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Edison과 나란히.. 반도체 대가 故 강대원 박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Edison과 나란히.. 반도체 대가 故 강대원 박사"

Copied!
2
0
0

Teks penuh

(1)Edison과 나란히.. 반도체 대가 故 강대원 박사 DRAM NAND Flash 기초 발명 공로..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 오동희 Money Today 4/28/2009.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반도체 공학자' 고 강대원 박사가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한국인으 로는 처음으로 헌액된다.. 강 박사는 반도체 산업이 연 $2000억~3000억 (약 230조~360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발전하는 토대가 됐던 '전계 효과 금속 산화물 반도체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지난 1960년 미국 Bell 연구소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강 박사에 대한 명예의 전당 헌액 행사는 미 특허청 (United States Patents & Trademark Office)이 주관해 'IC 개발 50년'을 기념, California, Mountain View에 있는 'Computer 역사 박물관'에서 내달 2일 열린다.. 미국 특허청은 지난 1973년 인류와 사회, 경제 진화에 기여한 발명자들을 기리기 위해 NIHFF를 설립했다. 이곳에 는 발명왕 Thomas Edison을 비롯해 Wright 형제, Nobel 외에도 전화기를 발명한 Alexander G. Bell, Supercomputer 를 개발한 Seymour Cray, Aspirin을 만든 Felix Hoffman, Internet Protocol을 설계한 Vinton G. Cerf와 Robert Khan 등 380여명이 올라 있다.. NIHFF는 올해 반도체 집적 회로 (IC) 발명 50주년을 맞아 고 강대원 박사를 비롯해 강 박사와 공동으로 MOSFET 을 개발한 Martin M. 아탈라 박사와 LCD Panel을 첫 개발한 George 헤일마이어 (RCA), 반도체 진화론인 'Moore의 법칙’의 창시자이자 Intel 창업자인 Gordon Moore와 공동 창업자인 Andy Grove, 첫 Silicon Transistor를 개발한 고 든 틸 등 15명을 명예의 전당에 올리기로 했다.. 강 박사가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MOSFET 반도체는 1947년 William Shockley, Bardeen, Brattain 등 3인이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의 반도체인 Transistor인 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고집적화하고, 대량 양산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 법으로 제조한 것. 오늘날 Intel의 CPU나 삼성전자나 Hynix가 생산하는 DRAM 과 NAND Flash Chip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1959년 최초의 집적 회로(IC)를 만 든 Jack Kilby의 2000년 Nobel상 수상 공적서에도 강 박사의 MOSFET 기술이 오늘날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언급됐을 정도다..

(2) 강대원 박사는 경기고와 서울대를 졸업하고 1955년 도미, Ohio 주립대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Bell 연구소 (Bell Labs)에서 20여년간 반도체 분야 발명가로 활동했다.. 그는 Silicon기반의 MOSFET 개발 외에도 NAND Flash의 Floating Gate Memory Cell, EL(전계 발광) 분야에서 의미 있는 학술 업적을 남겼고, 한국인 최초의 전미 전기 전자통신 기술인 협회(IEEE)와 Bell Labs의 Fellow를 지냈다. 또 미국 국부(國父)인 Benjamin Franklin을 기리는 Franklin 연구소가 수여하는 Stewart Ballantine Medal과 Ohio 대학 의 탁월한 동문상을 받기도 했다. Franklin 연구소의 Medal은 Edison, Einstein 등이 수상할 정도로 미국 내 과학자 들에게는 최고 영예로 인정 받는 상이다.. 강 박사는 1988년 Bell Labs에서 은퇴한 후 Computer와 Communication 기술에 대해 장기적인 기초 연구를 수행 하기 위해 만들어진 NEC 연구소의 창립 사장이 됐고, 지난 1992년 학술대회를 마치고 New Jersey로 돌아오던 길 에 공항에서 쓰러져 타계했다. 향년 61세였다.. 강 박사는 한국이 반도체 강국으로 발돋움하기도 훨씬 전인 1960년대에 전성기를 구가했지만 한국 물리학회 종신 회원으로 국내 전자 공학계에도 학회지를 통해 Bell Labs의 선진 기술을 소개하는 등 학문 발전에도 기여했다. 한 때 LG전자의 고문을 맡는 등 국내 전자 산업이 태동기에 힘을 보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반도체산업은 1974년 한국 반도체 (한국 첫 전공정 반도체 공장, 삼성 반도체의 전신) 설립을 시작으로 태동 해 1983년 삼성전자와 현대전자 (현 Hynix)가 DRAM 생산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세계 반도체 강국으로 성장했다.. 한국 반도체 학계의 대부인 김충기 KAIST 특훈 교수는 "강 박사는 전세계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 친 세계적인 석학이었다"면서 "MOSFET 뿐만 아니라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NAND Flash의 기초 원리도 강 박사가 개발했으나 한국에선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3)

Referensi

Dokumen terkait

간략한 용천요의 발전사 1 용천요의 시작시기 2 용천요의 발전시기 3 용천요의 번영시기 4 용천요의 쇠락과 지속시기 용천요는 중국 고대 청자의 생산과 발전의 역사 가운데서 후기단계를 풍미했던 걸출한 대표이자, 청자생산에서 전무후무했던 최고봉의 하나이다.. 만당·오대시기 용천지역에는 이미 청자를 생산하는 가마가 출현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