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新政眞詮에 나타난 變法運動時期 何啓·胡禮垣의 敎育改革論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新政眞詮에 나타난 變法運動時期 何啓·胡禮垣의 敎育改革論"

Copied!
21
0
0

Teks penuh

(1)

Ⅰ. 서 론

Ⅱ. 何啓·胡禮垣의 생애와 교육 활동

Ⅲ. 何啓·胡禮垣의 교육개혁론

1. 國民, 民權, 民智의 개발 2. 科擧와 學校, 議院의 연결

Ⅳ. 결 론

新政眞詮 에 나타난 變法運動時期 何啓·胡禮垣의 敎育改革論 *

1)

金 慶 惠 (弘益大)

Ⅰ. 서 론

본 논문은 변법운동 시기 何啓·胡禮垣의 교육개혁론을 살펴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방면에서의 문제의 식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何啓와 胡禮垣은 변법운동 시기 대표적 사상 가이지만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들을 초기 변법파로 구분 짓고 변 법운동시기 이들의 사상과 활동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1) 청일전쟁 패배 이후 瓜分․亡國․滅種의 위기 상황에 직면한

* 이 글은 2012년 홍익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1) 何啓와 胡禮垣의新政眞詮에 발표된 문장 중 1887년 발표된 曾論書後 한 편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청일전쟁 이후에 발표되었으며, 사상의 내용에 있 어서도 서양 議院 제도를 적극적으로 소개하였던 초기 변법가들과는 다르게 民權에 주목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제창하였기 때문에 차별점이 있다는 주장은 李時岳, 維新思想史的症結: “議院”和“民權” (近代史新論, 汕斗大學出版社, 1993), p.167. 何啓와 胡禮垣이 曾紀澤의 양무론을 비판하는 曾論書後 가 발표 된 1887년 이후부터 의회제 지향을 핵심으로 하는 변법론이 중국 지식계의 전

(2)

중국 지식인들이 선택한 길은 여러 갈래였다. 여전히 보수의 노선을 걸었던 전통적 지식인들이 있었으며 변법파의 대열에 합류하여 康有 爲·梁啓超 등과 함께 정치적 활동을 하였던 인물도 있었고, 적극적으 로 정치 활동을 전개하는 대신 활발한 저술 활동을 통해 變法을 선전 하고 지지하였던 이들도 있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何啓와 胡禮垣은 變法 그 자체에 대하여는 긍정적 입장이었지만 홍콩이 주된 활동 무대였다는 지리적 문제와 康有爲와의 견해 차이로 인해 변법운 동의 구체적 활동에는 참여하지 않고 저술 활동에 주력하였다.2) 여전 히 康有爲, 梁啓超 중심의 변법운동 시기 인물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 변법운동 시기 다양하게 제시된 교육개혁론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何啓와 胡禮垣을 연구 주제로 선택하였다.

둘째, 何啓와 胡禮垣에 대한 연구는 주로 ‘公平’을 전제로 하는 議院 制와 民權論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3) 그러나 사실 이들의 정치개혁

면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何啓와 胡禮垣을 초기 변법파와는 다르게 보아야 한 다는 견해는 신승하 외,19세기 중국사회 -서양의 충격과 대응(신서원, 2000), p.251.

2) 鄭大華, 新政眞詮 編序 (新政眞詮, 遼寧人民出版社, 1994), p.4.

3) 何啓와 胡禮垣을 다룬 주요 중국의 연구 성과로는 張禮恒,何啓 胡禮垣評傳(南京大學出版社, 2005); 孫廣德, 戊戌前後的民權思想 (中國近代的維新運動 -變法與立憲硏討會,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 1982); 李金强, 胡禮垣 (中國歷 代思想家(十八) 曾國藩 外, 臺灣商務印書館, 1999); 汪太贤, 地方自治: 民权与 民治的制度依托 -何启胡礼垣的地方自治论说 (西南民族大学学报(人文社科 版)2004年 第25卷 第4期); 林啓彦, 嚴復與何啓 -兩位留英學生近代化思想模 式的探討 (近代史硏究, 2004年 第3期); 侯杰, 胡伟, 论何启胡礼垣的政治 思想 -以新政真诠为核心的探讨 (青岛大学师范学院学报2005年 第22卷 第 2期); 黎業明, 何啓,胡礼垣對康有爲的批評 (深川大學學報2005年 第22卷 第 5期); 庞志伟, 简论近代港人何启胡礼垣的议会观 (学术期刊2010年 第9卷 第2期) 등이 있다. 그 외 국내 및 기타 지역 연구 성과로는 김경혜, 변법운동 시기 하계 호례원의 민권론 (한중인문학연구제6집, 2001); Key Ray Chong, Ho Kai(何啓, 1859-1914): An Early Molder of Sun Yat-sen's Political Thought (東國史學, 제22집, 1988); Chen jiang, “Western Learning & Social Transmutation in the Late Qing” (China's Quest for Modernization -A Historical Perspectiv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7).

(3)

론이 교육개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고려해야 하지 않는다면 이들의 사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이들은 公平의 실천은 학교 에서 신식 교육을 받고 배출된 지식인들로 구성되는 議院 제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정치 개혁과 교육 개혁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분리될 수 없으므로 반드시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 장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당시 많은 지식인들이 교육 개혁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특히 청일전쟁에서의 패배 이후 교육을 통해 중국이 당면 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강렬해지면서 교육 개혁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서양의 군사·과학기술 교육을 중시 하고 외국어 교육 및 유학생 파견을 주요 내용으로 실시되었던 양무교 육이 여전히 과거가 중시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별다른 성과를 보 이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제 교육 개혁의 목 표는 특정 분야에서 전문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것에서부터 학교 교육 을 통해 국민의 문화적, 교육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바뀌었다.

