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상 재화와 가상적 시장의 설정
❍ 가상시장의 설정은 본격적인 설문조사를 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채택된 대상 재 화에 대한 가상적 시장을 설정해야 한다. 지불의사에 관한 핵심질문을 하기 전에 설문지는 가상적 시장의 일반적 상황부터 만들었다. 시작 단계에서는, 현재 반달 가슴곰 복원사업이 지닌 다양한 기능 및 복원성과에 대해 아래와 같이 충분하게 설명하였다.
지금까지의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사업
개 요
2000. 진주 MBC 지리산 반달곰 촬영으로 야생곰의 실체 확인
2004.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 시작
2017.6. KM53 곰의 경북 김천 수도산 두차례 발견(이동거리 80km 추정)
2018.4. 지리산 야생 어미 6마리로부터 8마리의 새끼, 자연적응훈련장 어미
2마리로부터 3마리의 새끼 출산. 자연적응훈련장의 새끼를 9월 방사하게
되면 총 59마리로 2020년 최소 존속개체군 50마리 복원을 2년 앞당겨 달성 (3년 연속 3세대 개체 출생)
2018.5. 수도산 일대에서 민관합동 엽구수거 행사를 통해 올무 30점 수거(환경청)
2018.6. 전남 광양 백운산 일대에서 활동하던 KM55 수컷 반달가슴곰이 이동형
올무에 걸려 바위틈에 숨져 있는 것을 발견. 반달가슴곰이 불법 올무에 걸려
숨진 것은 2014년 이후 처음 있는 일
❍ 마지막 단계에서는, 만일 지리산국립공원 야생 반달가슴곰을 보호하기 위한 비용 지원을 정부 예산이 아닌 일반 국민의 ‘반달곰기금(가칭)’을 받아, 믿을만한 환경 보호단체에서 관리한다면, 응답자의 가족은 ‘기금’을 내실 의향이 있는지를 질문 하였다. 한편, 기금은 정확히 반달곰 보호를 위해서만 쓰이며, 만일 기금이 조성되 지 않으면 지리산 반달곰은 멸종한다고 가정하였다.
❍ 가상적 시장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응답자가 밝히고자 하는 지 불의사를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불수단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 달가슴곰 보존을 위한 기금의 확충이라는 지불수단을 제시하였으며, 지불방식은 기금의 특성을 반영하여 단 한 번 지불하는 것으로 하였다.
- 54 -
❍ NOAA 패널 보고서에서 강조하고 있듯 반달가슴곰의 대체재를 제시하였고, 응답
자가 의도하는 WTP가 여타 소비의 제약을 야기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하였다. 그 리고 범위효과(scope effect)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오직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복원 되고 있는 반달가슴곰 평가대상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2) 지불의사 유도방법
❍ CVM의 실증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불의사 유도방법으로는 개방형 질문법
(open-ended question), 경매법(bidding game), 지불카드법(payment card), 양분선택형 질문법(dichotomous choice question)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불의사 유도방법 으로서 응답자가 대답하기 용이하여 응답률이 높고, 출발점 편의나 설문조사원 편 의에 의한 영향이 적으며, 비합리적 지불의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으면서 응답자 의 전략적 행위를 줄일 수 있는 DC 질문법을 이용하였다. 표본에 사용된 WTP 질 문의 중요부분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3) 제시금액 설계
❍ 제시금액은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WTP의 평균값 또는 중앙값에 민감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설 문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3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pretest)를 시행한 후, 이들로부 터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100원부터 100,000원까지 총 7개의 초기 제시금액을 결 정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금액을 전체 응답자를 무작위로 구분한 7개 그룹에 각각 할당하였다.
4) 설문방법
❍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반달가슴곰에 대한 설문조사는 설문조사 전문기관인 엠브 레인(EMBRAIN)에 의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9월 1일부터 13일까지 개별면접형식(personal interview)으로 이 루어졌다.
❍ 조사내용은 먼저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의 추진과 성과에 대 한 정보 등을 제공한 후, 반달가슴곰 보호를 위한 재정적 지원의 필요성과 보호 를 위하여 제시된 기금의 지불의향을 질문하였다. 이외 일반적인 사항인 성별, 소 득수준, 연령, 학력 등이 조사되었다.
- 55 -
설문기간 : 2018. 9. 1 - 13(14일간) 설문규모 : 전국 일반 국민 1,174명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조사기관 : EMBRAIN
신 뢰 도 : 유한모집단의 표본수
×
×
여기서, z = 1.95, N(총인구) = 51,778,544 95% 신뢰구간에서 허용오차 ±2.86%p
❍ 기금지불에 대하여는 응답자의 가구당 단 1회로 설정하였으며, 방문자의 응답은
‘예’ 혹은 ‘아니오’를 선택하는 이선선택형으로 구성하였다. 제시된 기금가격은
100, 500, 1,000, 5,000, 10,000, 50,000, 100,000원으로 제시하였다.
❍ 이외 보존가치를 나타내는 기금의 WTP를 선택가치, 유산가치, 존재가치로 할당하 는 질문까지 추가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 실험경제학(experimental economics)과 가상가치평가법을 접목시킨 실험적 가상가치 평가법(experimental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X-CVM)을 적용하기 위하여, 지불 하고자 하는 기금을 실제로 인지도가 높고 믿을 수 있는 환경보호단체에 직접 기 탁하실 수 있게 해준다는 실제상황을 제시하여 재차 질문하였다.
- 56 -
1. 만일 지리산 야생 반달가슴곰을 보호하기 위한 비용지원을 정부예산이 아 닌 일반 국민의 ‘반달곰기금(가칭)’을 받아, 믿을만한 환경보호단체에서 관 리한다면, 귀하의 가족은 ‘기금’을 내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보내주신 기 금은 정확히 반달곰 보호를 위해서만 쓰이며, 만일 기금이 조성되지 않으 면 지리산 반달곰은 멸종한다고 가정합니다)
귀하 가족은 기금이 원일 경우, 이를 지불하실 의향이 있습 니까?
① 예 ② 아니오
2. 귀하께서 기금을 내시려는 이유는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가 아래와 같을 때, 금액을 어떻게 할당하는 것이 좋을지 합이 100%가 되도록 응답해 주십시오.
① 한 번이라도 내 눈으로 직접 야생 반달곰을 보기 위하여 ... ( % ) ② 야생 반달곰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만족하기 때문에 ... ( % ) ③ 미래세대들에게 반달곰을 물려줄 책임이 있기 때문에 ... ( % ) 총 1 0 0 % 3. 귀하께서 지불하시고자 하는 기금을 실제로 인지도가 높고 믿을 수 있는
환경보호단체에 직접 기탁하실 수 있게 해드리고자 합니다. 기금 납부방법 은 귀하께서 직접 선택한 환경보호단체에서 귀하의 댁으로 발송하는 ‘은행 지로 용지’를 이용하여 기탁하시게 됩니다. 기탁하실 성금은 본 연구진과 는 전혀 관계가 없으며, 귀하의 기금은 해당 환경보호단체에서 ‘지리산 반 달곰의 보호’를 위한 목적 외에는 절대로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도 귀하 가족은 기금이 원일 경우, 이를 지불하실 의
향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 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