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 -
- 38 -
경우 해당 재화가 사회적 필요보다 과다 생산 시 그에 따른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설명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재화가 필요보다 많이 생산되는 이유는 생산자 가 그 재화를 생산하지 않을 유인이 없기 때문이다. 가령 공장에서 발생한 폐수에 대한 환경세 및 규제(유인)가 없다면 방류지역 근방의 주민들에게 피해(외부불경 제의 발생)가 가더라도 사측은 오히려 오염처리비용의 감소로 수익성이 상승할 것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폐수를 방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한 가운데 회사 는 이익이 발생하지만, 그로 인해 주민들에게는 공해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여 시 장이 실패된다.
❍ 외부경제의 경우, 해당 재화가 사회적 필요보다 많이 생산된다는 것이 문제점이 다. 실제로 적게 생산된다는 의미도 있지만, 시장재의 가치과소평가로 인해, 제3자 에게 이익이 발생 하더라도 그에 따른 인정을 못 받았을 때 시장은 실패하게 된 다.
❍ 이러한 예는 양봉업자와 산주와의 관계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조림지 근처에서 양봉을 하면, 나무들에게서 꽃이 필 때 벌들이 모여들어 양봉업자는 더 많은 꿀을 생산할 수 있다. 즉, 양봉업자가 과수원주인이 기르고 있는 나무의 꽃들 덕분에 편익이 발생한 것이다. 그에 반하여, 산주는 노동과 자본투자를 통해 나무를 길러 내지만, 암묵적인 편익의 제공에 대한 사회적 의식이 존재하지 않기에 꿀 제공에 대한 편익은 인정되지 않아 수익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산주들의 경영활동을 중 단하게 되는 계기가 되면서 시장이 붕괴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코즈(Ronald Coase) 는 재산권을 분명하게 해 주면 외부효과 문제를 정부가 개입하지 않아도 시장 기 구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코즈정리(Coase theorem)9)를 주장하였다.
2) 경제적 가치
❍ 공공재나 환경재는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통하여 사회의 후생수준을 증가시키면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다. 그러나 환경자원은 공공재적 성격과 외부성을 갖기 때문에 시장의 가격기구를 통하여 거래될 수 없는 특성을 갖으며, 따라서 편 익을 비교 및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것들의 편익량을 수치로 환산해야한다.
하지만 환경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적 가치로 측정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 니다.
9) 계량이 곤란해서 경제거래의 대상 밖이었던 외부효과도 소유권에 관한 명확한 법해석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계산이 가능하며 거래도 가능한 것이라는 미국의 경제학자 코즈가 전 개한 정리이다. 단, 코즈의 정리의 응용에는 정보·교섭·규제 등의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전제가 된다.
- 39 -
❍ 그동안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방법이 제시되어왔으며, 현재 그 유 용성을 인정받은 경제적 가치 측정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시장 자료를 이용하는 간접적 측정방법이며 또 다른 하나는 설문방식을 사용하는 직접적 측정방법이다. 간접적 측정방법은 설문대상자와 직접 대면하는 것이 아니 라, 설문대상자 집단이 남긴 흔적들인 예약 수, 타 기관 통계자료의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편익을 금액으로 유추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방법은 실제로 설문대상자가 설문자나 설문지가 요구하는 응대에 맞춰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 환경재는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통하여 사회의 후생수준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다. 환경의 질이나 양이 변화할 경우 지역 전체의 후생이 어 느 정도 변화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원․환경경제학에서는 개인의 후생변화를 시장에서의 가격변화와 수요변화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후생경제학의 개념을 이용한다.
❍ 환경의 질이 개선되거나 약화되어 사람들의 후생수준이 변화하는 경우, 사람들이 본래의 후생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크기만큼 화폐를 통해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을 할 수 있는데 이때의 금액을 환경재의 화폐 가치라 할 수 있다.
❍ 사람들의 대체 노력은 대상 환경재를 유지하거나 사용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기꺼 이 그 대가를 지불하고자 하는 것과 해당 환경재를 더 이상 유지 또는 사용할 수 없어 총 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을 감수하는 대신 그만큼 보상받고자 하는 경우의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전자를 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 WTP)이라고 하고 이론적으로 Hicks의 보상수요함수에 의하거나 Marshall의 소비자잉여를 사용 하여 얻을 수 있다.
❍ 그림(15)에서 최초에 가격선이 주어졌다고 할 때, 이때 최초의 무차별 곡선 혹은 효용곡선인 U⁰와 접점 A에서 균형을 이룰 때 소비자는 X1재를 OQ₀를 소비하게 된다. 만약 소득(M)이나 소득을 전부 다른 상품으로 환산한 Y재의 가격은 일정불 변 일 때, X1재화의 가격이 하락하여 가격선이 변화한 경우, 이때 소비자의 균형 점은 새로운 가격선과 효용곡선 U¹이 접점 하는 D점으로 이동하게 되고, X1의 소 비량은 OQ0에서 OQ1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수요곡선에 적용하여 종 축을 가격으로 횡축을 소비량으로 변환하여 도식하면 그림과 같다.
❍ 즉, 가격이 P2에서 P1으로 하락함에 따라 수요량은 Q₀에서 Q1으로 증가하고 한다.
