며 북한 시장에서 찾아볼 수 없었 던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가격 흥정문화가 정착되어 가고 있음. ㅇ따라서 북한이 자신들의 시장을 자본주의 시장과 구별되는 ‘우리식 의 독자적인 시장형태’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 운영은 과거 우리 의 재래시장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음.. - 12 -.

(22) Ⅶ. 신설 종합시장 현황 1. 종합시장 개설(2003.3) ㅇ북한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난이 극심해지면서 공식 배급망과 유통망이 붕괴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농민시장도 주 민들의 주요한 식량 및 생필품을 거래하는 암시장으로 전락하였음. - 주민들이 식량 및 생필품의 80% 이상을 농민시장에서 조달 ㅇ이에 따라 지난해 3월 김정일 위원장의 지시로 평양에 종합시장을 개설하게 되었음. - 종합시장이란 그동안 거래품목 및 가격 제한 등으로 불법운영 되 어온 농민시장을 공식적으로 양성화하기 위해 조성된 종래보다 발전된 형태의 시장임. ㅇ종합시장과 기존의 농민시장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음. - △노천에서 장마당 형태로 운영되던 농민시장과 달리 전용 건물 에서 상설운영 △농산물 이외에도 공산품까지 상품의 거래 허용 범위 확대 △개인은 물론 협동농장과 공장․기업소도 상품 판매 가능 등 2. 종합시장 운영실태 ㅇ현재 평양의 종합시장은 낙랑구역의 통일거리를 비롯하여 평천구역, 문수구역, 대성구역 등에서 운영되고 있음. - 앞으로 북한은 평양에 40여개, 시․군별로 1~2개씩 개설해 북한 전역에 약 300여개의 종합시장을 조성해 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 - 13 -.

(23) 려지고 있음. ㅇ종합시장에서는 기존의 농민시장보다 다양하고 질좋은 상품을 용이 하게 구입할 수 있어 주민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군수품 등 일부 금지품목을 제외하고는 수입품 등 거의 모든 품 목이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야채, 돼지고기 등 식품류와 중국제 가방, 신발 등이 많이 팔리고 있음. ㅇ종합시장은 하나의 국영기업소로 개인, 단체, 기업소들로부터 자릿 세와 같은 「시장사용료」와 함께 세금형태의 「국가납부금」을 징수하 고 있음. - 시장내 매대 사용을 위해서는 개인의 경우 일정한 기준을 갖추어 당국에 신청을 해야 하는데 평양 중구역의 경우 한 인민반(20세 대)에 세 자리가 배정되었음. - 전체 매대의 5%정도를 할당받고 있는 협동농장이나 공장․기업소 의 경우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매대를 배정받아 부산물로 생산된 생필품을 개인 매대보다도 싼 가격으로 판매하 고 있음. 3. 종합시장과 상품 구매력 ㅇ흔히 북한의 극심한 경제난을 고려할 때 주민들의 구매력이 낮다고 인식할 수 있으나, 주민보유 통화는 북한 당국이 파악하지 못할 정 도로 많은 실정임. - 한국은행에서는 7월조치 이전에도 한 가구당 14,000여 북한원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 바 있음.. - 14 -.

(24) ㅇ7월조치 이후 임금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물가가 급등하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많은 주민들이 종합시장을 찾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인 것으로 보임. 4. 상업유통부문 개혁조치로서의 종합시장 ㅇ결국 이와 같은 종합시장 개설은 북한 당국이 7월조치 이후 농민시 장에 의존해왔던 상업유통부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보임.. - 15 -.

(25) Ⅷ. 시장경제 학습 현황 1. 해외 시장경제 연수의 증가 (1998년 이후). ㅇ1998년 헌법 개정 이후 북한은 소련 및 동구 사회주의 제국의 붕괴 로 달라진 국제경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시장경제에 높은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음. - 대내적으로는 1997년 김일성종합대에 자본주의강좌 개설, 1998년 나진기업학교 등 무역전문가 양성기관 설립, 2000년 무역성 산하 에 자본주의제도연구원 신설 - 대외적으로는 해외 시장경제 연수생이 1998년 10여명에 불과했던 것이 1999년부터는 매년 수백명씩 현장학습을 실시하고 있음.. ㅇ특히 최근에는 동남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선진국 시장경제, 개도국 의 정부주도형 개발경험, 사회주의 국가의 개방정책 등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 연수단을 파견하고 있음. - 지난 해에도 시장경제연수단 호주국립대 연수(4월), 경제연수단 베 트남 개방정책 및 경제운용방법 연수(8월), 최고인민회의대표단 베트남 개방관련 법제연수(8월), 무역성대표단 스웨덴 경제연수(9 월), 사회과학원대표단 중국 금융연수(8월~12월) 등으로 연수 기 간과 규모를 확대하고 있음. 2. 시장경제 학습의 일반화 (2002년 7월 이후) ㅇ김일성종합대와 김책공대에서는 변화된 경제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새로운 교과내용을 편성․발간 예정임.. - 16 -.

