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감시와 폭력을 통한 표현과 언론의 자유 억압

Dalam dokumen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 (Halaman 170-179)

개 요

3. 감시와 폭력을 통한 표현과 언론의 자유 억압

222

집중적인 국가 세뇌는 국가나 국가 공식 이념에 대한 비판적인 사실과 견 해를 표현하는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용인되지 않는 환경에서 발생한다. 조사위원회 가 전달받은 한 제출안은 다음을 강조하고 있다.

표현의 자유가 없다는 것은 특정 사안을 금지하는 것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더 정확히 말하면 모든 사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말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예를 들어, 만약 대중 집회에 참석한 한 북한 주민이 “만세”(“만년을 사시기를!”) 를 외치고

“경애하는 원수님” 김정은의 등장에 박수를 치지 못한다면 그는 고발을 당

하고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225

223

2013년 12월에 처형된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이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긴 죄목 중에는 김정은이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선출된 제3차

당대표자회의에서 이를 발표했을 때

“자리에서 마지못해 일어나고 건성으로 박수를

쳤다”는 것이 있었다.226

224

한 증언자는 북한에서 아무도 자유롭게 글을 쓰지 못했기 때문에 그의 어 린 시절부터 그의 부모가 작가를 갈망하는 그를 단념시키려고 하였다고 조사위원회 에 진술하였다.227 북한에서는 김일성, 김정일, 그리고 조선노동당에 유리한 측면을 보여주는 사안에 대해서만 글을 쓸 수 있다. 이 한도 이상의 글을 쓰는 작가는 체포 되고 정치범으로 취급될 수 있었다.228

서울 공청회에서 장해성 씨는 조사위원회에 “작가였던 내 친구들은 … 우리는 절대 우리의 견해, 우리의 생각을 쓸 수 없었습니다 … 예를 들어 어떤 작가는 다른 사람 과 대화를 하던 중 실수를 했습니다. 그는 당시 술에 취해있었고 그는 실수하여 작 가들은 절대 자신들의 견해를 글로 쓸 수 없다고 했고 그렇게만 말한 것으로 그는 요덕 15호 관리소로 보내졌습니다…”라고 전하였다.229

∙ 서울 공청회의 같은 회차에서 정진화 씨는

“그렇게 붙잡혀간 사람들이 많았는데, 특

히 언론 기관에 많았습니다. 만약 당신이 북한의 언론 기관에 있다면, 실수를 하면 그것은 정치적인 문제가 됩니다. 그리고 장해성 씨가 말한 것처럼 우리는 많은 사 람들이 정치범수용소인 관리소로 붙잡혀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 들, 일반 범죄자들은 교화소로 가지만 언론 기관에 있는 이 작가들은 한 번이라도 실수를 하면, 하룻밤 사이에 사라지고 그들의 가족도 밤 사이에 없어질 수도 있고, 간혹 삼대가 몰살됩니다. 이렇듯 그들이 체제에 등을 돌렸기 때문에 이것이 당연하 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몇몇 사람들은 이야기합니다. 이것이 그 사람들이 생각하는 바입니다.”라고 덧붙였다.230

226_ “Traitor Jang Song Thaek Executed,” KCNA, 2013년 12월 13일. http://www.kcna.co.jp/item/2013/201312/

news13/20131213‐05ee.html.

227_ TAP009.

228_ TAP009.

229_ 서울 공청회, 2013년 8월 22일, 오후 (01:02:20).

230_ 서울 공청회, 2013년 8월 22일, 오후 (01:03:28).

