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리산국립공원 내 의신마을 주민 조사

- 80 -

- 81 -

과와는 달리 50.0%가 긍정적인 답변을, 23.3%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이는 반달가슴곰에 의한 피해를 보거나 들은 주민의 영향 또는 오프라인상의 영향을 주로 확인하는 연령대이기 때문이 아닌가 추측할 수 있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1 6 8 9 6 30

비율(%) 3.3 20.0 26.7 30.0 20.0 100.0 표 26. 의신마을 주민의 반달가슴곰이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는지에 대한 인식

❍ 마찬가지로, 반달가슴곰으로 인해 인근 시군의 경제적 소득이 발생하였는지에 대 한 질문에선 27.1%가 긍정적인 답변을, 31.8%가 부정적인 답변을 했던 인근지역 주민 설문결과와는 달리 6.7%가 긍정적인 답변을, 60.0%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 였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3 15 10 2 0 30

비율(%) 10.0 50.0 33.3 6.7 0.0 100.0

표 27. 의신마을 주민의 반달가슴곰으로 인해 인근 시군의 경제적 소득 발생에 대한 인식

❍ 하지만 지리산 인근 시군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가 필 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선 54.2%가 긍정적인 답변을, 13.1%가 부정적인 답변을 했 던 인근지역주민 설문결과와는 달리 60.0%가 긍정적인 답변을, 20.0%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이는 브랜드화 추진에 앞서 매우 긍정적인 답변으로 볼 수 있다.

- 82 -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0 6 6 13 5 30

비율(%) 0.0 20.0 20.0 43.3 16.7 100.0

표 28. 의신마을 주민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 필요성

❍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였을 때, 지역 이미지 상승 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65.4%가 긍정적인 답변을, 15.0%가 부정적인 답변을 했던 인근지 역주민 설문결과와는 달리 53.3%가 긍정적인 답변을, 26.6%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1 7 6 13 3 30

비율(%) 3.3 23.3 20.0 43.3 10.0 100.0

표 29. 의신마을 주민의 반달가슴곰 브랜드화의 본격 추진에 대한 지역 이미지 상승에 대한 인식

❍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였을 때,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질문에서 52.3%가 긍정적인 답변을, 14.9%가 부정적인 답변을 했던 인근지역주민 설문결과와는 달리 43.4%가 긍정적인 답변을, 30.0%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이는 브랜드화는 필요하나 그 영향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든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0 9 8 11 2 30

비율(%) 0.0 30.0 26.7 36.7 6.7 100.0

표 30. 의신마을 주민의 반달가슴곰 브랜드화 본격 추진에 대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인식

- 83 -

❍ 현재 반달가슴곰 보호활동에 대한 참여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10.3%가 긍정적인

답변을, 72.0%가 부정적인 답변을 했던 인근지역주민 설문결과와는 달리 30.0%가

긍정적인 답변을, 60.0%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3 15 3 8 1 30

비율(%) 10.0 50.0 10.0 26.7 3.3 100.0

표 31. 의신마을 주민의 반달가슴곰 보호활동 참여 정도에 대한 인식

❍ 앞선 질문들과 연계하여 장기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반달가슴곰의 브랜드화와 지 역주민의 보호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질문으로 반달가슴곰 브랜드화의 추진으로 경제적 혜택이 발생하였을 시 보호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물었다. 이에

60.0%였던 부정적인 응답이 20.0%로 크게 하락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

적인 답변 또한 30.0%에서 66.7%로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내 반 달가슴곰과 밀접하게 생활하는 주민들의 반달가슴곰 보호활동 참여 의사는 차후 여러 활동에서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므로 의미 있는 자료라 할 수 있겠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빈도(N) 1 5 4 14 6 30

비율(%) 3.3 16.7 13.3 46.7 20.0 100.0

표 32. 의신마을 주민의 반달가슴곰 브랜드화 추진으로 경제적 혜택 발생 시 보호활동 참여 의사

❍ 반달가슴곰 브랜드화의 적용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서 꿀 과 캐릭터상품, 축제, 관광지, 고로쇠수액, 펜션/민박, 산나물, 음식점 등의 순서로 답변을 했던 인근지역주민 설문결과와는 달리 고로쇠수액, 곶감, 꿀, 펜션/민박, 관광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동군의 의신마을내 순위이므로 지역적인 영향이 매우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꿀, 펜션/민박, 관광지 등은 공통적으로 우선순 위에 들었다.