(26) - 김일성종합대에서는 이론과목 보다는 경영학 등 미시경제 및 실 천과목의 비중을 높이고 재정금융학에서 현금유통을 다루기 시작 하고 있으며, 김책공대에서는 IT 중심으로 총 610여개의 교과목 내용을 새롭게 개편 ㅇ최근에는 7월조치로 도입되기 시작한 시장경제적 요소를 이해하려 는 일반 주민들과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음. - 지난해 8월 1년만에 「상업사전」이 최초로 발간된 후 관계부문 실 무자 및 전문가 뿐 아니라 근로자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모으고 있음. - 학생들도 무역과 상업유통부문을 인기직종으로 인식하여 시장경 제 학습에 적극적인 분위기 3. 시장경제 학습 열기의 배경 ㅇ북한이 시장경제 학습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은 경제회생을 위해 시장원리 도입이 불가피해지면서 이 분야에 대한 테크노크라트의 육성이 절박해지고 있기 때문임. - 북한이 최고인민회의 제11기 1차회의를 통해 남한 경제시찰단의 일원이었던 박봉주, 김광린, 박남기를 각각 총리, 국가계획위원장, 예산위원장으로 임명하였으며, 해외연수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무역성, 대외무역상사, 수출전문공장 등에 실무책임자로 배치하고 있는 것도 이를 반영하는 것임.. - 17 -.

(27) Ⅸ. 사회 개방 확대 현황 1. 개방 확대 배경: 남북간 교류 증가 ㅇ남북간 화해협력관계가 지속되는 가운데 인적 왕래 및 민간차원의 교류협력 활성화도 북한사회 개방에 일조를 하고 있음. - 방북계층․접촉대상․방문장소 등이 다양해지고 규모도 확대(최근 매년 10,000여명 방북) : 1990년 474명→2003년 14,395명으로 약 30배 증가 - 언론․체육․학술 등 남북교류협력 확대 : 남북방송인 토론회 개 최(2003.10), 남북학술토론회(2003.8) 등 2003년도에 대규모 교류협 력행사 6회 개최 ㅇ관광지 개방 확대도 북한 개방화에 기여하였음. - 1998.1월 금강산관광을 시작한 이래 금강산육로관광(2003.2), 평양관광 (2003.9) 등을 통해 그동안 58만여명의 관광객이 북한을 방문하였음. - 국제관광부문의 대외활동 강화 : 싱가포르 국제관광전(2001.3), 세 계관관광기구(WTO) 제50차 회의(2001.4), 베를린 국제관광박람회 (2002.3) 참가, WTO와 칠보산관광개발 협의(2003.5), 중국과 백두 산 관광계획 협의(2003.9) ㅇ7월조치 이후 「경제특구」 추가 지정 등 보다 개방적인 대외 경제협 력을 모색하는 북한당국의 강한 의지도 개방을 촉진하고 있는 한 요인으로 볼 수있음. - 기존 나진․선봉 경제무역지대(1991.2)외에 신의주특별행정구역 (2002.9), 금강산관광지구(2002.10), 개성공업지구(2002.11) 추가 지정 - 18 -.

(28) 2. 개방에 대한 주민 인식 변화 ㅇ2000년도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주민간 접촉증대, 교류의 질적 변화, 계속적인 대북지원 등으로 대남인식이 우호적으로 전환되고 있음. - 북한사회에서 가요․드라마 등 남한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 및 남 한제품 선호경향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음. - 「아침이슬」, 「사랑의 미로」 등 남한 노래가 인기 있고, 「가을동화」, 「겨울연가」 등의 남한 녹화테이프(개당 10달러)도 부유층을 중심 으로 급속 확산되고 있으며, 시장에서 남한상표가 있어야 진품으 로 더 잘 팔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ㅇ과학기술발전을 통한 단번도약론은 통신개방으로까지 가시화되기 시작, 통신의 사회개방도 멀지 않음을 예고하고 있음. - 2000년들어 김정일이 중국의 북경 中關村과 상해 浦東지구 방문을 계기로 IT산업 육성을 강화하기 시작한 이래 통신망 현대화 사업 에 주력하고 있음. - 북한이 직․간접적으로 관리운영하는 국내외 인터넷사이트는 천 리마그룹 등 경제부문을 중심으로 해외사이트 개설 급증(2003년 8건), 국제인터넷 망과의 연결계획 표명(2003.9) - 지난해 11월 평양시․나선시에서 3천여대의 휴대전화를 개통한 이 래 2003년 들어 2만여대의 휴대전화를 보급하여 평양, 나선, 남포, 개성 등에서 휴대전화를 개통하였고 2007년까지는 전국적으로 확 대 계획. - 19 -.

