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4. 종교 및 종교적 표현의 자유에 대한 거부
240
종교와 종교적 표현의 자유는 자유권규약 제18조, 제19조뿐만 아니라 아동 권리협약 제13조, 제14조에도 보장되어 있다. 두 조약 모두 당사국들에게 이 권리 들을 인지할 것뿐만 아니라 결사와 평화적인 집회의 자유와 관련된 권리들을 보호 할 것도 요구한다.253 조사위원회는 북한이 이 조약의 당사국임에도 불구하고 주민 들에게 이러한 권리의 보호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그 결과 자신 의 선택으로 종교 행위를 할 수가 없게 되어 있다.(a) 개인숭배의 제도화
241
런던 공청회에서 스튜어트 윈저(Stuart Windsor) 목사는 “개인숭배와 확고 한 복종에 대한 요구”의 제도화에 대해 “어떠한 정치적인 탈선도 용납되지 않는다”는 증언을 하였다.254 김일성에 대한 경외심과 우상숭배는 종교적 믿음에 비유되었고,253_ 자유권규약 제21조, 아동권리협약 제15조 참조.
10대원칙의 여러 하위 원칙들은 국가 이념의 종교적 성향을 보여주는 요소들을 포함 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255 특히 10대원칙 중 제4조는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혁명사상을 신념으로 삼고 수령님의 교시를 신조화하여야 한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혁명사상을 신념으로 삼고 수령님의 교시를 신조화하 는 것은 끝없이 충직한 주체형의 공산주의혁명가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구이며 혁명투쟁과 건설사업의 승리를 위한 선결조건이다.
242
서울에서 A씨는 조사위원회에 “북한에서 허용되는 유일한 사상, 유일한 종 교는 김일성의 사상”이라고 전하였다.256 조사위원회는 공식적인 국가 사상 이외의 다른 어떤 신앙 체계에 대해서도 관용 및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람들의 종교의 자유와, 종교 및 자신이 선택한 신념을 갖거나 받아들이는 자유에 대한 권리를 관용 하거나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함을 확인하였다.254_ 런던 공청회, 2013년 10월 23일, 5세션(서면 제출안과 관련하여).
255_ 그런 하위 원칙들의 예(북한인권시민연합에 의해 번역된 바에 따라)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조제1항.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는 우리가 끝없이 존경하고, 영원히 공경하며, 모시고 있는 것을 최대의 행복, 최고의 영예로 여겨야 하는 혁명의 영재이시며, 인민의 태양이시며 전설적 영웅이시다.
제2조제3항. 우리의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가 가리키는 길을 굳게 믿고 수령님의 지도 아래에 있으면 못해 낼 일이 없다는 강한 믿음을 항상 가지고 수령님께 모든 운명을 전적으로 의탁하며 수령님이 이끄는 혁명 전 투에 우리의 몸과 마음을 바쳐야 한다.
제3조제1항.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 외에는 그 누구도 요구되는 지식이 없다는 확고한 입장과 관점을 가져 야 한다.
제3조제6항.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 동지의 조각상, 석고상, 동상, 초상휘장, 수령님을 형상한 미술작품, 수령 님의 교시판, 당의 기본구호들을 정중히 숭배해야 한다.
제4조제3항.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교시를 무조건 접수하고 그것을 자로하여 모든것을 재여보며 수령님 의 사상 의지대로만 사고하고 행동하여야 한다.
제4조제10항. 그 기원이 자본주의사상, 봉건유교사상, 수정주의, 교조주의, 사대주의에 있고, 위대한 수령 김 일성의 혁명사상과 반대되는 반당적, 반혁명적 사상의 조류에 모든 의지를 다해 투쟁해야 한다. 수령님의 혁 명사상, 주체사상의 순결성을 고수하여야 한다.