본 논문은 당시 중국 지식인들이 제시하였던 다양한 교육개혁론 속 에서 何啓·胡禮垣이 내세운 교육개혁론이 갖는 차별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교육 개혁의 최종적 목표는 ‘公平’한 사 회의 건설이었다. 과거 교육은 관리 예비군이라는 특정 계층에게만 기 회가 제공되는 특권 교육이라는 점에서, 또 양무 교육은 외국어와 군 사기술 등 특정 분야에서 국가가 목표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전문교 육이라는 점에서 비판하였다. 결국 이들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교육의 실시와 이를 통해 발탁된 인재들이 정치의 현장에 투입됨 으로써 정치 개혁을 이끌어 낼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이를 위해 何 啓·胡禮垣은 과거와 학교를 연결시키고, 이를 다시 議院으로 연결시켜 정치와 교육 양방면의 개혁을 함께 병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제 논문을 통해 何啓·胡禮垣이 제시한 구체적인 과거 개혁의 방안은 어떠 한 내용인지, 과거와 학교, 그리고 議院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 고자 한다.

(4)

Ⅱ. 何啓·胡禮垣의 생애 및 교육 활동

何啓(1859-1914)는 광동 南海人으로 자가 沃生이다. 아버지 何福堂 은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일찍이 남양으로 건너가 생계를 꾸렸다.

대다수 광동 출신들이 매판의 길을 걸었던 것과 다르게 何福堂은 기독 교 선교사로서의 길을 선택하였다.

그의 다섯 번째(혹은 둘째 아들이라는 설도 있음) 아들인 何啓는 1859년 3월 21일 홍콩에서 태어나면서 세례를 받는 것으로 그의 인생 을 시작하였다. 13세가 되던 1872년 영국으로 유학 가서 런던 및 애버 딘의 두 대학에서 10년 동안 공부하였다. 런던의 성 토마스 병원(St.

Thomas Hospital)에서 엄격한 임상실험 과정을 통과하여 홍콩 최초의 외과의가 되었다. 1879년에는 아내 앨리스(Alice Walkden)의 권유로 런던 최고의 명성을 지닌 링컨 법학원에 입학, 3년간 공부한 뒤 변호 사의 자격을 얻게 된다. 1882년 귀국 후 홍콩에서 변호사와 의사로 활 동하였으며 홍콩 의정국의 의원이 되었다. 10년간의 영국 유학을 마치 고 최고의 엘리트로 성장한 何啓는 홍콩으로 돌아왔지만, 아내는 33세 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뜨고 말았다. 何啓는 자신의 부인을 기념하기 위해 앨리스 의원(Alice Memorial Hospital)을 세웠고, 더 많은 중국인 들이 서양 의학의 혜택을 받도록 하기 위해 의원 내에 西醫書院(Hong Kong College of Medicine foe Chinese)을 부설하여 홍콩 최초 서양 의학 전문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기관을 탄생시켰다.4)

홍콩 서의서원은 중국의 전통 서원과 서양의 근대 학교가 접목된 형태의 교육 기관이었다. 何啓는 西醫만을 합법적인 의료로 간주하는 당시 홍콩 사회에서 더 많은 중국인들이 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 4) 홍콩 서의서원의 조직, 교과 과정, 각 과정 별 담당교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張禮恒,何啓 胡禮垣評傳(南京大學出版社, 2005), pp.39-51.

(5)

려면 서양 의학을 전문적으로 교육받은 중국인 의사를 배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였다. 1887년 8월, 何啓를 主席으로 하는 홍콩 의 과학교 설립준비위원회가 조직되었고, 10월에는 홍콩 西醫書院(Hong Kong College of Medicine for Chinese)이 설립되었다. 이 학교는 서 원이라는 중국 전통 교육 기관의 이름을 따르고 있지만 교과 과정, 시 험 내용 및 방식, 조직 관리 및 운영 등은 서구식 학교 시스템을 따르 고 있다. 何啓는 1887년부터 27년 동안 이 서원의 재무위원회 주석직 을 맡아 학교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였다.5)

이 서원에 孫中山이 1기 학생으로 입학하면서 何啓와의 인연이 시 작된다. 孫中山은 화교 출신이라는 점, 기독교 신도라는 점 등 何啓와 공통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재학 당시 각 과목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우수한 학생이었으므로 何啓와 孫中山의 관계는 매우 긴밀하였을 것으 로 생각된다. 이러한 인연으로 1895년 何啓는 혁명에 동조하는 홍콩 인사들과 외국 기자들을 연결하고, 대외선전물의 초안을 작성하는 등 광주기의를 도왔다.

그는 홍콩대학의 설립에도 참여하였다. 홍콩대학은 1877년 설립된 홍콩 의과 대학(香港西醫書院)을 전신으로, 1910년 홍콩 제14대 총독 프레드릭 루거드(Sir Fredrick John Deeltry Lugard)에 의해 종합대학 으로 개편되었다. 1907년 루거드 총독은 홍콩민의 교양 문화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홍콩의 경제 발전 수준에 걸맞는 종합대학을 설립안을 발 표하였다. 기존의 西醫書院을 의과대학으로 통합하고, 기존의과대학과 기술연구소에 건축과를 보충하고 훗날 문과를 첨가한다는 설립안을 何 啓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다. 1909년 何啓는 대학 건립을 위한 기부금 모집을 위해 결성된 모임인 ‘홍콩대학籌備委員會’ 의 主席으로 대학 설 립에 참여하게 된다. 홍콩의 富商, 홍콩의 華商, 영국인 등 홍콩 각계 인사들이 동참하면서 1910년 3월 16일 홍콩의학원, 홍콩공학원, 홍콩문 학원으로 구성된 홍콩대학이 설립되었다. 9월 개학 당시 공학원에는 5) 張禮恒,何啓 胡禮垣評傳, pp.34-39.

