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5, No. 3, pp. 110-113 (2014) ISSN 2093-067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검은이마직박구리(Pycnonotus sinensis) 개체수 변화 및 국내 서식 현황
박종현* · 서슬기 · 조숙영 · 박창욱 · 박세영 · 이승연 · 김양모 · 권영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Fluctuation of the Light-Vented Bulbuls ( Pycnonotus sinensis ) in Heuksan-do(Is.),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Distribution
in Korea
Jong-Hyun Park * , Seul-Gi Seo, Sook-Young Cho, Chang-Uk Park, Se-Young Park, Seung-Yeon Lee, Yang-Mo Kim and Young-Soo Kwon
Migratory Bird Research Center,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Jeollanam-do 535-917, Korea
요 약 :본 조사는 검은이마직박구리 Pycnonotus sinensis 의 국내 서식 현황 및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의 개체수변화에대해연구하고자실시하였다. 2002~2006년까지검은이마직박구리는어청도, 소청도, 하태도, 홍도등 서남해 일대 도서지역에서주로 관찰 되었으며, 2006년 이후 전남 흑산도와 제주도에서관찰 되었고 부산태종대, 경남 창원, 전남 순천 등 내륙지방에서도 관찰되었다. 2010년 이후에는 경기 파주, 안산 및 경북 포항에서도 검은 이마직박구리가 관찰되어 이들의 분포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흑산도 일대에서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3년간검은이마직박구리의개체수변화를모니터링한 결과 2011년은 7월에 3개체를발견한이후 추가적인 관찰이 없었으나, 2012년 2월부터는 연중 관찰되며, 그 개체수 또한 2012년 7월에 최대 12개체, 2013년 10월에최대 31개체가관찰되어 3년간개체수가크게증가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흑산도일대는극동아시아를 이동하는소형참새목조류의중간기착지로이용된다. 따라서외래유입종인검은이마직박구리개체수증가는지역내 토착종이나이지역을통과하는철새에게 영향을미칠가능성이있다. 그러므로이지역을이동하는 철새를보호하 기위해서는지속적인모니터링과검은이마직박구리가철새에게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가필요하다.
주요어 :검은이마직박구리, 흑산도, 다도해해해상국립공원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distribution in Korea and fluctuation of individuals of the Light-Vented Bulbul Pycnonotus sinensis in Heuksan-do (Is.),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Since there were the first recorded on Eocheong-do (Is.) in Jeonbuk province in 2002, Light-Vented Bulbuls were observed on Socheong-do (Is.) in Incheon, Hatae-do (Is.) and Hong-do (Is.) in Jeonnam province located in south-western part of Korea until 2006. They distributed to Heuksan-do (Is.) in Jeonnam province and Jeju-do (Is.) and Taejongdae in Busan, Changwon in Gyeongnam province, Suncheon in Jeonnam province among 2007~2010. They additionally distributed to Paju in Gyeonggi province and Pohang in Gyungbuk province after 2010. We monitored Jin-ri and baenanggimi in Heuksan-do (Is.) daily among 2011~2013. We observed only 3 individuals in July 2011. But Light-Vented Bulbuls have been observed all the year round since 2012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s increasing. We observed 12 individuals in July 2012 and 31 individuals in 2013. The Heuksan-do (Is.)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has been used a stopover-site by migratory birds. Because the Light-Vented bulbul is a species of newly settled in Heuksan-do (Is.), it is possible to affect on migratory birds. Therefore to make conservation plan for migratory birds, It needs to monitoring population consistently and effect of Light-Vented Bulbul on migratory birds.
Key words :Light-Vented Bulbul (Pycnonotus sinensis), Heuksan-do (Is,),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검은이마직박구리(Pycnonotus sinensis) 개체수 변화 및 국내 서식 현황 111
서 론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는 전 세계의 공통적인 중요 현안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기온, 강수량, 수 온, 해수면 상승 및 기후대의 변화 등 기후변화 현상이 다 양하게 나타나고 있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10).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해 조류를 활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환경변화에민감한동물분류군인조류를기후변화생 물지표로 이용하고 있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08). 이는 조류 가 이동성이 매우 강하고 물질대사가 활발하여 환경변화에 즉각 반응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김 등
2010). 우리나라는 기후대가 변화하면서 쇠백로 Egretta
garzetta, 왜가리 Ardea cinerea,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등 일부 철새들이 텃새 화 되는경향을 보인다(김 2012).
검은이마직박구리 Pycnonotus sinensis는 중국, 베트남, 류 큐 섬 등 아열대 지방에서 분포하며, 중국 동부, 베트남 북 부, 대만, 일본 등에서 번식한다(원과 김 2012; Brazil 2009).