제5조제2항.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 동지의 심려를 덜어드리는 것을 신성한 의무, 최상의 영예로 간주하고 모
∙
X씨는 워싱턴 공청회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북한 사회는 전체가 김일성이 라는 교주에 주체사상이라는 경전이 있는 일종의 종교 집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기독교이든 천주교이든 무엇이든 다른 종교가 있을 때, 그와 배치되는 다른 어떤 종교가 있다면 그들의 주된 종교는 김일성 종교의 기본적 토대를 약화시킬 것 입니다. 그러면 지도부가 그 사회체제를 유지하고 통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만 약 북한 사람들이 김일성이 진짜 신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다른 신이 있다 는 것을 알게 되면 지도부에는 좋은 일이 아닙니다. 이것이 북한 사회 내에서 다른 모든 종교들이 생겨나는 것을 막고 다른 종교를 박해하는 이유입니다.”257
243
북한 헌법은 제68조에 종교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다. 종교 건물을 건축하 고 종교 의식을 개최하기 위해서는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제한적인 권 리이다. 더 나아가 북한 헌법은“종교는 외세를 끌어들이거나 국가사회 질서를 해치
는데 리용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244
기독교는 한국에서 그 첫 접촉이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기독교는 북쪽 지방에서 더욱 관심을 끌었고 평양은 종종“동방의 예루
살렘”으로 일컬어졌다.258 20세기에 유교, 도교, 그리고 불교의 요소를 혼합시킨 종 교인 천도교가 나타났고 또한 많은 수의 신봉자들이 생겼다. 세계기독교연대는 1950년대에 28% 이상의 인구가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고 추정하였고, 조선노동당의 1950년 연감은 그 숫자가 거의 24%에 달한다고 보았다. 북한이 자유권위원회에 제 출한 수치에 근거하면 2002년에 신앙을 가진 인구는 0.16%에 불과하다고 추정된 다.259 다시 말해, 공식 통계에 의하면 1950년의 2백만 명과 비교하여 2002년에는257_ 워싱턴 공청회, 2013년 10월 30일(02:45:50).
258_ Andrei Lankov, “North Korea’s missionary position,” Asia Times Online, 2005년 3월 16일. http://www.
atimes.com/atimes/Korea/GC16Dg03.html 참조; Michael Breen, Moon Sun‐myung, “The Early Years, 1920~53: Chapter 6 – Jerusalem of the East,” http://www.unification.org/ucbooks/earlyyears/Chap06.htm 참조.
259_ HRI/CORE/1/Add.108/Rev.1, p. 10; CCPR/CO/72/PRK/Add.1, p. 3.
종교가 있는 북한 주민은 약 3만 8천 명이었다(2002년의 인구수 약 2천 3백만 명에 비교해서 1950년에는 전체 인구수가 9백만 명으로 알려진 것을 감안해야 한다).260
(b) 종교 박해
245
조사위원회가 전달 받은 정보는 북한에서의 종교적 박해가 6․
25전쟁 이전 에 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사적으로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회유와 조화 를 이야기했지만, 동시에 종교인들은 제국주의 찬성론자이며 봉건주의 옹호론자라는 견해를 전파하였다.261 전체적으로 종교 탄압 기간은 네 시기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1946~1950년: 6․
25전쟁 이전; 1950~1953년: 6․
25전쟁; 1953~1971년: 김일 성주의 운동 이전; 1972년~현재:‘주체’ 시대),
262 6․
25전쟁과 김일성주의 운동 이전의 기간이 종교인들에 대한 박해가 가장 극심하였다고 한다. 종교인들은 죽임을 당하고, 추방 당하고 감금되었다. 기독교의 활동이 다른 종교보다 훨씬 더 조직적이고 미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이 가장 큰 표적이 되었 다고 알려져 있다. 세 번째 시기 말경과 네 번째 및 현재 시기에 대한 대비로 천도교 청우당원, 기독교인, 불교신자들은 ‘성분’ 제도 아래서 적대계층에 포함되었다.263246
식량난이 한창일 때 중국으로 탈북한 사람들이 지역 교회와 접촉하고 종종 지원을 받으면서 1990년대에 독자적인 기독교 활동이 증가하였다. 증언자들은 기독260_ Christian Solidarity Worldwide, “North Korea: A Case To Answer – A Call To Act,” 2007, p. 65.
http://dynamic.csw.org.uk/article.asp?t=report&id=35 참조.
261_ Won Jae‐chun, “Religious Persecution in North Korea: Process and phases of oppression 1945~
2011,” International Journal for Religious Freedom, vol. 4, No. 1 (2011), pp. 87~100.
262_ NKDB는 이를 1945년에서 현재까지를 다루는 6번의 시기로 분류하였다: “Religious Freedom in North Korea,” 2013년 1월, pp. 28~41 참조.
