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5 :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19년도 제27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푸른 눈의 한국혼, 헐버트
소속기관 ○○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
1 제작 동기
2019년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라는 점에서 우리에게 큰 의미가 있는 해이다. 그렇기에 2019년은 온 국민의 이목이 그 어느 때 보다 독립운동사에 집중되어 있는 때이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독립 운동가는 많이 알려진 인물들로 국한되어 있고,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고마운 인물들이 너무도 많다.
그중에서 미국인 ‘호머 헐버트’라는 인물이 있다. 호머 헐버트는 1950년에 외국인 독립 운동가들 중에서 최초로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으며 2014년에는 한글 보전과 보급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을 받은 인물이다. 당시 헐버트는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우리 민족에게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다.
하지만 6.25 전쟁을 겪으면서 혼란스러운 시기가 있었던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이라는 이유 로 상대적으로 잊혀진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작년 11월에 (사)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에서 주최한 독후감 공모전에 출전하기 위해 헐버트 논문 모음집 『헐버트 조선의 혼을 깨우다.』를 접하게 되었는데 헐버트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이 땅에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훌륭한 인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선생님들이 수업 시간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헐버트에 대한 교육용 다큐 멘터리를 개발해보기로 마음먹게 되었다. 이는 올해 정부 추진 사업 중에 ‘외국인 독립 운동가 재조명’이 포함된 것과 그 맥(脈)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올해는 헐버트 박사님 서거 70주기이다.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고 싶다.”는 소원을 이루시고, 현재 서울에 있는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에 묻혀 계신 헐버트 박사님을 이제는 우리가 기억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 웨스트민스터 사원: 영국 왕실의 웅장한 사원. 웨스트민스터 사원에는 영국 왕과 위인들이 잠들어있다.
2 작품 내용
가. 인트로
나. 교육자 헐버트
다. 한국학자 헐버트
내 용 주요 장면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한글기념비에는 헐버 트의 동상이 있다. 헐버트는 주시경과 함께 독립 신문을 만들면서 한글에 최초로 띄어쓰기와 점 찍기를 도입하며 한글 발전에 이바지했다.
국립한글박물관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교과서 ‘사민필지’가 있다. 사민필지는 헐버트가 1889년 출판한 순 한글 세계지리 교과서이다.
이 책을 통하여 당시 많은 선각자들이 서양을 쉽게 접할 수 있었다.
한글 연구 외에도 한국소식, 한국사, 한국평론 을 발간하는 등 한국을 사랑했던 진정한 한국 학자였다.
내 용 주요 장면
현재 평화로운 대한민국의 모습과 100년 전 어두웠던 일제 강점기의 모습을 비교한 뒤, 외 국인이 찍혀있는 당시 사진을 보여주며 우리를 위해 살았던 외국인들이 있었고, 그 중 호머 헐버트라는 인물에 대해 알아보는 영상자료임을 안내함.
내 용 주요 장면
1886년 조선에 도착한 헐버트는 당시 고종이 세운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에서 교편을 잡기 시작하였다. 이 후, 다양한 곳에서 교육활동을 했는데 배재학당에서는 주시경, 이 승만 등을 가르치며 조선의 젊은 청년들을 일 깨웠다.
헐버트가 영어만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 당시 근대식 교육체제를 마련한 인물로서 조선의 최 초의 ‘근대식 교사’라는 것을 강조하는 인터뷰를 삽입하였다.
라. 독립운동가 헐버트
마. 엔딩
3 제작 과정
『푸른 눈의 한국혼, 헐버트』를 제작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 제작 과정
내 용 주요 장면
헐버트는 1905년 고종의 친서를 미국의 루스 벨트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특사 역할을 하게 되는데 미국과 일본이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체결하면서 실패로 끝나고 만다.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체결되며 대한제국 은 외교권을 빼앗기게 되고, 고종은 을사늑약 의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1907년 헤이그 만 국평화회의에 비밀 특사를 파견하게 되는데 이 때, 헐버트도 특사에 임명된다.
헤이그 특사를 빌미로 헐버트는 강제 추방 되지만 미국에서도 독립운동을 하며 한 평생을 보낸다.
내 용 주요 장면
1945년 해방을 맞이하고, 1949년 그토록 꿈에 그리던 한국 땅을 밟게 되는 헐버트는 고령의 여독으로 내한 1주일 만에 세상을 떠난다.
평소 한국 땅에 묻히기를 소원했던 헐버트는 현재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에 묻혀있다.
미국인으로 태어나 한국인으로 살다간 푸른 눈의 한국혼, 호머 헐버트를 기억해야 함을 강조하며 영상은 끝이 난다.