(29) Ⅹ. IT 산업 정책 현황 1. IT산업 추진 현황 ㅇ북한은 2000년 들어 김정일이 중국의 정보연구단지를 2차에 걸쳐 방문한 이후 IT산업을 통한 단번도약을 역설하며 경제난 타개를 위 한 핵심수단으로 IT산업육성을 강화하여 오고 있음. - 선진 IT기술과 자본 도입을 위해 대외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2002~2003년간 9개국과 16건의 과학기술교류협정을 체결 - 펜티엄 Ⅳ급 컴퓨터생산(중국), 이동통신사업(태국), TV생산, S/W 프로그램개발(한국) 등 외국과의 합작사업에 주력 - IT인재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체계 신설 및 개편에 주력하고 있음. ※ 함흥 컴퓨터기술대학․과학원산하 정보기술학교 설립(2001), 평양학생소년 궁전 등 컴퓨터 수재반 4개소 운영(2002), 김책 공대 등 주요 대학․연구소 IT교육과정 신설 및 개편(2003) 2. IT산업 추진 주요 성과 ㅇ북한은 2000년도 이래 S/W개발 중심의 IT산업에 주력하여 오다 최 근에는 이동통신, H/W, 인터넷 등으로 대상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통신부문> ㅇ이동통신은 태국 록슬리社와 동북아전신회사(NEAT&T)를 설립하 여 2002년 11월 평양시․나선시에서 휴대전화 서비스를 시작한 이 래 2007년까지 북한 전역으로 확대를 추진하고있음. ※ 이동통신기지국 50개를 건설(평양, 나선, 남포, 개성, 원산↔. - 20 -.

(30) 함흥, 평양↔향산간 주요 도로 등)하였으며 휴대전화 가입 자는 2002년 11월 3,000명→2003년 12월 20,000명으로 증가 ㅇ유선통신은 앞으로 4~5년내 전 세대에 전화보급 목표를 설정 ※ 휴대전화기 구입비는 북한화로 2만 100원(131달러), 가입비 11만 7천원(765달러)이며 일반전화는 6만원(392달러)이 소요 <소프트웨어 개발> ㅇ게임․언어처리․인식분야의 S/W 및 생산공정 컴퓨터화 부문에서 다소의 성과를 거양하였음. - 그러나 북한의 S/W부문은 창의성․상품성이 부족하고 가치 있는 프로그램 이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하드웨어 개발> ㅇ바세나르 협약, 자본․기술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북․중 합작으로 펜티엄Ⅳ급 컴퓨터를 조립 생산하고 있음. ※ 북․중 합작 「아침-판다 컴퓨터회사」에서 연간 펜티엄급 컴퓨터 본체 13만 5천대, 모니터 10만대를 생산(2003.5) <컴퓨터 통신망> ㅇ광케이블망 구축 등 기초적인 성과를 거두고는 있으나 체제특성의 한계, 일반주민 접근통제, 컴퓨터 부족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수 준이 낙후되어 있는 실정임. ※ 「실리은행」 국제 전자우편 24시간 서비스제공(2003.11), 광 케이블망 시․군 소재지까지 구축(2003.10), 국제전자우편 서비스 실시(2003.11) 등 초기단계 수준. - 21 -.