(6)

31명, 의학원은 21명, 문학원은 20명 총 72명의 입학생이 있었다. 대학 은 영국 학제를 따랐고, 중국어 과정을 제외한 전 과목 강의는 영어로 진행되었으므로 교사는 모두 외국인이었다. 1916년 23명의 최초 졸업 생을 배출하였고, 1921년부터는 여학생의 입학이 허락되었다.6) 何啓는 일찍부터 교육이 국가를 부강하게 하는 관건임을 인식하고, 시대에 맞 는 인재를 배양하기 위해 교육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胡禮垣(1848-1916)은 광동 三水인으로 자는 翼南이다. 어려서부터 전통 교육을 받고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한 후 과거를 포기하고 독자적으로 경전과 사서를 읽으면서 ‘詩古文辭’ 연구에 몰두 하였다. 胡禮垣은 古文, 詩詞 방면에 조예가 깊었으며, 전통 문화에 대 한 이해가 상당이 높은 수준이었다. 1857년 부친을 따라 홍콩으로 건 너와 서학을 접하게 되었다. 1862년 홍콩 중앙서원(후의 皇仁書院)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서학을 배우기 시작하였으며 여기에서 何啓와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1870년 졸업 후 모교에서 2년간 중문교사로서 교 편을 잡았다. 1879년 초기 변법가로 유명한 王韜가 창간한 循環日報의 번역을 맡았고, 1881년에는 역시 저명한 변법가인 鄭觀應이 주관하던 상해전보분국에서 통역을 담당하였으며 萬國電報通例를 번역하기도 하였다. 1885년에는 粤報의 창간에 참여하였고, 英律全書를 번역하 였다. 粤報는 경영부진으로 3년 후 종간되었고, 英律全書는 청 정 부의 주목을 끌지는 못했지만 후에 양계초의 西學書目表에 실리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何啓가 홍콩의 정치계, 지식계에서 활발 하게 활동하였던 것과 다르게 胡禮垣은 1898년 이후 공적인 자리에서 모두 물러나 저술 활동에만 몰두하였고, 만년에는 주로 중․서 철학과 불교에 심취하였다.

何啓와 胡禮垣의 사상은 1900년 발표한 新政眞詮을 통해 널리 알 려졌다. 이 책은 曾論書後 (1887), 新政論議 (1895), 新政始基 , 康 說書後 , 新政安行 (1898), 勸學篇書後 와 前叢書 (1899), 新政變通 6) 홍콩대학 설립 과정에 대하여는 張禮恒,何啓 胡禮垣評傳(2005), pp.112

-114; 임계순,중국의 여의주, 홍콩(한국경제신문사, 1997), pp.115-116.

(7)

과 後叢書 (1900) 등 총9편의 문장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들은 하 계와 호례원의 공동 저술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두 사람이 함께 지은 것은 曾論書後 와 新政論議 두 편 뿐이며, 다른 글들은 하계가 아 이디어를 제공하거나 먼저 영문으로 작성한 것을 호례원이 자신의 생 각을 첨가하여 중문으로 번역하는 형식으로 완성하였다.7) 본 논문은  新政眞詮에 실린 글들을 중심으로 何啓와 胡禮垣의 교육개혁론을 살 펴보고자 한다.

Ⅲ. 何啓·胡禮垣의 교육개혁론

1. 國民, 民權, 民智의 개발

근대 국가의 형성 과정에서 서양과 일본이 국민교육을 매우 중시하 여 실천한 경험을 배우고자 하는 움직임은 1870년대 이후부터 중국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점차 형성되었다. 1860년대 馮桂芬으로부터 시작되

7) 何啓와 胡禮垣의 저술방식 및 저술에 있어서의 두 사람의 역할과 비중에 대하 여 何啓가 먼저 영문으로 작성한 글을 胡禮垣이 중문으로 번역하였다고 말하 는 것은 胡禮垣이 단순 번역만을 담당한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저술에 있어서 胡禮垣의 역할이 더 중요하였음을 주장하는 연구결과 들이 있다. 李金强, 林啓彦과 鄭大華 등은新政眞詮에 실린 9편의 글 중 두 사람이 함께 저술한 것은 曾論書後 와 新政論議 두 편에 불과한데도 두 사 람의 명의로 책을 펴낸 것은 당시 홍콩 사회에서 何啓의 정치적․사회적 지위 를 이용하기 위함이었다고 주장하였다. 또, 함께 저술한 曾論書後 와 新政論 議 역시 번역과정에서 胡禮垣이 자신의 의견을 대량 첨가하여 완성하였으며, 何啓는 어린 나이에 유학을 떠나 중국 고전 및 중국의 전통적 개념들에 익숙 하지 못했지만 胡禮垣은 중․서학에 모두 능하였으므로 수준 높은 문장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후기로 갈수록 胡禮垣의 역할이 더 중요해져 이 책을 정리하는 글인 前叢書 와 後叢書 는 호례원이 독자적으로 완성하였다. 李金 强, 胡禮垣 (中國歷代思想家(十八)-曾國藩 外, 臺灣商務印書館, 1999), pp.294-295.; 林啓彦, 嚴復與何啓 -兩位留英學生近代化思想模式的探討 (近代 史硏究, 2004-3), p.9; 鄭大華,晩淸思想史, p.171.

