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자연수의 성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I 자연수의 성질"

Copied!
44
0
0

Teks penuh

(1)

I   자연수의 성질

11, 2, 소수 ⑵ 1, 2, 5, 10, 합성수 ⑶ 1, 17, 소수

1, 23, 소수 ⑸ 1, 5, 7, 35, 합성수 ⑹ 1, 41, 소수 2 ⑴ 3, 112, 37, 8317, 53, 7929, 61, 101 3 2, 3, 5, 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 4 ⑴ ○ ⑵ × ⑶ × ⑷ ×

5 ⑴ 밑 : 2, 지수 : 5 ⑵ 밑 : 6, 지수 : 10 ⑶ 밑 : 11, 지수 : 3

⑷ 밑 : 1/3, 지수 : 7 6643, 22, 2 7 ⑴ 3\5^3(1/10)^^41

2^2&\5^32^2&\3^3(1/3)^^2&\(1/7)^^3

1

5^3&\13^2

8 ⑴ 5^22^510^3(1/3)^^4

9 ⑴ 2, 2, 2, 2, 2, 3, 2, 32, 3, 2, 3, 2, 3, 5, 2, 3, 5

2, 2, 3, 2, 2, 3, 2, 3, 2, 3

103^3, 35\7, 5, 72^3&\5, 2, 52\3\7, 2, 3, 7

7^2, 72^2&\13, 2, 132^2&\3\5, 2, 3, 52^3&\3^2, 2, 3

2^5&\3, 2, 32^2&\3^3, 2, 32\3^2&\7, 2, 3, 7

5^2&\7, 5, 7

111, 5, 2, 10, 10의 약수 : 1, 2, 5, 10

1, 5, 3, 15, 9, 45, 45의 약수 : 1, 3, 5, 9, 15, 45

1, 3, 2, 6, 4, 12, 8, 24, 24의 약수 : 1, 2, 3, 4, 6, 8, 12, 24

2\7^2, 1, 7, 49, 2, 14, 98, 98의 약수 : 1, 2, 7, 14, 49, 98

3^2&\5^2, 1, 5, 25, 3, 3, 15, 75, 3^2, 9, 45, 225, 225의 약수 : 1, 3, 5, 9, 15, 25, 45, 75, 225

12 ⑴ ㄱ, ㄴ, ㄹ ⑵ ㄱ, ㄷ, ㄹ, ㅁ ⑶ ㄱ, ㄴ, ㄷ ⑷ ㄱ, ㄴ, ㄹ 136개 ⑵ 6개 ⑶ 12개 ⑷ 12개 ⑸ 4개 ⑹ 8

1 소인수분해

p.9~13

2의 약수는 1, 2로 소수이다.  1, 2, 소수

10의 약수는 1, 2, 5, 10으로 합성수이다.

1, 2, 5, 10, 합성수

17의 약수는 1, 17로 소수이다.  1, 17, 소수

23의 약수는 1, 23으로 소수이다.  1, 23, 소수

35의 약수는 1, 5, 7, 35로 합성수이다.

1, 5, 7, 35, 합성수

41의 약수는 1, 41로 소수이다.  1, 41, 소수

⑴  3, 11

⑵  2, 37, 83

⑶  17, 53, 79

29, 61, 101

1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2, 3, 5, 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

⑴ 가장 작은 소수는 2이다.  ○

⑵ 합성수는 3개 이상의 약수를 가진다.  ×

2는 소수이지만 홀수가 아니다.  ×

⑷ 자연수는 1과 소수, 합성수로 이루어져 있다.  ×

⑴ 밑 : 2, 지수 : 5

⑵ 밑 : 6, 지수 : 10

⑶ 밑 : 11, 지수 : 3

⑷ 밑 : 1/3, 지수 : 7

3\3\3\3\3\3=3^66

8\8\8\8=8^44

1/2\1/2\1/2\1/5\1/5=(1/2)^^3&\(1/5)^^23, 2

1

3\3\5\5 = 1

3^2&\5^22, 2

3\5\5\5=3\5^33\5^3

1/10\1/10\1/10\1/10=(1/10)^^4(1/10)^^4

1

2\2\5\5\5 = 1

2^2&\5^31 2^2&\5^3

2\3\3\2\3=2^2&\3^32^2&\3^3

1/3\1/3\1/7\1/7\1/7=(1/3)^^2&\(1/7)^^3

(1/3)^^2&\(1/7)^^3

1

5\5\5\13\13 = 1

5^3&\13^21 5^3&\13^2

25=5\5=5^25^2

32=2\2\2\2\2=2^52^5

1000=10\10\10=10^310^3

1/81=1/3\1/3\1/3\1/3=(1/3)^^4(1/3)^^4

3

4

5

6

6 4

2 3

2 2

7

8

1. 소인수분해 1

(2)

[방법 1] [방법 2]

2 8 12k 2 8 6k 3

12 2 2 6 3

12를 소인수분해하면 12=2^2&\3이므로 12의 소인수는 2, 3이다.  2, 2, 2, 2, 2, 3, 2, 3

[방법 1] [방법 2]

2 8 30k 3 8 15k 5

30 2 3 15 5

30을 소인수분해하면 30=2\3\5이므로 30의 소인수 는 2, 3, 5이다.  2, 3, 2, 3, 2, 3, 5, 2, 3, 5

[방법 1] [방법 2]

