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연구 방법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4.2.1 변수의 조작적 정의
실증연구를 위해서는 현상에 대한 계량적인 측정이 요구되며 이러한 측정을 통해 서 현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특정변수의 상태와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 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이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연구목적에 따라서도 학자들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도 본 연구목적에 맞도록 기존의 정의된 개념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관찰 가능한 조 작적 정의를 하였다. 일터학습의 유형을 측정하기 위한 일터학습 우형의 척도에 관 해서 Rowden(1995)는 일터학습을 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 등 3개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Rowden(1995)이 개발한 설문지를 임재원, 2010 ; 문세연, 2006)이 국내 기업 상황에 맞게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1) 형식적 학습
형식적 학습에 관해 Marsick(2001)은 제도적으로 지원되고 교실상황에서 이루 어지며 고도로 구조화된 학습이라고 하였는데 형식적 학습은 조직의 의도가 포함 된 계획적이고, 구조적이며 집체적인 학습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식 적 학습의 연구(Rowden, 1995 ; 임재원, 2010 ; 문세연, 2006)를 바탕으로 3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2) 무형식적 학습
Rothwell(2002)은 작업장에서의 무형식적 학습을 교육훈련 부서의 내용과 방 법을 계획하고 주관하여 교육하는 공식적 집체교육이 아닌 현장에서 근로자인 성 인학습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업무와 관련된 학습, 일을 통한 학습이라고 보았다.
무형식적 학습은 학습자의 주도 하에 일터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터에 필요 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 비구조적이고 경험적인 학습이라고 정의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적 학습의 연구(Rowden, 1995 ; 임재원, 2010
; 문세연, 2006)를 바탕으로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3) 우연적 학습
Marsick 과 Watkins(2001)는 우연적 학습을 시행착오 과정으로부터 비롯된 학습으로, 무형식적 학습의 구성요소로 간주된다고 하였으며 무형식적 학습이 경 험적이고 비제도적인 학습이라면, 우연적 학습은 비의도적이고 다른 활동의 부산 물로서의 학습이라고 하였다. 형식적 학습과의 구분에 있어서도 무형식적 학습은 학습자에 의해 실행된 통제의 정도, 장소, 결과물에 대한 예견 정도를 언급한 반 면, 우연적 학습은 무형식적 학습의 부분집합으로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암묵지 나 무의식과 관련되어 주어진 학습이라고 하였다. 우연적 학습이란 과업 수행 중, 대인상호작용,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 시행착오, 공식교육의 부산물 등의 방법으로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획득되는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무형식적 학습의 연구(Rowden, 1995 ; 임재원, 2010 ; 문세연, 2006)를 바 탕으로 3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4) 혁신성
Amabile(1988) 혁신성은 조직 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실현시키는 것이라 정의하였으며 Damanpour(1991) 조직 내부에서 개발되거나, 외부에서 유 입된 도구, 시스템, 정책, 프로그램, 프로세스, 제품 또는 서비스 등을 처음으로 채 택하는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혁신성은 아이디어,제품, 서비스, 제도, 프로그램, 과 정, 또는 정책 등을 새롭게 인지하여 도입하고 사용하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위석(2007)의 연구를 기초로 6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5) 경력지향
경력지향은 자신의 욕구와 동기, 재능, 자신의 태도와 가치관 등이 서로 조화롭 게 어우러지고, 또 삶의 여러 가지 경험들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피드백 등을 통 해서 형성된, 직업과 관련된 자기 이미지를 말한다(Schein, 1978). 본 연구에서의 경력지향은 자신의 욕구와 동기, 재능, 자신의 태도와 가치관 등이 서로 조화를 이 루고 또 삶의 여러 경험들과 다른 사람들로의 피드백 등을 통해서 형성된, 직업과 관련된 자기 이미지’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지향을 이룰 수 있는 자신감의 정도, 경력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있는 정도 경력지향에 도움의 정도, 경력계획의 명확성의 정도, 노동시장에서 타인과 비교하여 경쟁력이 향상의 정도를 의미하며 Hall, 1984 ; Arthur, Hall, & Lawrence, 1989; 김흥국, 2000
; 한우섭 2007의 연구를 기초로 5개 문항으로 측정하었다
6) 조직몰입
조직몰입은 개인이 자기가 속학 조직에 호의적 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조직을 위해 서 열심히 일하려는 의지, 그리고 조직의 구성원으로 남아 있으려는 의지 등의 개념이 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조직에 속한 조직원이 자신과 회사를 동일시하고 조직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자 하는 정도를 말하며, 이는 구성원이 조직에 대해 얼마나 애착 심을 가지고 헌신하려는 의사가 있는가를 보여주는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의 조직몰입 은‘제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의 조직에 대한 일체감, 집착, 애착, 관여, 충성도, 동 일시, 소속감 등의 정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 측정 을 위해서는 Churchill & Walker(1996)가 개발하여 사용한 척도를 기반으로 5 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표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관련연구
연구변수 조작적 정의 관련문헌
형식적 학습 조직의 의도가 포함된 계획적이고, 구조 적이며 집체적인 학습
Rowden, 1995
임재원, 2010 문세연, 2006
무형식적 학습
공식적 집체교육이 아닌 현장에서 근로 자인 성인학습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비구조적인 학습
Rowden, 1995
임재원, 2010 문세연, 2006
우연적 학습
우연적 학습이란 과업 수행 중,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획득 되는 변화와 학습을 의미
Rowden, 1995
임재원, 2010 문세연, 2006
혁신성
새롭게 인지하여 도입하고 사용하는 일 련의 행위를 의미하며 조직 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실현시키는 것
Amabile(1988) 윤위석(2007)
경력지향
자신의 욕구와 동기, 재능, 자신의 태도 와 가치관 등이 다른 사람들로의 피드백 등을 통해서 형성된
직업과 관련된 자기 이미지’
Hall, 1984
Arthur,Hall, & Lawrence, 1989
조직몰입
개인이 자기가 속학 조직에 호의적 태도를 의미, 조직을 위해서 열심히 일하려는 의지, 그리고 조직의 구성원으로 남아 있으려는 의지 등
Churchill & Walker(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