∙ 한 증언자는 국정 음악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혁명군 노래”와 같은 동요를 외우던

것을 회상하였다. 클래식 음악은 1899년 이전에 작곡된 것만 연주할 수 있었고, 예 를 들어 러시아 작곡가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은 그가 도미(渡美)했기 때문에 금지되 었다. 북한에서 음악의 목적은 지도자에 대한 숭배와 사회주의가 승리할 것이라는 신념을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 이유로 김씨 가문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고 국가와 당을 향한 충성심을 불어넣는 작품들만 허용된다. 서양과 한국의 대중 음악 은 완전히 금지되어 있다. 이 장르의 음악을 연주하여 붙잡히면 그 사람은 처벌을 받게 된다.231

225

조사위원회가 면접을 한 증언자들은 그 법적 기초는 이해하지 못했지만 북 한에서 그들의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음을 알고 있었다. 북 한의 주민들이 처한 가혹한 생활 여건과 엄격한 규정에 왜 아무도 저항을 하지 않는 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증언자들은 그런 저항은 상상도 할 수 없으며 아무도 감히 항의를 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김종수 씨가 설명한대로 “저항은 죽 음과 같은 것이다.”232

226

자유권위원회(Human Rights Committee)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북한은 헌법과 출판법에 따라 주민들이 언론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 권리에는 반드시 조건이 따른다;

“그러한 자신의 생각의 표

현에 있어서 국가를 전복시키고, 분열시키거나 쇠퇴시키기 위한 시도로 다른 사람들 을 부추기는 것, 국가 보위와 건강한 사회 질서를 심각하게 해를 끼치기 위해 국가 기밀을 폭로하는 것, 다른 사람을 모욕하거나 체면을 손상시키는 것은 금지된다.”233

227

국제규약하에서 정부가 개인권과 집단권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조화시켰는

231_ TLC035.

지에 대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위원회의 한 위원이 제기한 질문에 대해 한 북한 측 대표는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개인 및 집단권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었다. 개인에게 좋은 것은 집단에도 좋은 것이었고 반대도 마찬가지였다. 개인이 사회에 살기 때문에 개인과 집단의 요구 사이 에 조화가 있어야 한다. 만약 개인이 집단의 의견과 반대되는 것을 표현한다면, 그 의 견이 고려는 되겠지만 그 개인에게 그 또는 그녀의 의견을 집단의 의견과 조화를 이루 도록 설득하기 위한 노력 또한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는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234

228

조사위원회는 자유권규약에 의거해서 어떠한 형태의 예외나 제약을 허용치 않은 간섭없이 의견을 가질 권리에 대해 자유권위원회(Human Rights Committee) 가 고려했던 점을 환기한다.

“모든 형태의 의견이 보호되며, 여기에는 정치적, 과학

적, 역사적, 도덕적, 종교적 의견들이 포함된다. 의견을 가졌다는 것을 범죄화하는 것은 제1항에 부합하지 않는다. 개인이 가지는 의견을 이유로 체포, 구금, 재판, 수 감하는 등 개인을 괴롭히고 협박하고 낙인찍는 것은 제19조제1항에 위배된다 … 어 떤 의견을 가지거나 가지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어떠한 형태의 시도도 금지된다.”235 아동권리협약 역시 국가가 모든 아이들이 그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236 말, 글이나 인쇄물로, 예술 또는 모든 다른 매체를 통해 모든 종류의 정보와 생각을 추 구하고 전할 권리를 존중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237

229

주민들은 정치 체제와 그 지도부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고발 하도록 실질적으로 동원되고 있다. 조사위원회는 2013년 1월 사회안전성(현 인민보

234_ E/C.12/2003/SR.44, para. 46.

235_ CCPR/C/GC/34, paras. 9~10.

236_ 아동권리협약 제12조 참조.

237_ 아동권리협약 제13조 참조.

안부)에서 발행한 것으로 보이는, 보안부에 보고해야 할 18가지 행위나 “태도”의 목 록을 제공하는 문서를 입수하였다. 이 목록에는 반국가적, 반민족적 범죄 행위와 그 것을 저지르도록 장려하는 행위, 외국인과 불법적으로 만나고 편지와 물품을 교환하 는 행위, 공공 규범을 어지럽히는 행동들, 그리고 모든 다른 종류의

“이상 행동”이

포함되어 있다.