2 8 36k 28 18k 38 9k 3

36 2 2

18 3

9 3

36을 소인수분해하면 36=2^2&\3^2이므로 36의 소인수는 2, 3이다.  2, 2, 3, 2, 2, 3, 2, 3, 2, 3

3 8 27k 3 8 9k 3

5 8 35k 7

3^3, 35\7, 5, 7

2 8 40k 2 8 20k 2810k 5

2 8 42k 3 8 21k 7

2^3&\5, 2, 52\3\7, 2, 3, 7

7 8 49k

72 8 52k 2 8 26k 13

7^2, 72^2&\13, 2, 13

2 8 60k 2 8 30k 3 8 15k 5

2 8 72k 2 8 36k 2 8 18k 3 8 9k 3

2&^2&\3\5, 2, 3, 52^3&\3^2, 2, 3

2 8 96k 2 8 48k 2 8 24k 2 8 12k 2 8 6k 3

2 8 108k 2 8 54k 3 8 27k 3 8 9k 3

2^5&\3, 2, 32^2&\3^3, 2, 3

9

10

27=3^3 소인수 : 3

35=5\7 소인수 : 5, 7

40=2^3&\5 소인수 : 2, 5

42=2\3\7 소인수 : 2, 3, 7

49=7^2 소인수 : 7

52=2^2&\13 소인수 : 2, 13

60=2^2&\3\5 소인수 : 2, 3, 5

72=2^3&\3^2 소인수 : 2, 3

96=2^5&\3 소인수 : 2, 3

108=2^2&\3^3 소인수 : 2, 3

2 8 126k 3 8 63k 38 21k 7

5 8 175k 5 8 35k 7

2\3^2&\7, 2, 3, 75^2&\7, 5, 7

⑴  \ 1 5

1 1 5

2 2 10

10의 약수 : 1, 2, 5, 10

⑵  \ 1 5

1 1 5

3 3 15

3^2 9 45

45의 약수 : 1, 3, 5, 9, 15, 45

⑶  \ 1 3

1 1 3

2 2 6

2^2 4 12 2^3 8 24

24의 약수 : 1, 2, 3, 4, 6, 8, 12, 24

⑷  98=2\7^2

\ 1 7 7^2

1 1 7 49

2 2 14 98

98의 약수 : 1, 2, 7, 14, 49, 98

⑸  225=3^2&\5^2

\ 1 5 5^2

1 1 5 25

3 3 15 75

3^2 9 45 225

225의 약수 : 1, 3, 5, 9, 15, 25, 45, 75, 225

⑴ 

, , ⑵ ㄱ, , ,

⑶ ㄱ, , ⑷ ㄱ, ,

5+1=6(개)  6

(2+1)\(1+1)=3\2=6(개)  6

(1+1)\(2+1)\(1+1)=2\3\2=12(개)

12

(3+1)\(2+1)=4\3=12(개)  12

35=5\7이므로 (1+1)\(1+1)=2\2=4(개)

4

56=2^3&\7이므로 (3+1)\(1+1)=4\2=8(개)

8

126

=2\3^2&\7 소인수 : 2, 3, 7

175=5^2&\7 소인수 : 5, 7

11

12

13

(3)

132 3 4 5 ③, ④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실력 TEST

p.14~16

5, 17, 413개  3

소수는 13, 312개이므로 a=2이고,

합성수는 4, 25, 27, 38, 42, 49, 577개이므로 b=7이다.

.t3 b-a=7-2=5 ⑤

37은 모두 소수이다.

12는 합성수이나 2는 소수이다.

9는 합성수이나 23은 소수이다.

1439는 모두 합성수이다.

25는 합성수이나 53은 소수이다. ④

1은 소수도 아니고, 합성수도 아니다.

② 소수인 짝수는 2뿐이므로 한 개이다.

③ 합성수는 약수의 개수가 3개 이상이다.

11의 배수 중 소수는 111개뿐이다.

⑤ 자연수는 1, 소수, 합성수로 이루어져 있다. ④

1/5\1/5\1/5\1/5= 15^4

a\a\b\b\b\b=a^2&\b^4 ③, ④

3^5=243이므로 a=5 ③

8^3=512

1/a\1/a\1/a= 1a^3

3\3\5\5\5\5=3^2&\5^4

a+a+a+a+a=5a ④

90=2\3^2&\5이므로 90의 소인수는 2, 3, 5이다. ③

72=2^3&\3^2 ③

126=2\3^2&\7이므로 소인수는 2, 3, 7이다. 따라서 그 합은

2+3+7=12이다. ④

64=2^675=3\5^280=2^4&\5

120=2^3&\3\5 ⑤

1 2

3

4

5

6 7

8 9 10 11

14=2\7이므로 소인수는 2, 72

30=2\3\5이므로 소인수는 2, 3, 53

45=3^2&\5이므로 소인수는 3, 52

56=2^3&\7이므로 소인수는 2, 72

108=2^2&\3^3이므로 소인수는 2, 32개 ②

252=2^2&\3^2&\7이므로 각 소인수의 지수의 합은

2+2+1=5이다. ②

54=2\3^3이므로 구하는 자연수는 2\3=6이다. ③ 245=5\7^2이므로 구하는 자연수는 5이다. ② 350=2\5^2&\7이므로 a=2\7=14

b^2=2\5^2&\7\2\7=(2\5\7)^2이므로 b=70

따라서 b-a=70-14=56이다. ④

80=2^4&\5이므로 ④ 2^2&\5^280의 약수가 아니다. ④

③

96=2^5&\3이므로 (5+1)\(1+1)=12(개) ⑤

6+1=7(개)

(2+1)\(1+1)=6(개)

30=2\3\5이므로

(1+1)\(1+1)\(1+1)=8(개)

(2+1)\(1+1)\(1+1)=12(개)

108=2^2&\3^3이므로 (2+1)\(3+1)=12(개) ② 72=2^3&\3^2이므로 72의 약수의 개수는

a=(3+1)\(2+1)=12 모든 소인수의 합은 b=2+3=5

.t3 a+b=17 ③

24=2^3&\3이므로 (3+1)\(1+1)=8(개)

18=2\3^2이므로 (1+1)\(2+1)=6(개)

40=2^3&\5이므로 (3+1)\(1+1)=8(개)

54=2\3^3이므로 (1+1)\(3+1)=8(개)

2^3&\7이므로 (3+1)\(1+1)=8(개)

135=3^3&\5이므로 (3+1)\(1+1)=8(개) ① (4+1)\(x+1)=20, x+1=4, x=3 ② 2^a&\25=2^a&\5^2의 약수의 개수는

(a+1)\(2+1)=24, a+1=8, a=7 ③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1. 소인수분해 3

(4)