(8)

어 그 뒤 王韜, 薛福成, 鄭觀應 등 초기 변법파와 당시 중국에서 활동 하던 서양 선교사들은 서양과 일본의 교육 제도를 소개하였다. 이들은 의무교육의 실시, 소·중·대학으로 연결되는 전국적인 학제의 마련과 각 급 학교의 설립, 실용적인 교과 내용, 교육비의 국가 부담 등 교육 개 혁에 있어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여 소개함으로써 중국 교 육 개혁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8)

청일전쟁 패배 이후 변법운동 시기에 접어들면서 중국 지식인들은 다양한 구국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정치적으로 입헌을 선택할 것인지, 혁명을 선택할 것인지를 고민하든 간에 중국 지식인들은 모두 교육을 근대 국가를 건설하는 전제 조건으로서 삼고, 民權과 民智의 개발을 중시하였다. 국가가 직면한 위기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더불어 국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중국 근대 ‘국민’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 용한 이는 康有爲였다. 그는 1898년 올린 請開學校折 상소에서 ‘국 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때의 ‘국민’은 일반 국민 대중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니라 신식 교육을 받은 인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康有爲는 교육을 통해 국민의 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부강한 국가를 만드 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국민의 문화 수준이 높은 경우 에는 포악한 군주나 탐관오리를 만난다 하여도 국민의 능력으로 이를 해결하고 정돈할 수 있지만, 국민 대중이 문맹이고 어리석을 경우에는 이와 정반대의 상황이 나타날 것이라던, 즉 국민의 역량은 곧 국가의 역량이라고 믿었던 梁啓超 역시 국민 교육을 중시한 대표적인 인물이 었다.9)

何啓와 胡禮垣 역시 국민 교육의 중요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 었다. 이들은 이미 1887년 발표한 曾論書後 에서 전통적 개념인 ‘公 平’을 이용하여 국민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그는 민의 집합(다수)을 公, 군주 개인(소수)을 私로 보고, 양자가 서로 대립적인 관계임을 설 8) 근대 중국의 서양 교육제도 소개와 관련된 사정은 김경혜, 중국 근대 서양

교육제도의 소개 (중국사연구제75집, 2011년)를 참고할 수 있다.

9) 梁景和,淸末國民意識與參政意識硏究(湖南敎育出版社, 1999), pp.6-9.

(9)

명하면서 천하는 공이 아니면 다스릴 수 없고, 국운은 공이 아니면 장 구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민의 집합체로서의 국가는 공적인 것, 긍 정적인 것으로, 군주 일개인으로 대표되는 왕조는 사적인 것,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왕조는 더 이상 국가와 동일시 될 수 없었고, 이 과 정에서 백성과는 다른 국민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10) 何啓와 胡禮垣 은 국가는 君이 아니라 民에 의해 세워지며, 君의 직분은 民을 보호하 여 그들로 하여금 나라를 세우도록 하는 것이니 군주는 마음과 힘을 다하여 민을 위해 일해야 한다. 결국 정치란 民에 관한 일이며 공평한 정치란 민의 참여가 중시되는 정치를 말한다.11) 이처럼 하계와 호례원 은 공평이라는 전통적 개념을 통해 民은 더 이상 어리석고 난폭한, 통 치의 대상이 아니라 스스로 정치과정에 참여해야 하는 정치의 주체임 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국민에 대한 관심은 1899년 장지동의 勸學篇 을 반박하 기 위해 발표한 勸學篇書後 에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글의 도입부에 서 “민권을 제창하면 어리석인 인민이 기뻐 날뛰고, 난폭한 인민은 들 고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를 반박하면서 중국의 모든 문제는 “실로 민 에게 권리가 없기 때문”이며 만일 민권이 있다면 모든 문제가 저절로 해결되어 서구 열강도 두렵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2)

민권이라는 용어는 1870년대 이후 중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서구에서 사용하는 인권과는 다른 개념이었다. 서구에서 인권이 란 자유와 평등의 전제로서의 개인의 권리를 의미하였지만 중국에서는 인권 개념이 정착되기 이전 근대적 국가의 건설이라는 시대적 상황의 영향으로 개인보다 전체가 강조되면서 인권은 자유와 연결되고, 민권 은 평등과 연결된 개념으로 이해되었다.13) 何啓와 胡禮垣은 다음과 같

10) 청말 지식인의 公私觀에 대하여는 미조구치 유조,중국의 공과 사(정태섭 외, 옮김, 신서원, 2004), pp.69-70의 표를 참고하시오.

11) 증론서후 , p.97.

12)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396.

13)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90.

(10)

이 민권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국가라는 것이 무엇인가? 군과 민을 합해 말하는 것이다. 민은 사람이 며 군주 또한 사람이다. 사람마다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마음을 지녔으니 곧 사람마다 선을 상주고 악을 벌할 권리를 갖는다. 그러나 한 사람의 견해로 정해지면 사사로운 마음에 빠지기 쉽지만 다수의 견해로 보면 항상 公道를 보존하게 된다. 따라서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마음으로 선을 상주고 악을 벌할 권리를 행사하는 데는 다수에게서 구함 만 못한 것이 없다. 민권은 다수로써 권리를 취하는 것을 말한다.··· 중 국의 4억 인구로 말하면 2억인 이상에서 나온 바의 의논은 권리가 있는 것이며 2억인 이하에서 나온 바의 의논은 권리가 없는 것이다. 권리가 있 는 자는 반드시 그것을 행사하고, 권리가 없는 자는 행사할 수 없다.14)