이것을 X1재의 가격변화에 의한 총효과 혹은 가격효과라 한다.
❍ 이 때 가격하락으로 증가하는 효용의 변화를 화폐척도로 나타낸 것을 Marshall의 소비자잉여라 하며, 그 크기는 사각형 P2ADP1로 나타난다.
- 40 -
그림 15. 보상변화와 동등변화, 소비자잉여
❍ 한편, 가격변화를 소득효과와 대체효과로 분리할 수 있다. 만약 재의 가격이 하락 하여 발생한 X1재의 수요증가분, 즉 가격효과는 Q₀Q1이다. 그런데, 여기서 상대가 격의 변화에 따른 대체효과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실질소득의 변화에 따른 소득효 과를 우선 제거해야 한다. 여기서 ‘실질소득의 변화에 따른 소득효과를 제거한다’
는 것은 새로운 가격수준에서 종전과 동일한 수준의 효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는 의미이다.
❍ X1재 가격이 하락할 때 종전과 동일한 효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격 변화 후 가격선과 평행한 직선을 가격변화 전의 효용수준(U⁰)과 접하는 점을 발 견하게 되는데, 이때가 점 C이다. 따라서 실질소득의 변화를 제거했을 때 가격변 화에 의하여 X1재의 수요량은 Q₀에서 Q1′로 증가하는 것이다. 즉, 가격변화에 의 한 대체효과이다.
- 41 -
❍ 한편, 이와 같이 효용수준을 이전과 동일하게 두고 가격변화에 따른 지출의 증감 액을 Hicks는 보상변화(compensating variation, CV)라 한다. 이를 화폐금액으로 변 환하면, 왼쪽 그림에서는 Y1Y2이며, 오른쪽 그림에서는 P2ACP1의 크기가 된다. 이 를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V(*)는 간접효용함수이다.
❍ X1재 가격하락은 종전보다 X1을 더 많이 구매할 수 있어서 실질적인 소득이 증가 한 것이나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것은 새로운 가격선이 균형점이 C에서 D로 이동하여 Q1'Q¹만큼의 수요증가가 나타나는데, 이를 소득효과라 한다.
❍ 한편 이와 같이 효용수준을 가격변화가 있는 때와 동일하게 두고 가격변화에 따 른 지출의 증감액을 Hciks의 동등변화(equivalent Variation, EV)라 한다. 이를 화폐 금액으로 변환하면, 왼쪽 그림에서는 Y2Y3이며, 오른쪽 그림에서는 P2BDP1의 크기 가 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 이러한 환경자원의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들의 이론적 배경으로써 다양한 후생척 도들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각 측정방법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3) 비시장재의 가치평가 방법
❍ 환경자원와 같은 비시장재에 대한 가치의 평가방법은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으로 구분된다. 직접적인 방법에는 가상가치평가법(조건부가치평가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이 대표적이며, 간접적인 방법에는 여행비용법
(travel cost method, TCM)과 만족가격법(hedonic property price, HPP) 등이 있다.
❍ 여행비용법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치평가방법 중 가장 오래된 방법으로 공원, 호수 야영장 등과 같은 환경자원에 대한 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
WTP)을 여행비용으로부터 간접 추정하는 방법이며 1966년에 처음 시도되었다. 환
경자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환경자원이 위치한 곳까지 시간과 비용을 수반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본적인 틀은 어떤 환경자원 시설의 이용에 대한 개인 의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기 위하여 그 지역에 도달하는 데 소요된 시간과 비용 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 만족가격법은 환경자원에 대한 시장이 명시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토지시장이나 주택시장을 이용하여 환경의 질이 개선될 경우의 편 익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환경이 잘 보존된 산에 인접하여 위치한 아파트의 가
- 42 -
격에서 평수나 교통 편리성 등과 같은 아파트가격의 기타 결정요인들의 효과를 제거하면 나머지는 산이 주는 맑은 공기나 수려한 경관 등의 가치가 반영된 것으 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산이라는 자연환경자원의 화폐적 가치를 아파트시장에 서 간접적으로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기법은 70년대 후반과 80년대 초 반에 걸쳐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후 이제는 시장자료를 이용한 간접적 편익 추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 가상가치평가법은 환경에 대한 가상적인 시장을 설정하여 응답자에게 설문을 통 하여 지불의사금액을 직접 추정하는 방법으로 입찰게임(bidding game)이라는 설문 조사 방법을 처음 창안하면서 이용되었으며, 그 후 설문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기 법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여행비용법과 만족가격법은 환경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여행비용이나 재산 가치로부터 유도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측정하는데 반해, 가상가치평가법은 여러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직접적인 설문을 통하여 환경 재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림 16. 非市場財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 세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면, 먼저 여행비용법은 분석대상이 되는 환경자원 에 대해 혼잡이 고려된 수요곡선을 도출하는데 도출과정에서 대체관계에 있는 다 른 환경자원에서의 혼잡도 변화를 고려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 경자원을 방문하는 목적이 단지 휴양목적이 아니고 다양한 경우 각 목적들 간에 시간 및 금전적 기회비용을 배분해야 하는데 배분과정이 자의적이기 쉬우며, 추정 결과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아서 해석이 용이하지 않고, 환경자원의 이용가치(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