1 ⑴ ○ ⑵ × ⑶ × ⑷ × ⑸ ○

25, 117, 398, 22, 385, 13, 35 3 ⑴ 2, 10, 3, 2, 43, 30, 4, 13, 3, 63, 3, 3

2, 7, 14, 28, 2, 7, 14

4 ⑴ 2, 3, 62^2, 7, 283, 7, 212^2, 3, 122^2, 5, 20 566206241266

6 ⑴ 3, 3, 363, 18, 6, 7, 2, 3, 3, 2, 3, 7, 504

3, 2, 18, 7, 9, 9, 3, 7, 9, 378

7 ⑴ 2^3, 3, 5, 1202^2, 3^2, 5, 1803^2, 5, 7, 315

2^3, 3^2, 5, 3602^4, 3^2, 5, 720

8 ⑴ 483128463027072180252 9 ⑴ 6396150432320700

10 ⑴ 30451681530252 112345612

12 ⑴ 10572361806048180540 1372/525/321/440/9105/840/7

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p.18~23

⑴ 최대공약수가 1이므로 서로소이다.  ○

⑵ 최대공약수가 2이므로 서로소가 아니다.  ×

⑶ 최대공약수가 3이므로 서로소가 아니다.  ×

⑷ 최대공약수가 4이므로 서로소가 아니다.  ×

⑸ 최대공약수가 1이므로 서로소이다.  ○

6=2\3이므로 6과 서로소인 수는 5, 11이다.  5, 11

10=2\5이므로 10과 서로소인 수는 7, 39이다.  7, 39

15=3\5이므로 15와 서로소인 수는 8, 22, 38이다.

8, 22, 38

24=2^3&\3이므로 24와 서로소인 수는 5, 13, 35이다.

5, 13, 35

2 8 12 20k 2 8 6 10k

3  5 ∴ (최대공약수)=2\2=4

2, 10, 3, 2, 4

2 8 24 60k 78k 3 8 12 30k 39k

4 10 13 ∴ (최대공약수)=2\3=6

3, 30, 4, 13, 3, 6

3 8 9 21k 39k

3  7 13 ∴ (최대공약수)=3

3, 3, 3

2814 28k 56k 78 7 14k 28k

1  2  4 ∴ (최대공약수)=2\7=14

2, 7, 14, 28, 2, 7, 14

1

2

3

단비Solution

공통인 소인수의 지수가 다르면 작은 쪽을 택하여 곱한다.

2^3\3

2, 3, 6

2 \3^2\ 5

(최대공약수)= 2 \3 = 6

2^2 \7^2

2^2, 7, 28

2^3\ 5 \7

(최대공약수)=2^2 \7 =28

3^2\5^2\ 7

3, 7, 21

2 \3 \ 7

(최대공약수)= 3 \ 7 =21

2^2\3^2

2^2, 3, 12

2^5\3

2^3\3^2\ 5

(최대공약수)=2^2\3 =12

2^3\3^3\5

2^2, 5, 20

2^2\3 \5

2^4 \5^2\ 7

(최대공약수)=2^2 \5 =20

2 8 54 60k 3 8 27 30k

9 10 ∴ (최대공약수)=2\3=66

∴ (최대공약수)=2\3=66 2 8 30 72k

3 8 15 36k 5 12

2860 80k 2830 40k 5815 20k

3  4 ∴ (최대공약수)=2\2\5=2020

2 8 18 24k 30k 3 8 9 12k 15k

3  4  5 ∴ (최대공약수)=2\3=66

2 8 48 72k 96k 2 8 24 36k 48k 2 8 12 18k 24k 3 8 6  9k 12k 2  3  4

∴ (최대공약수)=2\2\2\3=24

24

2^3\3

12

2^2\3^2

(최대공약수)=2^2\3 =12

2 \3^2\ 5

6

2^2\3 \ 7

(최대공약수)=2 \3 = 6

4

5

(5)

2^3\3^5 \ 7

6

2 \3^2\5^3

2^2\3 \5^2

(최대공약수)=2 \3 = 6

3 8 9 12k

3  4 ∴ (최소공배수)=3\3\4=36

3, 3, 36

2 8 24 36k 42k 3 8 12 18k 21k 2 8 4  6k  7k 2  3  7

∴ (최소공배수)

=2\3\2\2\3\7=5043, 18, 6, 7, 2, 3, 3, 2, 3, 7, 504

3 8 21 42k 54k 2 8 7 14k 18k 7 8 7  7k  9k 1  1  9

∴ (최소공배수)

=3\2\7\1\1\9=3783, 2, 18, 7, 9, 9, 3, 7, 9, 378

2 \ 3

2^3, 3, 5, 120

2^3 \ 5

(최소공배수)=2^3\ 3 \ 5 =120

2^2\3 \ 5

2^2, 3^2, 5, 180

2 \3^2\ 5

(최소공배수)=2^2\3^2\ 5 =180

3^2\ 5 \ 7

3^2, 5, 7, 315

3 \ 7

(최소공배수)=3^2\ 5 \ 7 =315

2^3\3^2

2^3, 3^2, 5, 360

2 \ 5

2^2\3 \ 5

(최소공배수)=2^3\3^2\ 5 =360

2^3\3 \ 5

2^4, 3^2, 5, 720

2 \3^2

2^4 \ 5

(최소공배수)=2^4\3^2\ 5 =720

2 8 12 16k 2 8 6  8kk 3  4

∴ (최소공배수)

=2\2\3\4=4848

2 8 24 52k 2 8 12 26k 6 13

∴ (최소공배수)

=2\2\6\13=312312

2 8 28 84k 2 8 14 42k 7 8 7 21k 1  3

∴ (최소공배수)

=2\2\7\1\3=8484

6

7

8

3 8 30 45k 105k 5 8 10 15k  35k 2  3  7

∴ (최소공배수)

=3\5\2\3\7=630630

2 8 18 30k 54k 3 8 9 15k 27k 3 8 3  5k  9k 1  5  3

∴ (최소공배수)

=2\3\3\1\5\3=270

270

2^3\3

72

2^2\3^2

(최소공배수)=2^3\3^2=72

2^2\3 \ 5

180

2 \3^2\ 5

(최소공배수)=2^2\3^2\ 5 =180

2 \3^2\ 7

252

2^2 \ 7

2^2\3

(최소공배수)=2^2\3^2\ 7 =252

A\B=3\21=6363

A\B=4\24=9696

A\B=5\30=150150

A\B=6\72=432432

A\B=8\40=320320

A\B=10\70=700700

24\A=6\120이므로 A=3030

30\A=15\90이므로 A=4545

56\84=28\A이므로 A=168168

60\105=A\420이므로 A=1515

(2^2&\5)\A=(2\5)\(2^2&\3\5)이므로

A=2\3\5=3030

(2^2&\3\7^2)\A=(2^2&\3\7)\(2^2&\3^2&\7^2)이므로 A=2^2&\3^2&\7=252252 주어진 두 분수의 분자의 최대공약수를 구한다.

