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5 :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매듭으로 엮는 우리의 마음
소속기관 순창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양윤지
1. 제작 동기
새 학년 첫 시간에 항상 아이들에게 해 오던 말이 있다. ‘여러분, 우리는 같은 배에 탔습니 다. 우리가 한마음 한뜻으로 생활한다면 배가 순항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가라앉거나 원 하지 않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입니다.’ 식상하고 뻔한 말이지만 개인적으로 이 말만큼 공동 체를 강조할 수 있는 말도 없는 것 같아서 꾸준히 새 학기 멘트로 애용해왔다. 하지만 생활 하다 보면 아이들은 모래알같이 삼삼오오 흩어지고 무리에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들이 생기 기도 했다. 꾸준히 아이들을 하나로 모으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서로 공통 관심사를 가지면 더욱 친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쉽게 단합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한 마음 표현이 서툴고 획일적인 아이들이 손수 만들어 정성이 가득한 물건을 누군가에게 건네며 마음을 나눈다면 이기적인 마음을 비집고 사랑이 자라나지 않을까?
마크라메[ macramé] 는 아라비아에서 발생한 것으로 실이나 끈의 끝 부분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매듭을 엮어 만드는 작품이다. 쉽게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매듭공예라고 할 수 있 다. 매듭을 반복적으로 묶어가는 과정을 보면서 우리 아이들이 실처럼 서로 단단히 엮여 상 대방을 배려하고 나보다 우리가 먼저인 삶을 살기를 소망하였다. 또한 마크라메는 도구 없 이 언제, 어디서나, 어린아이들도 매듭만 지으면 멋진 작품을 만들 수 있어 효과적인 교육 콘텐츠라는 생각을 한다.
2. 제작 내용
가. 교육과정 분석
교과 성취기준
즐거운생활
가족과 친척
[2즐03-01] 가족 구성원이 하는 역할을 고려하여 고마운 마음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도덕
타인과의 관계
[도02-02] 친구의 소중함을 알고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며, 서로 의 입장을 이해하고 인정한다.
실과 가정생활과 안전
[6실02-06] 간단한 생활 소품을 창의적으로 제작하여 활용한다.
나. 제작 일정
단계 시기 내용
주제 선정 2021년 3월 · 주제 선정 및 콘티 구상
자료 수집 2021년 4월~5월
· 매듭 방법 수집
· 매듭 활용 마크라메 작품 방법 연구
· 교육과정 분석
자료 제작 2021년 6월~7월
· 연구 방법 현장 적용
· 시나리오 작성
· 재료 구입
· 출연학생 개인정보제공동의서 수집
· 영상 촬영
영상 편집 2021년 6월~8월
· 제작 영상 편집
· 나레이션 녹음
· 자료 보완
다. 영상 전개 과정
도입
intro · 영상 제목 등장
· 영상 키워드 소개 동기유발 · 학생 인터뷰
· 마크라메 소개
전개
마크라메 소개 · 마크라메란
· 생활 속 마크라메
우정팔찌 · 상황1: 친구와 다퉜을 경우
· 길이조절 매듭팔찌 만들기
마음인형 · 상황2: 친구들 사이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경우
· 내 마음을 이해하는 마음인형 키링 만들기 카네이션 리스 · 상황3: 어버이날 엄마를 위한 선물 준비
· 특별한 카네이션 리스 만들기 정리 outro · 나레이션으로 영상 마무리
라. 제작 도구 및 출처
구분 제작 도구 비고
촬영 iphone xs
편집
KineMaster (Application) Premeire Pro CC 2018
After Effect CC 2018 Microsoft Office Powerpoint 나레이션 녹음 cosy MK3141UB
windows 음성녹음기 음악 출처
Youtube Audio Library
https://www.youtube.com/channel/
UCht8qITGkBvXKsR1Byln-wA
저작권 무료 음원
폰트 출처 눈누 사이트
https://noonnu.cc/ 저작권 무료 폰트 템플릿 출처 ShareAE 사이트
www.ShareAE.com
저작권 무료 템플릿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사이트
https://www.pixabay.com/
저작권 무료 이미지
3. 기대 효과
가. 손으로 하는 활동으로 뇌 발달을 돕고 작품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나. 실을 엮는 반복적이고 단순한 과정을 통해 집중력을 기르고 차분한 성정을 키울 수 있다.
다. 새로운 분야를 접하면서 자신의 적성을 탐구하고 생소한 직업 분야를 탐색하는 진로교육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라. 활동 중 두드러진 학생을 중심으로 서로 배우는 학급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마. 마음 표현이 서툰 학생들이 마음을 전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대인 관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