위의 설명을 따르면 국가는 君과 民이 합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국 권은 君權과 民權이 합한 것이다. 민권은 곧 국권이니 민권이 없으면 국권도 없게 되고, 국권을 잃으면 곧 국가가 망하게 된다. 따라서 “민 권은 곧 그 국가가 존재하는 바”15)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민권이 행해지면 愚民이 반드시 기뻐하며 난민이 일어날 것이라든지, 외국 각국이 보호를 빙자하여 중국 깊숙이 침투할 것이라고 걱정하는 사람들도 목소리도 높아졌다. 이들은 何啓 와 胡禮垣이 말한 바와 같이 “민권은 다수로써 권리를 취하는 것을 말 한다. ···중국의 4억 인구로 말하면 2억인 이상에서 나온 바의 의논 은 권리가 있는 것”인데 중국인 대다수는 문맹이며 民智가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그들에게 民權을 부여하여 議院을 개설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何啓와 胡禮垣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국 민의 보편적인 자질 함양을 위해 民智의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 장하였다. 이러한 지적에 대하여 何啓와 胡禮垣은 “민이 아는 것을 智 라 하고, 民智를 행하는 것을 權이라 한다”16)고 民智와 民權의 관계를

14)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416.

15)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420.

16)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459.

(11)

정리하면서 智에는 두 종류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하나는 耳目이 미치 는 智와 다른 하나는 耳目이 미치지 못하는 智로, 이목이 미치지 못하 는 智란 반드시 배워야 하는 것이지만, 이목이 미치는 智란 어리석은 이들도 다 알 수 있어서 배우지 않아도 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천 하를 다스리는 이들이 사용해야 하는 智란 평범한 백성들의 이목이 미 치는 智를 말한다. 사람은 배우지 않아 글을 몰라도, 특정 분야의 전문 적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일상생활 중의 是非, 得失, 曲直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民智이다. 따 라서 民智는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중요한 것이다. 중국은 堯舜의 시대 부터 民智를 중시하여 서구 각국보다 수천 년이나 앞섰지만 秦漢代 이 후 각 왕조의 군주들이 국가를 자신의 사적인 소유물로 간주하고, 백 성들을 자신의 사적인 노예로 부리기 위해 民智를 사용하지 않고 愚民 으로 만들면서 중국에 民智가 사라지게 되었다고 지적하였다.17)

이미 중국을 능가하고 압도하는 서양과 일본은 국민들의 智力을 중 시하여 국민교육을 실시해 온 문명사회인 반면 중국은 인구의 절대 다 수가 글을 읽지 못하는 문맹이라는, 이 엄청난 차이는 국력의 차이로 직접 연결된다는 점을 何啓와 胡禮垣은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아동이 학교에 입학하지 않으면 부모에게 죄를 물어 벌을 주는18) 다 소 강제적인 방법으로 국민교육을 실행하여 서양은 총인구 4, 5천만 중 매년 천 만 이상이 학교 교육의 혜택을 받지만, 인구 4억의 중국은 겨우 500여 인 정도만이 학교 문턱을 넘어볼 수 있는 현실이다. 이 현 실을 변화시키지 않고서는 서구 열강에 의해 침략당하는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何啓와 胡禮垣은 전면적인 학교 교육의 실 시를 주장하게 된다.19)

何啓와 胡禮垣은 과거제로 대표되는 중국 전통 교육과 양무 교육도 모두 특정 계층만을 대상으로 하는 특권교육이라는 점에서 비판하였 17)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467.

18)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385.

19)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303.

(12)

다. 모두에게 열려 있는 기회 균등의 원칙에 입각하여 출신과 무관하 게 진정한 인재를 등용하고자 하였던 시험의 본래 목적은 사라진 지 이미 오래되었고, 치열한 경쟁을 뚫기 위해 일평생을 유가 경전만을 외우도록 만드는 과거는 오직 관리만을 길러내기 위한, 일부 식자층만 을 위한 교육이었다. 또 세계 제일의 대국이 서양 여러 국가들에게 침 탈당하는 '變局'에서 벗어나기 위해 실시되었던 양무 교육 역시 외국 어와 자연과학 및 군사기술 등의 제한된 분야에서 전문적인 인재를 양 성할 것을 목표로 하는 또 다른 특권층을 위한 교육이었다고 볼 수 있 다. 예컨대 京師同文館이나 天文算學館 등의 입학은 “滿漢 擧人 및 恩, 拔, 歲, 副, 優貢”과 “과거 출신 5품 이하 滿漢 각 官”20)으로 자격이 제 한되어 대다수 국민은 교육의 혜택을 받기 어려웠다. 교육받을 기회로 부터 다수의 국민을 제외시키는 과거 시험과 양무 교육과 같은 특권 교육으로는 진정한 인재를 육성할 수 없다는 것이 何啓와 胡禮垣의 생 각이었다.21) 따라서 과거제를 개혁하고, 학교를 통한 국민교육의 실천 만이 民智를 개발하고, 나아가 중국을 다시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이라 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과거가 교육의 중심을 이루는 상황에서 학교를 설립 하고 전 국민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주장은 실천되기 어려웠다.

이를 위해 何啓와 胡禮垣은 우선적으로 학교와 과거를 연결시킴으로써 과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학교 설립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2. 科擧와 學校, 議院의 연결

세습적인 귀족 권력을 약화시키고 황제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 적으로 隨代부터 실시되었던 과거제도는 모두에게 열려 있는 기회 균 등, 즉 공평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실시되면서 그 한계를 20) 張禮恒,何啓 胡禮垣評傳, p.326.

21) 鄭大華,晩淸思想史, pp.187-188.

(13)

드러내기 시작하였고, 이와 같은 현상은 淸末에 이르러서는 매우 심각 해졌다.