(a) 관찰 및 감시 체계

230

북한은 반국가적이거나 반혁명적이라고 여겨지는 감정의 표현을 감지하기 위해 거대한 감시 조직을 구축하였다. 여기에는 생활의 모든 부분에서 활동하는 비 밀 정보원들의 거대한 조직망을 조직하는 것도 포함한다. 대중조직의 간부들이 시행 하는 감시에 더하여 모든 주민들이 의무적으로 회원이 되는 이웃감시제도(‘인민반’) 도 활동 중이다.

231

이웃감시제도(‘인민반’)는 등록이 되지 않은 방문객을 포함한 지역 내의 이 례적인 활동에 대해 인민보안부나 국가안전보위부에 보고하고 반국가적 활동과 반 대 의사 표명에 대해 감시하도록 임명된 대표가 관장하는 약 20~40가구 단위로 이 루어진다. 간혹 마을 사람들은 보안 요원으로부터 그들의 이웃을 염탐하도록 지시 받기도 하였다.238 인민반은 주민들을 등록하고, 그들의 활동을 감시하고, 사상교육 을 실시하며, 지역 당위원회가 임명한 대표들과 함께 여러 활동에 사람들을 동원시 킬 책임이 있다고 한다. 인민반은 가정 생활의 사적인 부분도 면밀히 조사한다. 또 한 등록되지 않은 손님이나 불순한 활동들이 있었는지 밝히기 위해 가정집을 아무 때나, 심지어 밤에도 방문할 수 있고, 보안 기관에 조치를 취하도록 보고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239

232

조사위원회는 작은 집단에서 무심코 한 말이라 해도 결국 정보원이 보고하 여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96년 1월, 손정훈 씨는 작은 신년 모임을 위해 그의 상관의 집을 방문했을 당시 중앙위원회 산하 무역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다. 거기서 그는 비디오 테이프 녹화물 에서 전투기를 포함한 서양의 군사 무기류들을 보았다. 그는 기술이 꽤 발달하였다 는 것을 소리 내어 말하는 실수를 하였다. 이 언급을 한 그의 행위가 보고되었고 그 는 불려가 심문받았다. 자본주의 국가를 찬양하였다는 혐의를 받았고, (그의 좋은

‘성분’과 전반적으로 좋은 행실 때문에)기소되거나 체포되지는 않았지만 직위를 박

탈당하였다.240

233

개인의 충성심을 평가하고 알아내기 위해 행동을 감시하는 것은 그들의 삶 의 여러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김주일 씨는 런던 공청회에서 조선인민군에는 부대의 부대장과 부 행정 관이 군인들의 정치적 충성심을 감시하고 조선노동당 직할의 조선인민군 정치부에 보고하는 공식적인 정치적 감시를 위한 병행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비무장 지대 가까이에 주둔하고 있는 모든 소대에도 조선인민군 보위사령부 (군대 자체 비밀 경찰)에서 파견한 장교가 있었다. 매일 아침 오전 9시부터 11시까 지 그들은 총화 시간에 참석하곤 하였다.241

한 증언자는 북한에서

‘성분’이 낮은 사람들은 서로를 감시해야만 한다고 진술하였

다. 그녀의 아버지는 입당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보위부의 첩자로 일 하도록 강요당했는데, 보위부가 그의 친구의 일본인 부인을 조사하면서 그녀가 받는 편지들에 대해 더 알고 싶어했기 때문이었다. 그 증언자는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239_ Ken E. Gause, “Coercion, Control, Surveillance, and Punishment,” pp. 42~48.

240_ TAP011.

241_ 런던 공청회, 2013년 10월 23일, 4세션(비공개 면접에서 증언자가 제공한 추가 세부 사항 포함).

Dalam dokumen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 (Halaman 170-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