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사회의 갈등은 심각한 수준에 있다.지역, 계층,이념,세대, 대북관련 남남갈등 등 여러 차원에서 사회갈등이 다양하고 복잡하게 얽혀져 있다.국민들이 사회갈등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객관적 조건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그 갈등의 심 각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반대로, 갈등을 유발하는 객관적 조 건이 심각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갈등을 매우 심각하게 인 식할 수도 있다.
본 장은 남북통합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영역의 갈등의 심각성에 대한 집단 간 혹은 개인 간 인식의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장에서는 다섯 가지 갈등 영역인 지역갈등, 계층갈등, 이념갈등, 세대갈등, 남남갈등 등으로 나누어 분 석한다. 특히, 이들 다섯 가지 갈등 영역을 현재 한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와 통일 이후 미래 갈등 영역의 심각성에 대한 예상으로 나 누어 비교분석한다.
한국은 짧은 기간에 산업화뿐만 아니라 민주화를 경험했다. 이러한 사회의 구조적 변화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세력이나 집단들 의 부상과 소멸로 이어졌고 이러한 변화는 급속한 세력 교체와 가치관 의 변화를 초래해 왔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통합으로 수렴되기보다 사 회갈등을 증폭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념적으로는 보수와 진보가 갈리고, 지역적으로는 영남과 호남이 나뉜다. 사회경제적으로 부유층 과 빈곤층의 간격은 점점 더 벌어지고 중산층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한국사회가 고령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세대 간 갈등도 점차 가시화되
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는 남북한 분단이란 구조 하에서 대북 관련 남남갈등까지도 심각한 갈등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갈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지만, 갈등 없는 사 회는 역동성이 없는 사회이고 변화를 위한 잠재력을 갖기 어렵다. 갈등 이 사회변화에 따른 다양한 이해관계의 등장을 대변하는 것이다. 그러 나 이러한 다양한 갈등 영역이 상호 교차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서로 중 첩적으로 발생할 때 사회갈등의 부정적 측면이 두드러지고 사회 불안 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예를 들어, 특정지역 출신은 이념적으 로 보수적일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반면,다른 지역 출신은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이 강하고 경제적으로도 소수에 위치 하는 경우 사회갈등은 그 심각성이 더 커져 사회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북한관련 남남갈등은 종종 이념갈등과 중첩된다. 북한인권에 대한 보수와 진보의 갈등이 그 한 사례이다. 남한사회의 보 수와 진보는 인권 개념을 북한사회에 적용함에 있어 그 보편성과 특수 성 강조로 나뉘며 이러한 입장 차이는 실천적 논쟁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한국의 급속한 사회변화는 사회적 욕구와 수요 증대로 이어 졌는데 이를 수용하고 흡수할 국가의 정책적,제도적 능력이 커지지 못 함으로써 사회갈등이 만연하고 있다. 사회갈등에 따른 불만과 긴장은 문제해결을 위한 진단과 처방을 암시하기도 한다. 사회갈등이 제도화 를 통해 흡수될 수 있을 때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문제 는 갈등 자체가 아니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사회의 능력에 달려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하고 복합적인 사회갈등의 기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 고 통합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최근 다양한 수준의 사회갈등이 동시 에 불거지면서 한국사회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Ⅰ
Ⅱ
Ⅲ
Ⅳ
우려도 제기되기에 이르렀다. 사회갈등은 일차원적으로 단순하게 발생 하기보다 사회의 구조 혹은 사회집단의 이해관계를 반영하여 조장되 거나 왜곡되어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사회갈등의 기 원에 대한 명확한 진단을 기반으로 갈등 극복과 통합 증진을 위한 좀 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가. 사회갈등과 유형
사회갈등이란 사회의 집합적 구성단위들 간의 충돌이나 분쟁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갈등이 발생한다는 것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사회집단이 상호 충돌되는 이해관계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갈등의 주체들 사이에는 심리적 적대감이 존재할 뿐 아니라 이러한 적 대감은 다양한 유형의 대립적 행동으로 표면화된다.
거시적 차원에서 갈등을 설명하는 이론은 갈등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갈등을 비정상적인 상태로 간주 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을 제시하는 통합이론(integration perspective)이다. 통합이론에 따르면, 사회는 자연 상태로 조화와 균 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를 악화시키 는 사회적 갈등은 일탈적 현상으로 정의된다. 반면, 갈등이론(conflict perspective)은 갈등을 당연한 것으로 전제한다. 마르크스(K. Marx) 는 생산력의 발전은 기존의 생산관계와 갈등하며 이러한 갈등은 계급 갈등으로 가시화된다고 주장했다.5 베버(Weber)는 사회는 지배하는 자와 지배받는 자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집단 간 권력분배의 불평등으
5_J. T. Duke, Conflict and Power in Social Life (Provo: Bringham Young University Press, 1976).
