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연구 방법
5.3 가설의 검증
5.3.1 가설 I 의 검증 :
일터학습의 유형(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은 혁 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I 의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 적 학습 등 일터학습 유형 요인들과 혁신성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표 5-4>은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이 혁신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이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표 5-4> 혁신성에 대한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β t Adjusted
R2 F
혁신성
형식적 학습 .310 5.292 .315 43.133 무형식적 학습 .423 7.208*** .357 92.315***
우연적 학습 .419 6.360*** .296 99.204***
*p<.05, **p<.01, *** p<.001
<표 5-4>에서 알 수 있듯이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 중 무형식적 학습(t=7.208**
*,p=.000)과 우연적 학습(t=6.360***, p=.001) 등 모두 하위변수가 혁신성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터학습의 유형 중 형식적 학습은 혁 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5.292,n/s). 따라서 가설 I 은 부분 채택되였다. 이와 같은 검증결과는 일터학습의 유형의 하위요인 중 무형식 적 학습과 우연적 학습은 조직 내·외부에서 생성된 아이디어를 통해 무언가 새로운 시도를 위한 기반을 도입하고 이를 실행해 나가며 조직의 자발성 및 성향인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혁신성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일터학 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일터에서의 일상생활 중에 이루어지는 경험적이고 학습자 중심적인 학습을 의식하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활동의 부산물로서 이루어지는 학습인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 등 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3.2 가설 Ⅱ 의 검증 :
일터학습의 유형(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은 경력 지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Ⅱ 의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 연적 학습 등 일터학습과 경력지향 요인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표 5-5>는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이 경력지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이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표 5-5> 경력지향에 대한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β t Adjusted
R2 F
경력지향
형식적 학습 .297 3.624 .215 24.702 무형식적 학습 .384 4.552*** .272 42.621***
우연적 학습 .361 4.714*** .183 35.815***
*p<.05, **p<.01, *** p<.001
<표 5-5>에서 알 수 있듯이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 중 무형식적 학습 (=4.552***,p=.000)과 우연적 학습(t=4.714***, p=.001) 등의 하위변수가 경력지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터학습의 유형 중 형식적 학습은 경력지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3.624,n/s). 따라서 가설 Ⅱ 는 부분 채택되였다.
이와 같은 검증결과는 일터학습의 유형 중 무 형식적 학습과 우연적 학습은 경력지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원들이 자신 의 욕구와 동기, 재능, 자신의 태도와 가치관 등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지고, 삶의 여러 가지 경험들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피드백 등을 통해서 형성된, 직업 과 관련된 자기 이미지인 경력지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터학습이 잘 실행되어 야 하며 그 중 작업장에서의 공식적 집체교육이 아닌 현장에서 근로자인 성인학 습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업무와 관련된 학습, 일을 통한 학습인 무형식적 학 습과 무형식적 학습의 부분집합으로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암묵지나 무의식 과 관련되어 주어진 학습이며 과업 수행 중, 대인상호작용, 조직문화에 대한 이 해, 시행착오, 공식교육의 부산물 등의 방법으로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 이에 획득되는 변화를 의미하는 우연적 학습 등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3.3 가설 Ⅲ 의 검증 :
일터학습의 유형(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은 조 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Ⅲ 의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 연적 학습 등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들과 조직몰입 요인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다음 <표 5-6>은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이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표 5-6> 조직몰입에 대한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β t Adjusted
R2 F
조직몰입
형식적 학습 .610 3.731 .274 25.624
무형식적 학습 .704 5.270*** .410 26.084***
우연적 학습 .659 2.897 .277 15.762
*
p<.05, **p<.01, *** p<.001
<표 5-6>에서 알 수 있듯이 일터학습의 유형 요인 중 무형식적 학습은 조직몰 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5.270***,p=.000). 그러나 일터 학습의 유형 중 형식적 학습(t=3.731,n/s)과 우연적 학습(2.897,n/s)은 조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Ⅲ 은 부 분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검증결과는 일터학습의 유형의 하위요인 중 무형식적 학습은 조직몰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일터학습은 조직에서 요구되는 역량 형성의 주요한 방법이기 때문에 조직을 학습의 맥락으로 인식하고 조직은 학습의 배경인 동시에 학습의 주요한 투 입 요소가 되며 일터에서 일어나는 학습은 조직에 대한 애착심을 갖게 하고, 이러 한 애착은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혁신적으로 자발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게 할 것이다. 라는 연구결과(Billett, 1994)와 일치하며 일터학습은 일터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의 경험과 노하우를 제공하게 되기 때문에 문제의 원천으로 써의 조직에 관심을 갖게 되며, 이러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조직의 몰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Schol, 1981)와도 일치한다. 즉, 직장인들의 조직몰 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터학습의 유형 중 무형식적 학습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5.3.4 가설 Ⅳ 의 검증 :
혁신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Ⅳ의 검증을 위해서 혁신성과 조직몰입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표 5-7>은 혁신성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이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표 5-7> 조직몰입에 대한 혁신성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β t Adjusted
R2 F
조직몰입 혁신성 .459. 10.530*** .434 137.347***
*p<.05, **p<.01, *** p<.001
<표 5-7>에서 알 수 있듯이 혁신성은 조직몰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10.530***,p=0.001),이와 같은 검증결과는 혁신성이 조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성이 조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Ⅳ는 채택되었다. 즉, 혁신성은 조직 몰입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3.5 가설 Ⅴ의 검증 :
경력지향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Ⅴ의 검증을 위해서 경력지향과 조직몰입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다음 <표 5-8>은 경력지향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이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표 5-8> 조직몰입에 대한 경력지향의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β t Adjusted
R2 F
조직몰입 경력지향 .491. 7.547*** .237 56.963***
*p<.05, **p<.01, *** p<.001
<표 5-8>에서 알 수 있듯이 경력지향은 조직몰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t=7.547***,p=0.001),이와 같은 검증결과는 경력지향이 조직몰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Ⅴ는 채택되었다. 즉, 경력지향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3.6 가설 Ⅵ의 검증 :
일터학습의 유형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혁신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매개효과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제 3의 변인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갖는 것을 말한다. Baron & Kenny(1986) 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혼동되어 사용되어 온 것을 지적하면서 조절변인과 매 개변인 간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조절효과는 일터학습의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 는 영향이 어느 수준에서 유지되는지 알 수 있는 반면 매개효과는 일터학습의 유 형의 수준에 상관없이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에서 매개변인들의 간접효과를 의미한 다.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는 상호배타적이기 보다 통합적인 모델이 될 수 있으며 만약 매개효과가 나타나면 조직몰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다. 이 때 매개변인은 독립변인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인의 원인으로 고려되며 매개변인 이 종속변인에 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역동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고 어떤 효과 가 있는지 왜 나타나는지에 대한 정보를 준다.
본 연구는 일터학습의 유형과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에 있어 혁신성이 매개변수 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aron & Kenny(1986) 의 3단 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3단계 회귀분석과정 및 각 회귀분석단계에서 충족되어야 할 요건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각 독립변수들은 매개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야 한다.
둘째,각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야 한다.
셋째,각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모두에 대해 종속변수를 회귀시켜야 하며 우선 매개변수는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그리고 만일 독립변수가 종속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완전매개효과가 존재한다고 말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