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B. 임무의 해석
13
조사위원회의 임무는 기본적으로 결의 22/13호 제5항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2013년 보고서 제31항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5 위원회는 두 개의 항을 함께 고려, 북한의 조직적이며 광범위하고 중대한 인권 침해 를 조사할 임무를 부여받은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특히 아래 9가지 구체적 인권 침 해 사안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량권 침해∙
정치범수용소 관련 모든 인권 침해 사항∙
고문 및 비인간적 대우∙
자의적 체포 및 구금∙
각종 차별, 특히 기본적 인권과 자유에 대한 조직적인 박탈 및 침해 속에 이루어진 차별∙
표현의 자유 침해∙
생명권 침해∙
개인적 이동의 자유 침해∙
외국인 납치를 포함한 강제실종14
위 아홉 가지 사안은 상호 연계, 중첩되어 있으며 조사위원회의 중점 조사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아홉 가지 사안은 완전한 것이 아니며, 적절하다 고 판단할 경우 조사위원회는 위 아홉 가지 사안 이외에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기 타 인권 침해 사례도 조사하였다.15
조사위원회의 임무는 또한 조사 과정에서 세 가지 상호 연계된 목표를 추 구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1) 북한의 인권 침해 사례의 추가조사 및 기록화, (2) 인권 침해 피해자와 가해자의 증언 수집 및 기록화, (3) 책임 소재 파악 등이다.(a) 북한의 인권 침해 사례의 추가조사 및 기록화: 결의 22/13호는 위원회에 북한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침해에 대하여 조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같 은 맥락에서 위 사항을 반복하여 언급한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보고서 제31항은 그와 같은 침해 사례의 보다 자세한 기록화를 지시하고 있다. 책임 소재의 파악을 목표로 한 보다 자세한 조사 요청으로 인하여, 어떻게, 누구에 의해서 특정 침해 상황이 계획되고, 명령되고, 조직되었는지 밝히는 데에 더욱 중점을 두도록 하였다.
(b) 인권 침해 피해자와 가해자의 증언 기록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보고서 제31항의 설명에 근거한 임무로 조사위원회는
“피해자의 증언과 생존자, 증언자, 가해자의
증언 수집 및 기록화”를 하게 되어 있다. 조사위원회는 이 임무 수행 차원에서 우 선 피해자 및 다른 증언자들의 공청회를 개최하고 그 증언들을 웹 페이지에서 조 회 가능하도록 했다. 그리고 보안상의 이유로 공개 발언을 할 수 없는 피해자와 증 언자들이 제공한 증언의 경우 보안 및 기밀 자료로 안전하게 보호하였다.(c) 기관 및 개인에 대한 책임 소재 파악: 이번 조사는 그 임무에 의거하여
“
책임 소재 의 완전한 파악, 특히 반인도범죄에 해당할 수 있는 침해 사안의 책임 소재 파악에 주목”
하여 진행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보고서의 제31항에서“
조사는 [조직적이며 광범위하고 중대한 인권 침해], 특히 반인도범죄를 구성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기관 및 개인의 책임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
고 첨언하고 있다.16
기 보고된 침해 사안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성격과 중대성을 감안하여, 조사위원회는 국제공동체의 책임도 고려하였다.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보고서 제31항과 결의 22/13호의 제5항에서 요구한 바와 같이 국제공동체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 시하였다.
17
인권이사회 결의 23/25호의 제17항6에 의거하고 임무의 수행에 성차 (gender) 관련 사항을 포함시킨 바람직한 전례에 기반하여, 조사위원회는 조사 기 간 동안 성차 관련 사안과 침해에 따른 영향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고, 특히 여성 과 어린이에 대한 폭력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인권이사회 결의 23/25호에 의 거함에 따라, 조사위원회는 성인 여성과 여자 어린이들에 대한 폭력에 특히 중점을 두었고, 본 보고서의 다른 침해 사안들에서도 성차 관련 측면을 포함시켰다. 여성에 대한 폭력 중에서도 특히 성폭력은 피해자들이 지속적으로 겪게 되는 모욕감과 수 치심 때문에 기록화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조사위원회는 이 부분의 조사가 실제 침해 규모의 극히 일부분만을 담아냈으리라는 입장임을 밝혀둔다.18
다른 조사위원회들의 임무와 비교하였을 때,7 결의 22/13호의 제5항에서 는 위원회 조사의 시간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있다. 조사위원회는 지금도 지속되 고 있는 인권 상황에 영향을 미친 침해 사례들을 기록화하는 일에 집중하였다. 시 간, 자원, 가용할 수 있는 정보의 제약 속에서 조사위원회는 오래 전부터 있었던 인 권 침해라 하더라도 현재 더욱 지속적이고,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경우 그 반 복적 형태를 조사하였다. 북한이 수립되기 이전에 일어난 역사적인 사건들도 현재 북한의 인권 침해 상황과 그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원인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일 경우에는 설명하였다.6_ Resolution on accelerating efforts to eliminate all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rape and other forms of sexual violence (A/HRC/RES/23/25).
19
지리적 범위의 경우, 조사위원회는 그 임무를 북한 국내 및 국외에서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자행한 침해 혐의 사례와, 아울러 북한 주민이 아닌 외국인의 납 치와 같이 북한에서 기획한, 관할권 밖의 행위를 수반하는 침해 사례도 포함한 것으 로 해석하였다.20
조사위원회는 북한 밖에서 저질러진 침해 사례들이 북한 내의 후속적인 인 권 침해를 가능하게 하고 촉진하는 원인이거나, 또는 북한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 권 침해의 직접적 결과물 역시 조사 임무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고 있다. 이런 측 면에서, 조사위원회는 이에 대해 다른 국가가 어느 정도까지 관련 책임을 지는지에 관해서도 조사하였다.8
Dalam dokumen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
(Halaman 7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