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대학생 교육현황과문제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대학생 교육현황과문제점"

Copied!
27
0
0

Teks penuh

(1)

이동순 (조선대)

대학생

교육 현황과 문제점

말하기

(2)
(3)

차 례

1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 2 대학 ‘말하기’ 교육 현황

3 대학 ‘말하기’ 교육을 위한 제안

(4)

1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

1) 입시 위주의 중등 교육

* 의사소통의 기회 박탈

* 의사소통의 어려움

* 심리적 관계의 단절

* 증상 (게임 중독, 스마트폰 중독)

(5)

2) 4차 산업혁명, 환경변화

* 쉬운 정보 공유, 쌍방향 소통

* 대면 소통의 감소

* 인간소외, 관계단절 (혼밥, 혼술)

* 병리적 증상(은둔형 외톨이, 대인기피증)

(6)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을까?”

교육 강화 글쓰기

말하기 교육은?

3) 대학생(시대적) 요구

“어떻게 하면

말을 잘 할 수 있을까?”

(7)

대학 의사소통 교육

읽기

듣기

문자언어

음성언어

글쓰기 센터 글쓰기 클리닉 쓰기

말하기

말하기 교육

∴ 소홀

(8)

1)’말하기’ 교과 개설 현황

대학교 교과목명 교양영역 교양 영역 재분류 시수 및 학점

서울대

말하기와 토론 필수과목 선택이수 or

자유선택 3/3

창의적 사고와 표현 필수과목 선택이수 or

자유선택 3/3

충남대

화법과 생활 교양(일반) 자유선택 3/3

공학논문작성과 발표 교양(일반) 자유선택 3/3

프리젠테이션과 면접스킬 핵심교양 선택이수 2/2

충북대

발표와 토론의 실제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독서와 토론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매체와 표현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경북대 실용화법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부산대

공학작문 및 발표 교양필수 교양필수 4/3

열린생각과 말하기 교양필수 교양필수 2/1

고전읽기와 토론 교양필수 교양필수 2/2

전남대

설득과 소통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화술의 이론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말하기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1) 국립대

2 대학 ‘말하기’ 교육 현황

(9)

대학교 교과목명 교양영역 교양 재분류영역

시수및학

성균관

의사소통 중점교양 선택이수 3/3 스피치와토론 중점교양 선택이수 3/3 발표와토론 중점교양 선택이수 3/3 고려대 사고와

표현 교양필수 교양필수 3/2 연세대

말하기와토론 교양필수 선택이수 3/3 현대사회와

의사소통 교양필수 선택이수 3/3 경희대 소통과스피

치(인강) 자유이수 자유선택 3/3 한양대 말과

현대생활 핵심교양 선택이수 2/2 중앙대

창의와소통 교양필수 교양필수 2/2 의사소통언어와 핵심교양 교양선택 3/3 외국어대 미네르바인

문강좌 교양필수 전공필수 3/3 서울시립대 의사결정과토론 교양필수 교양필수 2/2

대학교 교과목명 교양영역 교양영역재 분류

시수및학

한남대

독서와 소통 전공필수 전공필수 3/3 고전읽기와

토론 전공필수 전공필수 3/3 프레젠테이션기

균형교양 선택이수 3/3 숙명여대 비판적사고와

토론 교양필수 교양필수 2/2

조선대

사고와 표현 교양필수 교양필수 2/2 보고서 작성 및

발표 교양필수 교양필수 3/3 커뮤니케이션

기법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대화의 기법 교양선택 선택이수 2/2

영남대

독서와 토론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논리적쓰기와

토론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학술적발표와

프레젠테이션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의사소통기술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원광대

독서와 토론 교양선택 선택이수 2/2 기술보고서작성

및 발표 교양선택 선택이수 2/2 경남대 독서와 토론 교양필수 교양필수 2/2 논리와 설득 교양선택 선택이수 3/3

(2) 사립대

(10)

대 회 명

충남대학교 CNU토론대회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전남대학교(CNU)토론대회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독서와 Presentation대회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숙명토론대회

충북대학교 의사소통혁신센터 토론 대회 ‘논박’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독서토론대회

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 독서토론대회

(3) 비교과 분야의 ‘말하기’

(11)
(12)
(13)
(14)
(15)
(16)
(17)

(1) 실제 운영되고 있는 교과명

대학 교과명 대학 교과명

서울대 말하기와 토론 동아대 발표와 토론

전남대 화술의 이론 조선대 대화의 기법

전남대 설득과 소통

조선대 커뮤니케이션 기법

전남대 말하기

충남대 프레젠테이션과 면접스킬 원광대 독서와 토론 충남대 화법과 생활 외국어대 글로벌 소통과 배려

경북대 실용 화법 동국대

(경주) 의사소통 교육론 부산대 열린 생각과 말하기 고려대,

가톨릭대,

조선대 등 (열린)사고와 표현 부산대 고전 읽기와 토론 한양대 말과 현대 생활 연세대 현대사회와 의사소통 능력 숙명여대 비판적 사고와 토론

2) 대학 ‘말하기’ 교과 명칭 현황

(18)

(2) 명칭의 사전적 정의

명칭 의미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언어나 몸짓, 그림, 기호 따위의 수단을 통해 서로의 감정, 생각을 주고받는 것.