1832의 최대공약수이므로 2이다.  2

1215의 최대공약수이므로 3이다.  3

836의 최대공약수이므로 4이다.  4

2035의 최대공약수이므로 5이다.  5

1242의 최대공약수이므로 6이다.  6

2436의 최대공약수이므로 12이다.  12

주어진 두 분수의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구한다.

1521의 최소공배수이므로 105이다.  105

1824의 최소공배수이므로 72이다.  72

912의 최소공배수이므로 36이다.  36

9

10

11

12

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5

(6)

2036의 최소공배수이므로 180이다.  180

1230의 최소공배수이므로 60이다. 60

616의 최소공배수이므로 48이다.  48

3690의 최소공배수이므로 180이다. 180

5460의 최소공배수이므로 540이다.  540

(9, 24의 최소공배수)

(20, 5의 최대공약수)=72/572/5

(5, 25의 최소공배수)

(9, 21의 최대공약수) =25/325/3

(7, 21의 최소공배수)

(28, 8의 최대공약수) =21/421/4

(8, 10의 최소공배수)

(27, 9의 최대공약수) =40/940/9

(15, 35의 최소공배수)

(32, 24의 최대공약수) =105/8105/8

(5, 8의 최소공배수)

(14, 7의 최대공약수) =40/740/7

1 2 374 5 64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40/3 26 27 28 29 30 31 32

실력 TEST

p.24~28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각각 구해본다.

4 ② 6 ③ 12 ④ 1 ⑤ 3

따라서 48과 최대공약수가 1인 것은 ④이다. ④

1566의 최대공약수는 3이므로 서로소가 아니다. ③ 12=2^2&\3이므로 10보다 크고 30보다 작은 수 중에서 2의 배수도 아니고 3의 배수도 아닌 수를 찾는다.

따라서 11, 13, 17, 19, 23, 25, 297개이다. 7

13

1

2 3

915는 모두 홀수이지만 최대공약수는 3으로 서로소가 아니다. 즉, 서로 다른 두 홀수는 서로소가 아닌 경우도 있

다. ⑤

2^2\3^3\ 5

②

2^3\3 \ 7

(최대공약수)=2^2\3

2^2\3^a\5^4

2 \3^3\5^b

(최대공약수)=2 \3^2\5^2

a=2, b=2이므로 a+b=44

최대공약수가 3^2&\5이므로 3^2&\5는 반드시 A의 인수가 되어 야 한다. 따라서 A의 값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③ 3\5\7

이다. ③

두 자연수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인 20의 약수이므로 1, 2, 4, 5, 10, 20이다. 따라서 A, B의 공약수가 아닌 것은 ④ 8

다. ④

두 수의 최대공약수는 2^2&\5이므로 두 수의 공약수는 2^2&\5 의 약수이다. 따라서 공약수가 아닌 것은 ② 3이다. ②

2^2\3 \ 5

⑤

2^3\3^2 \ 7

3 \ 7 \11

(최소공배수)=2^3\3^2\ 5 \ 7 \11

2^2\3

④

2 \3^2\ 5

2 \3^3 \ 7

(최대공약수)=2 \3

(최소공배수)=2^2\3^3\ 5 \ 7

두 수의 공배수는 180=2^2&\3^2&\5의 배수이므로

2^2&\3\5는 공배수가 아니다. ③ 2^3&\3^2, 2^2&\3\5^2의 최소공배수는 2^3&\3^2&\5^2이므로 공배

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④

최대공약수가 2^2&\3이므로 a=2

최소공배수가 2^3&\3^4&\5\c이므로 b=4, c=7

.t3 a+b+c=13 ④

최대공약수가 2^2&\3\5이므로 a=1

최소공배수가 2^5&\3^2&\5^3&\d이므로 b=2, c=5, d=11 .t3 a+b+c+d=1+2+5+11=19 ②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7)

(두 수의 곱)=(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이므로 54\A=27\162

.t3 A=81 ③

2^4&\&3^5&\5^2&\7=2^2&\3^2&\5\(최소공배수)이므로 (최소공배수)=2^2&\3^3&\5\7이다. ③

480=(최대공약수)\120이므로

(최대공약수)=480÷120=4 ①

1872=(최대공약수)\468이므로 (최대공약수)=4 따라서 두 수 A, B의 공약수는 1, 2, 4이므로 3개이다. ③

세 자연수를 2\x, 3\x, 7\x라 하면 x\2\3\7=252  .t3 x=6

따라서 세 자연수는 12, 18, 42이므로 그 합은 72이다. ③ 두 수 A, B의 최소공배수는 G\7\9이므로

G\7\9=756  .t3 G=12

따라서 A=7\12=84, B=9\12=108이므로

A+B+G=204이다. ④

세 자연수의 최대공약수가 6이므로 A=6\a라 하면

이때 630=6\(3\5\7)이므로 a는 반드시 7을 소인수로 가져야 하고 3 또는 5를 소인수로 가질 수 있다.

즉, a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7, 7\3, 7\5, 7\3\5 따라서 가장 작은 자연수 A의 값은

A=6\a=6\7=42이다. ③

n24, 30의 공약수이고 24, 30의 최대공약수는 6이므로 n1, 2, 3, 6이다.

따라서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n의 값이 아닌 것은 ④ 4이다.