(31) <인터넷 부문> ㅇ경제․과학발전을 위해서는 인터넷의 활용이 중요함을 인식하면서 대내적으로는 내부전산망인 INTRANET(폐쇄적 인터넷망)을 활용 (북한내 20여개의 홈페이지 구축․운영)하고 대외적으로는 경제부문 의 인터넷사이트를 직․간접적으로 확대 추진하는 한편 국제인터넷 망과의 접속계획도 표명(2003.9)하고 있음. <표 1> 2003년도 S/W 주요 개발 실적 일 시. 개발 내용. 연구기관. 1.13. 생산 지휘 프로그램 「백금」. 정보기술개발연구센터. 5.22. 음성인식 「체질분류방법」 프로그램. 고려의학종합병원. 6.10. 「세포융합」프로그램. 과학원 자동화연구소. 8. 6. 과학기술대사전 「광명2003」. 과학원 중앙과학기술통보사. 8.15. 세계컴퓨터바둑대회 「은바둑」 우승. 조선컴퓨터센터 삼일포정보센터. 8.23. 지리정보체계 「삼천리」. 김일성종합대학. 8.23. 문자인식 「용남산6.1」. 김일성종합대학. 8.23. 공장․기업소 관리운영 프로그램. 김책공대․이과대학 공동. 9.15. 건축지원 「고구려 건축」프로그램. 평양건설건재대학. 10.9. 컴퓨터운영체계 「아리랑2.0」. 김책공대. 10.9. 화상 프로그램 「섬광」. 김책공대. 11.6. 생물 프로그램 「생명의 기원」. 김일성종합대 생물정보연구실. 11.6. 컴퓨터 총서 「혁명의 성산 백두산」. 중앙과학기술통보사. - 22 -.

(32) <표 2> 2003년도 H/W 주요 개발 실적 일 시. 개발 내용. 연구기관. 3.15. 펜티엄Ⅳ급 「아침-판다 PC」 생산. 아침-판다 컴퓨터 합영회사. 3.28. 휴대용 「음성증폭기」. 강원도 통신기계수리공장. 4. 5. 휴대용 「야외전자시계」. 과학원 전자공학연구소. 4. 7. 휴대용 개인단말기 「하나21」. 과학원․조선컴퓨터센터 공동. <표 3> 2003년도 인터넷부문 주요 추진 동향 일 시. 주요 내용. 1.18. ․오스트리아주재 북한대사관 인터넷 쇼핑몰(dprkorea-trad. e. com)개설. 2.12. ․천리마그룹 스위스에서 상업무역용 사이트(cholima-group. com)개설. 5.19. ․공장․기업소에 과학기술정보 제공 사이트(stic. ac. kp)개설. 9.19. ․차단기술(방화벽)을 개발하여 국제인터넷망과 연결 계획 표명. 10.22. ․중국에서 조선우호협회 북한상품 판매 사이트(korea-dpr. com)개설. 11.22. ․평양정보센터 싱가포르에서 S/W판매 사이트(pic-international.com)개설. - 23 -.

(33) Ⅺ. 변화와 개혁의 성과와 전망 ㅇ북한은 2002년 이래 경제관리개선을 중점과업으로 지속 추진해오고 있으나, 아직까지 개혁․개방의 가시적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음. - 이는 7월조치와 신의주․금강산․개성 특구 개방 등 개혁․개방 의 성과가 나타나기에는 실시기간이 1년여에 불과한 짧은 기간인 데다 - 또 개혁․개방 여건도 핵문제, 심각한 공급부족문제 등으로 불리 한 상황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ㅇ러시아 및 동구 사회주의권 국가 등은 개혁․개방 직후에 일정기간 동안 마이너스성장을 지속하였음. - OECD 자료(「세계경제전망」)에 의하면 러시아는 체제전환 직후 1990~1995년(6년) 동안 연평균 11.7%의 마이너스성장을 지속하 였으며 - 체코․헝가리 등 동구 사회주의권 국가들도 개혁․개방을 하면서 과도적으로 평균 4년 동안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하였음. ㅇ이는 개혁․개방에 따른 진통을 말해주는 경험적 사례로서 북한도 개혁․개방이 본격화되면서 성장 둔화 내지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 피할 것으로 보임.. ㅇ북한은 7월조치에 따라 배급제 폐지 및 구입제 도입, 인센티브제 강 화, 개인적 경제활동의 확대 등을 실시, 이미 내부 개혁에 시장경제 요소 도입을 확대하고 있음. - 지난해 3월 김정일 지시에 따라 개설된 ‘종합시장’도 ‘시장’을 체계. - 24 -.