특히 청일전쟁 패배 이후 과분·망국의 위기에 직면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제도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 중에서도 교육을 통해 중국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강렬해지 면서 교육 개혁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서양의 군사·과 학기술 교육을 중시하고 외국어 교육 및 유학생 파견을 주요 내용으로 실시되었던 양무 교육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자 비판이 쏟 아졌다. 양무 교육이 개별적인 전문 교육을 중시할 뿐 대·중·소의 학교 체계를 갖추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은 당시 지식인들로 하여금 교육 개 혁의 문제에 더욱 집중하도록 하였다. 무엇보다도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고 발탁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을 八股取士의 科擧 라 보고, 과거제의 개혁이 급선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중국이 개항 이후 오십년이 지나도록 서양 각국에게 치욕을 당하는 그 까닭이 옛 것에 집착하고 시대의 변화에 둔감한 지식인들 때문이며, 이러한 태도 는 ‘실학’을 추구하는 서양과는 달리 “배우는 것은 쓸모가 없고, 말하 는 것은 실천할 수 없는” 과거제도에 몰두하기 때문이라는 비판의 소 리가 높아졌다.

何啓와 胡禮垣은 서양인이 중국인보다 총명하기 때문이 아니라 교 육제도와 교육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점이 서양과 중국의 서로 다른 상 황을 결정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科擧用人의 법을 없애지 않으면 중국은 다시 일어날 희망이 없게 된다고 강하게 비판하였다.22)

또 何啓와 胡禮垣은 康有爲가 연설 중에서 홍콩이 영국에 할양된 이후 과거를 숭상하지 않고 사람들은 매판이 되는 것을 영광으로 여긴 다는 비판한 것에 대하여 반박하면서 개방 이후 홍콩의 교육 제도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교육 과목, 시험 방식, 시험관의 자격 등 여러 방 면에서 홍콩과 중국의 교육이 다르지만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은 시험 22) 何啓, 胡禮垣,新政眞詮(遼寧人民出版社, 1994), p.266.

(14)

에 대한 인식이라고 판단하였다. 중국에서는 과거시험을 통과하면 관 리로 임용되지만 홍콩에서의 시험이란 단지 학생이 학습 내용을 얼마 나 숙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일 뿐 관리로서의 자격과 는 무관한 것이라는 설명이다.23)

당시 많은 지식인들이 과거의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였지만, 결국 과 거의 치명적 결함은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선발할 수 없다는 점이었 다. 何啓와 胡禮垣은 과거가 官界에 만연한 부정 부패와 직접 연결된 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를 막는 방법으로 과거와 학교를 연결시키고, 이를 다시 정치 개혁의 전제 조건으로 삼는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민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 주의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청말 지식인들의 공통된 인식이었다. 何啓와 胡禮垣 역시 한 나라의 인재는 학교를 보면 알 수 있으며, 인재를 길러 내는 방법은 오직 학 교 뿐 이라고 강조하면서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24)

新政眞詮을 통해 이들이 지적한 과거제도의 문제점을 당시 다른 지식인들의 지적과 비교해 볼 때 특별한 차이점을 찾기는 어렵다. 그 렇다면 何啓와 胡禮垣이 주장한 과거제 개혁론이 갖는 차별점은 무엇 일까? 먼저 이들은 학교 제도를 통해 과거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 면서 古制로의 復古를 주장하였다. 이들은 일정한 교육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시험을 거쳐 某科의 秀才, 擧人, 進士의 자격을 부여받고 필 요에 따라 임용되는 제도를 구상하였다. 이 구상은 변법운동 시기 康 有爲 등에 의해 제시된 과거제 개혁론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과거 제를 폐지하지 않으면서도 학교에서 인재를 양성, 선발하고자 하였던 淸末 교육 개혁의 핵심내용이었다.

何啓와 胡禮垣의 구체적 개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전국 각 府州縣 에 학교를 설립하는데 모든 사무는 學部에서 담당하고, 學政이 총괄하 도록 한다. 학교에서는 중국의 문자를 우선 배우고, 그 외 외국문자, 23) 黎業明, 何啓, 胡禮垣對康有爲的批評 (深川大學學報2005年 第22卷 第5

期), pp.36-37.

24)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301.

(15)

萬國公法, 中外法律, 中外醫科, 地圖數學, 格文化學, 機器, 輪船製造, 鐵 道建設, 電信, 電氣, 水師訓練法 등의 과목을 배우는데 25명을 기준으 로 선생을 모신다.25) 선생의 자격은 중국인 중에서 관련 과목에 대한 시험을 통과하여 자격증을 가진 이가 있으면 우선적으로 초빙하고, 만 일 자격을 가진 중국인이 없다면 임시로 외국인을 초빙한다. 학생은 매년 두 차례 시험을 보아 반 이상을 통과하면 通才라 부르고 자격을 부여한다. 반 이상을 통과하지 못하면 未通이라 하고 재시험을 본다.

縣에서 자격을 획득한 사람은 秀才라 하여 府로 올려 보낸다. 府에서 자격을 획득한 학생은 擧人이라 하고 省으로 올려 보낸다. 省에서 자 격을 획득한 학생은 進士라 한다. 대개 縣, 府, 省에서 각각 3년씩 9년 을 공부한 이들 중에서 선발하여 국가의 일을 맡기도록 하면 국민 모 두 관리가 될 자격을 가질 수 있다.26) 물론 이 구상 내에 학교 설립을 위한 재원 마련이나 교과 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이고 치밀한 계획은 보이지 않는다. 또 전통 교육에서 소외되었던 계층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고 있지 않다는 한계점도 드러난다. 그러나 국가가 주관하는 학교에 서 신식 학문을 배우고 자격 시험을 통과한 지식인들이 관리가 되는 방식은 청말 교육 개혁이 지향하는 방향이었다.

