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son과 나란히.. 반도체 대가 故 강대원 박사
Bebas
2
0
0
Teks penuh
(2) 강대원 박사는 경기고와 서울대를 졸업하고 1955년 도미, Ohio 주립대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Bell 연구소 (Bell Labs)에서 20여년간 반도체 분야 발명가로 활동했다.. 그는 Silicon기반의 MOSFET 개발 외에도 NAND Flash의 Floating Gate Memory Cell, EL(전계 발광) 분야에서 의미 있는 학술 업적을 남겼고, 한국인 최초의 전미 전기 전자통신 기술인 협회(IEEE)와 Bell Labs의 Fellow를 지냈다. 또 미국 국부(國父)인 Benjamin Franklin을 기리는 Franklin 연구소가 수여하는 Stewart Ballantine Medal과 Ohio 대학 의 탁월한 동문상을 받기도 했다. Franklin 연구소의 Medal은 Edison, Einstein 등이 수상할 정도로 미국 내 과학자 들에게는 최고 영예로 인정 받는 상이다.. 강 박사는 1988년 Bell Labs에서 은퇴한 후 Computer와 Communication 기술에 대해 장기적인 기초 연구를 수행 하기 위해 만들어진 NEC 연구소의 창립 사장이 됐고, 지난 1992년 학술대회를 마치고 New Jersey로 돌아오던 길 에 공항에서 쓰러져 타계했다. 향년 61세였다.. 강 박사는 한국이 반도체 강국으로 발돋움하기도 훨씬 전인 1960년대에 전성기를 구가했지만 한국 물리학회 종신 회원으로 국내 전자 공학계에도 학회지를 통해 Bell Labs의 선진 기술을 소개하는 등 학문 발전에도 기여했다. 한 때 LG전자의 고문을 맡는 등 국내 전자 산업이 태동기에 힘을 보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반도체산업은 1974년 한국 반도체 (한국 첫 전공정 반도체 공장, 삼성 반도체의 전신) 설립을 시작으로 태동 해 1983년 삼성전자와 현대전자 (현 Hynix)가 DRAM 생산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세계 반도체 강국으로 성장했다.. 한국 반도체 학계의 대부인 김충기 KAIST 특훈 교수는 "강 박사는 전세계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 친 세계적인 석학이었다"면서 "MOSFET 뿐만 아니라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NAND Flash의 기초 원리도 강 박사가 개발했으나 한국에선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3)
Dokumen terkait
간략한 용천요의 발전사 1 용천요의 시작시기 2 용천요의 발전시기 3 용천요의 번영시기 4 용천요의 쇠락과 지속시기 용천요는 중국 고대 청자의 생산과 발전의 역사 가운데서 후기단계를 풍미했던 걸출한 대표이자, 청자생산에서 전무후무했던 최고봉의 하나이다.. 만당·오대시기 용천지역에는 이미 청자를 생산하는 가마가 출현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