개활지 주변의 산림, 과수원, 농경지 주변에서 주로 서식하 며 도시화가진행된 지역에서식하기도한다(박과서 2008;
Eguchi and Amano 2004).
국내에서는 2002년 전북 군산시 어청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전남 하태도, 홍도 등 에서 관찰되어 왔으며, 2004년 인천 옹진군 소청도에서 처음으로 번식이 확인되었고, 이후 전남 신안군 장도와 가거도, 인천 옹진군 백령도에서 번식 이 확인되었다(강 등 2012; 박과 서 2008 환경부 2007; 환 경부 2009).
국외의 경우 이 종은 도시화로 인한 급격한 환경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종으로 활용하고 있으며(Wang et al. 2009), 국내에서도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 종의 국내 분포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없는 실 정이며, 한지역에서 이들의개체수 변화에관한연구는없 었다.
따라서본연구는 1) 검은이마직박구리의국내서식현황 을 파악하고, 2) 검은이마직박구리가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일대의 개체수 변화를 알아보고 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1. 자료 수집
검은이마직박구리의 국내 분포 및 서식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종이 처음 관찰된 2002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문헌을 조사하였으며(강 등 2012; 박과 서 2008; 박 등 2008; 원과 김 2012; 환경부 2009), 발표되지 않은 자료는 이를증명할수 있는사진이확인된경우, 기록에포함하였 다. 수집한 자료는 2002~2006, 2007~2010, 2011~2013년 3 개시기로 나누었으며, 번식기록과 관찰기록을 구분하여 분 석하였다.
2. 조사 지역
조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N 34 41', E 125 25') 의 배낭기미 일대와 진리마을 일대에서 수행하였다. 조사 지역은 흑산도 북서쪽에 위치하였으며 배낭기미 일대는
14,300m2 면적의습지가있으며 습지위쪽으로 저수지가위
치해 있다. 진리마을은 비교적 높이가 낮은건물과 밭으로 이루어져 있고, 약 3,000m2의 작은 습지가 있다(Figure 1).
3. 연구기간 및 방법
배낭기미와 진리마을 일대 개체수 변화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07:00-10:00 사이에매일 모니터링하였다. 조사 방법은 군집전체를 한눈에볼 수 있는 지점을선정하여 조 사하는정점조사법(point count)과도보로시속 1.5~2.0 km의 속도로 걸어가면서 그 양쪽의 일정한 범위를 조사하는 선형 조사법(line transect count)를 병행하였다. 육안 또는 망원경
(Swarovski 20~60x)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울음소리도
함께동정하였다. 월별개체수는각 월의관찰된일일최대 개체수로 산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국내 분포 현황
2002~2006년까지 검은이마직박구리는 어청도, 하태도, 홍
도, 백령도로 서남해 일대 도서지역과 전북부안에서 관찰
되었다. 2006년 이후 전남 흑산도, 제주도와 부산 태종대,
경남 창원시, 전남 순천, 충남 청양 등 내륙지방에서도 관찰 되었다. 2011년 이후에는 경기 파주, 안산 및 경북 포항에서 도 검은이마직박구리가 관찰되어 이들의 분포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번식기록 또한 2002년 전북 군산 시어청도에서처음관찰된이래, 전남신안군장도, 가거도, 백령도등도서지역에서 번식이확인되어번식지역또한 확 대되는 경향을보였다(Figure 2).
국내에서 아열대성 조류의 발견기록 증가 원인에 대해서 Figure 1. A map of study sites (a: Baenanggimi, b: Jin-ri).
112 국립공원연구지 제 5 권 제 3 호 (2014)
는정확히 밝혀진바 없다. 그러나아열대 지역에서 분포하 며 관찰기록이 없었던 붉은부리찌르레기 Sturnus sericeus가 검은이마직박구리와 비슷한 시기에 관찰되기 시작하여 현재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고 있다(Choi et al. 2011). 또한 노랑배진박새 Parus venustulus는 2005년 가을에 인천 옹진 군소청도에서 발견되기시작한이래지속적으로관찰 기록
이 증가하고 있다(이 등 2014). 우리나라는 1904년부터
2000년까지 평균 기온이 1.5oC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세계
평균 증가량인 0.74oC 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Kwon
2005). 따라서 급격한 기후변화와 아열대성 조류에 분포권
확대와의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를 연구하 기위한 이들의개체수, 분포권변화, 번식및 월동 현황등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함께기후변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 흑산도 일대 개체수 변화
조사 기간인 2011년부터 2013년 12월까지 3년간 검은이 마직박구리의 개체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2011년은 7월에
3개체를 확인한 이후 추가적인 관찰이 없었으나, 2012년 2
월부터는 연중 관찰되며, 그 개체수 또한 크게 증가하여 2012년 7월에 최대 12개체, 2013년 10월에 최대 31개체가 관찰되었다. 또한철새의이동시기인가을철과 월동기인겨 울철에 급격히 개체수가 증가하였다(Figure 3). 이는 번식을 마친 검은이마직박구리가 흑산도 일대를 중간기착하거나 월 동지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두 지역을 비교하였을 때 진리마을 일대에서 개체수가 더
빠르게증가하여 2013년 10월에관찰된개체수가 배낭기미
일대는 10개체, 진리는 21개체로 2배 이상차이가나타났다 (Figure 4).
