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원시와 산청군을 중심으로 지리산국립공원 인근 지역주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107명이 이에 응답하였으며 지리산국립공원에 반달가슴곰이 서식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주민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남녀 비율은 56%, 44%로 비교적 고 르게 분포되었으며 연령대는 30~5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성별 남 녀 전체
빈도(N) 60 47 107 비율(%) 56.1 43.9 100.0
표 11. 응답자의 성별
연령대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전체 빈도(N) 15 6 25 26 22 13 107 비율(%) 14.0 5.6 23.4 24.3 20.6 12.1 100.0
표 12. 응답자의 연령대
지역 남원 산청 함양 전체
빈도(N) 66 39 2 107
비율(%) 61.7 36.4 1.9 100.0 표 13. 응답자의 거주지
- 76 -
❍ 응답자의 고향을 묻는 문항에서 81.3%가 지리산에 인접한 시군에서 태어나 현재 까지 거주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 연혁과 응답자의 연 령대를 고려할 때, 응답자의 답변이 더욱 신뢰성과 대표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 었다.
구분 예 아니요 전체
빈도(N) 87 20 107
비율(%) 81.3 18.7 100.0 표 14. 응답자의 고향(지리산 인접한 시/군) 여부
❍ 현재 반달가슴곰이 지리산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69.1%가 긍정적인 답변을, 19.6%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8 13 12 30 44 107
비율(%) 7.5 12.1 11.2 28.0 41.1 100.0 표 15. 반달가슴곰이 지리산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는지에 대한 인식
❍ 그러나 현재 반달가슴곰으로 인해 인근 시군의 경제적 소득이 발생하였는지에 대 한 질문에선 27.1%가 긍정적인 답변을, 31.8%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긍정적 인 이미지와는 별개로 지역주민에게 경제적인 혜택으로 다가오지 못했다는 뜻이 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14 20 44 22 7 107
비율(%) 13.1 18.7 41.1 20.6 6.5 100.0
표 16. 반달가슴곰으로 인해 인근 시군의 경제적 소득 발생에 대한 인식
- 77 -
❍ 이에 지리산 인근 시군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가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선 54.2%가 긍정적인 답변을, 13.1%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 다. 이는 곧, 반달가슴곰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브랜드화를 통해 지역주민의 경제 적 혜택으로 이어지게 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2 12 35 23 35 107
비율(%) 1.9 11.2 32.7 21.5 32.7 100.0
표 17. 지리산 인근 시군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 필요성
❍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였을 때, 지역 이미지 상승 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65.4%가 긍정적인 답변을, 15.0%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이는, 반달곰의 지리산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는 다르게 지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또한 브랜드화를 통해 연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8 8 21 41 29 107
비율(%) 7.5 7.5 19.6 38.3 27.1 100.0
표 18. 반달가슴곰 브랜드화의 본격 추진에 대한 지역 이미지 상승에 대한 인식
❍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였을 때,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질문에서 52.3%가 긍정적인 답변을, 14.9%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경제적 소 득에 대한 응답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브랜드화 추진 과정에 야생동물의 브랜드화를 통한 성공적인 예시의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78 -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6 10 35 41 15 107
비율(%) 5.6 9.3 32.7 38.3 14.0 100.0
표 19. 반달가슴곰 브랜드화의 본격 추진에 대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인식
❍ 현재 반달가슴곰 보호활동에 대한 참여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10.3%가 긍정적인
답변을, 72.0%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긍정적인 답변 또한 단순히 등산 과정
에서의 환경보호 차원이 대다수인 것으로 파악된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34 43 19 6 5 107
비율(%) 31.8 40.2 17.8 5.6 4.7 100.0
표 20. 반달가슴곰 보호활동 참여 정도에 대한 인식
❍ 앞선 질문들과 연계하여 장기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와 지 역주민의 보호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질문으로 반달가슴곰 브랜드화의 추진으로 경제적 혜택이 발생하였을 시 보호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물었다. 이에
72.0%였던 부정적인 응답이 15.0%로 크게 하락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
적인 답변 또한 10.3%에서 52.4%로 큰폭으로 상승하였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5 11 35 25 31 107
비율(%) 4.7 10.3 32.7 23.4 29.0 100.0
표 21. 반달가슴곰 브랜드화 추진으로 경제적 혜택 발생 시 보호활동 참여 의사
- 79 -
❍ 반달가슴곰 브랜드화의 적용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서 꿀 과 캐릭터상품, 축제, 관광지, 고로쇠수액, 펜션/민박, 산나물, 음식점 등의 순서로 답변을 하였다. 상품 및 서비스는 지역 특산물 및 축제와도 관련이 있으므로 지 역적 선호도도 고려해야겠지만 일반적인 캐릭터상품, 축제, 관광지, 펜션/민박은 충분히 고려할 사항을 보인다.
상표 빈도(N) 응답비율(%) 전체비율(%)
꿀 38 35.5 13.4
캐릭터상품 38 35.5 13.4
축제 29 27.1 10.2
관광지 27 25.2 9.5
고로쇠수액 23 21.5 8.1
펜션/민박 21 19.6 7.4
산나물 19 17.8 6.7
음식점 18 16.8 6.3
흑돼지 12 11.2 4.2
쌀 11 10.3 3.9
버섯 10 9.3 3.5
매실 6 5.6 2.1
곶감 6 5.6 2.1
한우 6 5.6 2.1
천연염색 6 5.6 2.1
사과 5 4.7 1.8
생수 4 3.7 1.4
산양삼 3 2.8 1.1
딸기 2 1.9 0.7
표 22. 반달가슴곰 브랜드화 본격 추진에 따른 상품/서비스 유형 (복수응답)
-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