(34) 화하기 위한 상업유통부문의 개혁 조치임. - 각급 공장․기업소의 독립채산제 역시 정치사상적 인센티브가 주 축이 되었던 과거의 방식과는 달리, 최근에는 물질적 인센티브(성 과급제)를 강화하고 있음. ※ 북한 주민들은 나라의 재정부담으로 모든 생활이 보장되던 것을 과거의 일로 간주하면서 이러한 변화를 ‘되돌릴 수 없는 흐름’으로 인식하기 시작 ㅇ북한은 개혁․개방을 아직 사회주의 원칙 속에 추진되는 ‘우리식’의 독자적인 개혁․개방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 북한사회 변화의 不可逆性에 따라 시장경제 원리가 확대 적용되 는 방향으로 더욱 탄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며 - 이는 동구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개혁・■개방과정에서 보았듯이 궁극적으로는 북한경제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 25 -.

(35) 최근 발간자료 안내 ∎ 연구총서. 2001-01 미국의 NMD 구축과 한반도의 안전보장 전성훈 저. 10,000원. 2001-02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북정책 추진방향 황병덕. 저. 6,000원. 신상진. 저. 4,000원. 최의철. 저. 7,500원. 김영춘. 저. 3,500원. 김학성․최진욱 공저. 6,500원. 2001-03 중․러간 전략적 협력강화와 한반도 2001-04 남북 통합과정에서 기업인과 이산가족 교류의 역할 2001-05 일본의 북한위협 인식과 군사력 강화 2001-06 남북한 지방자치단체간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2001-07 북한의 산업입지와 남북협력 : 첨단기술산업 포함 김영윤. 저. 6,500원. 배정호. 저. 4,500원. 박형중. 저. 8,500원. 박영규. 저. 5,000원. 이교덕. 저. 7,500원. 2001-08 일본의 국가 전략과 한반도 2001-09 북한의 변화 능력과 방향 및 속도와 동태 2001-10 통일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2001-11 「김정일 선집」분석 2001-12 김정일 정권의 분야별 정책변화 추이분석 전현준. 저. 8,000원. 서재진. 저. 7,000원. 임순희. 저. 5,500원. 이우영. 저. 6,000원. 이금순. 저. 5,500원. 박종철. 저. 4,000원. 김규륜. 저. 3,000원. 이헌경. 저. 6,000원. 2001-13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새로운 분석 2001-14 북한문학의 김정일 “형상화” 연구 2001-15 북한문화의 수용실태조사 2001-16 남북한 재난관리 협력방안 2001-17 북․미 미사일 협상과 한국의 대책 2001-18 남북한 에너지분야 교류․협력 발전방향 2001-19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실태와 미국의 대응: 전략과 시뮬레이션. - 26 -.

(36) 2001-20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대북한 정책: 지속과 변화 최춘흠. 저. 4,000원. 여인곤. 저. 6,500원. 김국신. 저. 4,500원. 최수영. 저. 4,500원. 박영호. 저. 5,000원. 허문영. 저. 6,500원. 김성철. 저. 5,500원. 조한범. 저. 4,500원. 손기웅. 저. 4,000원. 임강택. 저. 8,000원. 조 민. 저. 5,000원. 오승렬. 저. 5,000원. 김성철외 공저. 10,000원. 2001-21 러시아의 안보․군사전략 변화와 푸틴의 한반도정책 2001-22 미국의 대북정책과 북한의 반응 2001-23 남북경협 발전을 위한 동북아 활용방안 2001-24 남북한 평화공존과 대북정책 2001-25 북한외교의 특징과 변화 가능성 2001-26 국제금융기구와 사회주의 개혁․개방 2001-27 체제전환기 러시아의 사회상 연구 2001-28 “남북환경공동체” 형성 방안 2001-29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30 남북한 이념통합의 방향과 과제 2001-31 중국경제의 개혁․개방과 경제구조: 북한경제 변화에 대한 함의 2001-32 김정일연구 2002-01 통일한국의 비핵정책: 통일과정에서 통일이후를 바라보며 전성훈. 저. 8,000원. 손기웅. 저. 8,500원. 이헌경외 공저. 9,000원. 2002-02 남북 환경․에너지협력 활성화 전략 연구 2002-03 미국의 MD체제 추진 실태와 국제사회의 반응 2002-04 북한의 맑스-레닌주의와 주체사상의 비교연구 서재진. 저. 8,500원. 이우영. 저. 5,500원. 최의철. 저. 6,000원. 박영규. 저. 4,000원. 전현준. 저. 4,000원. 2002-05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 2002-06 북한인권과 유엔인권레짐 2002-07 김정일 정권의 외교 전략 2002-08 북한의 대남 정책 특징. - 27 -.