Figure 2. Observation (filled circles) and breeding (open circles) records of the Light-Vented Bulbuls in Republic of Korea.
Figure 3. Changes in total number of Light-Vented Bulbuls observed in study sites.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검은이마직박구리(Pycnonotus sinensis) 개체수 변화 및 국내 서식 현황 113
검은이마직박구리는 주로 과수원, 농경지 주변에서 생활 하며, 나무열매, 곤충, 거미류를 잡아먹는다(박과 서 2008).
따라서이들이밭의면적이넓은 진리마을일대에서배낭기 미 일대보다 더 많은 개체가 관찰 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는 극동아시아를 이동하는 소 형 참새목 조류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며, 연구대상지인 배 낭기미와진리마을일대는흑산도내다른 지역에비해 많은 조류가관찰되는 장소이다(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내에서 는아직 검은이마직박구리가다른 조류에게영향을 미친사 례에 관한 보고는 없었으나, 국외의 경우 외래유입종이 토 착종을 공격하거나, 번식을 방해하는 등 해당 지역내 생태 계에 영향을 미친 사례 또한 다수 보고되어 있다(Eguchi
and Amano 2004). 일본 또한 검은이마직박구리를 외래유입
종으로 분류 하였으며, 오키나와 섬의 경우 1976년 검은이
마직박구리가 처음발견된이래 이들의개체수가급격히증 가하여 섬 전역에서 높은 밀도로 서식하며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Nakamura 2007). 따라서 급격히 개체수가 증가 하는 검은이마직박구리는 흑산도 지역을 중간기착하는 조류 나, 지역농가에 피해를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지속 적인 검은이마직박구리의 개체수 증가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이들이 흑산도 일대 생태계와 지역내 농가에 미치는 영향에관한지속적인 연구가필요하다.
사 사
본연구는국립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에서실시하는조 류조사연구사업의일환으로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강종현, 김동원, 서재화, 박진영. 2012. 백령도에서검은이마직박 구리(Pycnonotus sinensis)의번식및월동현황. 한국조류학회 지 19(3): 237-241. 한국조류학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8. 2008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 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관리공단. 2010. 기후변화가생태계에미치는영향모니
터링체계구축. 국립공원연구원, 남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13. 2012~13 국립공원조류조사연구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김재한. 2012. 청주시환상녹지의경관파편화실태와지속가능한
녹지관리방안모색. 대한지리학회지. 47(1): 79-97.
김지석, 한봉호, 곽정인. 2010. 6년동안의야생조류변화와기온과 의 관계연구-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3): 227-234.
박종길, 서정화. 2008. 산새: 한국의야생조류길잡이. 신구문화 사, 서울.
박진영, 최태봉, 김동원. 2008. 검은이마직박구리(Pycnonotus sinensis)의 국내 최초 번식기록에관한 보고. 한국조류학회 2008년춘계학술대회초록집.
원병오, 김화정. 2012. 한반도의조류.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14. 야외원색도감: 한국의새. LG 상록
재단, 서울.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
환경부. 2007. 습지보호지역정밀조사.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인천.
환경부. 2009. 생태, 경관우수지역발굴조사(가거도/소청도/달마 산).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인천.
Brazil M. 2009. Birds of east Asia, A&C Black.
Choi C-Y, J-G Park, N Moores, E Kim. 2011. The recent increase of the Red-billed Starling Sturnus sericeu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ktail 27: 89-91.
Eguchi K, HE Amano. 2004. Invasive birds in Japan.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English Edition- 8(1): 29-40.
Kwon WT. 2005.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climate change sciences. J. Korean Meteor. Soc. 41: 325-336.
Nakamura K. 2007. Seasonal fluctuation and movement of the Light-vented Bulbul Pycnonotus sinensis population in southern Okinawa Island. Ornithological Science 6(2): 131-135.
Wang Y, S Chen, RB Blair, P Jiang, P Ding. 2009. Nest composition adjustments by Chinese Bulbuls Pycnonotus sinensis in an urbanized landscape of Hangzhou (E China). Acta Ornithologica 44(2): 185-192.
(2014년 8월 7일접수; 2014년 9월 10일채택) Figure 4. Changes in number of Light-Vented Bulbuls observed in each study sites in respectively (a: Baenanggimi, b: Jin-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