何啓와 胡禮垣은 시험 내용 및 형식, 과거 급제자의 관리로의 임용 등 과거제 전반에 걸친 개혁을 구상하였지만 과거제 폐지를 주장하지 는 않았다. 이들이 과거제 폐지를 주장하지 않았던 이유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추측만이 가능할 뿐이지만 陳虯, 陳熾, 湯震 등 과 何啓와 胡禮垣은 학교의 구체적 설립 형태, 방법 등에 있어서 아직 치밀하지 못했기 때문에 과거 폐지까지는 주장하지 못했다는 연구 결 과가 있다.27) 과거는 단순한 관리 선발 시험이 아니라 과거급제자와 예비 관리군으로서 과거 준비생 간의 이해 관계, 과거를 중심으로 하 는 전통적 교육 체계 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폐지를 논의하기 25)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121.

26)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p.110-111.

27) 장의식, 淸末의 科擧制 廢址過程 硏究 (歷史學報제103집), p.178.

(16)

어려웠을 뿐 아니라 설령 폐지한다고 하여도 그 이후 학교 설립과 운 영과 관련된 여러 문제에 대한 대안이 없이 섣불리 과거제 폐지를 주 장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何啓와 胡禮垣의 과거 개혁론의 또 다른 차별점은 이들이 학교 설 립에 議院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는 점이다. 바로 이 점이 何啓와 胡禮垣은 소-중-대학교로 이어지는 학교제도를 구상하는 데까지 발전하지 못하였으며 과거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음에도, 그들이 구상한 학교 교육의 내용 이 외국문자, 萬國公法, 中外法律, 中外醫科, 地圖數學, 格文化學, 機器, 輪船製造, 鐵道建設, 電信, 電氣, 水師訓練法 등으로 서학을 겸비하고자 하는 정도였으며 구체적인 수준이나 과정 등은 찾아보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의의를 갖게 하는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何啓와 胡禮 垣은 전 국토가 중국의 3省에도 미치지 못하는 영국은 매년 학교투자 비용이 수억에 달하는데, 그 중 議員이 지원한 금액이 8∼90%에 달한 다고 소개하면서 한두 사람이 학교 설립을 위해 재정적 지원을 할 수 는 있지만, 한두 사람의 힘보다는 수천만이 힘을 모으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므로 議院이 다수의 힘을 집중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면 학교 교육의 실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28)

何啓와 胡禮垣은 과거와 학교를 연결시키고, 나아가 선거를 통해 議 院을 설립하는 것까지 같은 맥락으로 설명하였다. 이들은 계속해서 선 거에 의해 구성된 議院에 대하여도 설명하였다. 즉, 조정에서는 중앙과 각 지방 縣, 府, 省에 각각 60인으로 구성된 縣․府․省 의원을 둔다.

縣 의원은 평민이 秀才 중에서 선출하고, 府 의원은 秀才가 擧人 중에 서, 省 의원은 擧人이 進士 중에서 선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선출 된 의원은 각 급 의원은 관과 함께 국정에 관련된 사항들을 다수결로 결정한다. 각 省 의원은 재상을 주석으로 하여 매년 1회씩 북경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석하여 관할 지역에서 해야 할 일들을 제출하고 논의 28)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403.

(17)

한다. 모든 사안은 논의하여 다수의 의사를 따르며 可否가 결정되면 상급 의원에 상신하고, 최종적으로 황제에게 알린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議員은 정책의 입안과 실행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즉 민이 스스 로의 대표를 선출하고, 이들을 통해 군주나 관리의 권력 독점 또는 남 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기구가 바로 議院이다. 다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의사 결정 방식과 여러 단계를 걸치는 의사 결정 과정은 전 적으로 군주 일인에 의해 좌우되는 중국의 통치 시스템과는 완전히 다 른 것이며, 이러한 원칙에 따르는 의원이야말로 ‘公平’을 실현할 수 있 는 합리적인 정치 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議員이 관리가 아닌 민간에서 나와야 하고, 공개적인 선거를 거쳐 선출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매우 획기적인 것이었다.29) 何啓와 胡禮垣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과거와 학교를 연결시키고, 학교 출신자를 議員으로 선발함으 로써 국가의 上下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진정한 ‘公平’ 사회를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30)

그러나 何啓와 胡禮垣은 소-중-대학교로 이어지는 학교제도를 구상 하는 데까지 발전하지 못하였으며 과거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수준에 서 그치고 있다. 또 그의 구상 속에서 선거권을 부여받은 사람은 해당 지역 이십 세 이상의 남자로, 농아, 맹인, 장애인을 제외하고, 독서하여 사리에 밝은이들로 규정하고 있어서 전 계층을 議員이 될 수 있는 국 민의 범위에 넣고 있지 않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Ⅳ. 결 론

본 논문은 변법운동 시기 何啓와 胡禮垣이 제안한 교육 개혁 방안 에 대한 연구이다. 이들은 청일전쟁 패배 이후 심화된 국가적 위기에 29) 미조구치 유조, 최진석 옮김,개념과 시대로 읽는 중국사상 명강의(소나

무, 2004), p.227.

30) 何啓, 胡禮垣,新政眞詮, pp.114-115.

(18)

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문맹의 차원을 넘어서서 일정한 교육수준을 지 닌 국민의 양성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당시 중국 지식계의 공통점이었지만 何啓와 胡禮垣 교육개혁론은 '公 平'한 사회의 건설을 목표로 하는 정치 개혁과 함께 추진된다는 차별 점이 있었다. 이들은 교육 제도와 교육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가 서양 과 중국의 서로 다른 상황을 결정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교육을 통 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부강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특히 “배우는 것은 쓸모가 없고, 말하는 것은 실천할 수 없는” 科擧用 人의 방법을 없애는 것이 급선무임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는 서양의 군사·과학기술 교육을 중시하고 외국어 교육 및 유학생 파견을 주요내 용으로 하는 양무 교육이 개별적인 전문 교육을 중시할 뿐 대·중·소의 학교 체계를 갖추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적하였다.