(37) 2002-09 김정일 현지지도의 특성 이교덕. 저. 4,000원. 박형중외 공저. 10,000원. 2002-10 김정일총서 2002-11 “불량국가” 대응 전략 박형중. 저. 4,500원. 정영태. 저. 4,500원. 김병로. 저. 6,000원. 최진욱. 저. 4,000원. 김규륜. 저. 3,000원. 김학성. 저. 5,500원. 홍관희. 저. 5,000원. 김영윤. 저. 7,000원. 오승렬. 저. 4,500원. 최수영. 저. 4,500원. 박종철. 저. 4,000원. 김학성외 공저. 8,500원. 2002-12 파키스탄-인도-북의 核政策 2002-13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와 종교실태 2002-14 9.11테러사태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과 북미관계 전망 2002-15 북한의 국가위험도 측정모델 개발연구 2002-16 남북한 관계의 제도적 발전 : 이론과 실제 2002-17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한국의 대응 2002-18 북한 협동농장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2002-19 북한경제의 변화 “이론과 정책” 2002-20 북한 농업의 개발전략과 남북한 농업협력 2002-21 남북협력 증진을 위한 군사적 조치의 이행방안 2002-22 북한핵문제와 남북관계의 진로 2002-23 남북한 및 미국의 3자 관계와 평화공존 박영호. 저. 5,000원. 허문영. 저. 4,500원. 조 민. 저. 4,500원. 조한범. 저. 3,500원. 임강택. 저. 5,000원. 박영호. 저. 4,500원. 조한범외 공저. 6,000원. 2002-24 북한의 핵개발계획 인정과 우리의 정책방향 2002-25 화해협력정책과 남북한 미래상 연구 2002-26 남북한 사회문화공동체 형성 방안 연구 2002-27 새로운 남북협력모델의 모색 2002-29 통일시나리오와 통일과정상의 정책추진방안(이론적 모델) 2002-30 통일시나리오와 통일과정상의 정책추진방안(점진적 시나리오). - 28 -.

(38) 2002-32 미국의 대․반테러 세계전략과 대북전략 이헌경. 저. 6,000원. 김영춘. 저. 4,500원. 배정호. 저. 5,000원. 최춘흠. 저. 3,500원. 여인곤. 저. 7,000원. 김국신. 저. 4,000원. 최의철․서재진․이금순외 공저. 7,000원. 최의철․서재진․이금순외 공저. 6,500원. 서재진․최의철․김병로외 공저. 8,500원. 서재진․최의철․이우영외 공저. 9,500원. 서재진․최의철․이우영외 공저. 9,500원. 서재진․최의철․이우영외 공저. 10,000원. 2002-33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변화와 추이 2002-34 21세기 한국의 발전구상과 대북전략 2002-35 韓半島 平和體制 構築과 中國 2002-36 통일독일의 적극적 외교정책과 한반도 2002-37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한반도 ∎ 북한인권백서. 북한인권백서 2001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01 북한인권백서 2002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02 북한인권백서 2003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03. ∎ 연례정세보고서. 2001 통일환경 및 남북한 관계: 2001~2002 5,000원. 2002 통일환경 및 남북한 관계: 2002~2003 6,000원 ∎ 학술회의총서. 2001-01 베를린선언과 남북관계 7,500원. 2001-02 제2차 남북정상회담과 평화체제 구축 7,500원. 2001-03 부시 행정부 출범이후 동북아정세와 한․중협력 5,500원. 2001-05 경기도의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방안. - 29 -.

(39) 5,500원. 2001-07 분단국 통합과 평화협정 6,000원. 2002-01 한반도 평화정착의 현황과 전망 4,500원. 2002-02 북한 체제의 현주소 7,000원. 2002-03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 6,500원. 2002-04 북한의 변화와 남북관계 5,500원. 2002-05 한반도 평화정착과 국제협력 6,500원. 2003-01 신정부 국정과제 추진방향 5,000원. 2003-02 한반도 평화번영과 국제협력 5,500원 ∎논 총. 통일정책연구, 제10권 1호 (2001) 10,000원. 통일정책연구, 제10권 2호 (2001) 10,000원. 통일정책연구, 제11권 1호 (2002) 10,000원. 통일정책연구, 제11권 2호 (2002) 10,000원. 통일정책연구, 제12권 1호 (2003) 10,000원. 통일정책연구, 제12권 2호 (2003) 10,000원. International Jouran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0, No. 1 (2001) 8,000원. International Jouran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0, No. 2 (2001) 10,000원. International Jouran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1, No. 1 (2002) 8,500원. International Jouran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1, No. 2 (2002) 10,000원. International Jouran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2, No. 1 (2003) 9,000원. - 30 -.