- 84 -

상표 빈도(N) 응답비율(%) 전체비율(%)

고로쇠수액 22 73.3 22.4

곶감 14 46.7 14.3

꿀 12 40.0 12.2

펜션/민박 9 30.0 9.2

관광지 9 30.0 9.2

산나물 8 26.7 8.2

캐릭터상품 6 20.0 6.1

음식점 5 16.7 5.1

버섯 3 10.0 3.1

밤 3 10.0 3.1

녹차 3 10.0 3.1

축제 3 10.0 3.1

양파 1 3.3 1.0

표 33. 의신마을 주민의 반달가슴곰 브랜드화 본격 추진에 따른 상품/서비스 유형 (복수응답)

- 85 -

참 고 문 헌

Amemiya, T. 1981. Qualitative Response Models: A Surve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19:1483-1536.

Bishop, R. C. and T. A. Heberlein. 1979. Measuring Values of Extra-market Goods: Are Indirect Measures Biase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61:926-930.

Blomquist, G.C., and J.C. Whitehead. 1995. Existence value, contingent valuation, and natural resources damages assessment. Land Economics 26(4):573-590.

Bowker, J. M. and J. R. Stoll. 1988. Use of Dichotomous Nonmarket Methods to Value the Whooping Crane Resourc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70:372-381.

Brown, T.C., P.A. Champ, R.C. Bishop, and D.W. McCollum. 1996. Which response format reveals the truth about donations to a public good? Land Economic, 72:152-166.

Cameron, T.A. 1988. A new paradigm for valuing non-market goods using referendum day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y censored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5:355-379.

Cummings, R. G., G. W. Harrison, and E. E. Rutstrom. 1996. Homegrown Values and Hypothetical Surveys: Is the Dichotomous Choice Approach Incentive Compatible?

American Economic Review 85(1):206-266.

Duffield, J. W. and D. A. Patterson. 1991. Inference and Optimal Design for a Welfare Measure in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Land Economics 67:225-239.

Fox. J. A., J. F. Shogren, D. J. Hayes, and J. B. Kliebenstein. 1998. CVM-X: Calibrating Contingent Values with Experimental Auction Market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80:211-225.

Freeman, A. M. 1993.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es: Theory and methods, Resources for the Future.

Haab, T.C., and K.E. McConnell. 1997. Referendum models and negative willingness to pay: Alternative solu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2:251-270.

- 86 -

Ham, S.Y. and Lee, C.K. 2008. Estimating the value of preserving the Manchurian black bear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008; 23: 458-465.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66:332-341.

Hanemann, W. M. 1994. Valuing the Environment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8:19-43.

Kealy, M. J. and R. W. Turner. 1993. A Test of the Equality of Close Ended and Open Ended Contingent Valuation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75:321-31.

Kealy, M. J., J. F. Dovidio, and M. L. Rockel. 1988. Accuracy in Valuation is a Matter of Degree. Land Economics 64:158-171.

Kenneth, J. W. 1997. SHAZAM: The Econometrics Computer Program (User's Reference Manual), McGraw-Hill.

Kristrom, B. 1990. A non-parametric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welfare measures in discrete response valuation studies. Land Economics 66:135-139.

Kristrom, B. 1997. Spike models in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79:1013-1023.

Krutilla, J. V. 1967. Conservation Reconsidered. American Economic Review 57:777-786.

Loomis, J. and R. Walsh. 1991. Future Economic Value of Wilderness. The Economic Value of Wildernes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General Technical Report SE-78. USDA Forest Service.

Loomis, J., T. Brown, B. Lucero, and G. Peterson. 1996. Improving Validity Experiments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Results of Effects to Reduce the Disparity of Hypothetical and Actual Willingness to Pay. Land Economics 72:450-461.

Loomis, J.B. and D.S. White. 1996. Economic values of increasingly rare and endangered fish. Ecological Economics 21:6-10.

McFadden, D. 1994. Contingent Valuation and Social Choic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6:689-708.

