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업무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조사 , 2011
CODE BOOK
자료번호 A1-2011-0193
연구책임자 강정석․이환성 연구수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조사년도 2011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5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5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강정석․이환성 . 2011. 정부업무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조사 , 2011 . 연구수행 기관 : 한국행정연구원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5 년 . 자료번호 : A1-2011-0193.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5. 정부업무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조사, 2011 CODE
BOOK . pp. 1-7.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A1-2011-0193 정부업무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조사, 2011
a01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1: ‘자체평가’ 결과는 ‘특정평가’ 결과 보다 중요하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 2.4 2.4
그렇지 않다 2 36 8.6 8.6
보통 3 173 41.5 41.5
그렇다 4 135 32.4 32.4
매우 그렇다 5 45 10.8 10.8
잘모름 9 18 4.3 4.3
417
100.0 100.0
a0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1.2 1.2
그렇지 않다 2 42 10.1 10.1
보통 3 74 17.7 17.7
그렇다 4 212 50.8 50.8
매우 그렇다 5 78 18.7 18.7
잘모름 9 6 1.4 1.4
417
100.0 100.0
a0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1.2 1.2
그렇지 않다 2 54 12.9 12.9
보통 3 83 19.9 19.9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3: 특정평가 중 ‘핵심과제 평가’는 자체평가의 ‘관리과제 평 가’와 중복된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1.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1) ‘자체평가’ 결과는 ‘특정평가’ 결과 보다 중요하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1.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2) 자체평가의 지표와 측정방법을 자율적으로 선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1.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3) 특정평가 중 ‘핵심과제 평가’는 자체평가의 ‘관리과제 평가’와 중복된다.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2: 자체평가의 지표와 측정방법을 자율적으로 선정하는 것은 바 람직하다
1
매우 그렇다 5 38 9.1 9.1
잘모름 9 78 18.7 18.7
417
100.0 100.0
a0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5 0.5
그렇지 않다 2 35 8.4 8.4
보통 3 84 20.1 20.1
그렇다 4 172 41.2 41.2
매우 그렇다 5 50 12.0 12.0
잘모름 9 74 17.7 17.7
417
100.0 100.0
a05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5: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 추진절차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하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0 0.0 0.0
그렇지 않다 2 16 3.8 3.8
보통 3 74 17.7 17.7
그렇다 4 229 54.9 54.9
매우 그렇다 5 92 22.1 22.1
잘모름 9 6 1.4 1.4
417
100.0 100.0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4: 2011년도 자체평가에서 주요정책과 재정사업 부문을 성과관 리시행계획상 관리과제로 일원화한 것은 적절하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1.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4) 2011년도 자체평가에서 주요정책과 재정사업 부문을 성과관리시행계획상 관리과제로 일원화 한 것은 적절하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1.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5)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 추진절차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하다.
A1-2011-0193 정부업무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조사, 2011
a06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6: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위원회는 자체평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 0.2 0.2
그렇지 않다 2 22 5.3 5.3
보통 3 85 20.4 20.4
그렇다 4 220 52.8 52.8
매우 그렇다 5 77 18.5 18.5
잘모름 9 12 2.9 2.9
417
100.0 100.0
b01 자체평가의 유용성1: 성과관리시행계획의 관리과제들에 대한 자체평가는 업무에 도움이 된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7 1.7 1.7
그렇지 않다 2 34 8.2 8.2
보통 3 105 25.2 25.2
그렇다 4 225 54.0 54.0
매우 그렇다 5 45 10.8 10.8
잘모름 9 1 0.2 0.2
417
100.0 100.0
b0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5 0.5
그렇지 않다 2 24 5.8 5.8
보통 3 99 23.7 23.7
그렇다 4 232 55.6 55.6
매우 그렇다 5 50 12.0 12.0
잘모름 9 10 2.4 2.4
417
100.0 100.0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2. 자체평가의 유용성
1) 성과관리시행계획의 관리과제들에 대한 자체평가는 업무에 도움이 된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2. 자체평가의 유용성
2) 성과관리시행계획의 관리과제들에 대한 자체평가는 우리 부처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친 다.