화술( 話術 ) 생각이나 주장 따위를 말로 잘 표현하는 기술

화법(話法) 말이나 글을 펼쳐 가는 방법

대화( 對話 ) 서로 마주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

스피치(speech) 모여 있는 여러 사람들 앞에서 자기의 주장이나 의견 등을 말하는 일

토론( 討論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자의 의견을 내세워 그것의 정당함을 논함

프레젠테이션 (presentation)

광고 대리업자가 예상 광고주를 대상으로 하여 광고 계획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행위

( 의사소통 意思疏通 )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뜻이 서로 통함

말하기 자기의 느낌이나 생각 등을 남에게 말로써 전하는 일

(19)

(1) 읽기와 토론이 중심인 경우

대 학 교 과 명

부산대 고전 읽기와 토론 독서

한남대 독서와 소통 읽기

중앙대 창의와 소통 읽기

외국어대 글로벌 소통과 배려 읽기

원광대 독서와 토론 쓰기를 위한 읽기

3) 대학 ‘말하기’ 교과 수업내용

(20)

(2) 말하기가 중심인 경우

대 학 교 과 명

서울대 말하기와 토론

전남대 화술의 이론, 말하기 충남대 화법과 생활

경북대 실용 화법

연세대 현대사회와 의사소통능력 연세대 말하기와 토론

한양대 말과 현대 생활 중앙대 언어와 의사소통

경희대 소통과 스피치(온라인 강좌)

조선대 대화의 기법, 커뮤니케이션 기법

(21)

(3) 글쓰기와 말하기를 함께 하는 경우

교 과 명 내 용

사고와 표현 <사고와 표현2>는 ‘글쓰기’ 혹은 ‘글쓰기 심화’인 경우가 있음

비판적 사고와 토론

-이공계열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과

-실용적인 글쓰기 중심,

‘말하기’ 는 부분적 보고서작성 및 발표

공학논문 작성과 발표

기술보고서 작성 및 발표

(22)

대학교 주교재 참고자료

<화술이론> 전남대 PPT

대결정적 순간의 대화(김경섭 외)

마음을 움직이는 커뮤니케이션 기법(박민수) 토론의 전략(이정옥)

삶의 화법(임칠성 외) 화의 기법(구현정)

화법이론과 실제(구현정 외)

<실용화법> 경북대 삶을 위한 화법(임지룡)

화법의 이론과 실제(구현정, 전정미) 말꽝에서 말짱되기(임칠성 외 3인) 듣기형 인간(이유빈)

당신도 말을 잘 할 수 있다(임규홍,나익주 옮김)

<말과 현대생활> 한양대

언어문화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한스위르겐 헤링,유로)

화법의 이론과 실제(구현정, 전정미) 화행론 입문(괴츠 힌텔랑)

말과 행위(오스틴)

4) 대학 ‘말하기’ 수업교재 현황

(23)

대학교 주교재 참고자료

<화법과 생활> 충남대 스피치커뮤니케이션 (임태섭)

화법교육론(이창덕)

마음을 사로잡는 파워스피치(김은성) 유정아의 서울대말하기(유정아) 나승연의 프레젠테이션(나승연)

<대화의 기법> 조선대 대화의 기술(폴렛 데일)

대화의 기술(조 지라드 외)

대화가 막힘 없이 이어지는 33가지 포인트 (가나히데유키)

사람은 말하는 법으로 90% 바뀐다 (낫타 료) 함부로 말하는 사람과 대화 하는 법(샘혼)

<소통과 스피치> 경희대 소통과 스피치(허경호) 없음

4) 대학 ‘말하기’ 수업교재 현황2

(24)
(25)
(26)

3 대학 ‘말하기’ 교육을 위한 제안

1) 대학 ‘말하기’ 교과명 검토 2) 대학 ‘말하기’ 교재 개발 필요

3) ‘말하기’ 교육을 위한 강의 환경 조성

4) 대학 ‘말하기’교육에 적합한 교수자 확보 5) 대학 ‘말하기’ 교육에 대한 연구

6) 대학 ‘말하기’ 교수에 필요한 도구 개발

(27)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생

교육 현황과 문제점

말하기

Referensi

Dokumen terkait

자기의 글을 타인에게 보여주다 프로그램을 통해 느낀점 글이란 나를 표현하는 도구이고 글을 잘 쓰려면 많이 읽어야 잘 쓰고 많이 쓸수록 글을 잘 쓴 다는 것을 느꼈습니다.뿐만 아니라 글은 단순히 소리를 내어 읽는 것이 아니라 글 속 메시지 를 읽는 등 글을 감상하는 것에도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저는 오랜 해외 생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