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SolvingProblems(문제해결).pdf
Bebas
12
0
0
Teks penuh
(2) Lecture ID: 42, Class Code: 19100001.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3) 목차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1 문제 해결이란? 2 문제 해결 역량의 필요성 및 중요성. 3 문제 해결 역량의 내용 3.1 문제 해결의 과정 3.2 문제 해결의 전략.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4) 1 문제 해결이란? • 문제 해결의 뜻 . 문제 및 장애 요소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 행동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능력 . 정확한 상황 이해, 판단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역량 비판적 사고. • 문제 해결의 요건과 과정 . 문제의 인식, 원인 분석 역량 문제 해결 역 량. . 필요한 단서를 찾아내고,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힘 분석적 사고.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 요소.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5) 2 문제 해결 역량의 필요성 및 중요성 • 편재성(Ubiquity) . 문제 상황은 삶의 곳곳에서 예기치 못한 순간에 원인이나 해결책이 분명하지 않은 채로 종종 발생 .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불안감, 초조함, 부담감 등 부정적 정서를 경험. • 문제 인식/해결 역량의 필요성과 중요성 .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 필요 . 삶 속에서 끊임없이 발생, 수시로 해결이 요구되는 상황을 만나게 됨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적극적 자세를 가지고 적절한 해결책이나 대안을 탐색. 하여 문제를 극복해야 함.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6) 2 문제 해결 역량의 필요성 및 중요성 (계속) • 문제 상황 파악 . 문제 해결을 위한 선행 행위 -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 드러난 문제를 표면적으로 해결하는 것에 선행 (잘못된 해결 방안은 상황을 더욱 악화). • 문제 상황에 따른 해결책 제시 . 선택한 해결책이 최선의 방법인지 결과 예측(Simulation)필요 더 바람직한 방법이 없는지 검토와 연구 필요. • 해결책 시행 . 제시된 해결책을 실행에 옮기는 종합적, 입체적인 능력 필요 (Implementation) . 시행의 주체, 완성일(Due Date), 중간 점검 목표(Deliverables)와 일정 결정 . 주기적 진척도(Progress) 점검 e.g.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 Chart 도입 활용.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7) 3 문제 해결 역량의 내용 3.1 문제 해결의 과정 구 분 문제의 인식 문제의 정의 문제 분석, 해결 전략 모색 전략 실행 효과 확인 및 평가. Kukdong University. 내 용 . 문제 발견/인지 (문제의 유무, 속성 등 인식) . 인지된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 (문제 발생의 인과관계, 영향 등) → 정의에 따라 해결, 치유 방법 상이 . 문제 상황을 다양한 관점과 각도에서 분석 . 해결 방안과 전략 모색 . 실현 가능한 대안들 중에서 최적의 대안 선택 및 적용 (복수의 차선책 준비, 중요 Node에서의 위기관리 대응 방안 마련) . 해결 과정 및 효과 평가, 재발 방지책 수립.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8) 회의오불 - Avoid 5 NOs at Meeting • 會 議 五 不* 會而不議 議而不決 決而不行 行而不果 果而不續 *.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at Conf. Rm., ASI, Taiwan. Integrity & Leadership.
(9) 3 문제 해결 역량의 내용. (계속). 3.2 문제 해결의 전략 구 분. 내 용. 수단/목표 분석. . 차이 감소와 하위 목표 설정의 두 가지 방법. 후진적 작업법. . 목표 상태에서부터 시작, 현재 상태로 향하여 문제 해결. 통찰법. 상황분석의 방법. 전문적 해결법. Kukdong University. . 많은 경우. 통찰(insight)은 사전 심사숙고와 다양한 시도의 결과. . 시기(Timing), 상황 추세, 파급 효과의 3가지 평가 기준으로 상황 분석 . 전문가는 초보자에 비해 더 많은 경험과 지식을 보유 . 지식과 해결 방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직화.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10) 문제 해결에 대해 생각해 보기 • 현재 해결이 필요한 문제 상황이 있는가? 어떠한 종류의 문제인가? . 나의 문제 해결 방식은 대체로 어떠한가? . 나는 문제 상황을 잘 해결하는 편인가? 해결하지 않고 그대로 두는 편인가? 아니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는지 생각해 봅시다.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11) 문제 해결 활동; 진술-재진술 • 현재 겪고 있는 문제를 한 문장으로 묘사하여 작성해 보시오 (진술-재진술 기법의 요인들을 적용하여 재진술 해 보시오) 파악된 문제 진술 파악된 문제의 재진술 1 파악된 문제의 재진술 2 파악된 문제의 재진술 3 …. 파악된 문제의 재진술 n.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12) 정리해보기 • 문제 상황에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나요? • 현재 나에게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요구되는 지식이나 태도가 있다면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Kukdong University. Copyright by DH Lee. Integrity & Leadership.
(13)
Dokumen terkait
Buatlah program untuk menampilkan gambar seperti contoh dibawah, dimana n variabel integer yg nilainya di-input dari keyboard dengan for, while atau do-while loop... Buatlah
기관 고유기능 발전과의 연관성 ❍ KIOST은 해양환경에 관한 연구, 해양예보 및 재해·재난 대응 연구, 항만 설계 및 운영 연구, 해양관련 정책 및 법 제도·연구를 포함, 지자체 해양문제의 학제적 연구기반 확대와 해양과학기술의 활용력 제고 가능 - 지자체별 당면한 현안문제 분석은 연안역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 본 자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