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Ⅶ3.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노리는 것

◦ 이유

- 한국은 동족이기 때문에 공격하지 않고, 미국은 강대한 군사력 때문에 공격을 할 수 없음.

- 반면, 일본은 동족도 아니고, 미국에 비해 공격하기 쉬움.

◦ 이유의 약점

- 미·일 안보조약이 기능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해석

□ 해석 3: 미국을 노림.

- 한국, 일본보다 개연성이 높음.

◦ 이유 1: 일본은 미·일 안보조약이 있고, 평양이 이를 알기 때문에 공격할 구실이 없음.

◦ 이유 2: 한국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축적해 온 남북교류의 실적이 있고, 한국의 여론은 북한에 동정적으로 되어 왔음. - 북한은 이를 간단하게 버리지 않을 것

- ‘한국을 우군으로 삼으면서, 미국과 대결할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생각

◦ 이유 3: 미국과의 대결 시, 대량살상무기는 불가결함.

- 대량살상무기는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할 수 있음’을 과시 하여 미국의 한반도 개입을 저지하기 위한 ‘억지력’임.

◦ 이유의 약점

- 북한은 미국과의 관계정상화, 평화조약체결이 목표임. - 북한은 미국과의 전쟁이 승산이 없음을 잘 알고 있음.

- 한국전쟁의 경험이 북한 군사전략의 출발점임.

- 따라서, 대량살상무기의 목표에 미국을 두는 것은 무리임. - 북한 고위직 인사는 “미국과 북한은 미국과 이스라엘과 같은 관

계가 되어야 한다”라고까지 발언

4. 통상전력과의 관계

◦ 북한의 군사력을 살펴보면, 북한은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고 실험 을 계속해 오면서 통상전력을 강화하였음.

- 북한은 2010년 10월, 육해공의 통합연습을 실시하였고, 신형 전 차, 야포의 수를 증가시켜 왔음.

◦ 북한이 2010년 3월, 잠수정의 어뢰를 사용하여 한국의 천안함을 공 격한 이유는 무엇인가?

- 군사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중요

◦ 북한은 강성대국의 기치를 들고 군사적 수단을 통해 국위를 선양해 왔고, 김정일과 국방위원회는 한반도에서 미국의 축출과 더불어 통 일을 추구해 왔음.

◦ 이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할 수 있음.

가. 과거 북방한계선(NLL) 남측에서 3차례 충돌하면서 북한은 2차례 타격을 받았음.

- 1999년 6월, 한국과 북한의 함정이 충돌하여 북한 어뢰정이 침몰, - 2002년 6월, 한국의 고속정 1척이 침몰, 5명이 사망 및 행방불명, - 2009년 11월 10월, 북한의 경비정이 타격을 입음.

◦ 이후, 북한은 복수의 기회를 검토하기 시작

- 잠수정의 어뢰 공격은 군사적으로 성공률이 높음.

- 서해는 수심이 낮기 때문에 130톤급 잠수정이면 잠수하여 침투 하기 어려움.

나. 한국 해군의 서해지역에서의 방어 능력이 충분하지 못함. - 한국은 소말리아에 어뢰 탐지 능력이 있는 구축함을 파견했기 때 문에 대잠 능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천안함이 북방한계선 (NLL) 경비를 하게 됨.

- 북한은 이를 파악하고 공격함.

◦ 한국 국방부의 고위인사가 서해에서 북한 잠수정의 공격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공표하였지만, 잠수정 공격에 대한 대처는 아님. - 북한 잠수정의 70~80%가 동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해지

역에서 불시에 감행되는 어뢰 공격을 상정하지 못하였음.

◦ 한국해군의 현대화 계획이 일본을 의식하여 ‘대양해군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북한의 잠수정 및 경비정에 대한 대책을 염두에 두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북한은 숙지함.

다. 한국의 해군함정이 북방한계선(NLL) 근처에 있기 때문에 북한의 해주 해군기지나 잠수정 기지 등에 접근이 가능함.

◦ 따라서, 북한은 해주기지의 취약성을 해소하는 것이 과제 - 북한은 이 지역의 긴장을 높여 북방한계선(NLL)의 재검토를 전

략적으로 노림.

라. 북한의 핵전략과 관련이 있음.

◦ 북한은 2009년 4월, 탄도미사일 ‘대포동 2호’의 발사 실험을 했고, 비행거리 3,200km 이상에 성공함.

◦ 북한은 이어 동년 5월에 제2차 핵실험을 감행하여 대량살상무기의 개발에 자신을 가지게 되었고, 장차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개발하여 미국의 핵무기를 억제하려고 함.

◦ 아울러, 북한은 주한미군의 철수를 재촉하여 한국군과의 통상무기 전투에서의 승리를 추구함.

- 북한은 잠수함, 초계정 등 통상전력을 강화할 시기가 왔다고 판 단, 2009년 말 해군훈련을 강화, 2010년 1월에 육해공 통합연습을 실시

- 즉, 한국과의 통상전 대비 시작

마. 북방한계선(NLL)의 무력화와 서울 공격

접근이 가능하고, 서울이 북한 해군함정의 포의 사정거리에 들어 옴.

◦ 북한 육군의 포에 의한 서울 공격은 준비단계에서부터 미국에 탐지 되어 파괴될 가능성이 있음.