(40) ∎ 영문초록. 2003-1 KINU Research Abstracts ’02 10,000원 ∎ 협동연구총서. 2001-01 남북연합의 개념과 추진과제 5,500원. 2001-02 남북한 평화공존과 남북연합 추진방안 10,000원. 2001-03 정상회담 이후 남북한 평화공존의 제도화 추진방안 9,000원. 2001-04 남북연합 형성을 위한 주변4국 협력유도 전략 8,000원. 2001-05 남북한 평화공존을 위한 사회․문화 교류․협력의 활성화방안 6,000원. 2001-06 북한의 경제전환모형: 사회주의국가의 경험이 주는 함의 9,500원. 2001-07 남북한 경제교류․협력 제도화 방안 6,000원. 2001-08 남북한 평화공존과 남북한연합추진을 위한 법제정비방안 연구 10,000원. 2001-09 남북한 평화공존을 위한 청소년의 사회․문화적 동질성 증진방안 8,500원. 2001-10 남북연합단계에서의 여성정책 추진방안 9,500원. 2001-11 남북연합의 정부․행정체제 구축방안 6,500원. 2001-12 남북 교육공동체 구성을 위한 교육통합 방안 연구 10,000원. 2001-13 남북한 평화공존과 남북연합 추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분야의 연계방안 연구 8,000원. 2001-14 남북한 농업기술 교류․협력 세부실행계획 10,000원. 2001-15 북한의 농업생산기반에 관한 연구 6,500원. 2001-16 2001년 협동연구 요약집 7,500원. - 31 -.

(41) 2002-01 남북한 ‘실질적통합’의 개념과 추진과제 7,500원. 2002-02 남북한 실질적 통합을 위한 교류․협력 제도화 방안 10,000원. 2002-03 남북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대북투자 방안 김영윤외 공저. 9,000원. 박형중외 공저. 6,000원. 배정호외 공저. 6,000원. 박영호외 공저. 6,000원. 허문영외 공저. 5,500원. 김병로외 공저. 7,500원. 강일규외 공저. 8,500원. 양현모외 공저. 7,000원. 윤종혁외 공저. 6,000원. 조은석외 공저. 10,000원. 길은배외 공저. 9,000원. 김제인외 공저. 10,000원. 신동완외 공저. 10,000원. 김동규외 공저. 8,000원. 2002-04 남북연합기 북한 지역에 시장제도 정착 방안 2002-05 남북한 실질적 통합과 주변국 협력 유도 방안 2002-06 남북연합 하에서의 남북정치공동체 형성 방안 2002-07 남북한 실질적 통합과정에서 주한미군의 위상과 역할 2002-08 남북한 통합을 위한 종교교류․협력의 제도화 방안 2002-09 남북한 직업교육훈련체제 통합 및 운영방안 연구 2002-10 남북한 실질적 통합단계에서의 행정통합의 과제 2002-11 남북한 실질적 통합단계의 교육통합 방안 연구 2002-12 남북한 법통합 및 재산권문제 해결방안 연구 2002-13 남북한의 실질적 통합을 위한 청소년 교류․협력 제도화방안 연구 2002-14 남북한의 실질적 통합을 위한 여성정책방안 2002-15 실질적 통합대비 남북한 농업기술 교류협력 공동 추진 계획 2002-16 실질적 통합 단계에서의 남북 문화예술 분야의 통합방안 2002-17 2002년 협동연구 요약집 10,000원. 2003-01 국내적 통일인프라 실태 10,000원. 2003-02 통일정책 형성과정 및 실태 허문영외 공저. 10,000원. 최진욱외 공저. 10,000원. 2003-03 남북관계의 진전과 국내적 영향. - 32 -.

(42) 2003-04 법․제도분야 통일인프라 실태 연구 제성호외 공저. 10,000원. 한만길외 공저. 10,000원. 신동천외 공저. 10,000원. 이금순외 공저. 10,000원. 박영규외 공저. 9,000원. 2003-05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 2003-06 국내적 통일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경제분야 2003-07 북한이탈주민 적응 실태 연구 2003-08 종합결과보고서. - 33 -.

