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Ⅶ1.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 북한은 장기간에 걸쳐 탄도미사일과 플루토늄형 핵무기를 개발해 왔음.

◦ 1950년대 이후, 구소련의 연구소에 원자로 기술 연구자를 파견하여, 원자력 발전의 노하우를 취득함.

- 중국에도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기술 제공을 타진함.

◦ 1970년대 이후, 중국, 구소련, 이집트, 파키스탄, 이란과의 협력을 계속하면서, 탄도미사일과 핵개발을 지속해 왔음.

◦ 1993년 로동미사일 실험, 1998년 ‘대포동 1호’, 2006년과 2009년에

‘대포동 2호’의 실험을 행함.

◦ 2006년 10월 제1차 핵실험, 2009년 제2차 핵실험(2009.5.25)

□ 현재, 북한은 핵무기 보유를 선언하고, 핵 사용의 가능성을 시사하 였으며, 핵무기의 숫적 증가를 언급하기 시작하였음.

□ 북한이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할 때 추구한 전략적 목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지적할 수 있음.

가. 북한은 대량살상무기의 개발을 미국과의 협의를 진전시키 기 위한 계기로 삼으려고 함.

◦ 2010년 4월 21일 북한 외무성은 󰡔조선반도와 핵󰡕이라는 비망록을 발표

- “우리는 다른 핵보유국들과 평등한 립장에서 국제적인 핵전파방 지와 핵물질의 안전관리노력에 합세할 용의가 있다. 우리는 필요 한 만큼 핵무기를 생산할 것이지만 핵군비경쟁에 참가하거나 핵 무기를 필요이상으로 과잉생산하지 않을 것이며 다른 핵보유국 들과 동등한 립장에서 국제적인 핵군축노력에 참가할 것이다”고 언급함.

→미국이 주도하는 핵확산방지체제(NPT)의 강화를 의식한 내용

- “조선반도에 공고한 평화체제를 마련하고 비핵화를 실현하려는 공화국정부의 립장은 불변하다.…비핵화의 실현은 신뢰조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아직도 정전상태에 있는 조선반도에서 평화협 정이 빨리 체결될수록 비핵화에 필요한 신뢰가 조속히 조성될 것 이다”고 언급함.

→‘미국의 핵에 대항하기 위한 북한 핵, 한반도의 균형유지, 평화 협정의 체결’ 등을 주장한 부분은 미·북관계의 정상화와 모순 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장한 것임.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전략적으로 고려한 핵무기 개발임을 인정하고 있음.

나. 북한은 대량살상무기를 한국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에 대 한 외국세력의 지배를 거부하는 수단으로 삼고 있음.

◦ 북한 외무성의 비망록에 의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무력 의 사명은 조선반도와 세계의 비핵화가 실현될 때까지의 기간에 나 라와 민족에 대한 침략과 공격을 억제, 격퇴하는 데 있다”고 언급하 고 있음.

- 북한이 한반도에서의 ‘국가’라고 부르는 지역은, 헌법이나 로동당 규약상, 남북한을 포함한 지역이므로, ‘국가와 민족의 남쪽 부분 인 한국을 점령 상태에서 해방하기 위함’이라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음.

- 이는 북한 핵무기의 사명은 ‘미군을 격퇴시켜 통일을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시사함.

◦ 북한이 “핵보유국과 야합하여 우리를 반대하는 침략이나 공격행위 에 가담하지 않는 한 비핵국가들에 대하여 핵무기를 사용하거나 핵 무기로 위협하지 않는 정책을 변함없이 견지하고 있다”고 언급한 부분은, 경우에 따라 미국의 동맹국에 핵 선제공격을 할 수도 있다 는 것을 의미함.

- 북한은 2009년 3월 일본이 미사일 방위(MD)를 운용할 경우, 대 량살상무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보도를 했는데, 이번 비망록에도 ‘핵 선제공격’을 긍정적으로 시사함.

□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어떤 계기에서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 1990년대, 북한체제의 붕괴 가능성이 있을 때, 체제보장의 수단으로 서 대량살상무기의 개발을 결정했다는 설명이 있음.

◦ 또, 사용 가능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라크가 미국의 공격 을 받는 것을 보고, 북한이 핵개발에 박차를 가했다는 설명이 있음.