◦ 북한 서해함대의 함정이 황해를 자유롭게 왕래하게 되면, 북한은 해상으로부터 서울 공격이 가능함.

바. 북한 잠수정의 스텔스 능력

◦ 북한은 고무·플라스틱 등을 사용하여 레이더에 포착되기 어려운 잠 수정의 스텔스 능력을 실험했을 가능성이 있음.

◦ 천안함을 공격한 연어급 잠수정은 수출용이고, 야간 투시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스텔스 능력이 있음.

- 북한과 이란이 보유한 스텔스 기술은 진일보하고 있고, 그 능력 을 테스트하려는 목적도 내포되어 있음.

5. 일본의 대응

□ 한반도의 안정과 전쟁 방지, 핵을 사용한 테러 억제, 대량살상무기 의 확산 방지, 안정된 국제사회의 실현 등을 위해 일본은 어떻게 대 응하여야 할 것인가?

가. 핵확산 방지

◦ 북한의 핵확산 방지를 위해 북한과 당·군·경제 등의 분야에서 긴밀 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의 적극적 역할이 중요함.

◦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볼 때, 중국이 북한 경제발전에 핵심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음.

◦ 북한의 군사능력 향상이 동북아시아의 안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 식을 중국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함.

- 중국은 핵안보 정상회의(Nuclear Summit)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나. 제2차 핵안보 정상회의의 주요 과제

◦ 2012년 제2차 핵안보 정상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되는데, 현재 국제 사회의 관심 사항을 생각해 보면, 핵 테러에 대한 대처뿐 아니라, 대량살상무기의 기술이나 물질의 확산방지, 중동과 동북아시아 간 의 대량살상무기 개발협력의 유무 등이 주요한 의제가 될 수 있음.

◦ 일본, 미국, 한국, 중국, 유럽 등은 핵무기의 기술 확산을 우려하고 있음.

- 핵확산 문제의 대처에 대해서는 아시아와 유럽이 상호 협력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함.

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문제에 대한 장기적 시각에서의 접근

◦ 일본, 한국, 미국은 장기적 시각에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대처하는 안보 및 외교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북한의 핵 개발 프로세스, 핵 관련 교섭의 경위, 북한의 공식보도 등을 고려해 보면, 북한의 핵무기 개발문제에 대해 장기적 시각 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

◦ 북한의 핵개발 및 통상전력의 훈련은, 북한의 미·북 평화협정안이 나 정전 협정의 해체 제안 등과 일체(一體)된 대전략의 일부임.

- 이 점을 고려해 보면, 이란과 북한의 군사협력관계의 핵심을 파 악할 수 있음.

◦ 북한의 핵은 대미 억지력을 위한 것이지만, ‘민족통일’이라는 최종 목표를 향한 중요한 중간점임.

- 따라서, 북한은 중유, 식량, 체제보증 등의 담보에도 불구하고 핵 포기라는 전략적 결단을 하지 않았음.

- 여러 가지 논의 가운데 중요함.

참고자료

□ 북한의 핵무기, 생화학무기, 탄도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와 관련,

󰡔2010년도 방위백서󰡕의 ‘북한 관련 부분’을 참고자료로 첨부했음.

◦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에 대해서는 핵무기 계획 이외에도, 생화학무 기의 능력에 대해서도 지적되고 있음.

◦ 북한의 핵문제는 일본의 안전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일 뿐 아니 라, 대량살상무기의 비확산이라는 관점에서 국제사회의 중요한 문 제이기도 함.

◦ 특히, 북한이 대량살상무기의 운반수단인 탄도미사일을 증강시키 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북한의 핵실험은 일본의 안전보장에 중대 한 위협이고, 동북아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것임.

- 북한의 핵실험을 절대 용인할 수 없음.

◦ 그리고, 북한은 기존의 탄도미사일의 배치, 사거리의 장거리화, 고 체연료화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음.

- 따라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문제도 핵문제와 함께 아시아·태평양 지역뿐 아니라, 국제사회에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되 고 있음.

1. 핵무기

가. 북한의 핵문제에 대한 대응

◦ 북한의 핵개발 문제에 대해서는 이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의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또한 2003년 8월부터는 6자 회담이 개최되고 있음.

◦ 2005년의 제4차 6자회담에서 북한이 “모든 핵무기 및 기존의 핵계

획”을 포기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공동성명이 처음으로 채

택되었음.

◦ 그러나 그후 북한은 6자회담의 참가를 연기함과 더불어 2006년에 7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였고 핵실험 실시를 발표함.

◦ 이와 같은 북한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에 대해 국제사회는 유엔 안보리 결의 제1695호 및 제1718호를 채택하는 등 대북 제재조치를 취함.

◦ 따라서, 북한은 2006년 12월 제5차 6자회담에 복귀하고, 2007년 2월

에 제4차 6자회담에서 채택된 공동성명의 이행을 위한 「9·19 공동

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 조치」에 합의함.

- 이 합의에 근거, 북한은 영변 핵시설의 활동정지 등 수락

◦ 그리고, 2007년 10월에 제6차 6자회담이 개최되어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제2단계 조치」가 발표되었고, 북한은 2007년 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