단계 활동 과정 세부 활동 내용 2019
2 3 4 5 6 7 구상
작품 구상 ∙작품 주제 및 방향 설정 스토리보드 작성 ∙작품 콘티 작성 및 수정 보완
촬영지 선정 ∙촬영지 협조 및 인터뷰 섭외 촬영 및
편집
영상 촬영 ∙촬영 장비 대여
∙콘티에 맞춰 영상 촬영 동영상 제작 ∙컷 편집(프리미어), 음향 작업
∙각종 효과적용(애프터 이펙트) 녹음 내레이션 녹음 ∙녹음실 대관
∙내레이션 녹음
영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구상’ 단계가 중요하기에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데 시간을 많이 투자하였다. 스토리보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2] 작품 스토리보드(일부분)
촬영 장소에 협조를 구할 사항이 있으면 협조를 구했고, 인터뷰 대상과 약속을 잡은 뒤 촬영을 진행하였다. 좀 더 나은 촬영을 위하여 촬영에 필요한 장비를 강원 시청자 미디어 센터에서 대여하였다.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촬영한 영상 중 쓸 만한 영상을 고르고, 컷 편집을 하는 과정을 먼저 하였고, 이후 후 보정 작업을 통하여 영상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독립운동가 헐버트’ 챕터에서는 샌드 아티스트와 협업하여 샌드아트 영상을 제작해 넣음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생동감있게 사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연출하였다.
작품 스토리보드에 맞게 영상을 만든 뒤에 강원 시청자 미디어센터 라디오 녹음실을 대관하여 내레이션 녹음을 하였다.
[표 3] 편집 도구 장면
번호 화면 구상 내레이션 대본
… … …
3 교사로 근무하는 헐버트 박사의 사진들
‘계몽’의 뜻풀이가 하단에 등장
여자: 어? 그런데 당시 사진들 속에 외국 인도 있네요.
남자: 일제강점기 전후로 우리의 계몽과 독립을 위해 애쓰신 외국인들도 있었기 때문이죠.
4
헐버트 나온 사진들 9장 분할 (분할된 사진들 뿌옇게 변하면서) 좌측 - 헐버트 박사 사진 등장
우측 - 푸른 눈의 한국 혼, 헐버트 제목 등장
남자: 오늘은 한국인보다 한국을 사랑했 던 푸른 눈의 한국혼, 호머 헐버트에 대 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작업 유형 소프트웨어 비 고
컷 편집 작업 ∙Adobe Premiere Pro CC 2019
∙좋은 영상 고르기
∙영상 순서대로 배치하기
∙분위기에 맞는 배경음악 넣기 이미지 수정 ∙Adobe Photo Shop CC 2019 ∙이미지 테두리에 맞게 자르기
∙이미지 실루엣 만들기 후 보정 작업 ∙Adobe After Effect CC 2019
∙텍스트 애니메이션 넣기
∙이미지에 마스크 효과 넣기
∙Scale, Opacity 수치 변경 잡음 제거 ∙Adobe Audition CC 2019 ∙인터뷰 음성 잡음 제거
4 기대 효과
가.
우리를 도와주신 고마운 외국인 독립운동가 분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 우리의 근대식 교육체제를 세우고 한글 발전 및 보급에 이바지한 헐버트의 노력에 대하여 알 수 있다.
다. 목숨을 걸고 고종의 특사 역할을 했던 헐버트의 삶을 통하여 외국인 독립운동가의 은혜를 느낄 수 있다.
라. 100여년 전의 시대상황을 이해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사람들의 노력을 통해 국가 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다.
마. 청소년들이 헐버트의 삶을 통해 약자를 돕는 정의로운 마음과 강직함을 함양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김동진, 『파란 눈의 한국혼, 헐버트』 참좋은친구, 2010
헐버트, 김동진 옮김 『헐버트, 조선의 혼을 깨우다.』 참좋은친구, 2016 독립기념관, 『삼천만 한국인의 영원한 벗, 헐버트』, 2019
※ 촬영 협조 및 자료 출처
촬영 장비 및 녹음실 협조 – 강원시청자미디어센터 사민필지 촬영 협조 – 국립한글박물관
인터뷰 촬영 협조 – 김동진(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회장), 신하영(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사) 샌드아트 영상 도움 – 이미진 샌드아티스트
헐버트 관련 자료 – (사)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근대사 관련 자료 – (사)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 음원 출처
인트로 – In the House, In a Heartbeat(intro) 교육자 헐버트 배경음악 – 비익련리(드라마 추노 ost) 한국학자 헐버트 배경음악 – 덕만테마(드라마 선덕여왕 ost) 독립운동가 헐버트 배경음악 - Silent Moon(jia peng fang) 엔딩 – 헐버트 아리랑(노래 : 유지숙 명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