④

곱해야 하는 수는 14, 35의 공배수이고 가장 작은 자연수는

최소공배수이므로 70이다. ③

구하는 분수는 (5, 8의 최소공배수)

(24, 39의 최대공약수) =40/340/3

되도록 많은 학생들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어야 하므로 학생 수는 72, 90의 최대공약수인 18명이다. ⑤

가능한 한 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48, 64의 최대공약

수이므로 16`cm이다. ④

16

17

18 19

20

21

22

6 8 18  30k Ak

3  5 a

23

24

25 26

27

구하는 수는 73-1=72, 90-2=88의 최대공약수인 8

다. ⑤

신혜와 지수가 처음으로 동시에 출발한 곳에서 다시 만나는 것은 84, 120의 최소공배수인 840초 후이다. ④ 처음으로 다시 동시에 출발하는 시각은 15, 12, 24의 최소공 배수인 120분 후이다. 따라서 2시간 후인 오전 11시이다.

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6, 12의 최소공배수인 48`cm이 다.

가로 : 48÷16=3(장), 세로 : 48÷12=4(장)

따라서 필요한 색종이는 3\4=12(장)이다. ① (구하는 수)-16, 8, 12의 공배수이다.

6, 8, 12의 최소공배수는 24이므로 (구하는 수)-1=24, 48, 72, … .t3 (구하는 수)=25, 49, 73, …

따라서 가장 작은 두 자리의 자연수는 25이다. ①

28 29 30

31

32

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7

(8)

II   정수와 유리수

1+900원 ⑵ -5년 ⑶ +7°C

2 ⑴ +300만 원, -80만 원 ⑵ +1800`m, -2500`m

+20`%, -9`%

3 ⑴ +9-2.8+1&3/5-1/6+23-5.4

+3.8-2&3/4

4 ⑴ +4/4, 13-6, 0, +4/4, 13-11/8, -6

+10.5, +4/4, +2/9, 13-11/8, +10.5, +2/9&

5 풀이 참조

6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⑺ ○ ⑻ ○

7A: -2, B: 0A: +2, B: -3A: -2, B: +3/2

⑷ A: -7/3, B: +2 ⑸ A: -5/3, B: +4 8 ⑴ ~ ⑸ 풀이 참조

9-3, +3-7, +7-9/4, +9/4&

10|-15|, 15|+8|, 8|-4.1|, 4.1

|+7.4|, 7.4|+4/19|, 4/19&

11 ⑴ 7195.49/52/11

12-1, +1-12/7, +12/7-3.2+5+7/4

-10, +10-3.8, +3.8 13<>>><

145, 6, <6, 8, >

15 ⑴ <>><<<

16 ⑴ × ⑵ × ⑶ ○ ⑷ ○ ⑸ ×

17<->>->-<-<, <<, -<

-<, -<

18x<5x-<2.8x->7/61/3<x-<8

2-<x<7-11-<x<2.4-3/10<x-<5.7

1 정수와 유리수

p.31~36

⑴  +900 ⑵  -5 ⑶  +7°C

⑴  +300만 원, -80만 원

⑵  +1800`m, -2500`m

⑶  +20`%, -9`%

⑴  +9  ⑵  -2.8 ⑶  +1&3/5 ⑷  -1/6

⑸  +23 ⑹  -5.4 ⑺  +3.8  ⑻  -2&3/4

1 2

3

⑴  +4/4, 13   ⑵  -6, 0, +4/4, 13 

⑶ -11/8, -6 ⑷ +10.5, +4/4, +2/9, 13 

⑸  -11/8, +10.5, +2/9

-4 0 +5/7 -8/2 +0.7

정수 ○ ○ × ○ ×

유리수 ○ ○ ○ ○ ○

양수 × × ○ × ○

음수 ○ × × ○ ×

⑴  ○ ⑵  ○

0은 정수이고 유리수이다.  ×

⑷ 정수는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  ×

⑸  × ⑹  ○ ⑺  ○ ⑻  ○

⑴  A: -2, B: 0   ⑵  A: +2, B: -3

⑶  A: -2, B: +3/2 ⑷  A: -7/3, B:+2

⑸  A: -5/3, B: +4

⑴ 

0

-4 -3 -2 -1 +1 +2 +3 +4

A B

⑵ 

0

-4 -3 -2 -1 +1 +2 +3 +4

A B

⑶ 

0

-4 -3 -2 -1 +1 +2 +3 +4

A B

⑷ 

0

-4 -3 -2 -1 +1 +2 +3 +4

A B

⑸ 

0

-4 -3 -2 -1 +1 +2 +3 +4

B A

⑴  -3, +3 ⑵  -7, +7 ⑶  -9/4, +9/4

⑴  |-15|, 15  ⑵  |+8|, 8

⑶  |-4.1|, 4.1 ⑷  |+7.4|, 7.4

⑸ |+4/19|, 4/19

⑴  7 ⑵  19 ⑶  5.4 ⑷  9/5 ⑸  2/11

⑴  -1, +1 ⑵  -12/7, +12/7 ⑶  -3.2 

⑷ +5 ⑸ +7/4 ⑹ -10, +10 

⑺  -3.8, +3.8

4

5

6

7

8

9 10

11

12

(9)

(음수)<0<(양수)

⑴ < ⑵ > ⑶ > ⑷ > ⑸ <

⑴ 5, 6, < ⑵ 6, 8, >

양수끼리는 절댓값이 큰 수가 크고, 음수끼리는 절댓값이 작 은 수가 크다.