자체평가의 유용성2: 성과관리시행계획의 관리과제들에 대한 자체평가는 우리 부처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1.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6)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위원회는 자체평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3
b03 자체평가의 유용성3: 성과관리시행계획의 관리과제들에 대한 자체평가결과는 활용도가 높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1.2 1.2
그렇지 않다 2 43 10.3 10.3
보통 3 147 35.3 35.3
그렇다 4 177 42.4 42.4
매우 그렇다 5 38 9.1 9.1
잘모름 9 7 1.7 1.7
417
100.0 100.0
c01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1: 우리 부처의 관리과제의 목표는 명확하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5 0.5
그렇지 않다 2 14 3.4 3.4
보통 3 70 16.8 16.8
그렇다 4 260 62.4 62.4
매우 그렇다 5 67 16.1 16.1
잘모름 9 4 1.0 1.0
417
100.0 100.0
c0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0 0.0 0.0
그렇지 않다 2 14 3.4 3.4
보통 3 86 20.6 20.6
그렇다 4 251 60.2 60.2
매우 그렇다 5 51 12.2 12.2
잘모름 9 15 3.6 3.6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2. 자체평가의 유용성
3) 성과관리시행계획의 관리과제들에 대한 자체평가결과는 활용도가 높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3.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 1) 우리 부처의 관리과제의 목표는 명확하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3.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
2)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지표는 관리과제의 성과달성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되 어 있다.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2: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지표는 관리과제의 성과달성여부를 파
악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다
A1-2011-0193 정부업무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조사, 2011
c03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3: 자체평가지표를 자율적으로 선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1.2 1.2
그렇지 않다 2 63 15.1 15.1
보통 3 117 28.1 28.1
그렇다 4 184 44.1 44.1
매우 그렇다 5 39 9.4 9.4
잘모름 9 9 2.2 2.2
417
100.0 100.0
c0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 0.5 0.5
그렇지 않다 2 19 4.6 4.6
보통 3 69 16.5 16.5
그렇다 4 257 61.6 61.6
매우 그렇다 5 63 15.1 15.1
잘모름 9 7 1.7 1.7
417
100.0 100.0
c0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 0.2 0.2
그렇지 않다 2 29 7.0 7.0
보통 3 116 27.8 27.8
그렇다 4 205 49.2 49.2
매우 그렇다 5 44 10.6 10.6
잘모름 9 22 5.3 5.3
417
100.0 100.0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3.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
3) 자체평가지표를 자율적으로 선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3.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
4)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지표는 우리 부처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Ⅰ. 자체평가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정도에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I_3.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
5)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지표는 평가결과의 변별력이 강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4: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지표는 우리 부처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체평가지표의 신뢰성 및 타당성5: 우리 부처의 자체평가지표는 평가결과의 변별력이 강화되도 록 구성되어 있다
5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성 1 260 62.4 62.4
여성 2 157 37.6 37.6
417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1 47 11.3 11.3
30대 2 179 42.9 42.9
40대 3 142 34.1 34.1
50대 이상 4 49 11.8 11.8
417
100.0 100.0
grade 응답자 직급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급이상 1 8 1.9 1.9
4급 2 62 14.9 14.9
5급 3 123 29.5 29.5
6급 4 96 23.0 23.0
7급 5 82 19.7 19.7
8급이상 6 46 11.0 11.0
417
100.0 100.0
part 응답자 직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일반직 1 374 89.7 89.7
기술직 2 43 10.3 10.3
417
100.0 100.0
A1-2011-0193 정부업무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조사, 2011
dur 근무년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년 이하 1 126 30.2 30.2
6~10년 2 100 24.0 24.0
11~15년 3 57 13.7 13.7
16~20년 4 77 18.5 18.5
21~25년 5 38 9.1 9.1
26~30년 6 15 3.6 3.6
31년 이상 7 4 1.0 1.0
417
100.0 100.0
job 담당업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과제관리 1 146 35.0 35.0
성과관리(평가) 2 140 33.6 33.6
기타 3 131 31.4 31.4
417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