(43) 통일연구원 定期會員 가입 안내 통일연구원은 통일문제가 보다 현실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동안 제한적으로 유관기관과 전문 가들에게만 배포해오던 각종 연구결과물들을 보다 폭 넓게 개방하여 전국의 대형서점에서 개별구입하거나 본원 의 定期會員에 가입하여 구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원의 간행물 분량이 많아 일일이 서점에서 구입하기에는 번거로움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定期會員 制를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정기회원에게는 본원의 모든 간행물(연구총서, 국문논총, 영문저널, 학술회의 총서, 판매되지 않는 수시 정세분석보고서 등)을 직접 우편으로 우송해드리는 것은 물론 학술회의 초청 등 회원의 권 리를 부여하오니 많은 이용을 바랍니다. 1. 정기회원의 구분 1) 일반회원: 학계나 사회기관에서의 연구종사자 2) 학생회원: 대학 및 대학원생 3) 기관회원: 학술 및 연구단체 또는 도서관 등의 자료실 2. 회원가입 및 재가입 1) 가입방법: ① 회원가입신청서를 기재하여 회비를 납부하신 入金證과 함께 본 연구원으로 Fax 또는 우편 으로 보내주심으로써 정기회원 자격이 취득됩니다. ② 본원 홈페이지(http://www.kinu.or.kr)에서 회원가입신청서를 작성하신 후 회비를 납부하 신 입금증을 Fax 또는 우편으로 보내주심으로써 정기회원 자격을 취득하실 수 있습니다. 2) 연 회 비: 회원자격은 가입한 날로부터 1년간입니다. (기관회원 20만원, 일반회원 10만원, 학생회원 7만원) 3) 납부방법: 신한은행 온라인 310-05-006298(예금주: 통일연구원) 4) 재 가 입: 회원자격 유효기간 만료 1개월전 회비를 재납부하면 됩니다.(재가입 안내장을 발송) 3. 정기회원의 혜택 1) 본 연구원이 주최하는 국제 및 국내학술회의 등 각종 연구행사에 초청됩니다. 2) 본 연구원이 발행하는 학술지 통일정책연구 와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를 포함하여 그 해에 발행되는 단행본 연구총서(연평균 30-35권), 학술회의 총서(연평균 5-6권), 정세분석 보고서(연평균 5-10권) 등의 간행물이 무료 우송됩니다. 3) 본 연구원에 소장된 도서 및 자료의 열람, 복사이용이 가능합니다. 4) 시중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지난자료를 50%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수 있습니다. 5) 저작권과 관련하여 DB써비스를 통해 압축한 자료는 제3자 양도 및 판매를 금합니다. 4. 회원가입 신청서 제출 및 문의처 서울시 강북구 수유6동 535-353 (우편번호:142-076) 통일연구원 통일학술정보센터 (전화:901-2559, 901-2529 FAX:901-2547).

(44) 회원가입신청서 성. 명. 주민등록번호. -. 근무처 직 간행물 받을 주소. 위. (우편번호 :. 전 연락처. ). 화. FAX. 전자메일 ID. PW. 전. 공 및 관심분야 회원구분. 일반회원 (. ). 학생회원 (. ). 기관회원 (. ). 본인은 통일연구원의 정기회원 가입을 신청합니다. 200 년. 월. 신청인. 일. (인). ※ 본 신청서를 팩스나 우편으로 보내주십시오. (서울시 강북구 수유6동 535-353 통일연구원 통일학술정보센터 FAX:901-2547) ※ 신한은행 온라인 310-05-006298 (예금주: 통일연구원) ※ 본 연구원에서 여러분들을 위해 어떤 서비스를 더 제공했으면 좋은지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본 신청서 뒷면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45)

Referensi

Dokumen terkait

중국 문물 의 한국 전파를 강조하고 있으며 우리 역사상의 왕조를 최대한 중국사 에 편입하려는 의도가 보인다.14 특히 발해 관련 기사는 1992년판에서 는 책봉 언급을 가볍게 처리하고 있으나 2006년판에서는 발해가 당의 지방행정체계 속에 편입되었다는 것과 당과의 문화 교류가 왕성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는 최근 이른바

식량구입을 위한 불법 도강이나 친척방문, 또는 외화벌이나 밀무역 등으로 중국을 왕래한 북한주민들은 남한 텔레비전 방송, 남한 가요 테이프와 영화 CD, 중국 내 친척·친지, 남한을 다녀온 조선족 등을 통해 남한 실상에 대한 정보를 접하거나, 남한에 입국한 가족·친척 등과의 전화 통화로 남한의 경제발전 실상을 알게 되면서 남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