|+3|=3, |+5.1|=5.1에서 3<5.1이므로

+3<+5.1<

8/3=32/12, 9/4=27/12에서 |+8/3|>|+9/4|이므로 +8/3>+9/4>

|-1.3|=1.3, |-9/2|=9/2에서 1.3<9/2이므로

-1.3>-9/2>

|-2.7|=2.7, |-2|=2에서 2.7>2이므로

-2.7<-2<

|+1/6|=1/6, |+0.8|=|+8/10|=4/5에서 1

/

6<4/5이므로 +1/6<+0.8<

|-3/4|=3/4, |-2/3|=2/3에서 3/4>2/3이므로

-3/4<-2/3<

0은 음수보다 크므로 가장 작은 유리수가 아니다.  ×

⑵  × ⑶  ○ ⑷  ○

⑸ 음수는 절댓값이 클수록 작다.  ×

⑴  < ⑵  ->   ⑶  >   ⑷  -> 

⑸ -< ⑹ -<, < ⑺ <, -< ⑻ -<, -<

⑴  x<5       ⑵  x-<2.8  ⑶  x->7/6

⑷  1/3<x-<8    ⑸  2-<x<7

⑹  -11-<x<2.4  ⑺  -3/10<x-<5.7

1 2 3-2, 0, 5, -8-2, -8

-2, 0, -4/9, 5, 2.7, +1.2, -8-4/9, 2.7, +1.2 4

5 6 7 풀이 참조 8 9

10 11 12-2, -1, 0, 1, 2 13 ②, ③ 146, -6 15 16 17 18 19 201<a<8 21 227

실력 TEST

p.37~39

13

14 15

16

17

18

① 해발 200`m : +200`m ①

+29명 ② -200원 ③ -10분 

-5000원 ⑤ -3층 ①

⑴  -2, 0, 5, -8 ⑵  -2, -8

⑶  -2, 0, -4/9, 5, 2.7, +1.2, -8

⑷  -4/9, 2.7, +1.2

① 정수는 0, 4, 12/4=33개이다.

② 유리수는 -3.3, 7/8, -1.9, 0, 4, 1.3, 12/47개이다.

③ 자연수는 4, 12/4=32개이다.

④ 음의 유리수는 -3.3, -1.92개이다.

⑤ 정수가 아닌 유리수는 -3.3, 7/8, -1.9, 1.34개이다.

④

① 음의 정수가 아닌 정수는 0, 양의 정수이다.

② 양수는 0보다 큰 수이다.

③ 모든 정수는 유리수이다.

12 사이에는 정수가 없다. ④

① A : -4 ② B : -1.5 ③ C : +2/3 ⑤ E :+5 ④

0

-5 -4 -3 -2 -1 +1 +2 +3+4+5

⑶ ⑵

수직선 위에 나타내었을 때 가장 작은 수가 가장 왼쪽에 있는

수이므로 ① -4이다. ①

|-1.8|=1.8, |-2/3|=2/3, |-0.9|=0.9,

|+3/4|=3/4, |1|=1에서 1.8>1>0.9>3/4>2/3이므로

절댓값이 가장 큰 수는 -1.8이다. ①

|-3|=3, |-2.4|=2.4, |-0.12|=0.12,

|1.2|=1.2,|8/5|=8/5

0을 나타내는 점에서 가장 가까운 점은 절댓값이 가장 작 은 수이다. 0.12<1.2<8/5<2.4<3이므로 구하는 수는

-0.12이다. ③

1 2

3

4

5

6 7 8

9

10

1. 정수와 유리수 9

(10)

a=|-5|=5, 절댓값이 2인 수는 -2, 2이므로 b=-2

.t3a+b=5-2=3 ④

절댓값이 3인 수는 -33이므로 구하는 정수는 -3보다 크 고 3보다 작은 정수이다.

.t3-2, -1, 0, 1, 2-2, -1, 0, 1, 2

① 절댓값이 가장 작은 수는 0이다.

④ 양수는 절댓값이 클수록 크다.

a=1, b=-2이면 a>b이지만 |a|<|b| ②, ③

두 수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이므로 두 수에 대응하는 점은 원점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다. 이때 두 점 사이의 거리 가 12이므로 두 수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12/2=6인 점에 대응한다. 따라서 구하는 두 수는 6, -6이다.  6, -6

① (음수)<0이므로 -4<0

0<(양수)이므로 0<+1.2

|1.4|=1.4, |+1|=1에서 1.4>1이고, 양수끼리는 절 댓값이 큰 수가 크므로 1.4>+1

|-5|=5, |-2|=2에서 5>2이고, 음수끼리는 절댓값

이 작은 수가 크므로 -5<-2 ③

-7>-13 ② 2>-1.4 ③ 1/5<|-1|

|-2.4|>-2/3 ⑤ |12/5|>1.4 ③ -4, -1.4에서 -4<-1.4

+5/8, |-2|, |+1.2|에서 +5/8<|+1.2|<|-2|

큰 수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2|, |+1.2|, +5/8, 0, -1.4, -4이므로 세 번째에 오는 수는 +5/8이다. ①

(작지 않다.)=(크거나 같다.)이므로 a->1 ⑤

(크지 않다.)=(작거나 같다.)이므로 -2-<x-<3 ④

1<a<8

-7/4<x-<3인 정수는 -1, 0, 1, 2, 35개이다. ④

10 /

3=3&1/3보다 작은 양의 정수는 3, 2, 1이므로 a=3 -4보다 작지 않은 음의 정수는 -4, -3, -2, -1이므로 b=4

.t3 a+b=3+4=77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1 ⑴ +3+6-4-5 22, 93, 74, 133, 14

3 ⑴ +17+18-17-21+3.5-3.5 4+2+3/5-8/7-7/9+7/8+7/6

-9/10-19/12

5+7+20-15-22+5.1+19/24

-50/9-1/2

6 ⑴ +2-2+3+1 7 ⑴ 2, 47, 35, 412, 8

8-8+5+4-7+0.6-1.7 9-1+2/3+3/7+2/5-1/8-13/9

-11/10+1/3

10-3-6+5-4+13/5+3/8

+1.4-1/2

11 ⑴ 교환, +1, 결합, +1, +5, -1

⑵ 교환, -1.1, 결합, -1.1, -2.9, -0.4

⑶ 교환, -2/3, 결합, -2/3, -3, -1/2

12-6+1+0.1-3.4-4/5+10/3

0-9/4

13-, 5, +, 5, +, 4-, 12, -, 12, -, 20

+, 1.3, +, 1.3, +, 1.2-, 5.7, -, 5.7, -, 3

-, 4/3, -, 4/3, -, 5/3

14-6-20+14-7+2.2+5.5

-4/3+3/2

15+7, +10, +21+4, +4, +10, +1

+3.4, +4.9, +2.7+7/3, +9/3, -1/3 16 ⑴ +25-23+13+12+2+0.6

+11/5-13/8

17 ⑴ 9, +16-10, -5+6, -6, -17

+2.9, -2.9, -6.3, -7.9

+3.4, -3.4, -3.4, -10.9, -8.6

18-7-6-17-0.3-9/11-1

-15+0.2

2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p.41~48

⑴ +3 ⑵ +6 ⑶ -4 ⑷ -5

1

(11)