교인들이 종교 활동을 하기 위해 집이나 다른 장소에서 비밀리에 모이는 사례를 언 급하며 북한에 지하 교회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더 세부적인 사항은 입수하기 어려 웠지만, 2000년대 초부터 비밀 종교 활동이 증가해왔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 다.264 한 추정치는 20만에서 40만 명 사이의 기독교인들이 큰 위험에도 불구하고 북한에서 비밀리에 여전히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고 있다고 보았다.265
247
일반적으로 종교에 대한 북한의 정책은 국제적인 관중들에게 보여주기 위 해서 종교적 관용의 겉모습을 유지하는데 반해, 사실 내부적으로는 종교 활동을 탄 압하는 이중적인 것이라고 설명하곤 한다.266248
북한의 보편적 정례인권검토 제출안에서 북한은 몇 개의 공식적으로 인정된 기독교 집회와 다른 종교들의 신자 협회의 존재를 강조하였다. 제출된 바에 의하면:조선그리스도교연맹, 조선불교도연맹, 조선카톨릭교협회, 조선천도교협회, 그리고 조선 종교인협의회와 같은 종교단체들이 있다. 최근에는 평양에 있는 봉수교회와 장충성당, 개성에 있는 영통사가 복원, 증축되었고 금강산에 있는 신계사와 룡악산에 있는 법운 사는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었다. 2006년 8월에는 러시아 정교회가 평양에 세워져 북 한에 머무는 러시아 종교인들이 종교의식을 열고 있다. 종교단체들의 출판물은
“천도
교경전,”“천도교,” “구약성경,” “찬송가,” “선택과 실천,” “천주교를 알자,” “신앙생활의
걸음,”“천주교 기도문”을 포함한다.
267249
더 나아가 1999년 12월에 자유권위원회에 북한이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264_ NKDB, “Religious Freedom in North Korea,” pp. 41, 98~102.
265_ 조사위원회 제출: SUB048.
266_ NKDB, “Religious Freedom in North Korea,” p. 28.
267_ A/HRC/WG.6/6/PRK/1, para. 45.
종교단체가 운영하는 종교 교육 기관들이 있다.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중앙위원회가 평 양 신학교를 운영하며, 조선불교도연맹 중앙위원회는 불교학원, 조선천도교중앙지도위 원회가 천도교 고등중학교, 그리고 조선카톨릭교협회 중앙위원회도 학생들을 가르친 다. 1989년에 북한은 몇몇 학교 부모들이 자신의 아이들에게 그런 교육을 시키고 싶 어하는 것을 고려하여 김일성종합대학에 종교 학부를 신설하였다.268
250
북한 당국이 인정하고 500개라고 주장하는 “가정교회”들도 몇몇 있다고 전 해진다.269 이 모임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사실 1950년대 이전에 가족들이 기독교인 이었던 사람들이고 그로 인해 그들은 지도자나 종교적 자료 없이 예배를 하기 위해 모이는 것이 허용된다. 대부분의 가정교회들은 도시에 있고 참석하는 가족들은 종종 구별된 거주 단위로 격리된다. 1989년 김일성종합대학에 설립된 종교 학부에서는 기독교, 천주교, 불교, 천도교, 그리고 이슬람교 교리를 다룬다.270251
하지만 증언자들은 해당 학과에 진학할 기회는 매우 충성스러운 주민들에 게만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학문을 전공한 사람들 중에서 이후 당국이 인가한 교회 의 성직자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나아가 조사위원회는 증언자들로부터 당국이 인가 한 교회들이 외화를 벌어들이는 수단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들었는데, 이는 그런 교 회 종사자들이 외국인들과 접촉하여 해외로부터 기금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 이다.271 한 보고서에서 과거 김일성종합대학에 다녔던 한 학생은“[그 대학] 과정
의 졸업생들은 종교연맹, 해외 무역 부문에서 일하거나 비밀 종교 활동을 밝혀내는 국경 수비대원으로 일한다”고 밝혔다. 동 보고서는 국가가 인가한 교회들은 외부 방 문객들을 위한 전시품이라고 주장한다.272 증언자들은 또한 조사위원회에 국가의 허268_ CCPR/C/PRK/2000/2, para. 116.
269_ U.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USCIRF), “2013 Annual Report,” 2013년 4월, p. 111.
http://www.uscirf.gov/reports‐and‐briefs/annual‐report/3988‐2013‐annual‐report.html 참조.