何啓와 胡禮垣은 과거제와 양무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학교 교육을 실시한 후 일정한 교육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시험을 거 쳐 某科의 秀才, 擧人, 進士의 자격을 부여받고 필요에 따라 임용되는 제도를 구상하였다. 학생들은 중국의 문자는 물론 외국문자, 萬國公法, 中外法律, 中外醫科, 地圖數學, 格文化學, 機器, 輪船製造, 鐵道建設, 電 信, 電氣, 水師訓練法 등의 서양 학문을 함께 배운 지식인들로 필요에 따라 관리로 임용되거나 선거에 의해 議員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처럼 과거의 형식은 유지하면서도 학교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신식교 육을 실시하는 방식은 청말 교육개혁론의 주된 흐름이었다.

또한 누구라도 관리와 의원이 될 수 있으므로 국민 전체의 교육적,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의미에서 民智의 개발을 주장하였 다. 何啓와 胡禮垣은 秦漢代 이후 각 왕조의 군주들이 국가를 자신의 사적인 소유물로 간주하고, 백성들을 자신의 사적인 노예로 부리기 위 해 백성들을 愚民으로 만들기 위해 교육의 기회를 박탈하였다고 지적 하면서 국민의 자질 함양을 위한 학교 교육이 시급하다고 설명하였다.

즉 何啓와 胡禮垣은 학교 교육을 통하여 국민 전체의 문화적 수준 을 향상시키고, 중·서 학문을 포함하는 내용을 습득한 인재들을 배출

(19)

하여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치와 교육 방면에서의 개혁을 함께 구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20)

(中文提要)

變法運動時期 何啓·胡禮垣的敎育改革論

-以新政眞詮为主-

金 慶 惠

本文目的在于探讨维新变法时期何启、胡礼垣的教育思想. 何启、胡礼 垣是维新变法时期代表的思想家. 但大部分研究者把何启、胡礼垣划分为 早期维新派, 主要研究甲午战争以前他们思想主张. 一般认为, 早期维新派 是, 在甲午战争以前, 批判以学习西方军事技術和新式工业为主的洋务运 动, 而主张设立议院, 实行君民共主的先进知识分子. 所以, 从现在已有的 关于早期维新派的論著来看, 多是以19世纪70年代至甲午战争之前他们的 思想主张为研究中心, 而没有注意到甲午战争以后他们思想的发展. 但笔者 认为, 早期维新派的思想也有一个随着社会发展变化而发展的过程. 一些早 期维新派创办报纸、参加学会、提倡民权, 积极从事维新变法活动, 实际上 已经成为维新派. 最有代表性的就是何启、胡礼垣.

从1887年起, 何启、胡礼垣継续发表一系列政論性的文章, 合著而成新 政真诠一书. 在此书中, 集中反映了他们各个方面的改革要求, 代表了他 们对 “公平” 社会的追求, 也反映了他们改革思想的形成和发展. 此书共有 七篇文章:曾論书后(1877年)、新政論议(1894年)、新政始基、康 说书后、新政安行(1898年)、劝学篇书后(1899年)、新政变通(1900 年). 此书出版后, 在国内知识界广泛流行, 影响很大.31) 本文将以新政真 诠为基本史料, 对何启、胡礼垣教育改革思想进行考察.

何启、胡礼垣进一步提出, 要想真正觉醒, 挽救民族危机, 就必须先解决 31) 何烈 等,中国曆代思想家(十八)(台湾商务印书馆, 1999), p.304.

(21)

最根本的问题, 即政治和教育问题. 他们认为, 西方国家强盛的根本原因并 并不在于“船坚炮利”, 而在于政治和教育. 他们还认为, 传统科举制度根 本培养不出时代要求的人才, 只有变科举, 兴学校才能使人才辈出. 他们 主张改革科举考试科目的同时, 还主张恢复传统的乡举里选制. 他们清楚 地知道, 培养, 选拔人才与政治有着密切的关系. 要设立议院, 实行君民 共主, 必须有了解西方政治的人才. 就是说, 取士, 用人, 行政方面的 改革是分不开的问题.

주제어: 하계와 호례원, 교육개혁론, 新政眞詮,, 과거제 개혁, 민지개발 關鍵詞: 何啓 胡禮垣, 敎育改革論, 新政眞詮,, 科擧制 改革, 民智開發

Keywords: Heqi, Huliyuan, Reform Thoughts of Education, Xinzhengzhenquan, Reform Keju

(원고접수: 2012년 5월 14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6월 11일, 수정원고 접 수: 6월 21일, 게재 확정: 6월 25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1 日本保険学会 平成 24 年度評議員会議事録 ●日時:平成24年10月20日(土)、9:30〜10:15 ●場所:日本大学商学部キャンパス はじめに福田大会実行委員長から歓迎の挨拶があった後、江澤理事長を議長として議事 に入った。冒頭理事長より、評議員会は全評議員が一同に会する年に1度の機会であるの

1 「國家化學物質管理會報」第1次會議紀錄 壹、時間:110年8月20日(星期五)下午4時 貳、地點:行政院第一會議室 參、主持人:蘇貞昌召集人 紀錄:齊慕凡 肆、出席人員: 沈榮津副召集人(請假)、張子敬執行長、徐國勇委員、邱國正 委員、蘇建榮委員、潘文忠委員(教育部劉孟奇次長代理)、蔡 清祥委員(法務部蔡碧仲次長代理)、王美花委員、王國材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