⑴  2, 9 ⑵  3, 7 ⑶  4, 13 ⑷  3, 14

(+8)+(+9)=+(8+9)=+17+17

(+13)+(+5)=+(13+5)=+18+18

(-6)+(-11)=-(6+11)=-17-17

(-14)+(-7)=-(14+7)=-21~-21

(+1.8)+(+1.7)=+(1.8+1.7)=+3.5~+3.5

(-2.2)+(-1.3)=-(2.2+1.3)=-3.5~-3.5

(+3/4)+(+5/4)=+(3/4+5/4)=+8/4=+2~+2

(+2/5)+(+1/5)=+(2/5+1/5)=+3/5~+3/5

(-3/7)+(-5/7)=-(3/7+5/7)=-8/7~-8/7

(-2/9)+(-5/9)=-(2/9+5/9)=-7/9~-7/9

(+1/2)+(+3/8)=+(1/2+3/8)=+(4/8+3/8)

=+7/8~+7/8

(+5/6)+(+1/3)=+(5/6+1/3)=+(5/6+2/6)

=+7/6+7/6

(-3/5)+(-3/10)=-(3/5+3/10)=-(6/10+3/10)

=-9/10-9/10

(-3/4)+(-5/6)=-(3/4+5/6)=-(9/12+10/12)

=-19/12-19/12

(+2)+(+5)=+(2+5)=+7+7

(+8)+(+12)=+(8+12)=+20+20

(-4)+(-11)=-(4+11)=-15-15

(-13)+(-9)=-(13+9)=-22-22

(+1.9)+(+3.2)=+(1.9+3.2)=+5.1+5.1

(+1/6)+(+5/8)=+(1/6+5/8)=+(4/24+15/24)

=+19/24+19/24

(-5)+(-5/9)=-(5+5/9)=-(45/9+5/9)

=-50/9-50/9

(-2/7)+(-3/14)=-(2/7+3/14)=-(4/14+3/14)

=-7/14=-1/2-1/2

⑴  +2 ⑵  -2 ⑶  +3 ⑷  +1

⑴ 2, 4 ⑵ 7, 3 ⑶ 5, 4 ⑷ 12, 8

2 3

4

5

6 7

(+5)+(-13)=-(13-5)=-8-8

(+16)+(-11)=+(16-11)=+5+5

(-4)+(+8)=+(8-4)=+4+4

(-12)+(+5)=-(12-5)=-7~-7

(+1.9)+(-1.3)=+(1.9-1.3)=+0.6+0.6

(-5.1)+(+3.4)=-(5.1-3.4)=-1.7~-1.7

(+1/4)+(-5/4)=-(5/4-1/4)=-4/4=-1-1

(+5/6)+(-1/6)=+(5/6-1/6)=+4/6=+2/3

+2/3

(-2/7)+(+5/7)=+(5/7-2/7)=+3/7+3/7

(-3/10)+(+7/10)=+(7/10-3/10)=+4/10=+2/5

+2/5

(+1/4)+(-3/8)=-(3/8-1/4)=-(3/8-2/8)

=-1/8-1/8

(+2/9)+(-5/3)=-(5/3-2/9)=-(15/9-2/9)

=-13/9-13/9

(-7/5)+(+3/10)=-(7/5-3/10)=-(14/10-3/10)

=-11/10-11/10

(-1/2)+(+5/6)=+(5/6-1/2)=+(5/6-3/6)

=+2/6=+1/3+1/3

(+3)+(-6)=-(6-3)=-3-3

(+7)+(-13)=-(13-7)=-6-6

(-5)+(+10)=+(10-5)=+5+5

(-12)+(+8)=-(12-8)=-4-4

(+3)+(-2/5)=+(3-2/5)=+(15/5-2/5)

=+13/5+13/5

(+3/4)+(-3/8)=+(3/4-3/8)=+(6/8-3/8)

=+3/8+3/8

(-3.1)+(+4.5)=+(4.5-3.1)=+1.4+1.4

(-4/5)+(+3/10)=-(4/5-3/10)=-(8/10-3/10)

=-5/10=-1/2-1/2

⑴ 교환, +1, 결합, +1, +5, -1

8

9

10

11

2.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11

(12)

⑵ 교환, -1.1, 결합, -1.1, -2.9, -0.4

⑶ 교환, -2/3, 결합, -2/3, -3, -1/2

(-7)+(+4)+(-3)=(-7)+(-3)+(+4)

=(-10)+(+4)=-6

-6

(+4)+(-9)+(+6) =(+4)+(+6)+(-9)

=(+10)+(-9)=+1

+1

(+0.4)+(-1.5)+(+1.2)

=(+0.4)+(+1.2)+(-1.5)

=(+1.6)+(-1.5)=+0.1+0.1

(-5.3)+(+2.7)+(-0.8)

=(-5.3)+(-0.8)+(+2.7)

=(-6.1)+(+2.7)=-3.4-3.4

(-2/5)+(+6/5)+(-8/5)

=(-2/5)+(-8/5)+(+6/5)

=(-10/5)+(+6/5)=-4/5-4/5

(+3)+(-5/6)+(+7/6)

=(+3)+(+7/6)+(-5/6)=(+25/6)+(-5/6)

=+20/6=+10/3+10/3

(-7/2)+(+9/2)+(-1)

=(-7/2)+(-1)+(+9/2)

=(-9/2)+(+9/2)=00

(+3/2)+(-4)+(+1/4)

=(+3/2)+(+1/4)+(-4)