◦ 그러나 비망록은 “조선반도가 핵화된 경위와 근원부터 정확히 인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라고 지적하고 있음.

- 북한이 미국의 핵무기 존재에 대해 인식한 것은 1950년 한국전쟁 때부터임.

- 북한이 “남은 최후의 선택은 ‘핵에는 핵으로’ 대항할 뿐이다”고

회고한 것은, 핵무기 개발의 동기는 한국전쟁에서부터라고 시사 하는 것임.

2. 북한의 핵 논리

□ 어떤 국가든 국가적 차원의 전략 없이 핵무기 개발을 하지 않음. 이 란의 우라늄 농축 활동이 핵무기 개발의 우려를 심화시켰지만, 이 란의 핵무기 개발 계획이 실현되려면, 중동지역 내의 정치역학, 미 국에 대한 전략을 고려해야 함.

◦ 핵개발의 의혹이 있는 국가나 개발을 포기한 국가는, 각각의 전략 을 가지고 개발을 행하거나, 핵계획을 포기하였음.

- 미국의 지원 약속을 받고 핵을 포기한 리비아는 ‘핵 논리’보다 체 제 보장 수단으로써 핵개발 계획을 가졌을 것

- 인도와 파키스탄은 상호 핵 균형이 이루어지면, 안정된 핵이 된 다는 ‘공통의 인식’이 있었음. 즉, 양국에는 핵전략이 있었고, ‘현 상타파적 핵’이 아니었기 때문에 국제사회에서 커다란 쟁점이 되 지 않았음.

□ 북한의 경우, 국가와 민족의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 에 ‘현상타파적 핵’임.

- 통일정책과 결부된 핵무기 개발

◦ 리영호 북한군 총참모장은 2009년 4월 24일, ‘조선인민군 창건 78돐 경축 중앙보고대회’에서 연설을 통하여 “핵억지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침략의 아성을 가루로 만들어 날려보낸다”고 경 고하면서, 한국 이명박 정권을 “조국통일의 적”이라고 비판하였는 데, 이는 북한 핵이 한반도 통일을 의식한 핵무기임을 시사함.

◦ 북한의, “핵억지력의 강화를 꾀하면서 ‘강성대국’의 실현을 추구하 고, 통일의 슬로건을 계속해서 내걸면서, 통상전력의 실천적 훈련 과 강화를 도모한다”는 자세로부터 ‘통일정책과 결부된 핵전략’의 존재가 부상함.

□ 천안함 사건이 2010년 3월에 발발하였지만, 북한은 2009년 4월 이후, 한국을 포함하여 대외적으로 강경한 자세를 취하였음.

◦ 2010년 1월, 북한은 육해공 합동훈련을 실시하고, 한국에서의 전투

- 서해 5도 주변 해역에서의 사격훈련에 의한 긴장, 비무장지대에 서의 긴장상태가 보도

◦ 장성택 당 행정부장·오극렬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역할 증대와 병 행하여 대외적인 강경자세가 두드러짐.

-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상태와 결부된 북한 지도체제의 변화 가 생긴 것은 아닌가?

□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의 개발이 장기 전략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장 래 주한 미군이 철수하고, 미·북 평화조약이 체결되고, 북한이 대 륙간탄도미사일 개발을 완료한다면, 남북의 군사적 긴장은 높아 질 것임.

◦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을 완료해서 대미 억지력을 완성했 다고 판단할 때, 미군의 개입의사가 흔들릴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 지면, 한반도에서 전쟁 발발의 가능성이 나타날 것임.

◦ 북한의 통상전력이 한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충분하다고 할 수 없지만, 대량살상무기의 개발 기술은 어떠한가?

- 군사기술력이 완벽하지 않지만, 외국과의 교류에 의해 탄도미사 일의 유도장치, 액체연료의 연료계통 기술, 고체연료기술, 탄도미 사일 본체의 합금 기술, 2단계·3단계 분리기술의 일부는 과제를 극복하고 있는 중이 아닐까?

◦ 2006년 7월의 대포동 2호의 실패로부터 2년 8개월 후, 북한이 대포동

2호 미사일 실험에서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는 사실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