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생성 어플리케이션
종합설계
2016011930 오수현
1. 과제의 개요
2.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3. 과제목표
4. 추진방법
5. 참고문헌
과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계기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현장조사 디지털도면화 완료
과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계기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 도면 건당 6~10 분소요
한 번의 거주자 실태조사시 필요한 도면 수 수십 건 이므로 작업 지연될 수록 업무지연
1 시간 작업량
과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계기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현장조사 디지털도면화 완료
과제의 필요성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1. 거주자 실태조사 및 건축물 현황파악 등의 도면제작 시 현장조사원의 조사 만으로 도면을 제작하여 불필요한 노동과 시간을 없앨 수 있다 .
2. 번뜩이는 아이디어나 디자인 등 일회성일 수 아이디어를 이러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격식없이 제안해 볼 수 있다 .
( 아이디어스케치를 빠르게
아이디어제안 가능한 공문서화 )
선행연구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선행연구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선행연구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Watershed 와 분할함수
(a) 문자데이터베이스의 레스터영상 (b) Watershed 알고리즘 적용결과 : 영상의 강도를 100 이상인 값을
배경성분으로 그 이하는 문자성분 으로 보고 1 차 분리
(c) 분할함수적용 이진화한 결과
: 인접한 강조의 값의 차이가 멀수
록 배경성분일 확률 높아 그것을 이용
하여 2 차 배경성분 분리
선행연구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골격선 및 특징점 추출
특징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 화소열을 추적하고 추출된 세그먼트 화소열 각각을 최대허용 오차법을 이용하여 벡터화 함으로서 세그먼트벡터를 추출한다 .
선행연구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획추출
(a) 인간의 필기 방향과 무관하게 세그먼트 의 추출시의 방향에 따라 아무런 방향 정보가 없는 벡터
(b) 오른손 필기 좌표계 시스템에 의해 세 그먼트 벡터 방향정보 수정
(c) 앞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완전한 획으로 재결합 한 결과
선행연구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딥러닝과 OpenCV 를 활용해 사진 속 글자 검출하기
사진에서 글자 영역만 떼어낼 수 있게 OpenCV 를 활용해 Contour 를 추출 하는 방법을 살펴봤다 . 잡영을 제거 하는 과정까지 거치면 인공지능이 검 증할 수 있는 글자 영역을 얻을 수 있 다 .
최종목표 및 평가방법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필기도면이 있다면 디지털이미 지로 변환시켜줄 수 있는 앱을 구현하 고자 합니다 .
프로그램 수행 과정을 알고리즘 순 서도로 정리 후 필기 ‘선’에 대한 인식 을 특징 점과 좌표 , 벡터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새로운 이미지파일에 이전 정보 ( 선 위치 , 길이 등 ) 을 활용하 여 ‘선’을 생성을 구현합니다 . 이 모 든 과정을 담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기기에서 활용될 수 있는 어플리 케이션개발까지 수행할 계획입니다 .
최종목표 및 평가방법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필기가 있는 사진에서 선을 인식하여 그 선을 디지털 이미지로 다시 출력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어플리케이션 제작 후 어플리케이 션의 작동과 생성된 이미지의 정확도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중간결과물 및 추진내용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항목 예상결과물 결과물에 대한 설명요약
설계 알고리즘순서도 필기가 있는 사진에서 선 인식, 선의 벡터(좌표)파악, 좌표 및 벡터 정 보로 새로운 선 생성 등의 프로그램 수행 순서 설명
시뮬레이션 직선생성 사진이미지에서 필기 ‘선’ 인식 후 선을 생성하여 이미지파일로 출력
실험 및 제작 어플리케이션 필기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기능과 생성된 도면이 저장 되어진 이미지파일을 열람할 수 뷰어기능이 내재된 어플리케이션 개발
설계: 인식범위를 선으로 한정하여 프로그래밍 하여 여러 개의 선으로 도형도 구현해 낼 수 있 을 것입니다 . 알고리즘의 경우 ‘필기체 한글문자인식을 위한 획추출에 관한 연구’ 논문을 참고하여 설계할 것입니다.
시뮬레이션 : 사진에서 필기 ' 선 ' 을 인식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자바프로그램을 생각 하고 있으며 이미지처리 라이브러리인 openCV 를 참고하여 코딩해보려 고 합니다 . 인식한 선을 다시 새로운 이미지파일에 선으로 생성하는것 또한 자바프로그래밍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험 및 제작 : 전체적인 목표는 이 모든것이 가능한 안드로이드용 어플리케이션을 개 발하는 것 이며 이것은 안드로이드스튜디오를 활용해보려고 합니다.
추진일정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항목 세부항목
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발표 개인, 최종발표 개인 개인 개인 개인 개인 최종
제안서 종합설계 제안서 제출
설계 알고리즘설계
프로그래밍
필기인식구현
‘선’생성 구현 어플리케이션제작 테스트 테스트 및 피드백
보고서 최종보고서제출 제출
과제의 개요 관련현황 및 선행연구 과제목표 추진방법 참고문헌
1. [ 논문 ] 효과적인 필기체 인식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 김승주 외 2 명 ) 2. [ 논문 ] 필기체 한글문자인식을 위한 획 추출에 관한 연구 ( 최영규 , 이상 범 )
3. [ 논문 ] 고유벡터를 이용한 필기체 숫자인식 ( 박중조 , 김경민 , 송명현 ) 4. [NAVER D2] 딥러닝과 OpenCV 를 활용해 사진 속 글자 검출하기
https://d2.naver.com/helloworld/8344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