=(+7/4)+(-4)=-9/4-9/4

⑴  -, 5, +, 5, +, 4 

⑵  -, 12, -, 12, -, 20

⑶  +, 1.3, +, 1.3, +, 1.2

⑷  -, 5.7, -, 5.7, -, 3

⑸  -, 4/3, -, 4/3, -, 5/3

(+15)-(+21) =(+15)+(-21)

=-(21-15)=-6-6

(-7)-(+13) =(-7)+(-13)

=-(7+13)=-20-20

12

13

14

(+9)-(-5)=(+9)+(+5)=+(9+5)=+14

+14

(-11)-(-4)=(-11)+(+4)=-(11-4)=-7

-7

(+3.7)-(+1.5) =(+3.7)+(-1.5)

=+(3.7-1.5)=+2.2+2.2

(+2.9)-(-2.6) =(+2.9)+(+2.6)

=+(2.9+2.6)

=+5.5+5.5

(-5/12)-(+11/12)=(-5/12)+(-11/12)

=-(5/12+11/12)=-16/12

=-4/3-4/3

(+2/3)-(-5/6)=(+2/3)+(+5/6)=+(4/6+5/6)

=+9/6=+3/2+3/2

⑴  +7, +10, +21   ⑵  +4, +4, +10, +1

⑶ +3.4, +4.9, +2.7 ⑷ +7/3, +9/3, -1/3

(+13)+(+2)-(-10)=(+13)+(+2)+(+10)

=(+15)+(+10)=+25

+25

(-8)-(+11)+(-4) =(-8)+(-11)+(-4)

=(-19)+(-4)=-23

-23

(+7)+(-9)-(-15)=(+7)+(-9)+(+15)

=(-9)+(+7)+(+15)

=(-9)+(+22)=+13

+13

(-3)-(-10)+(+5)=(-3)+(+10)+(+5)

=(-3)+(+15)=+12

+12

(+1.5)+(+3.4)-(+2.9)

=(+1.5)+(+3.4)+(-2.9)

=(+4.9)+(-2.9)=+2+2

(-4.9)+(+3.1)-(-2.4)

=(-4.9)+(+3.1)+(+2.4)

=(-4.9)+(+5.5)

=+0.6+0.6

(+1/5)+(+3/5)-(-7/5)

=(+1/5)+(+3/5)+(+7/5)

=(+4/5)+(+7/5)=+11/5+11/5

15

16

(13)

(+5/8)-(+3/2)+(-3/4)

=(+5/8)+(-3/2)+(-3/4)

=(+5/8)+(-9/4)=-13/8-13/8

⑴ 9, +16 ⑵ -10, -5 ⑶ +6, -6, -17

⑷  +2.9, -2.9, -6.3, -7.9 

⑸ +3.4, -3.4, -3.4, -10.9, -8.6

-10+3=(-10)+(+3)=-7-7

9-15=(+9)-(+15)=(+9)+(-15)=-6

-6

-13-4=(-13)-(+4)=(-13)+(-4)=-17

-17

0.9-1.2 =(+0.9)-(+1.2)=(+0.9)+(-1.2)

=-0.3-0.3

-4/11-5/11=(-4/11)-(+5/11)

=(-4/11)+(-5/11)=-9/11-9/11

5-9+3=(+5)-(+9)+(+3)

=(+5)+(-9)+(+3)

=(-9)+(+5)+(+3)

=(-9)+(+8)=-1-1

-12+4-7=(-12)+(+4)-(+7)

=(-12)+(+4)+(-7)

=(-12)+(-7)+(+4)

=(-19)+(+4)=-15-15

2.1-1.4-0.5=(+2.1)-(+1.4)-(+0.5)

=(+2.1)+(-1.4)+(-0.5)

=(+2.1)+(-1.9)

=+0.2+0.2

1 2-51/20 3 4 5 6 7 8-6 9510 10-1 11 12-27/5 131/3 14-4 15 최댓값 : 12, 최솟값 : -12

16159 17 1813 19 20-2 21

실력 TEST

p.49~51

(-0.5)+(+0.8)=+0.3 ③

17

18

1

|-0.3|=0.3, |+8/5|=8/5=1.6, |+2.1|=2.1,

|-9/4|=9/4=2.25

절댓값이 가장 큰 수는 -9/4이므로 a=-9/4 절댓값이 가장 작은 수는 -0.3이므로 b=-0.3 .t3 a+b=-9/4+(-0.3)=-9/4+(-3/10)

=-(9/4+3/10)=-51/20-51/20

 ①

(-7/3)+(-4/3)=-11/3  ①

(+1/2)+(-2/3)=-(2/3-1/2)=-1/6

(-7)+(+5)=-(7-5)=-2

(+6.2)+(-3.1)=+(6.2-3.1)=+3.1

(-1/6)+(+1)=+(1-1/6)=+5/6

(+5/14)+(-1/7)=+(5/14-1/7)=+3/14

따라서 수직선 위에 나타내었을 때, 가장 오른쪽에 대응하는

것은 ③이다.  ③

(+3)-(-5)=(+3)+(+5)=+8  ②

(+3)-(-4)=(+3)+(+4)=+7

(-6)+(-3)=-9

(+7)-(+5)=(+7)+(-5)=+2

(+4)-(-1)=(+4)+(+1)=+5

(-2)-(+5)=(-2)+(-5)=-7  ⑤ a=-9, b=3이므로 a+b=(-9)+3=-6-6

nemo=9+(-4)=55

nemo=8-(-2)=8+(+2)=1010 a=7+(-9)=-2

b=(-4)-(-3)=(-4)+(+3)=-1 .t3 a-b=(-2)-(-1)=(-2)+(+1)=-1

-1

(-4)+7=3

0-3=-3

8+(-5)=3

2

3 4 5

6 7

8 9 10

11

2.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13

Referensi

Dokumen terkait

№433-3 // Нормативтік жэнс методикалык материалдар жинагы № 6 ЖАК ж а у а п т ь іхлтшы Балаубаева Б.М., Т.Г.К., доцент Қазақстан Телефон: +77011839459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