Mundy, B. and D. McLean. 1998. Using contingent value approach for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al damage applications. Appraisal Journal 66(3):290-297.

- 87 -

Neill, H. R., R. G. Cummings, P. T. Ganderton, G. W. Harrison, and T. McGuckin.

1994. Hypothetical Surveys and Real Economic Commitments. Land Economics 70:145-154.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3. Report of the NOAA Panel on Contingent Valuation. Federal Register 58:4602-4614.

Ready, R., and D. Hu. 1995. Statistical approaches to the fat tail problem for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Land Economics 71:491-499.

Shallow, S. K. 1994. Value Elicitation in Laboratory Markets: Discussion and

Applicability to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76:1096-1100.

Stevens, T.H., J. Echeverria, R.J. Glass, T. Hager, and T.A. More. 1991. Measuring the existence value of wildlife: What do CVM estimates really show? Land Economics 67:390-400.

Turnbull, B. 1976. The empirical distribution function with arbitrarily grouped, censored truncated data. J. Roy. Statist. Soc. Ser. B 38:290-295.

Tyrväinen, L. 2001. Economic Valuation of Urban Forest Benefits in Fin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2:75‐92.

White, P.C., K.W. Gregory, P.L. Lindley, and G. Richards. 1997. Economic values of threatened mammals in Britain: A case study of the Otter Lutra and Water Vole Arvicola Terrestris. Biological Conservation 82:345-354.

강재구. 2010. 지리산 멸종위기종 반달가슴곰 복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곽승준·유승동·이충기. 2002.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우포늪의 보존가치 추정.

한국국제경제학회. 8(3):203-225.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http://www.knps.or.kr/bear/main.do)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2015. 종복원기술원 연간보고서. 종복원기술원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2016. 종복원기술원 연간보고서. 종복원기술원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2017. 종복원기술원 연간보고서. 종복원기술원 국립공원관리공단(http://www.knps.or.kr)

김보현·김용근·양두하·K.V.Skripova·이경재. 2008. 반달가슴곰 피해에 대한 보상

- 88 -

만족도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2(5):536-543.

김재홍. 2010. 태화들 생태공원의 경제적 가치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1):109-135.

김정진·김선두·강재구·김종갑·문현식. 2011.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된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분석. 경상대학교. 45(5):41-47.

김준순. 1999. 가상가치평가법에서 시간범위에 따른 휴양가치의 차이해석.

한국임학회지 88(1):117-123.

김지현·이충기. 2018. 가상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한 울산 태화강의 보존가치 평가.

한국관광학회. 42(1):197-214.

김충실·이상호. 2002. 다중범위 이산선택 CVM기법에 의한 갯벌의 가치평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5(4):31-44.

김태균·최관. 1998. 식품안정성에 대한 소비자 가치 측정: 가상적 가치평가의 수정.

1998. 한국농업경제학회지 38(2):1-17.

박슬기·이상철·강기래·최송현. 2016. 억새경관보전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44(4):1-13.

서정호. 2011. 지리산 반달가슴곰생태마을 조성 및 운영 방향. 한국산림휴양학회.

15(2):21-33.

안건훈. 2010. 희귀성 멸종위기동물 복원의 필요성과 그 대책:반달가슴곰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철학회. 10(0):171-194.

윤여창․장호찬. 1994. 광릉 크낙새의 보존가치 평가. 환경경제연구 3(1): 87-105.

이정·김사랑·권대곤·정봄비·송성환·김선화. 2017. 로짓모형에 따른 순천만습지의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조경학회. 45(6):10-27.

이현주. 2007. 반달가슴곰 캐릭터 디자인 컨셉 개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이화여자대학교. 2017.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 적정수용력 연구용역.

종복원기술원

이희찬. 2002. 해오라기의 가치평가. 한국관광학회. 25(4):127-142.

정의철·박영순·이현주·이성식·이지현·김규희·오세환·이주형·방현수·홍윤정. 2007.

반달가슴곰 P.I를 적용한 응용상품 개발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3(0):7-16.

쿨란·윤순진. 2016. 환경거버넌스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과 몽골의 멸종위기곰 보호.

한국환경정책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