로 인해 갈등이 발생한다고 했다.6
미시적 차원에서 갈등이 사회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하 는 이론들도 있다. 섬너(Sumner)는 갈등을 개인 혹은 사회집단들이 희소한 자원을 두고 벌이는 생존 경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봤다.7 따 라서 갈등이 항상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효율성 을 증대하고 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와 규범을 양산하는 긍정적인 역할 도 담당한다.코저(Coser)는 갈등을 ‘가치와 희소한 지위,권력,그리고 자원에 대한 요구를 둘러싼 투쟁이며 이를 통해 적의 목표를 중립화 혹은 좌절케 하거나 또는 경쟁자를 제거하는 것’이라 정의한다.8 코저 는 갈등을 정상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사회적 집단 형성과 유지 및 통 합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사회갈등은 분류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갈등원인별로 구분하면 크게 가치갈등(value conflict)과 욕구갈등(needs conflict) 으로 구분된다. 가치갈등은 가치관,이념,종교, 문화 등의 갈등을 나타 낸다.그리고 욕구갈등은 물질적 욕구를 중심으로 발생된 갈등이다.또 한,갈등발생 요인별로 분류하면 갈등은 크게 정체성 갈등(conflict of identity), 자원과 관련된 갈등(conflict connected with resources), 그리고 공적관리와 관련된 갈등(conflict over the management of pubic affair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정체성 갈등이란, 인종,종 교 혹은 민족의 차이에 따른 정체성에 기초한 갈등을 의미한다. 자원 과 관련된 갈등은 자원의 통제에 대한 경쟁 혹은 부의 분배와 관련된
6_M. Weber (eds.),The Theory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Glencoe:
Free Press, 1947).
7_G. Sumner, Folkway (New York: Mentor, 1960).
8_L. A. Coser, Continuities in the Study of Social Conflict (New York: Free Press, 1967), p. 8.
Ⅰ
Ⅱ
Ⅲ
Ⅳ
갈등을 말한다.그리고 공적관리와 관련된 갈등은 권력 혹은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접근의 불평등한 배분과 연계되어 있는 갈등을 의미한다.
나. 한국사회 갈등의 심각성
<그림 Ⅲ-1>은 현재 국민들이 한국사회의 갈등상황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의 67.6%가 한국사회의 갈등 수준이 “매우 심각하다” 혹은 “약간 심 각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반면, 10%도 안 되는 응답자가 갈등 수 준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림 Ⅲ-1 한국사회 갈등 수준
(단위: %)
주:귀하는 현재 한국사회의 갈등이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양한 사회갈등 중 국민들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갈등이 무 엇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번 여론조사는 갈등 영역을 지역, 계층, 이념, 세대, 대북관련 남남갈등 등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갈등이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지를 조사했다. <그림 Ⅲ-2>는 각 갈등 영역별로 응답자가 “매우 심 각하다”거나 “약간 심각하다”고 대답한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 가지 갈등 영역 중 현재 한국사회의 계층갈등이 심각하다고 대답한 비
율은 77.5%로 가장 높았다.그 다음으로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
은 갈등 영역은 지역갈등으로 68%였다. 대북관련 남남갈등이 심각하 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67.9%로 지역갈등의 심각성 정도와 유사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념갈등이 심각하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의 65.2%였으며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59.5%였다.
그림 Ⅲ-2 갈등의 심각성에 대한 영역 간 비교
(단위: %)
주: “귀하는 현재 한국사회의 다음과 같은 사회적 갈등이 어느 정도 심각하다고 생각하 십니까?”: “매우 심각하다” 혹은 “약간 심각하다”라고 대답한 응답자의 비율
Ⅰ
Ⅱ
Ⅲ
Ⅳ
그림 Ⅲ-3 통일 이후 미래 갈등의 심각성에 대한 영역 간 비교
(단위: %)
주: “귀하는 통일이 된다면 다음과 같은 사회적 갈등이 어떻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매우 심각할 것이다”혹은 “약간 심각할 것이다”라고 대답한 응답자 비율
국민들은 통일 이후 갈등의 미래상에 대해서도 다소 비관적인 견해 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각 영역별 갈등에 대해 통일 이 후에도 “심각할 것이다”라고 대답한 응답자 비율이 “심각하지 않을 것 이다”라고 대답한 응답자의 비율보다 확연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통 일 이후 예상되는 갈등의 심각성을 이념, 계층, 지역, 세대, 남북갈등 등으로 구분해 조사했다. <그림 Ⅲ-3>이 보여주듯이 일반 국민들이 통일 이후 예상되는 사회갈등 중 가장 심각할 것이라 염려하는 갈등은 이념갈등(68.2%)이었다. <그림 Ⅲ-2>가 보여주듯이 현재 한국사회에 서 이념갈등이 심각한 것도 사실이지만, 계층갈등이나 지역갈등, 대북 관련 남남갈등에 비해 그 심각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이념갈등 다음으로 심각할 가능성이 높은 갈등 영역으로 예상하는 것은 계층갈등으로 응답자의 67.2%가 통일 이후에도 심각할 것이라 대답했다. 미래의 계층갈등 심각성과 이념갈 등 심각성에 대한 차이는 1%p로 그리 크지 않다. 즉,국민들은 미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